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421B1 -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421B1
KR100619421B1 KR1020050001409A KR20050001409A KR100619421B1 KR 100619421 B1 KR100619421 B1 KR 100619421B1 KR 1020050001409 A KR1020050001409 A KR 1020050001409A KR 20050001409 A KR20050001409 A KR 20050001409A KR 100619421 B1 KR100619421 B1 KR 100619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unit
voice coil
coil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821A (ko
Inventor
양성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4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0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2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the DC motors being of the linear type
    • H02P7/025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the DC motors being of the linear type the DC motors being of the moving coil type, e.g. voice coi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 H02P7/05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by means of electronic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 H02P7/2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5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armature supply only
    • H02P7/29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armature supply only using puls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32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 H02P25/034Voice coil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PWM 신호를 이용하여 캐패시터의 충전/방전을 제어하는 차지 펌프(Charge Pump) 및 복수 비트의 디지털 입력신호(DIN)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를 모두 구비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모드에서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보이스 코일 모터(VCM)의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지는 구간에서는 차지 펌프를 이용하여 부드러운 근사 제어(coarse control)를 적용하고,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는 D/A 변환을 이용하여 빠르고 정밀한 제어(fine control)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보이스 코일 모터, VCM, 차지 펌프, D/A 변환, PWM

Description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Apparatus for driving Voice Coil Motor }
도 1은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에 관한 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
도 3은 차지펌프부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
도 4는 차지펌프부를 구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
도 5는 D/A 변환부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11,21: 레벨변환부
12,23: D/A 변환부 13,25: 앰프부
22: 차지펌프부 23-1: 디코더
24: 선택부 22-1,22-4,41,44: 전류원
22-2,42: 제1 스위칭부 22-3,43: 제2 스위칭부
26: 방전용 스위칭부 60: 보이스 코일 모터(VCM)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토 포커스(Auto Focus) 기능을 갖는 카메라에서의 렌즈 위치 제어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를 차지 펌프(Charge Pump) 방식과 D/A 변환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이스 코일 모터(VCM)란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에 흐르는 보이스 전류와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 사이에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한 힘이 발생하여 스피커의 진동판이 앞뒤로 진동하는 것에 착안하여 개발된 모터이다. DC 모터 또는 스테핑 모터가 회전운동을 하는 것에 비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VCM)는 짧은 거리를 직선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정밀 트래킹이나 포커싱에 사용될 수 있다.
보이스 코일 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응용분야의 일 예는 휴대폰 카메라이며, 휴대폰 카메라의 오토 포커스(Auto Focu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렌즈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특정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 때, 렌즈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자면, 종래 보이스 코일 모터(VCM,60)를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10)는 입력신호(DIN)의 레벨을 변환하는 레벨변환부(11,Level Shifter) 입력신호(DIN)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12), 앰프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10)를 휴대폰 카메라에 적용하는 예로서 설명하자면, 오토 포커스를 위한 렌즈의 위치 정보(DIN)는 레벨변환부(11) 로 입력되어 D/A 변환에 적당한 레벨의 신호로 변환되고, D/A 변환부(12)가 입력신호(DIN)의 비트 조합에 따른 아날로그 전압을 출력하면, 앰프부(13)는 이 전압을 이용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60)에 구동 전류를 제공한다.
