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012B1 -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012B1
KR100619012B1 KR1020040002254A KR20040002254A KR100619012B1 KR 100619012 B1 KR100619012 B1 KR 100619012B1 KR 1020040002254 A KR1020040002254 A KR 1020040002254A KR 20040002254 A KR20040002254 A KR 20040002254A KR 100619012 B1 KR100619012 B1 KR 10061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s
ringing
window
ringing artifacts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106A (ko
Inventor
김영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07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2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disc-like, i.e. diameter substantially greater than wid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5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the axis being resiliently bi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61H2023/0227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with magnetostrict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04Adaptive image processing
    • G06T2207/20012Locally adapt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92Edge enhancement; Edge preserv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입력 화면의 링잉형(ringing-like) 영역들이 억압된 강화된 출력 화면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 화면의 적응(즉, 선택적) 처리를 수행하는 억압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입력 화면 내의 각 윈도우에 대해, 윈도우가 화면의 링잉형 영역 주위에서 검출된다면, 윈도우의 위치에 대한 출력 픽셀은 입력 화면에서 저역 통과된(스무딩된;smoothed) 픽셀을 포함한다. 그러나, 윈도우가 링잉형 영역 주위에서 검출되지 않는다면(즉, 윈도우가 비링잉형(non-ringing-like) 영역 주위에 위치한다면), 윈도우 위치에 대한 출력 픽셀은 본질적으로 입력 화면에서 변화되지 않은 윈도우를 포함한다. 그 결과 링잉형 패턴들이 검출되지 않은 영역들에서 입력 화면으로 번짐이 야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출력 화면은 링잉형 패턴들이 검출되지 않는 입력 화면의 부분들, 및 억압된 링잉형 패턴들이 검출되는 입력 화면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출력 화면은 억압된(즉, 스무딩된) 링잉형 패턴들을 가진 입력 화면의 강화된 화면이다.

Description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ve reduction of ringing artifac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 억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사용하여 처리된 디지털 화면에서의 윈도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 억압 방법 일 실시예의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신호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01
)의 국부 분산들
Figure 112004001309023-pat00002
사이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 억압 장치의 구조의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프로세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디오 이미지 압축에 간한 것이다.
현대 디지털 비디오 기술의 발전은 DVD 플레이어 및 디지털 TV(DTV) 시스템과 같은 가전 제품을 위한 비디오 질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DTV 시스템과 같은 디지털 비디오 시스템에는 대비 강화(contrast enhancement), 밝기 강화(brightness enhancement) 및 세부 강화(detail enhancement)를 포함하는 중요한 비디오 강화 결점들이 남아있다.
압축 해제된 화면들을 위한 후처리(post processing)는 압축 기술에 의존하는 어떠한 디지털 비디오 시스템의 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것은 아티팩트(artifact)들은 본래 데이터 압축에서의 데이터 양자화 결과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블록킹 아티팩트들, 링잉 아티팩트들, 모기 노이즈(mosquito noise), 등의 그 예이다. 디지털 이미지 또는 비디오가 저비트율로 압축될 때, 그러한 아티팩트들은 특히 짜증스럽다.
일반적으로, 링잉 아티팩트들을 디지털 화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저역 통과 필터는 화면 세부를 또한 제거하는데, 이것은 블러링 아티팩트들(blurring artifacts)을 야기한다. 따라서, 압축 해제된 화면들에서 통상 발생하는 링잉 아티팩트들을 억압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압축 해제된 화면들에서 통상 발생하는 링잉 아티팩트들을 억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들을 언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국부 통계(local statistics)를 검사함으로써 화면내의 링잉형 영역들(ringing-like areas)을 검출하는 시스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링잉 아티팩트가 검출되지 않는 영역들에는 번짐(blurring)을 야기하지 않는 링잉 아티팩트의 적응 억압(adaptive suppression)을 허용한다.
