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312B1 - 회선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VoIP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회선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VoIP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312B1
KR100619312B1 KR1020040007074A KR20040007074A KR100619312B1 KR 100619312 B1 KR100619312 B1 KR 100619312B1 KR 1020040007074 A KR1020040007074 A KR 1020040007074A KR 20040007074 A KR20040007074 A KR 20040007074A KR 100619312 B1 KR100619312 B1 KR 100619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tone
network
public telephone
data communication
vo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010A (ko
Inventor
김종구
고경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데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데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데이콤
Priority to KR102004000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312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선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 VoIP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중전화망의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과 구별되는 다이얼 톤을 생성하는 다이얼 톤 생성부, 및 공중전화망에 접속한 경우에는 다이얼 톤 생성부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을 차단하여 공중전화망의 교환기에서 수신되는 다이얼 톤이 제공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 데이터통신망에 접속한 경우에는 다이얼 톤 생성부에서 생성한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 다이얼 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통신망의 장애 상태를 감지하는 장애감지부, 및 장애감지부에서 장애 상태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공중전화망에 접속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VoIP 전화 가입자에게 각각의 개별적인 발신 호에 대해 VoIP 기반 전화 서비스인지 또는 PSTN 기반 전화 서비스인지를 손쉽게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직접 망을 선택하는 경우뿐 아니라 망이 자동 선택되는 경우에도 자신이 현재 사용하는 망이 어떤 것인지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VoIP, PSTN, 교환기, 데이터통신망, 다이얼 톤

Description

회선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 VoIP 단말 장치{ VoIP Terminal having the fuction of changing dial tones according to the selected network }
도 1은 VoIP 단말 장치의 망 연결에 관한 개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단말 장치의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다이얼 톤이 제공되는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VoIP 단말 장치 10-1: 다이얼 톤 생성부
10-2: 다이얼 톤 제어부 10-3: 장애감지부
10-4: 스위칭부 11: 전화기
11-1: 수화기 12: 데이터망 접속장비
13: 데이터통신망 14: 공중전화망(PSTN)
본 발명은 VoIP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데이터통신망(IP Network)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VoIP 단말 장치에서 현재 선택된 회선에 따라 서로 다른 다이얼 톤(Dial Tone)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널리 서비스되고 있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은 인터넷망을 통해 음성신호를 실어나르는 기술로서, 기존 회선교환 방식의 일반전화와 달리 인터넷의 근간인 데이터통신망(Internet Protocol Network)을 통해 음성을 패킷 형태로 전송한다.
VoIP는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되어 온 인터넷 또는 데이터통신망에 음성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기술과 관련한 솔루션을 지칭하는 말로 대표적인 예가 인터넷 전화(Internet Phone)이다. 인터넷 전화는 음성과 데이터를 하나의 망으로 전송함으로써 망 효율을 높일수 있고, 인터넷과 연계된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외/국제전화 등 원거리 통화시 요금이 싼 장점을 갖고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전화통화를 위해 수화기를 들면 수화기를 통해 다이얼 톤(Dial Tone)을 듣게 된다. 즉, 다이얼 톤은 사용자가 전화기를 들었을 때 듣게 되는 소리로서, 종래의 공중전화망(PSTN)에 기반을 둔 전화의 다이얼 톤은 교환기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VoIP에 기반을 둔 전화의 다이얼 톤은 VoIP 단말 장치에 내장된 다이얼 톤이다.
