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056B1 - 3차원 영상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056B1
KR100619056B1 KR1020040094261A KR20040094261A KR100619056B1 KR 100619056 B1 KR100619056 B1 KR 100619056B1 KR 1020040094261 A KR1020040094261 A KR 1020040094261A KR 20040094261 A KR20040094261 A KR 20040094261A KR 100619056 B1 KR100619056 B1 KR 100619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tector
screen
unit
vi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973A (ko
Inventor
김태희
김성식
박준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056B1/ko
Publication of KR2006005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40Analysis of texture
    • G06T7/41Analysis of texture based on statistical description of texture
    • G06T7/44Analysis of texture based on statistical description of texture using image operators, e.g. filters, edge density metrics or local hist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93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stereo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3D im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8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image proces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24Filte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3차원 디스플레이에 의해 재생된 3차원 영상의 화질을 실시간을 평가할 수 있도록 된 3차원 영상 분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3차원 영상 분석장치는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이 결상되는 스크린과;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으로부터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스크린과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을 필터링하고 검출기에 전달하는 광학유니트와; 스크린, 검출기 및 광학유니트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와;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입력부와; 입력부에 저장된 신호로부터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영상 분석장치{Apparatus for analysing three dimensional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a 내지 도 2c 각각은 3차원 테스트 패턴을 보인 도면.
도 3은 2시점 3차원 디스플레이의 동작 원리를 보인 개략도.
도 4a는 좌안신호와 우안신호가 모두 입력된 경우 관측된 맺히는 영상을 보인 도면.
도 4b는 좌안신호만 입력된 경우 관측된 영상을 보인 도면.
도 4c는 우안신호만 입력된 경우 관측된 영상을 보인 도면.
도 5a 내지 도 5c 각각은 시청 거리 변화에 따른 좌안 영상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6a 및 도 6b는 이상적인 경우와 실제의 경우 각각에 대한 시청 자유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스크린에 결상된 좌안 영상의 수평 방향 강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시청 각도 및 시청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9a 내지 도 9c 각각은 시청 거리 변화에 따라 스크린에서 관측된 좌안 영상의 시청 자유도 분포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10...디스플레이 20, 220...검출부
21...스크린 23, 223...V(λ)필터
24...이미징 렌즈 25, 221...광학유니트
30, 230...검출기 40, 240...조정유니트
50, 250...입력부 60, 260...분석부
225...컷-오프 렌즈 227...어퍼쳐 스톱
229...릴레이 렌즈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3차원 디스플레이에 의해 재생된 3차원 영상의 화질을 실시간을 평가할 수 있도록 된 3차원 영상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영상 방송의 실용화에 부응하여 3차원 영상 방송과 3차원 디스플레이 표준 규격들이 활발하게 제안되고 있다.
동일한 해상도의 영상을 시청함에 있어서, 시청자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할 때 2차원 영상을 시청할 때에 비하여 시각적 화질 저하를 크게 느낀다. 이는 3차원 영 상의 제공시 수평시차와 수직시차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바, 기본적으로 시청자가 느끼는 화질은 2차원 영상에 비하여 1/2 또는 1/4에 불과하다.
따라서, 3차원 영상 방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3차원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화질 평가 장치 및 방법의 표준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육안에 가까운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3차원 영상 분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는,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이 결상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으로부터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스크린과 상기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을 필터링하고, 상기 검출기에 전달하는 광학유니트와; 상기 스크린, 상기 검출기, 상기 광학유니트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와; 상기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저장된 신호로부터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으로부터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와 상기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시청 평면에 결상된 영상을 필터링 및 블록킹하여 상기 검 출기에 전달하는 광학유니트와; 상기 검출기 및 상기 광학유니트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와; 상기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저장된 신호로부터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는 3차원 디스플레이(10)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 영상을 검출하는 검출부(20)와, 상기 검출부(20)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40)와, 상기 검출부(20)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1차적으로 가공하는 입력부(50) 및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10)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이 결상되는 스크린(21)과, 광학유니트(25)와, 3차원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3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0)는 스크린(21) 또는 자유공간 상에 결상되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수행시 3차원 테스트 패턴 영상을 제공한다. 이 3차원 테스트 패턴은 3D 디스플레이의 포맷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도 2a 내지 도 2c 각각은 3차원 테스트 패턴을 보인 도면이다.