강화된 출력 화면을 생성하기 위해 억압된 입력 화면의 링잉형 영역들로 입력 화면의 적응(선택적) 처리를 제공하는 억압방법이 개시된다. 입력 화면의 서브세트들(subsets) 하나 이상의 윈도우에서 분석된다. 입력 화면에서 상기 각 윈도우에 대해, 윈도우가 화면에서 링잉형 영역 주위에 위치한다면, 출력 화면은 입력화면에 저역 통과 필터링된 즉, 매끄러운 윈도우를 포함한다. 그러나, 윈도우가 링잉형 영역 주위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다시 말해, 윈도우가 비링잉형 영역 주위에 위치한다면, 출력 화면은 입력화면에 본질적으로 변화 없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그 결과 입력화면의 링잉형 패턴들이 검출되지 않는 영역들에서 입력 화면에 번짐이 야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출력 화면은 링잉형 패턴들이 검출되지 않는 입력 화면의 부분들, 및 억압된 링잉형 패턴들이 검출되는 입력 화면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출력 화면은 억압된(즉, 매끄러운) 링잉형 패턴들을 가진 입력 화면의 강화된 태양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이미지 정보의 픽셀들(pixcels)을 포함하는 입력 이미지에서 적응적으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감소시키는 장치를 더 제공한다. 일 예에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감소시키는 그러한 장치는: 픽셀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이미지 픽셀들로부터의 픽셀들의 집합(set)을 포함하는 픽셀 윈도우에서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들을 검출하는 링잉 아티팩트 검출기;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생성하기 위해 윈도우 픽셀들을 처리하는 이미지 프로세서; 및 검출된 링잉 아티팩트 영역들에서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지는 처리된 픽셀들을 선택하고, (i)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처리되고 선택된 픽셀들, 및 (ii)잔 존하는 윈도우 픽셀들을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결합기(combin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또는 다른 특징들, 태양들, 및 이점들은 이하의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명확해진다.
개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화면의 국부 통계를 검사함으로써 화면 내의 링잉형 영역들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링잉 아티팩트들이 없는 영역들에 번짐을 야기하지 않고,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예를 들어, 억압)를 허용한다. 일 예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집합{I}은 압축 해제된 화면(필드 또는 프레임; 10)을 나타내고, I(y,x)는 화면(10)의 y번째 라인의 x번째 픽셀(12)의 경도값(gradation value)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억압 방법의 예의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상기 억압 방법은,
N x M 윈도우(14) 내의 이웃 픽셀들에 기초하여 이미지(10) 내의 각 픽셀(12)에 대해 국부 분산/편차(
Figure 112004001309023-pat00003
)를 계산하는 단계(20);
입력 화면(10)에서 윈도우(14)가 노이즈 영역(작은 국부 편차) 또는 우수 신호 영역(큰 국부 편차)에 위치하는 지를 검출하기 위해 신호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04
)에 서 국부 편차(
Figure 112004001309023-pat00005
)를 사용하는 단계(22);
링잉형 패턴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06
를 사용하여 윈도우(14) 내의 링잉형 패턴들을 검출하는 단계(24);
윈도우(14)가 화면(10) 내의 링잉형 패턴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지를 검출하기 위해 링잉형 패턴 영역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07
) 내의 링잉형 패턴들의 검출 및 노이즈/신호 영역의 검출을 사용하는 단계(26);
입력 화면(10)의 복사 상에서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28); 및
링잉형 영역들이 본질적으로 억압된 강화된 신호(
Figure 112004001309023-pat00008
)를 생성하기 위해, 검출된 링잉형 패턴 영역들에 기초하여
Figure 112004001309023-pat00009
의 부분들과
Figure 112004001309023-pat00010
의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단계(30)를 포함한다.
