KR100619596B1 - 호스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호스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596B1
KR100619596B1 KR1020040052197A KR20040052197A KR100619596B1 KR 100619596 B1 KR100619596 B1 KR 100619596B1 KR 1020040052197 A KR1020040052197 A KR 1020040052197A KR 20040052197 A KR20040052197 A KR 20040052197A KR 100619596 B1 KR100619596 B1 KR 100619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h
hose
spring band
clamp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985A (ko
Inventor
정재만
Original Assignee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2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5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Self-locking elastic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5Hose-clips fixed by means of teeth or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클램핑에 대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고, 아울러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호스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호스용 클램프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탄력적인 이완 및 수축 변형이 가능한 스프링 밴드부의 양 단부를 서로 면접촉 가능하게 절곡되는 제1,2핀치부로 형성하고,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탄성돌출편을 상기 제1핀치부로부터 절개하여 제2핀치부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하고, 상기 제1핀치부를 향하는 걸림부재를 상기 탄성돌출편들의 각 단부에서 절곡 형성하고, 네크부와 걸림선단부를 제2핀치부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라이버와 같은 특별하지 않은 공구에 의해서도 고정수단의 록킹 상태를 쉽게 해제시킬 수가 있게 되며, 스프링 밴드부를 비틀림력이 아닌 스프링 밴드부에 대한 어느 한 외접선 방향으로 작은 힘을 작용시켜서 고정수단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므로 그 만큼 클램핑 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호스, 파이프, 클램프, 탄성, 걸림부재

Description

호스용 클램프{Clamp for hose}
도 1은 종래 “클램프”의 일면 사시도,
도 2는 종래 “클램프”의 타면 사시도,
도 3은 종래 “클램프”의 고정수단에 대한 록킹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종래 “클램프”의 고정수단에 대한 록킹 해제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종래 “클램프”의 고정수단에 대한 록킹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적인 일면도,
도 6은 종래 “클램프”의 고정수단에 대한 록킹 해제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적인 일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호스용 클램프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에 대한 록킹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클램프의 일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에 대한 록킹 해제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클램프의 일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 - A 선 단면도,
삭제
삭제
삭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스프링 밴드부 4 : 제1핀치부
6 : 안내그루브 8 : 제2핀치부
10a, 12a : 탄성돌출편 14a, 16a : 걸림부재
18a : 네크부 19a, 19b : 걸림선단부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호스를 파이프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클램핑시키기 위한 호스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에 중첩된 부위의 호스 둘레에서 수축됨으로써 해당 부위의 호스를 조여 파이프와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호스용 클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용 클램프는 파이프와 호스를 연결 상태로 고정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링 형상의 스프링 밴드부와 이의 양단으로 형성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호스용 클램프는 별도의 공구에 의해 그 스프링 밴드부가 호스의 직경 이상으로 벌어질 수 있고, 고정수단의 작용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스프링 밴드부의 벌어진 상태를 고정 유지시킬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고정수단의 작용 상태를 해제시켜 스프링 밴드부로 하여금 수축되게 함으로써 파이프에 중첩된 부위의 호스를 단단하게 조일 수 있으며, 이로써, 호스는 파이프에 연결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호스용 클램프에 대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에 등록번호 10-0391196호로 개시된 발명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는 이완변형 및 수축변형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밴드부를 갖춘 형태의 것으로서, 첨부도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클램프”의 일면 사시도, 도 2는 종래 “클램프”의 타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종래 “클램프”의 록킹 작용 및 록킹 해제작용 상태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 5와 도 6은 종래 “클램프”의 록킹 작용 및 록킹 해제작용 상태에 대한 일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클램프”는 그 자체를 파이프와 호스 중첩 부위의 단부 둘레에 배치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이완 위치와, 호스 단부와 이에 부분 중 첩된 파이프에 대해 호스를 단단하게 죄기 위한 클램핑 위치 등으로의 탄력적인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로서의 스프링 밴드부(101)를 갖춘 형태의 것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스프링 밴드부(101)의 양 단부에는 서로 상응하여 작용되는 고정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상기 스프링 밴드부(101)의 일 단부를 보다 넓은 핀치 (102)로 형성하고, 이에 안내그루브(108)를 갖추어서 이와 같은 일 단부보다 좁은 핀치(103)로 형성된 타 단부의 부분적인 중첩이 가능한 구조로 된 것이다.