도 2a는 1차 시점용 신호와 2차 시점용 신호가 가로로 배열된 2시점 가로×가로 3D 디스플레이 포맷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1차 시점용 신호와 2차시점용 신호가 세로로 배열된 2시점 세로×세로 3D 디스플레이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그 리고, 도 2c는 적, 녹, 청색용 서브 픽셀이 순차로 배열된 8시점 경사 배리어 3D 디스플레이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1차 시점에 해당하는 영상만을 재생하는 테스트 패턴을 위해서는 1차 시점에 해당하는 가로, 세로 또는 서브 픽셀에만 신호를 입력하면 된다.
상기 스크린(21)은 상기 디스플레이(10)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이 결상되는 면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10)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광학유니트(25)는 상기 스크린(21)과 상기 검출기(3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린(21)에 결상된 영상을 필터링하고, 이 필터링 된 영상을 상기 검출기(3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학유니트(25)는 V(λ)필터(23)와, 이미징 렌즈(24)를 포함한다. 상기 V(λ)필터(23)는 영상의 파장별 감도를 사람의 시감도로 바꾸어주는 필터이다. 이와 같이 사람의 시감 특성을 가지는 V(λ)필터(23)를 채용한 경우, 육안에 가까운 영상신호의 평가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V(λ)필터(23) 자체의 구성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미징 렌즈(24)는 상기 V(λ)필터(23)와 상기 검출기(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V(λ)필터(23)를 통과한 영상이 상기 검출기(30)에 수광되도록 한다.
상기 검출기(30)는 각 촬상소자가 2차원 배열을 가지는 고체 촬상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CMOS 또는 PM-tube 등의 검출소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스크린(21)에 결상된 3차원 영상정보로부터 영상의 강도와 칼라 정보를 검출한다. 이 검출기(30)는 상기 스크린(21)으로부터 시청 거리(viewing distance) dv 만큼 이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정유니트(40)는 상기 검출부(30)를 전체적으로 또는 검출부(30)를 구성하는 스크린(21), 광학유니트(25), 및 검출기(30)를 독립적으로 3축(도면의 Y, Z축 및 이 Y축과 Z축 각각에 수직한 X축) 구동 및/또는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데 이용된다. 특히, 상기 조정유니트(40)는 상기 디스플레이(10)와 상기 스크린(21)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21)을 포함한 상기 검출부(30)를 가변 조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정유니트(40)는 스테핑 모터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50)는 상기 검출기(30)에서 검출된 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력부(50)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일 프레임을 캡처하는 프레임 그래버(Frame Grabber)(51)와, 캡처된 프레임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53)와, 이 변환된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55)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부(60)는 상기 입력부(50)에 저장된 신호를 입력 받아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한다. 즉, 상기 분석부(60)는 입력된 신호로부터 콘트라스트(contrast), 휘도(brightness), 균일도(uniformity), 칼라 개멋(color gamut), 크로스 토크(cross talk), 시청 자유도(viewing freedom), 시청 영역(viewing zone), 시청 각도(viewing angle), 시청 거리(viewing distance)를 계산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모드로 나타낸다. 이하, 시청 거리, 크로스 토크, 시청 자유도, 시청 영역, 시청 각도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배리어 타입 2시점 3차원 디스플레이의 동작 원리를 보인 개략도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10)에서 제공된 3D 테스트 패턴은 배리어(120)에 의해 좌안과 우안 2시점으로 구별된다. 이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세로로 입력된 좌안신호와 우안신호가 배리어(120)를 일부 차단된 상태로 통과한 후, 시청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관측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입사된다.