이 때, D/A 변환부(12)는 출력 전압 변화율이 상당히 크므로 대전류를 흘리는 앰프부(13)의 안정도가 떨어지며, 전류의 급격한 변화는 칩과 배터리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D/A 변환부(12)의 입력단에서부터 급격한 변화를 배제하는 스무싱(smoothing) 기술을 적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D/A 변환부(12)를 사용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60)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보이스 코일 모터(60)를 직접적으로 구동하므로 보다 신속하고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보이스 코일 모터을 구동하는데 있어서 D/A 변환부를 이용할 때의 장점은 그대로 가지면서도 그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보이스 코일 모터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D/A 변환을 이용한 제어와 차지 펌프(Charge Pump)를 이용한 제어를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장점이 나타날 수 있는 구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보이스 코일 모터(VCM)를 구동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는, 일정 크기의 용량을 갖는 캐패시터; 제1 PWM 신호, 제2 PWM 신호, 및 복수 비트의 디지털 신호(DIN)를 입력받아 각각 레벨 변환하는 레벨변환부; 출력단에 상기 캐패시터가 연결되고, 상기 레벨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제1 PWM 신호와 제2 PWM 신호에 따라 상기 캐패시터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지펌프부; 상기 레벨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입력신호 DIN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일정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지펌프부의 출력과 상기 D/A 변환부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VCM)로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앰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PWM 신호와 제2 PWM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는 상기 DIN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선을 통해 상기 레벨변환부로 입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차지펌프부는, 상기 레벨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제1 PWM 신호에 따라 단락 또는 오픈되는 제1 스위칭부; 전원(VDD)과 상기 제1스위칭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를 통해 일정 크기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제1전류원;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레벨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제2 PWM 신호에 따라 단락 또는 오픈되는 제2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접지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제2전류원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전류원과 제2전류원은 일정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의 양이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D/A 변환부는 상기 DIN 신호를 입력받아 디코딩하는 디코더부; 일정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양 단자 사이에 직렬 형성되는 복수개의 저항; 및 상기 각 저항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디코더부의 각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해당 저항과 출력단 사이를 온/오프시키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는 상기 캐패시터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용 스위치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벨변환부, 차지펌프부, D/A 변환부, 선택부, 및 앰프부는 단일 집적회로(IC) 칩에 집적되고,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칩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20)는 캐패시터 C, 레벨변환부(21), 차지펌프부(22), D/A 변환부(23), 선택부(24) 및 앰프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 입력신호(제1 PWM 신호, 제2 PWM 신호, DIN 신호 등)에 따라 보이스 코일 모터(60)를 구동한다.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20)를 일정 칩 내에 집적하는 경우, 캐패시터 C는 칩의 외부에 배치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구성요소인 레벨변환부(21), 차지펌프부(22), D/A 변환부(23), 선택부(24), 및 앰프부(25)는 칩 내에 집적할 수 있다.
레벨변환부(21)는 차지펌프부(22)로 입력될 제1 PWM 신호와 제2 PWM 신호 및 D/A 변환부(23)로 입력될 입력신호 DIN의 레벨을 각각 차지펌프부(22)와 D/A 변환부(23)에서 사용하는 전압값에 맞도록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1 PWM 신호와 제2 PWM 신호는 펄스 폭 변조(PWM: Pulth Width Modulation) 신호이며, 제1 PWM 신호와 제 2 PWM 신호는 액티브되는 구간이 동시에 중첩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 때, 제1 PWM 신호와 제2 PWM 신호는 DIN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선 중 어느 신호선을 통해 레벨변환부(21)로 입력될 수도 있다. 이것은 D/A 변환부(23)가 사용되는 구간과 차지펌프부(22)가 사용되는 구간이 서로 구분되기 때문에 가능하며, 입력 핀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캐패시터 C는 차지펌프부(2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차지펌프부(22)의 출력단 전압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차지펌프부(22)는 레벨변환부(21)에서 레벨 변환된 제1 PWM 신호(up)와 제2 PWM 신호(down)에 따라 캐패시터 C에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로서, 제1 PWM 신호가 하이(High) 상태일 경우에는 캐패시터 C를 충전하고, 제2 PWM 신호가 하이 상태일 경우에는 캐패시터 C를 방전한다. 이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PWM 신호와 제2 PWM 신호는 액티브 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제어되므로, 제1 PWM 신호가 하이 상태일 경우에는 제2 PWM 신호는 로우 상태가 되고, 제2 PWM 신호가 하이 상태일 경우에는 제1 PWM 신호가 로우 상태이다.