또, 상기 스프링 밴드부(101)의 양 단부는 서로 면접촉 가능한 상태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그루브(108) 구간내의 위치로 스토퍼 벽(105)이 조성되고 이에 상응하는 스토퍼 절개단(107)이 절개 및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스프링 밴드부(101)는 그 자신의 탄성적인 복원력이 잠재된 상태하에서 이완 위치에 일시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고정수단의 록킹 작용 해제에 따라 클램핑 위치로 복원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밴드부(101)의 제1,2핀치 (102)(103)를 근접시킨 상태에서 제1,2핀치(102)(103)를 폭방향으로 밀어 이격시켜서 그 스토퍼 절개단(107)과 스토퍼 벽(105)의 걸림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며, 이에 따라 스프링 밴드부(101)를 벌어진 이완 위치(loosened position)에서 일시 고정시키게 된다.
또,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공구(P)를 이용하여 스프링 밴드부(101)의 양 단부를 스토퍼 벽(105)과 스토퍼 절개단(107)의 이격 방향으로 변 형시켜서 스토퍼 벽(105)과 스토퍼 절개단(107)의 걸림 작용을 해제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 밴드부(101)가 잠재되었던 그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클램핑 위치(clamping position)에 있게 된다.
이로써, 스프링 밴드부(101)는 파이프에 중첩된 부분의 호스를 압박하여 단단히 조여서 호스와 파이프의 연결 고정상태를 지속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클램프”는 스프링 밴드부(101)의 탄성력을 이길 큰 힘을 발휘할만한 별도의 특별한 공구에 의해서만 고정수단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가 있으므로, 별도의 특별한 공구없이는 호스와 파이프의 연결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스프링 밴드부에 비틀림력을 작용시켜야만 고정수단의 록킹 해제작용이 이루어지는데, 비틀림력은 다른 작용력에 비해서 대개 큰 힘으로 작용되어야만 목적하는 바를 이룰 수가 있으므로, 결국 고정수단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큰 작용력을 요하며, 따라서 공구 규모도 커지게 되어 취급이 어렵고 아울러 생산성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버와 같은 특별하지 않은 간단하고 주변에서 쉽게 취할 수 있는 공구에 의해서도 고정수단의 록킹 상태를 쉽게 해제시킬 수가 있게 하여 장착 기능을 향상시킨 호스용 클램프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 스프링 밴드부에 대한 어느 한 외접선 방향으로 작은 힘을 작용시켜 고정수단의 록킹 해제 작용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호스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 양단부가 서로 겹쳐진 고리 모양으로 감겨 탄력적인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의 스프링 밴드부를 구성하고, 이 스프링 밴드부의 일 단부를 안내그루브가 갖추어진 제1핀치부로 형성하고, 이 스프링 밴드부의 타 단부를 상기 안내그루브 내에 배치되는 폭이 좁은 제2핀치부로 형성하고, 이러한 제1핀치부와 제2핀치부 각 단부에 서로 상응하여 작용되는 고정수단을 구성하여 된 호스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수단이 상기 스프링 밴드부의 제1핀치부와 제2핀치부 각 단부를 서로 면접촉 가능하게 절곡 형성하고,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탄성돌출편을 상기 제1핀치부로부터 절개하여 제2핀치부를 향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1핀치부를 향하는 걸림부재를 상기 탄성돌출편들의 각 단부에서 절곡 형성하고, 탄성 작용되는 상기 탄성돌출편들과 걸림부재들 사이로 관통 가능한 네크부와 이 네크부 상측으로 걸림선단부가 제2핀치부에 형성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상기한 걸림부재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탄성돌출편 각각과 그 상면이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한 쌍의 탄성돌출편 각각은 제1핀치부로부터 취약부에 의해 연장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2핀치부의 네크부는 상기 한 쌍의 탄성돌출편 간격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탄성돌출편 최저면에서 최고 단부까지의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호스용 클램프는 스프링 밴드부 그 자체의 탄성적인 복원력이 잠재된 상태하에서 이완 위치에 일시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고정수단의 록킹 작용 해제에 따라 클램핑 위치로 복원되어 있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호스용 클램프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에 대한 록킹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클램프의 일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에 대한 록킹 해제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클램프의 일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 - A 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그 양단부가 서로 겹쳐진 고리 모양으로 감겨 탄력적인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의 스프링 밴드부(2)를 구성하고, 이 스프링 밴드부(2)의 일 단부를 안내그루브(6)가 갖추어진 제1핀치부(4)로 형성하고, 이 스프링 밴드부(2)의 타 단부를 상기 안내그루브(6) 내에 배치되는 폭이 좁은 제2핀치부(8)로 형성하고, 이러한 제1핀치부(4)와 제2핀치부(8) 각 단부에 서로 상응하여 작용되는 고정수단을 구성하여 된 호스용 클램프에 관련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제1,2핀치부(4)(8) 단부를 스프링 밴드부(2)로부터 거의 직교상태로 절곡하여 서로 대면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제1핀치부(4)로부터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탄성돌출편(10a)(12a)을 절개하여 제2핀치부(8)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하여 고정수단을 구성한다.