이때, 좌안 및 우안신호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4a는 좌안신호와 우안신호가 모두 입력된 경우 관측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희미하게 보이는 영상 중 마크(115)가 위치된 신호가 좌안용 신호이다. 도 4b는 좌안신호만 입력된 경우 관측된 영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4c는 우안신호만 입력된 경우 관측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좌안신호의 중심과 우안신호의 중심간 거리는 눈간 표준 거리인 65mm 이다.
도 5a 내지 도 5c 각각은 시청 거리 변화에 따른 좌안 영상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5a는 (-) 디포커스 된 상태 즉, 최적 시청 거리에서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스크린이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b는 (0) 디포커스 된 상태 즉, 최적 시청 거리에서의 좌안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5c는 (+) 디포커스 된 상태 즉, 최적 시청 거리에서 디스플레이(도 1의 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크린(도 1의 21)이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들을 서로 비교하여 볼 때, (0) 디포커스 된 상태에 비하여 (-) 디포커스 된 경우는 좌안 영상의 폭이 작아지며, (+) 디포커스 된 경우는 좌안 영상의 폭이 커짐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또는 우안 영상)의 폭의 변화로부터 디포커스 정도를 알 수 있으며, 최적 시청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이상적인 경우와 실제의 경우 각각에 대한 시청 자유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3D 디스플레이가 이상적인 경우 좌안용 신호를 입력시 최적 시청 거리에서 관측된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를 살펴보면, 스퀘어 함수(square function)로 표현된다. 이 경우, 우안 영상 지점(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에서는 좌안 신호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실제의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 시청 거리에서 관측된 좌안 영상은 폭이 넓어지고, 모서리가 흐려진 강도 분포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안 영상 지점에는 상당량의 좌안 신호가 존재하게 된다. 이것은 우안 영상에 노이즈로 작용하여,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to-Noise Ratio)를 감소시켜 우안 시청 자유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킨다. 여기서, 시청 자유도는 3차원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문턱 SNR을 설정한 후 스크린 위치 사이의 거리로 구해진다. 즉, 시청 자유도는 다음의 순서로 계산될 수 있다. 문턱 SNR을 설정하고, 디스플레이에 테스트용 좌안 신호를 입력한다. 스크린 중심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를 측정(좌안 크로스 토크를 측정)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에 테스트용 우안 신호를 입력하고,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 측정과 동일 방식으로 우안 영상의 강 도 분포를 측정(우안 신호 측정)한다. 이어서, 측정된 우안 신호와 좌안 크로스 토크의 비에 의해 SNR을 계산한다. 이 계산된 SNR을 토대로 스크린 위치 차이를 구함으로써, 시청 자유도를 계산 할 수 있다.
크로스 토크는 디스플레이에 테스트용 좌안 신호를 입력하고, 우안 영상 지점에서 측정된 좌안 영상의 강도 값에 의해 계산된다. 이때, 좌안 신호 대신 우안신호를 입력하고 좌안 영상 지점에서 우안 영상의 강도 값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스크린에 결상된 좌안 영상의 수평 방향 강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실선은 스크린에서 관측된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이며, 점선은 우안 영상의 강도 분포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스크린 중심에서 가장 자리로 갈수록 영상의 강도는 감소하는 반면, 크로스 토크의 강도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8은 시청 각도 및 시청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시청 영역은 최적 시청 거리에 맺힌 테스트용 패턴의 강도 분포로부터 측정 가능하다.
상기 시청 각도 θ는 측정된 시청 영역 및 시청 거리를 이용하여, 수학식 1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4053442893-pat00001
도 9a 내지 도 9c 각각은 시청 거리 변화에 따라 스크린에서 관측된 좌안 영상의 시청 자유도 분포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9a는 (-) 디포커스 된 상태 즉, 최적 시청 거리에서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스크린()이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0) 디포커스 된 상태 즉, 최적 시청 거리에서의 좌안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9c는 (+) 디포커스 된 상태 즉, 최적 시청 거리에서 디스플레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크린이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들을 서로 비교하여 볼 때, (0) 디포커스 된 상태에 비하여 (-) 디포커스 된 경우와 (+) 디포커스 된 경우 모두 시청 자유도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시청 거리의 허용오차를 설정할 수 있고, 검출부의 자동 초점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시청 거리의 허용오차 설정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문턱 시청 자유도를 설정하고, 시청 거리를 (-) 디포커스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스크린에서의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를 측정한다. 이때, 문턱 자유도를 가지는 시청 거리를 최소 시청 거리로 설정한다. 이어서, 시청 거리를 (+) 디포커스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스크린에서의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를 측정한다. 이때, 문턱 자유도를 가지는 시청 거리를 최대 시청 거리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최대 시청 거리와 최소 시청 거리의 차가 시청 거리의 허용 오차가 된다.