그러한 방법은 입력 회면(10)의 링잉형 영역들이 억압된 강화된 출력 화면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 화면(10)의 적응(즉, 선택적) 처리를 제공한다. 상기 예에서, 각 입력 픽셀(
Figure 112004001309023-pat00011
)에 그러하다. 그러한 N x M 이웃 픽셀 윈도우(14)에 기초하여, 윈도우(14)가 화면(10) 내의 링잉형 영역 주위에 위치한다면, 출력 픽셀(
Figure 112004001309023-pat00012
)은 입력 화면의 저역 통과된(매끄러운) 픽셀을 포함한다. 그러나, 윈도우(14)가 비링잉형 영역 주위에 위치한다면, 출력 픽셀(
Figure 112004001309023-pat00013
)은 본질적으로 (
Figure 112004001309023-pat00014
)인 입력 화면의 변화하지 않는 픽셀을 포함한다. 그 결과, 링잉형 패턴들이 검출되지 않는 영역들에서의 입력 화면으로 (매끄러움으로 인한)번짐이 야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출력 화면은 링잉형 패턴들이 검출되지 않은 입력 화 면의 부분들, 및 링잉형 패턴들이 검출된 저역 통과 필터링된 입력 화면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픽셀에서 픽셀로 변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출력 화면은 억압된(매끄러워진) 링잉형 패턴들을 가진 입력 화면의 강화된 화면이다.
구현 예 실행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 구현 예의 실행에서,
Figure 112004001309023-pat00015
는 저역 통과 필터링 이후의 화면
Figure 112004001309023-pat00016
의 y번째 라인의 x번째 픽셀의 경도값을 나타낸다. 화면
Figure 112004001309023-pat00017
Figure 112004001309023-pat00018
에 대한 국부 편차(local deviation)
Figure 112004001309023-pat00019
Figure 112004001309023-pat00020
의 국부/이웃 샘플(픽셀)들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이것은 (y,x) 중심의 윈도우를 사용하고, 윈도우 내에서 샘플들의 분산을 계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어떠한 윈도우 형상도 사용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N x M 직각 윈도우를 사용한다.
편차(
Figure 112004001309023-pat00021
)는 아래와 같이 계산될 수 있는데,
Figure 112004001309023-pat00022
(1)
Figure 112004001309023-pat00023
는 N x M 직각 윈도우의 (i, j)번째 요소이고,
Figure 112004001309023-pat00024
는 N x M 직각 윈도우 내의 샘플들의 평균으로
Figure 112004001309023-pat00025
로 표현된다.
식(1)의 표현이 계산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국부 편차를 결정하기 위해 아래의 식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4001309023-pat00026
(2)
또한, 윈도우의 크기가 결정되면, 식 2의 분모(
Figure 112004001309023-pat00027
)는 일정하다. 그리하여, 국부 편차의 상대량을 결정하기 위해 다음 식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4001309023-pat00028
(3)
식 (3)에 따른 계산이 하드웨어 실행의 면에서 (1) 또는 (2)보다 간단하다.
노이즈 및 우수 신호 이미지 영역들의 검출
국부 편차(
Figure 112004001309023-pat00029
)에 기초하여,
Figure 112004001309023-pat00030
에 기초한 신호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31
)가 선택되는데, 신호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32
)는 다음의 세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4001309023-pat00033
가 증가할수록
Figure 112004001309023-pat00034
는 1에 접근하고,
Figure 112004001309023-pat00035
가 0으로 감소할수록
Figure 112004001309023-pat00036
는 0에 접근하며,
Figure 112004001309023-pat00037
가 증가할수록
Figure 112004001309023-pat00038
는 단순 증가한다.
상기 세 조건을 만족하는 다른 신호 검출 함수들도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신호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39
)의 역할은 윈도우 가 노이즈 영역(즉, 작은 국부 편차), 신호 영역(즉, 큰 국부 편차), 또는 그 사이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
Figure 112004001309023-pat00040
의 값은
Figure 112004001309023-pat00041
로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Figure 112004001309023-pat00042
가 0에 가까울 때, 윈도우가 실질적으로 노이즈 영역에 위치하고,
Figure 112004001309023-pat00043
가 1에 가까울 때, 그것은 윈도우가 실질적으로 신호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해 노이즈 레벨이 신호 레벨보다 작다고 가정된다.