그러나, 공중전화망(PSTN)과도 접속할 수 있는 VoIP 기반 전화 서비스에서는 발신전화의 다이얼 톤에 대한 별도 규정이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사용하는 전화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공중전화망(PSTN)과 데이터통신망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VoIP 단말 장치에서 현재 선택된 망에 따라 서로 다른 다이얼 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VoIP 단말 장치는, 상기 공중전화망의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과 구별되는 다이얼 톤을 생성하는 다이얼 톤 생성부; 및 상기 공중전화망에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다이얼 톤 생성부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을 차단하여 상기 공중전화망의 교환기에서 수신되는 다이얼 톤이 제공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통신망에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다이얼 톤 생성부에서 생성한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 다이얼 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통신망의 상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 데이터통신망의 장애 상태를 감지하는 장애감지부; 및 상기 장애감지부에서 장애 상태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상기 공중전화망에 접속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공중전화망(14:PSTN)과 데이터통신망(13)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VoIP 단말 장치(10)는 데이터통신망과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계장치인 데이터망 접속장비(12)나 일반 전화기(11) 등과 연동한다. 이 때, 일반 전화기(11)는 VoIP 단말 장치(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VoIP 단말 장치(10)는 공중전화망의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과 구별되는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 기능, 데이터통신망의 장애감지, 현재 접속할 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VoIP 단말 장치(10)는 공중전화망(14)의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과 구별되는 다이얼 톤을 생성하는 다이얼 톤 생성부(10-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듣게 되는 디폴트 다이얼 톤은 다이얼 톤 생성부(10-1)에서 생성하는 다이얼 톤이다.
다이얼 톤 제어부(10-2)는 VoIP 단말 장치(10)가 공중전화망(14)에 접속하는지 혹은 데이터통신망(13)에 접속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다이얼 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즉, 다이얼 톤 제어부(10-2)는 공중전화망(14)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다이얼 톤 생성부(10-1)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을 차단한다. 그러면, 공중전화망(14)의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이 수화기(11-1)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통신망(13)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다이얼 톤 생성부(10-1)에서 생성된 다이얼 톤을 수화기(11-1)로 제공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만 도시되어 있다. 즉, 도시되지 않았으나 공중전화망(14)을 통해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성부분 및 데이터통신망(13)을 통해 VoIP 기반의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성부분은 당연히 VoIP 단말 장치(10)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부분은 종래의 구성과 다를 바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데이터통신망(13)은 망의 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VoIP 단말 장치(10)는 데이터통신망(13)의 장애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데이터통신망(13)의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공중전화망(14)을 통해 통화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망의 상태에 관계없이 일정한 통화품질을 제공하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한 실시가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VoIP 단말 장치(10)는 데이터통신망(13)의 장애 상태를 감지하는 장애감지부(10-3), 및 장애감지부(10-3)에서 장애 상태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공중전화망(14)에 접속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0-4)를 포함한다. 즉, 데이터통신망(13)의 상태가 불량하여 공중전화망(14)으로 자동 스위칭된 경우에는 현재 접속중인 망이 공중전화망(14)이 된다. 이에 따라 다이얼 톤 제어부(10-2)는 다이얼 톤 생성부(10-1)에서 생성한 다이얼 톤을 차단하므로, 사용자는 공중전화망(14)의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을 듣게 된다. 즉, 사용자는 VoIP 단말 장치(10)가 자신의 선택 여부와 관계없이 현재 공중전화망(14)에 연결되었음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 나타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VoIP 단말 장치(10)에서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VoIP 단말 장치에서 생성하는 다이얼 톤을 들려준다. 그리고,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착신번호를 분석하여 데이터통신망(13)으로 진행할 통화인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하지만, 공중전화망(14)으로 진행하는 통화인 경우에는 일정 시간동안 공중전화망(14)의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다이얼 톤을 듣게 한다. 그러면, VoIP 전화 가입자는 현재 자신이 공중전화망(14)을 통해 전화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다이얼 톤이 제공되는 경로의 개요를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통신망(13)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S31), 자동적으로 공중전화망(14)으로 스위칭되고(S32), 사용자는 공중전화망(14)의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을 듣게 된다(S33).