검출부의 자동 초점 조정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시청 거리를 변화시키면서 스크린에서의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를 측정하고, 시청 자유도를 계산한다. 그리고, 최대 시청 자유도를 가지는 시청 거리를 최적 시청 거리로 설정하고, 이 설정 위치에 스크린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초점 조정을 완료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는 3차 원 디스플레이(210)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 영상을 검출하는 검출부(220)와, 상기 검출부(220)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240)와, 상기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1차적으로 가공하는 입력부(250) 및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10)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은 자유 공간 상의 시청 평면에 결상된다. 상기 검출부(220)는 광학유니트(221)와, 3차원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는 제1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자유 공간 상에 3D 영상이 결상되는 점과, 광학유니트(221)의 구성을 변경한 점에서 구별되는 것으로, 다른 구성은 실질상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실질상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광학유니트(221)는 디스플레이(210) 쪽에서 상기 검출기(230) 쪽으로 순차로 배열된, V(λ)필터(223), 컷-오프(cut-off) 렌즈(225), 어퍼쳐 스톱(227) 및 릴레이 렌즈(229)를 포함한다. 상기 V(λ)필터(223)는 영상의 파장별 감도를 사람의 시감도로 바꾸어주는 필터이다. 이와 같이 사람의 시감 특성을 가지는 V(λ)필터(223)를 채용한 경우, 육안에 가까운 영상신호의 평가가 가능하다.
상기 컷-오프 렌즈(225)는 상기 V(λ)필터(223)를 투과한 광의 중심광을 결상시키고, 상기 어퍼쳐 스톱(aperture stop)(227)은 상기 컷-오프 렌즈(225)를 투과한 광 중 주변광을 블록킹한다. 상기 릴레이 렌즈(229)는 상기 어퍼쳐 스톱(227) 을 통과한 영상을 상기 검출기(230)에 결상시킨다.
상기 검출기(230)는 각 촬상소자가 2차원 배열을 가지는 구성 이외에도, 각 촬상소자가 1차원 배열을 가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검출기(230)는 특정 포인트의 휘도 정보만 검출 가능하므로, 상기 조정유니트(240)를 통하여 상기 검출기(230)를 z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강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3차원 영상 분석장치는 1차원 또는 2차원 검출기를 사용하여 비접촉식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를 실시간 검사할 수 있으므로, 검사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생산라인에 상기한 분석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자동화가 가능하며, 광학 플레이트의 얼라인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품질검사에서 최적 시청 영역과 최적 시청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3D 디스플레이의 최적 관측 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감 특성을 가지는 V(λ)필터와 CCD 센서 등의 검출기를 사용하므로, 육안에 가까운 평가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이 결상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으로부터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스크린과 상기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을 필터링하고, 상기 검출기에 전달하는 광학유니트와;
    상기 스크린, 상기 검출기 및 상기 광학유니트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와;
    상기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저장된 신호로부터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분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유니트는,
    영상의 파장별 감도를 사람의 시감도로 바꾸어주는 V(λ)필터와;
    상기 V(λ)필터를 투과한 광을 상기 검출기에 결상시키는 이미징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분석장치.