신호 검출 신호(
Figure 112004001309023-pat00044
)의 일 예는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는데,
Figure 112004001309023-pat00045
Figure 112004001309023-pat00046
는 소정의 상수이다.
Figure 112004001309023-pat00047
(5)
도 3에서 예의 선(3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04001309023-pat00048
Figure 112004001309023-pat00049
값들에 의존하여,
Figure 112004001309023-pat00050
의 특성이
Figure 112004001309023-pat00051
값과 관련하여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4001309023-pat00052
Figure 112004001309023-pat00053
의 범위는 적용에 따라 다르다.
링잉형 패턴들의 검출
윈도우에서 링잉형 패턴의 검출의 일 예에 있어서, 링잉형 영역은 약한(작은) 에지(edge) 영역으로 인식된다. 이 약한 에지 영역은 픽셀과 선택된 문턱값 내의 그 이웃 픽셀들 사이의 경도 레벨 차에 의해 지시된다. 일 예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경도 레벨 차는 픽셀 위치에 약한(작은) 에지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큰 경도 레벨 차는 픽셀 위치에 강한 에지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이미지에서, 링잉은 강한 에지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윈도우에서 링잉형 패턴을 검출하기 위해, 패턴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54
)가 사용되는데,
Figure 112004001309023-pat00055
는,
Figure 112004001309023-pat00056
Figure 112004001309023-pat00057
(6), 및
Figure 112004001309023-pat00058
Figure 112004001309023-pat00059
(7)
의 요소 g x (y, x)g y (y, x)를 포함한다.
요소 g x (y, x)는 윈도우 내의 수평 방향으로의 링잉 패턴형 특징들을 지시하고, g y (y, x)는 윈도우 내의 수직 방향으로의 링잉 패턴형 특징들을 지시한다. 그리하여, 링잉형 패턴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60
)는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4001309023-pat00061
(8)
Figure 112004001309023-pat00062
.
주어진 픽셀 (I (y, x))에 대해, 그 픽셀과 주위 픽셀들 사이의 경도 레벨 차가 클수록 링잉 효과는 낮아진다(즉,
Figure 112004001309023-pat00063
가 감소한다).
Figure 112004001309023-pat00064
가 0에 근접할 때, 그것은 실질적으로 비링잉형 패턴을 의미하고,
Figure 112004001309023-pat00065
가 1로 근접할 때, 그것은 실질적으로 링잉형 패턴을 의미한다.
링잉형 영역들의 검출
신호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66
)및 링잉형 패턴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67
)의 결합은 아래의 표 1의 제한들을 만족시키는 링잉형 영역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68
)를 제공한다.
표 1
Figure 112004001309023-pat00069
표 1 내의 화살표들은, 예를 들어 0에서 1까지 변화하는 상응하는 값을 지시한다.
상기 제한들을 만족시키는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70
)의 일 예는 아래의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4001309023-pat00071
. (9)
일 예에서,
Figure 112004001309023-pat00072
일 때는 윈도우가 링잉형 패턴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고,
Figure 112004001309023-pat00073
일 때는 윈도우가 비링잉형 패턴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강화된 출력 이미지의 생성
링잉형 영역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74
)에 기초하여 강화된 출력(J (y, x))이 아래의 식과 같이 제공되는데, J (y, x)는 링잉형 값(
Figure 112004001309023-pat00075
)의 정도에 따라 원래의 샘플값들 I (y, x) 및 저역통과필터링된 값들 I LPF (y, x) 을 결합한다.
Figure 112004001309023-pat00076
(10)
링잉형 영역이 검출되면(즉,
Figure 112004001309023-pat00077
),
Figure 112004001309023-pat00078
이것은 매끄러워진(smoothed) 출력을 의미한다.
비링잉형 영역이 검출되면(즉,
Figure 112004001309023-pat00079
),
Figure 112004001309023-pat00080
이것은 아무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번짐이 야기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나타난 식(10)은 점대점(point-to-point) 프로세스이고,
Figure 112004001309023-pat00081
값은 점대점(또는, 픽셀대픽셀(pixel-to-pixel)로 평가된다. 따라서, 식(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 디링잉(de-ringing) 방법을 제공한다.