D/A 변환부(23)는 레벨변환부(21)에서 레벨 변환된 DIN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선택부(24)는 외부에서 인입되는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차지펌프부(22)의 출력과 D/A 변환부(23)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2 by 1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앰프부(25)는 선택부(24)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60)로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즉, 차지펌프부(22)의 전류 구동력이 충분하지 않아 보이스 코일 모터(60)를 직접 구동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100mA 이상의 전류를 보이스 코일 모터(60)로 흘려주기 위하여 모터 구동단과 입력단이 분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앰프부(25)는 차지펌프부(22)의 출력단 전압을 버퍼링하고, 이 전압과 보이스 코일 모터(60)의 부하(load) 값에 따른 전류가 보이스 코일 모터(60)에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차지펌프부(22)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스위칭부(22-2)는 레벨변환부(21)에서 레벨 변환된 제1 PWM 신호(up)에 따라 단락 또는 오픈 상태로 되는 구성요소이고, 제1 스위칭부(22-2)의 일단과 전원(VDD)의 사이에는 제1 스위칭부(22-2)를 통해 일정 크기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제1전류원(22-1)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스위칭부(22-3)는 제1 스위칭부(22-2)와 직렬 연결되고, 레벨변환부(21)에서 레벨 변환된 제2 PWM 신호(down)에 따라 단락 또는 오픈 상태로 된다. 제2 스위칭부(22-3)와 접지 사이에는 제2 스위칭부(22-3)를 통해 일정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제2전류원(22-4)이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up 신호에 의해 제1 스위칭부(22-2)가 온 상태로 되고, down 신호에 의해 제2 스위칭부(22-3)가 오프 상태로 되면, 제1전류원(22-1)에서 공급하는 전류가 제1 스위칭부(22-2)를 통해 캐패시터 C로 공급되어 캐패시터 C에 충전이 이루어지고, 차지펌프부(22)의 출력단 전압은 상승한다.
그러나, up 신호에 의해 제1 스위칭부(22-2)가 오프 상태로 되고, down 신호에 의해 제2 스위칭부(22-3)가 온 상태로 되면, 제1전류원(22-1)에서 공급하는 전류는 제1 스위칭부(22-2)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캐패시터 C에 충전된 전하는 제2 스위칭부(22-4)를 통해 방전되고, 차지펌프부(22)의 출력단 전압은 하강한다.
위에서 설명한 제1 스위칭부(22-2)와 제2 스위칭부(22-3)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up 신호는 제1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에 입력되고, down 신호는 제2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트랜지스터는 게이트단 입력신호에 따라 온/오프 된다.
한편,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20)의 동작 초기에는 캐패시터 C에 원하지 않는 초기 전하(Charge)가 쌓여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하나의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지펌프부(22)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방전용 스위치부(26)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 방전용 스위치부(26)를 온시켜서 캐패시터 C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Charge)를 방전시킬 수 있으므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지펌프부(22)의 출력에 대한 최대 변화율은 제1 PWM 신호와 제2 PWM 신호의 듀레이션(duration)이 최대로 변하더라도 앰프부(25)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차지펌프부(22)의 전류와 캐패시터 C의 값을 이용하여 차지펌프부 출력의 최대 변화율을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0814372-pat00001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20)를 휴대폰 카메라의 렌즈를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미지 센서가 1 프레임(frame)의 데이터를 읽기 위해서는 수 ms에서 수십 ms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완만한 변화율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차지펌프부(22) 출력을 완만한 변화율을 가지도록 조절하면 앰프부(25)의 동작에 무리를 주지 않으므로, 별도의 스무싱(smoothing)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외부 캐패시터 C는 보드 위에 한번 장착되면 그 값을 바꾸기 어려우므로 일정 제어용 핀을 이용하여 차지펌프부(22)의 전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자면, 각 전류원(41,44)은 전류 제어용 신호(control)에 따라 전류량을 변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 하나의 예는 FET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류 제어용 신호(control)는 FET의 게이트단에 입력되어 FET의 드레인(Drain)과 소스(source)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공정 변화나 각종 응용분야에 따라 차지펌프부(40)의 출력단 전압의 변화율을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뿐만아니라 차지펌프부(40)의 전류와 캐패시턴스 값을 이용하여 출력단 전압의 변화율을 조절하면 대전류를 흘리는 앰프부(25)를 부드럽게 구동할 수 있으며, 앰프부(25)에서 순간적으로 소비되는 다이렉트 전류(direct current)의 양이 적어지므로 시스템의 안정도가 유지되고 전력 소비도 줄어든다.