  3.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으로부터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와 상기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시청 평면에 결상된 영상을 필터링 및 블록킹하여 상기 검출기에 전달하는 광학유니트와;
    상기 검출기 및 상기 광학유니트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와;
    상기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저장된 신호로부터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분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유니트는,
    영상의 파장별 감도를 사람의 시감도로 바꾸어주는 V(λ)필터와;
    상기 V(λ)필터를 투과한 광의 중심광을 결상시키는 컷-오프 렌즈와;
    상기 컷-오프 렌즈를 투과한 광 중 주변광을 블록킹시키는 어퍼쳐 스톱과;
    상기 어퍼쳐 스톱을 통과한 영상을 상기 검출기에 결상시키는 릴레이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분석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일 프레임을 캡처하는 프레임 그래버와;
    캡처된 프레임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화 한 후 이를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분석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콘트라스트, 휘도, 균일도, 칼라 개멋, 크로스 토크, 시청 자유도, 시청 영역, 시청 각도, 시청 거리를 계산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분석장치.
KR1020040094261A 2004-11-17 2004-11-17 3차원 영상 분석장치 KR10061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261A KR100619056B1 (ko) 2004-11-17 2004-11-17 3차원 영상 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261A KR100619056B1 (ko) 2004-11-17 2004-11-17 3차원 영상 분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973A KR20060054973A (ko) 2006-05-23
KR100619056B1 true KR100619056B1 (ko) 2006-08-31

Family

ID=3715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261A KR100619056B1 (ko) 2004-11-17 2004-11-17 3차원 영상 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988B1 (ko) * 2010-10-29 2013-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350641B1 (ko) * 2012-07-13 2014-01-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안경 3 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8956A (ja) * 1996-02-08 1997-08-19 Fuji Xerox Co Ltd 総合カラー画質スコア予測方法、総合カラー画質スコア予測装置および総合カラー画質スコア制御装置
JP2000278710A (ja) 1999-03-26 2000-10-06 Ricoh Co Ltd 両眼立体視画像評価装置
JP2003018619A (ja) 2001-07-03 2003-01-17 Olympus Optical Co Ltd 立体映像評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4245451A (ja) 2003-02-12 2004-09-02 Osaka Gas Co Ltd 貯湯式給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8956A (ja) * 1996-02-08 1997-08-19 Fuji Xerox Co Ltd 総合カラー画質スコア予測方法、総合カラー画質スコア予測装置および総合カラー画質スコア制御装置
JP2000278710A (ja) 1999-03-26 2000-10-06 Ricoh Co Ltd 両眼立体視画像評価装置
JP2003018619A (ja) 2001-07-03 2003-01-17 Olympus Optical Co Ltd 立体映像評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4245451A (ja) 2003-02-12 2004-09-02 Osaka Gas Co Ltd 貯湯式給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973A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8997B (zh) 缺陷觀察方法及其裝置
CN107079087B (zh) 摄像装置及对象物识别方法
US8339463B2 (en) Camera lens calibration system
EP2804370B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9225949B2 (en) Sensory unit for a 3-dimensional display
TWI394431B (zh) 評價立體影像顯示面板的方法及系統
EP1463342A1 (en) Test system for camera modules
US8902289B2 (en) Method for capturing three dimensional image
CN109642848B (zh) 图像检查装置以及图像检查方法
CN104012076A (zh) 成像设备和电子信息仪器
CN102449548A (zh) 摄像设备
CN103067735B (zh) 全场锐度测试
WO20162077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pixel or sub-pixel functional defects of an image display
KR101640555B1 (ko) 카메라 검사 장치
CN109584239A (zh) 一种基于反射光的高光物体表面缺陷检测系统及方法
CN104935793A (zh) 配有滤光器阵列的微透镜和固态成像设备
WO2016084926A1 (ja) 撮像システム
KR100619056B1 (ko) 3차원 영상 분석장치
US7834996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4157106A (ja) 形状測定装置
JP4885471B2 (ja) プリフォームロッドの屈折率分布測定方法
CN108124096B (zh) 端面检查装置及其聚焦图像数据获取方法
CN111272101A (zh) 一种四维高光谱深度成像系统
JP4062100B2 (ja) 形状測定装置
CN211205210U (zh) 四维高光谱深度成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