비록 상기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신호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82
) 및 패턴형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83
)가 모두 식(9) 및 (10)에서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패턴형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84
)는 신호 검출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85
)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예에서는 출력 화면(J(y, x))을 생성하기 위한 식(10)은 아래와 같이 수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4001309023-pat00086
(10a)
적응 억압 장치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 억압 장치(40)의 일 실시예의 구조의 예를 도시 한 블록도이다. 상기 장치(40)는, 저역 통과 필터(LPF) 블록(42); 이웃 픽셀들에 기초하여 윈도우 내의 픽셀에 대한 국부 편차(
Figure 112004001309023-pat00087
)를 계산하는 국부 분산 계산 블록(44); 입력 화면에서 노이즈 및 신호 영역들에 대한 윈도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국부 분산들(
Figure 112004001309023-pat00088
)을 사용하는 신호 검출 함수 블록(46);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89
)를 사용하여 링잉형 패턴들을 검출하는 링잉형 검출 함수 블록(48); 윈도우가 화면의 링잉형 패턴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링잉형 패턴 영역 함수(
Figure 112004001309023-pat00090
)에서 노이즈/신호 영역의 검출 및 링잉형 패턴들의 검출을 사용하는 링잉형 영역 검출 블록(50); 및 링잉형 영역들이 본질적으로 억압되는 출력 화면을 나타내는 강화된 출력 신호(J (y, x))를 생성하기 위해, 링잉형 패턴 영역들에(설명한 바와 같이) 기초하여
Figure 112004001309023-pat00091
의 부분들과
Figure 112004001309023-pat00092
의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기를 포함한다.
도 4의 억압 장치의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 ASIC와 같은 논리 회로들 등과 같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저역 통과 필터링 대신 입력 화면에서 링잉형 아티팩트들을 억압하는 다른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아티팩트들을 검출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 및 그러한 아티팩트들을 검출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축 해제된 화면들에서 통상 발생하는 링잉 아티팩트들을 억압하 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다양한 다른 형태의 실시예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의 이해를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관점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범위는 여기에 포함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된다.

Claims (30)

  1. 이미지 정보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입력 이미지에서 링잉 아티팩트들의 적응 감소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입력 이미지 픽셀들로부터 픽셀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픽셀 윈도우를 선택하는 단계;
    (b) 이미지 정보의 픽셀들에 기초한 픽셀 윈도우에서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
    (c) 검출된 영역들에서 검출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검출된 영역들에서 픽셀들을 처리하는 단계; 및
    (d)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로 처리된 픽셀들을 상기 픽셀 윈도우가 상기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정도에 따라 포함하는 강화된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b)는,
    내부의 하나 이상의 픽셀들 사이의 경도 레벨 차의 함수로서 픽셀 윈도우에 서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b)는,
    윈도우 내의 픽셀을 대해, 상기 픽셀과 이웃 픽셀들 사이의 경도 레벨 차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경도 레벨 차가 선택된 문턱값 내인 지를 검출하고, 윈도우에서 픽셀 위치에 근접한 링잉형 아티팩트들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을 처리하는 단계는, 링잉 아티팩트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픽셀들의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을 처리하는 단계는, 링잉 아티팩트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픽셀들 상에서 스무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된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d)는, (i)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처리된 윈도우 픽셀들, 및 (ii)잔존하는 윈도우 픽셀들 을 포함하는 강화된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미지는 압축 해제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8. 이미지 정보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입력 이미지에서 링잉 아티팩트들의 적응 감소를 위한 방법으로서,