도 5를 참조하여 R-string 방식으로 D/A 변환부(23)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디코더(23-1)는 n 비트의 DIN 신호를 입력받아 2n비트로 디코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일정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양 단자(VRP,VRN) 사이에는 복수개의 저항(R1~Rk)이 직렬 형성되고, 각 저항마다 그에 대응하는 스위치(SW1~SW k)가 연결된다. 그리고, 각 스위치(SW1~SWk)의 타 일단은 출력 노드에 공통 연결된다.
이 때, 각 스위치(SW1~SWk)는 디코더(23-1)의 각 출력신호를 제어신호로서 입력받고, 자신과 대응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된다. 즉, DIN 값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스위치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D/A 변환부(23)의 출력단자로 흘러 나오는 전류의 양이 결정된다.
이러한 R-string 방식의 D/A 변환은 공정 변화에 강하고 저전력 소비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디코더와 스위치에서의 지연만이 존재하므로 응답 속도가 빨라 신속하고 정밀한 렌즈 조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는 차지 펌프(Charge Pump) 방식과 D/A 변환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VCM)를 구동한다.
D/A 변환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직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입력에 대한 출력의 반응이 급격히 이루어지므로 대전류를 구동하는 앰프부의 입력으로 쓰기에는 무리가 있다. 반면에 차지 펌프(Charge Pump)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하 축적 방식을 이용하므로 최대 변이의 입력이 들어오더라도 출력 전압의 변화율을 완만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서 휴대용 카메라의 오토 포커스(Auto Focus) 알고리즘을 살펴보면, 초점 조절의 초기 단계에서는 렌즈의 변화폭이 크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미세한 움직임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배터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나 카메라를 생각한다면 오토 포커스 동작 시에 발생하는 급격한 전류 소모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런 점들을 고려할 때, 초점 조절의 초기 단계에서는 전류 변화율이 작은 차지 펌프를 이용하고 마지막 단계의 미세 조정은 D/A 변환을 이용하는 방법이 적당하다. 즉, 렌즈 위치의 변화 폭이 큰 초기 단계에는 차지 펌프(Charge Pump)를 이용한 근사 제어(coarse control)를 적용하고, 어느 정도 초점이 맞은 후에는 D/A 변환을 이용한 정밀 제어(fine control)를 적용한다.
이로써 초기 단계의 급격한 렌즈 위치의 변화에 대해서는 앰프 전류의 변화율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반응속도가 느린 차지 펌프(Charge Pump) 대신 D/A 변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빠른 초점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면 앰프 동작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칩의 관점에서는 전체적인 구동 전류의 변화가 급격하지 않아 시스템 안정도가 유지되고 전력 소비도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지 펌프(Charge Pump)와 D/A 변환 방식의 장점을 모두 사용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VCM)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회로의 성능과 동작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메인 칩에 원 칩(one-chip)화 하여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차지 펌프(Charge Pump)는 렌즈 위치의 급격한 변화를 완만한 전압 변화로 바꾸어 앰프에 전달하므로 대전류 구동시 급격한 피크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높은 신뢰도와 저전력 소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D/A 변환 방식을 사용하여 신속한 미세 조정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휴대폰 단말기나 휴대용 카메라 분야에 적용하면, 최적의 초점 조절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저전력 소비 특성과 함께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여 전체 회로와 배터리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Claims (7)

  1. 일정 크기의 용량을 갖는 캐패시터;
    제1 PWM 신호, 제2 PWM 신호, 및 복수 비트의 디지털 신호(DIN)를 입력받아 각각 레벨 변환하는 레벨변환부;
    출력단에 상기 캐패시터가 연결되고, 상기 레벨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제1 PWM 신호와 제2 PWM 신호에 따라 상기 캐패시터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지펌프부;
    상기 레벨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입력신호 DIN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일정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지펌프부의 출력과 상기 D/A 변환부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로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앰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WM 신호와 제2 PWM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는 상기 DIN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선을 통해 상기 레벨변환부로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펌프부는
    상기 레벨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제1 PWM 신호에 따라 단락 또는 오픈되는 제1 스위칭부;
    전원(VDD)과 상기 제1스위칭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를 통해 일정 크기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제1전류원;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레벨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제2 PWM 신호에 따라 단락 또는 오픈되는 제2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접지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제2전류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원과 제2전류원은 일정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의 양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A 변환부는