데이터통신망(13)이 정상이고 현재 공중전화망(14)으로 접속한 경우(S34)에도, 사용자는 공중전화망(14)의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을 듣게 된다(S35). 그러나, 데이터통신망(13)이 정상인 상태에서 데이터통신망(13)으로 접속한 경우에는(S36), VoIP 단말 장치(10) 자체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을 듣게 된다(S37).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VoIP 전화 가입자에게 각각의 개별적인 발신 호에 대해 VoIP 기반 전화 서비스인지 또는 PSTN 기반 전화 서비스인지를 손쉽게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직접 망을 선택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자동적으로 망이 선택되는 경우에도 자신이 현재 사용하는 망이 어떤 것인지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공중전화망(PSTN)과 데이터통신망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VoIP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망의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과 구별되는 다이얼 톤을 생성하는 다이얼 톤 생성부;
    상기 데이터통신망의 장애 상태를 감지하는 장애감지부;
    상기 장애감지부에서 장애 상태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상기 공중전화망에 접속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공중전화망에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다이얼 톤 생성부에서 제공하는 다이얼 톤을 차단하여 상기 공중전화망의 교환기에서 수신되는 다이얼 톤이 제공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통신망에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다이얼 톤 생성부에서 생성한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 다이얼 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 장치.
  2. 삭제
KR1020040007074A 2004-02-03 2004-02-03 회선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VoIP 단말 장치 KR10061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074A KR100619312B1 (ko) 2004-02-03 2004-02-03 회선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VoIP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074A KR100619312B1 (ko) 2004-02-03 2004-02-03 회선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VoIP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010A KR20050079010A (ko) 2005-08-09
KR100619312B1 true KR100619312B1 (ko) 2006-09-12

Family

ID=3726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074A KR100619312B1 (ko) 2004-02-03 2004-02-03 회선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VoIP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3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749A (ko) * 1998-08-12 2000-03-06 서평원 무선가입자망시스템의호제어방법및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749A (ko) * 1998-08-12 2000-03-06 서평원 무선가입자망시스템의호제어방법및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010A (ko) 2005-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6829B2 (ja) コンピュータ・テレフォニー・インテグレーションアダプタ
US7054417B2 (en) Advanced call screening appliance
US7512114B2 (en) POTS/broadband voice cross-connect system
US20040208167A1 (en) Internet telephone apparatus and internet telephone system
US71270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analog voice service and derived POTS voice service in a digital subscriber line environment
JP3873048B2 (ja) リングバックトーン伝送方法、端末機、リングバックトーン生成方法、およびリングバックトーン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0501523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oice communications between a telephone, a circuit switching network and/or a packet switching network
US20050073995A1 (en) Voice-over-internet protocol device
US20080084991A1 (en) Automatic switch-dialing system and method
KR100552521B1 (ko) 브이 오 아이피 시스템에서의 음성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그 장치
JP2000022814A (ja) 通話システム
JPH05276555A (ja) 電話制御装置および電話交換装置
KR20040005090A (ko) 복합 음성 서비스 단말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100619312B1 (ko) 회선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다이얼 톤을 제공하는VoIP 단말 장치
CN1980283B (zh) 使用ms放音的宽窄带网络合一的彩铃实现方法及系统
KR20000037675A (ko) 인터넷폰 스플리터
US8121272B2 (en) Adapter for switching a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es and method
KR100608625B1 (ko) 인터넷폰의 통화 그룹에 의한 선택적 통화 방법
KR100574863B1 (ko) VoIP 기반의 PRI 컨버터 기능 구현 방법
KR100448026B1 (ko) 착발신 선로 선택 장치 및 방법
US20100027764A1 (en)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redialing phone calls
JP4027554B2 (ja) ディジタル構内交換装置
KR20030043537A (ko) 공중전화망(pstn망)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전화장치 및 그 방법
CN101594441B (zh) 基于cpe设备的区分振铃音的方法及装置
KR200362267Y1 (ko) 에이알에스장치와 에이씨에스장치가 통합된 목적번호접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