    (a) 입력 이미지 픽셀들로부터 픽셀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픽셀 윈도우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이미지 정보의 픽셀들에 기초한 상기 픽셀 윈도우에서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
    (c)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포함하는 처리된 픽셀들을 생성하기 위해 윈도우 내에서 픽셀들을 처리하는 단계;
    (d) 검출된 링잉 아티팩트 영역들에 기초하여 처리된 픽셀들로부터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e) (i) 상기 선택된 픽셀들, 및 (ii)잔존하는 윈도우 픽셀들을 상기 픽셀 윈도우가 상기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정도에 따라 포함하는 강화된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b)는, 내부의 하나 이상의 픽셀들 사이의 경도 레벨 차의 함수로서 픽셀 윈도우에서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윈도우내의 픽셀에 대해, 상기 픽셀 및 이웃 픽셀들 사이의 경도 레벨 차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경도 레벨 차가 선택된 문턱값 내에 있는 지를 검출하고, 윈도우에서 픽셀 위치에 근접한 링잉형 아티팩트들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을 처리하는 단계(c)는 링잉 아티팩트들을 감소하기 위해 픽셀들의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미지는 압축 해제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14. 이미지 정보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입력 이미지에서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를 위한 방법으로서,
    (a) 입력 이미지 픽셀들로부터 픽셀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픽셀 윈도우를 선택하는 단계;
    (b) 이미지 정보의 픽셀들에 기초한 픽셀 윈도우에서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
    (c) 이웃 픽셀들에 대해 윈도우 내의 각 픽셀의 국부 분산을 결정하는 단계;
    (d) 국부 분산들에 기초하여, 윈도우의 위치가 입력 이미지의 노이즈 영역에 근접한 지를 검출하는 단계;
    (e)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포함하는 처리된 픽셀들을 생성하기 위해 윈도우 픽셀들을 처리하는 단계;
    (f) 검출된 링잉 아티팩트 영역들 및 상기 윈도우의 위치가 입력 이미지의 노이즈 영역에 근접한 지를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처리된 픽셀들로부터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g) (i)선택된 픽셀들, 및 (ii)잔존하는 윈도우 픽셀들을 상기 픽셀 윈도우가 상기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정도에 따라 포함하는 강화된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b)는 내부의 하나 이상의 픽셀들 사이의 경도 레벨 차들의 함수로서 픽셀 윈도우에서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윈도우 내의 픽셀에 대해, 그 픽셀과 이웃 픽셀들 사이의 경도 레벨 차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경도 레벨 차가 선택된 문턱값 내인 지를 검출하고, 윈도우에서 픽셀 위치에 근접한 링잉형 아티팩트들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을 처리하는 단계(e)는 링잉 아티팩트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픽셀들의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18. 삭제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미지는 압축 해제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픽셀들로부터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선택하는 단계(f)는,
    윈도우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검출된 링잉 아티팩트 영역들에서 처리된 픽셀들로부터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픽셀들로부터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선택하는 단계(f)는,
    노이즈 화면 위치들인 검출된 링잉 아티팩트 영역들에서, 처리된 픽셀들로부터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22. 이미지 정보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입력 이미지에서 링잉 아티팩트들을 적응 감소시키는 장치로서,
    픽셀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이미지 픽셀들로부터의 픽셀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픽셀 윈도우에서 링잉 아티팩트들의 영역을 검출하는 링잉 아티팩트 검출기;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생성하기 위해 윈도우 픽셀들을 처 리하는 이미지 프로세서; 및
    검출된 링잉 아티팩트 영역들에서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처리된 픽셀들을 선택하고, (i)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처리되고 선택된 픽셀들, 및 (ii)잔존하는 윈도우 픽셀들을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링잉 아티팩트 검출기는 내부의 하나 이상의 픽셀들 사이의 경도 레벨 차들의 함수로서 픽셀 윈도우에서 링잉 아티펙트들의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링잉 아티팩트 검출기는 픽셀과 이웃하는 픽셀들 사이의 경도 레벨 차를 결정하고, 상기 경도 레벨 차가 선택된 문턱값 내인지를 검출하여 윈도우에서 상기 픽셀 위치에 근접한 링잉형 아티팩트들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장치.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는 링잉 아티팩트들을 감소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장치.