상기한 한 쌍의 탄성돌출편(10a)(12a) 각각은 제1핀치부(4)로부터 취약부 (20a)(22a)에 의해 연장 형성됨으로써 탄성 변형이 용이하며, 그 만큼 고정수단을 록킹작용 및 록킹 해제작용시키기가 쉬워진다.
또, 상기 탄성돌출편(10a)(12a)들의 각 단부에서 제1핀치부(4)를 향하는 걸림부재(14a)(16a)를 형성하되, 이러한 걸림부재(14a)(16a) 각각과 상기 한 쌍의 탄성돌출편(10a)(12a) 각각의 상면이 이루는 각이 둔각이 되도록 절곡한다.
이로써, 걸림부재(14a)(16a) 및 한 쌍의 탄성돌출편(10a)(12a) 사이로 개재된 제2핀치부(8)의 네크부(18a) 상측 걸림선단부(19a)(19b)가 걸림부재(14a)(16a)의 경사면에 의해 임의로 록킹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즉, 탄성 작용되는 상기 탄성돌출편(10a)(12a)들과 걸림부재(14a)(16a)들 사이로 관통 가능한 네크부(18a)와, 이 네크부(18a) 상측으로 걸림선단부(19a)(19b)가 제2핀치부(8)에 형성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핀치부(8)의 네크부(18a)는 상기 한 쌍의 탄성돌출편 (10a)(12a) 간격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탄성돌출편(10a)(12a) 최저면에서부터 최고 단부에 이르는 높이의 치수보다 큰 치수의 길이로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은 제1,2핀치부(4)(8)는 물론, 한 쌍의 탄성돌출편(10a)(12a)과 걸림부재(14a)(16a)들 그리고, 네크부(18a) 까지도 모두 스프링 밴드부(2)에 일체로 만들어짐으로써, 강재 자체가 갖는 탄성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핀치부(8)가 재1핀치부(4)의 안내그루브(6) 내에서 이동되면서 스프링 밴드부(2) 전체를 이완 또는 수축되게 하고 이로써, 파이프(Pi)에 부분 중첩된 호스(H)를 옥죄어 파이프(Pi)와 호스(H)의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2핀치부(4)(8)의 상호 작용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스프링 밴드부(2) 전체를 이완 또는 수축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제1,2핀치부(4)(8)는 그 상호 작용이 고정수단에 의해 행해지며, 선택적인 어떤 작용 상태에서 지속된다.
즉,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밴드부(2) 양 단부의 제1,2핀치부(4)(8)를 근접시키면서 네크부(18a)의 걸림선단부(19a)(19b)와 탄성돌출편(10a) (12a)의 걸림부재(14a)(16a) 사이에 걸림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며, 이에 따라 스프링 밴드부(2)를 벌어진 이완 위치(loosened position)에서 일시 고정시키게 된다.
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선단부(19a)(19b)와 걸림부재 (14a)(16a)(도 7 참조)의 걸림작용을 해제시켜 주면 스프링 밴드부(2) 전체는 잠재되었던 그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클램핑 위치(clamping position)로 복귀된다.