    상기 DIN 신호를 입력받아 디코딩하는 디코더부;
    일정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양 단자 사이에 직렬 형성되는 복수개의 저항; 및
    상기 각 저항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디코더부의 각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해당 저항과 출력단 사이를 온/오프시키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용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변환부, 차지펌프부, D/A 변환부, 선택부, 및 앰프부는 단일 집적회로(IC) 칩에 집적되고,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칩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KR1020050001409A 2005-01-06 2005-01-06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KR100619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409A KR100619421B1 (ko) 2005-01-06 2005-01-06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409A KR100619421B1 (ko) 2005-01-06 2005-01-06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821A KR20060080821A (ko) 2006-07-11
KR100619421B1 true KR100619421B1 (ko) 2006-09-11

Family

ID=3717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409A KR100619421B1 (ko) 2005-01-06 2005-01-06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263B1 (ko) * 2012-04-23 2014-02-06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및 그 오류 검출방법
CN107949983B (zh) 2016-06-30 2020-09-08 动运科学技术有限公司 音圈电动机驱动控制装置及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707A (ja) * 1992-04-20 1994-02-18 Nec Corp デジタルサーボ制御回路の補正方法
KR950000520Y1 (ko) * 1994-07-28 1995-01-28 대우전자 주식회사 정보처리시스템의 보이스 코일형 모터의 구동회로
US5543697A (en) 1994-10-27 1996-08-06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 motor
US5572099A (en) 1994-09-30 1996-11-05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Motor speed control with current limit
US5977898A (en) 1997-12-22 1999-11-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coding scheme for a dual resistor string DAC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707A (ja) * 1992-04-20 1994-02-18 Nec Corp デジタルサーボ制御回路の補正方法
KR950000520Y1 (ko) * 1994-07-28 1995-01-28 대우전자 주식회사 정보처리시스템의 보이스 코일형 모터의 구동회로
US5572099A (en) 1994-09-30 1996-11-05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Motor speed control with current limit
US5543697A (en) 1994-10-27 1996-08-06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 motor
US5977898A (en) 1997-12-22 1999-11-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coding scheme for a dual resistor string DA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821A (ko) 200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1093B2 (ja) 電源回路、チャージポンプ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機器
US7113412B2 (en) Drive circuit and power supply apparatus
JP4206105B2 (ja) ピエゾアクチュエーター駆動回路
US8004338B2 (en) Pulse generator
US7402988B2 (en) Switching regulator
US7999604B2 (en) Boost circuit capable of controlling inrush current and image sensor using the boost circuit
US20060093153A1 (en) Speaker driving device and audio output system
JP200707479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820811B1 (ko)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렌즈 구동 장치
JPWO2006085632A1 (ja) 電源回路、及び携帯機器
KR100619421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KR20070064618A (ko) 전압 변환기와 그 동작 방법, 전력 관리 유닛 및 모바일디바이스
JP2018207276A (ja) ゲート駆動回路
US7288913B2 (en) Drive wave generation circuit
US20080106307A1 (en) Voice coil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electric current
US20060170485A1 (en) Integrated charge pump
US7218538B2 (en) Power source device
US8212503B2 (en) Driving circuit for voice coil motor and method thereof
KR20060080820A (ko)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
JP2005523678A (ja) 入力電圧を出力電圧に変換する電圧変換器及び電圧変換器を有する駆動回路。
JP5239971B2 (ja) タイミング制御回路及びタイミング制御回路を備えた電源回路
KR100872067B1 (ko) 전원 회로
CN117691898B (zh) 马达系统、倍压电路、马达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2007236079A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移動通信端末、通信装置
JP5029337B2 (ja) 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