  26. 삭제
  27. 제 22항에 있어서, 이웃 픽셀들에 대해 윈도우 내의 각 픽셀의 국부 분산을 결정하는 분산 검출기; 및
    상기 국부 분산에 기초하여 윈도우의 위치가 입력 이미지의 노이즈 영역에 근접한지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기가 상기 검출된 링잉 아티팩트 영역들 및 상기 윈도우의 위치가 입력 이미지의 노이즈 영역에 근접한 지를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처리된 픽셀들로부터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더 선택하고, (i)선택된 픽셀들, 및 (ii)잔존하는 윈도우 픽셀들을 포함하는 강화된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는 상기 윈도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된 링잉 아티팩트 영역들에서 처리된 픽셀들로부터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는 노이즈 화면 위치들인 검출된 링잉 아티팩트 영역들에서 처리된 픽셀들로부터 감소된 링잉 아티팩트들을 가진 픽셀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장치.
  30.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미지는 압축 해제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장치.
KR1020040002254A 2003-07-10 2004-01-13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및 장치 KR100619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17,068 2003-07-10
US10/617,068 US7339601B2 (en) 2003-07-10 2003-07-10 Methods of suppressing ringing artifact of decompressed im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106A KR20050007106A (ko) 2005-01-17
KR100619012B1 true KR100619012B1 (ko) 2006-08-31

Family

ID=3044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254A KR100619012B1 (ko) 2003-07-10 2004-01-13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5) US7339601B2 (ko)
KR (1) KR1006190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8199B2 (en) * 2002-03-20 2007-04-24 Ngk Insulators, Ltd Method of protecting indicated information and cellular structure having its surface information protected by the protecting method
CN100393278C (zh) * 2004-07-12 2008-06-11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环状伪影消除方法及x线ct装置
US7590303B2 (en) * 2005-09-29 2009-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enhancement method using local illumination correction
JP2007101960A (ja) * 2005-10-05 2007-04-19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デジタル表示装置の表示方法及びデジタル表示装置
TWI296099B (en) * 2005-12-15 2008-04-21 Princeton Technology Corp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and image processor of operating the same
JP2009521168A (ja) * 2005-12-21 2009-05-28 ペイス マイクロ テクノロジィ ピーエルシー 表示画像における圧縮アーチファクトの低減
US7778482B2 (en) * 2006-07-19 2010-08-17 Trident Microsystems (Far East) Ltd.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osquito noise in a digital image
TR201810171T4 (tr) * 2006-10-03 2018-08-27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Bir girdi görüntüsündeki halka şeklinde artefaktları en aza indirmek için yöntem ve aparat.
TWI332351B (en) * 2006-10-05 2010-10-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for reduction mosquito noise
JP5150224B2 (ja) * 2006-11-29 2013-02-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8195002B2 (en) * 2007-06-14 2012-06-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aptive post-deringing filter on compressed images
JP5035029B2 (ja) 2008-03-03 2012-09-26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62483B2 (ja) * 2008-04-01 2012-10-31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951254B1 (ko) * 2008-07-18 2010-04-02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미지의 선명도 향상 장치
CN106919911A (zh) * 2008-07-30 2017-07-04 快图有限公司 使用脸部检测的自动脸部和皮肤修饰
US9374749B2 (en) * 2008-11-14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using same base station carrier handoff for multicarrier support
WO2010134973A1 (en) * 2009-05-18 2010-11-25 Thomson Licen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a generalized filtering structure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TWI392335B (zh) * 2009-08-14 2013-04-01 Sunplus Technology Co Ltd 在縮放器中去除一影像訊號之環形雜訊之濾波系統及方法
US8113010B2 (en) * 2009-11-02 2012-02-14 Exaflop Llc Data center cooling
US8793402B2 (en) 2011-08-26 2014-07-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nchronizing time across a plurality of devices connected to a network
TW201438458A (zh) 2013-03-22 2014-10-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影像處理電路及其環狀假影消除方法
US8831354B1 (en) * 2014-01-08 2014-09-09 Faroudja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edge-adaptive and recursive non-linear filtering of ringing effect