이때 걸림선단부(19a)(19b)와 걸림부재(14a)(16a)의 걸림 작용 해제는 스프링 밴드부(2)에 대한 어느 한 외접선 방향으로 작은 힘을 작용시켜서 이루어지며, 이에 사용되는 공구는 별도의 특별한 공구가 아닌 드라이버와 같은 주변에서 쉽게 구하여지는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로써, 스프링 밴드부(2)는 파이프(Pi)에 중첩된 부분의 호스(H)를 압박하여 단단히 조여서 호스(H)와 파이프(Pi)의 연결 고정상태를 지속시킬 수가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할 뿐 아니라, 이미 위에서 언급된 것들 이외에도 많은 수정과 변형들이 본 발명의 새롭고 유익한 특징들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호스의 클램핑을 위하여 고정수단의 록킹 상태를 쉽게 해제시킬 수가 있게 되어 장착 기능을 향상시킨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테면 드라이버와 같은 특별하지 않은 공구에 의해서도 고정수단의 록킹 상태를 쉽게 해제시킬 수가 있게 되며, 스프링 밴드부를 비틀림력이 아닌 스프링 밴드부에 대한 어느 한 외접선 방향으로 작은 힘을 작용시켜서 고정수단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므로 그 만큼 클램핑 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로써, 궁극적으로는 호스 클램핑에 대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고, 아울러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그 양단부가 서로 겹쳐진 고리 모양으로 감겨 탄력적인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의 스프링 밴드부를 구성하고, 이 스프링 밴드부의 일 단부를 안내그루브가 갖추어진 제1핀치부로 형성하고, 이 스프링 밴드부의 타 단부를 상기 안내그루브 내에 배치되는 폭이 좁은 제2핀치부로 형성하고, 이러한 제1핀치부와 제2핀치부 각 단부에 서로 상응하여 작용되는 고정수단을 구성하여 된 호스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수단이 상기 스프링 밴드부(2)의 제1핀치부(4)와 제2핀치부(8) 각 단부를 서로 면접촉 가능하게 절곡 형성하고,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탄성돌출편(10a)(12a)을 상기 제1핀치부(4)로부터 절개하여 제2핀치부(8)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하고,
    상기 제1핀치부(4)를 향하는 걸림부재(14a)(16a)를 상기 탄성돌출편(10a) (12a)들의 각 단부에서 절곡 형성하고,
    탄성 작용되는 상기 탄성돌출편(10a)(12a)들과 걸림부재(14a)(16a)들 사이로 관통 가능한 네크부(18a)와 이 네크부(18a) 상측으로 걸림선단부(19a)(19b)를 제2핀치부(8)에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부재(14a)(16a) 각각은 한 쌍의 탄성돌출편 (10a)(12a) 각각과 그 상면들이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 쌍의 탄성돌출편(10a)(12a) 각각은 제1핀치부 (4)로부터 취약부(20a)(22a)에 의해 연장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치부(4)와 각각 걸림부재(14a)(16a)를 갖는 한 쌍의 탄성돌출편(10a)(12a)과 제2핀치부(8)와 네크부(18a)들은 스프링 밴드부(2)에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클램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40052197A 2004-07-06 2004-07-06 호스용 클램프 KR100619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197A KR100619596B1 (ko) 2004-07-06 2004-07-06 호스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197A KR100619596B1 (ko) 2004-07-06 2004-07-06 호스용 클램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188U Division KR200362507Y1 (ko) 2004-07-06 2004-07-06 호스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985A KR20060003985A (ko) 2006-01-12
KR100619596B1 true KR100619596B1 (ko) 2006-09-19

Family

ID=3711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197A KR100619596B1 (ko) 2004-07-06 2004-07-06 호스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508B1 (ko) 2006-07-05 2007-05-07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및 산업용 호스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508B1 (ko) 2006-07-05 2007-05-07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및 산업용 호스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985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8181C1 (ru)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US6473943B1 (en) Hose clamp
US7568855B2 (en) Arrangement for axial securing of grooved bolt
US10316991B2 (en) Wide range edge mounting clamp
WO2011033932A1 (ja) ホースクランプ
KR100619596B1 (ko) 호스용 클램프
JP2010129534A (ja) 電線支持物
KR200362507Y1 (ko) 호스용 클램프
JP5137195B2 (ja) 管継手
MXPA02008790A (es) Dispositivo para unir objetos, tal como fajos de cables.
US20070234678A1 (en) Retainer
US4240184A (en) Pipe and cable clamps
KR101300824B1 (ko) 호스용 클램프
KR100619595B1 (ko) 호스용 클램프
US911840A (en) Hose-coupling.
KR200362506Y1 (ko) 호스용 클램프
KR100715508B1 (ko) 자동차 및 산업용 호스클램프
JP6944346B2 (ja) ホースクランプ
KR200486842Y1 (ko) 견고성이 향상된 체결밴드
KR101689682B1 (ko) 클램프용 락 구조
KR100574803B1 (ko) 호스용 클램프
JP2007255674A (ja) クランプホルダ
WO2019035257A1 (ja) クランプ
JP2009121519A (ja) 配管クランプ
KR20010029119A (ko) 호스 체결용 클램프 및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