US10305539B2 (en) * 2016-07-19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84522B1 (ko) * 2016-12-27 2023-10-05 한화비전 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의 영상보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3540A (en) * 1995-05-11 1999-08-03 General Electric Company Filter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suppressing noise and improving edge definition in a digitized image
US6667815B1 (en) * 1998-09-30 2003-12-23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US6295384B1 (en) * 1998-11-04 2001-09-25 Schlumberger Technologies, Inc. Removing noise caused by artifacts from a digital image signal
JP2001045336A (ja) 1999-07-29 2001-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ノイズ検出装置、ノイズ検出方法、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US6842512B2 (en) * 2000-11-14 2005-01-11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US6845180B2 (en) * 2001-03-16 2005-01-1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Predicting ringing artifacts in digital images
US6983078B2 (en) * 2001-05-01 2006-0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in processed images
WO2002102086A2 (en) * 2001-06-12 2002-12-19 Miranda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spatial segmentation-based noise reducing for encoded image signal
US7050649B2 (en) * 2001-07-23 2006-05-23 Micron Technology, Inc. Suppression of ringing artifacts during image resizing
US20030039402A1 (en) * 2001-08-24 2003-02-27 Robins David 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removal of scanned image scratches and dust
KR100431000B1 (ko) * 2001-10-23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블록화현상 보상장치 및 방법
EP2894856A1 (en) * 2002-01-31 2015-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block artifacts or ringing noise
JP3862621B2 (ja) * 2002-06-28 200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038710B2 (en) * 2002-07-17 2006-05-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video data
US7079703B2 (en) * 2002-10-21 2006-07-1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JPEG artifact removal
US7254277B2 (en) * 2002-12-30 2007-08-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mage processing with minimization of ringing artifacts and noise
US7373013B2 (en) * 2003-12-23 2008-05-1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Directional video filters for locally adaptive spatial noise re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106A (ko) 2005-01-17
US20060132499A1 (en) 2006-06-22
US20040012582A1 (en) 2004-01-22
US20080001976A1 (en) 2008-01-03
US20060125816A1 (en) 2006-06-15
US8160384B2 (en) 2012-04-17
US7619640B2 (en) 2009-11-17
US7339601B2 (en) 2008-03-04
US20060132498A1 (en) 2006-06-22
US7418154B2 (en)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012B1 (ko) 링잉 아티팩트 적응 감소 방법 및 장치
KR10108642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6847738B1 (en) Sharpness enhancement
US7130483B2 (en) Method for enhancing a digital image while suppressing undershoots and overshoots
US7136538B2 (en) Noise reducing apparatus and noise reducing method
KR100687645B1 (ko)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잡음 제거 장치
JPH08186714A (ja) 画像データのノイズ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WO200210208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spatial segmentation-based noise reducing for encoded image signal
JP2001005960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1118062A (ja) ダイナミックレンジ自動圧縮方法
KR100677133B1 (ko) 이미지 디테일 강조에 있어서 잡음 있는 가장자리의 검출및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123682A (zh) 可减少图像振铃噪声的方法、装置及集成电路
US79329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adaptive analog video noise detection
KR100560027B1 (ko) 압축 에지 적응형 비디오 및 화상의 샤프닝 및 스캐일링
WO2010116400A1 (ja) 被写体動き検出装置および方法
JP5512813B2 (ja) ブロックアーティファクト低減器
JP2005150903A (ja) 画像処理装置、ノイズ除去方法及びノイズ除去プログラム
JP200733445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8090210B2 (en) Recursive 3D super precision method for smoothly changing area
US200902576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noise level detection in image data
KR101238249B1 (ko) 영상 대조비 개선 방법 및 장치
KR100772405B1 (ko) 전역 움직임 추정에 근거한 적응성 잡음 감쇄 방법 및 영상처리 시스템
KR100772402B1 (ko) 공간 영역에서의 내용 적응성 블로킹 아티팩트 제거기
JP2001076134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H07154651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