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785B1 - 광기기 장치 - Google Patents

광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785B1
KR100618785B1 KR1020050043157A KR20050043157A KR100618785B1 KR 100618785 B1 KR100618785 B1 KR 100618785B1 KR 1020050043157 A KR1020050043157 A KR 1020050043157A KR 20050043157 A KR20050043157 A KR 20050043157A KR 100618785 B1 KR100618785 B1 KR 100618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isc
disk
chucking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언진
윤재현
Original Assignee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광기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기기 장치는, 슬롯으로 유입된 디스크의 측면을 밀어서 로딩시키는 디스크캠을 구비하는 로딩유니트와,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척킹시키는 척킹유니트와, 슬라이딩되면서 디스크를 로딩 및 척킹시키는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구동유니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컴팩트한 구조의 로딩 및 척킹유니트가 제공될 수 있고, 충분한 댐핑을 확보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안정적이며, 공간 절약적인 구조의 메인데크로 인하여 라운드 형상의 미려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광기기 장치{Optical disc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기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기기 장치에서, 디스크가 로딩 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기 장치에서, 디스크가 로딩된 후 척킹될 때, 디스크 캠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기기 장치에서, 디스크가 척킹된 후 디스크 캠이 도피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기기 장치에서, 디스크가 언로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기 장치에서, 디스크와 디스크 캠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메인데크 110...로딩모터
120...기어열 200...슬라이드 레버
210...가압레버 캠 레일 220...피니언
230...로딩캠 레일 240...척킹캠 레일
310...제1레버 311...힌지핀
312...로딩캠 313...후크
314a,314b,314c...제1, 제2, 제3디스크캠 320...연결레버
322...제1레버 보스 323...연결레버 힌지
324, 420...탄성부재 고정부 325...연결레버 가이드
326...제2레버 보스 330...제2레버
331...제2레버 힌지 333...제2레버 보스 결합홈
334...제2레버 가이드 400...가압레버
410...가압레버 캠 430...가압레버 힌지
440...디스크 접촉면 500...서브데크
510...피딩모터 511...리드스크류
520...픽업 530...턴테이블
531...스핀들모터 회전축 532...척킹부재
540a, 540b...댐퍼 600...서브데크 브라켓
610...판스프링 640...척킹캠
700...메인데크 커버 710...힌지핀 레일
720...제1디스크캠 레일 740...제1레버 보스 도피홈
760...연결레버 가이드 레일 770...제2레버 가이드 레일
800...디스크 900a, 900b...탄성부재
950...언척킹 핀
본 발명은 광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롯을 통하여 광 디스크를 삽입하거나 취출할 수 있는 방식의 광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매체로는 플로피 디스크 및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ROM 이나 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칩 및 레이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정보 저장 매체들 중에서 광 디스크(이하 디스크라고 함)는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정보 저장 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가격도 비교적 저렴하여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디스크는 정보저장용량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CD;compact disk),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digital versatile disk)로 구분된다. 기록, 소거 및 재생이 가능한 디스크로는 650MB CD-R, CD-RW, 4.7GB DVD+RW 등이 있다. 더 나아가 기록용량이 20GB 이상인 HD-DVD도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캠코더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정보 저장 매체로서 디스크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기기 장치를 캠코더 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이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즉, 휴대용으로는 장치의 크기가 너무 크고, 종래의 슬림형 광기기 데크를 적용하면 디스크의 삽입 또는 취출이 불편하며, 라운드 형상의 미려한 디자인이 곤란하다는 점이다. 디스크를 카셋트나 트레이 등에 안착시켜 광기기 데크에 로딩시키는 종래의 광기기 장치에 비하여, 광기기 데크 일 측면에 디스크 폭 만큼 형성된 가느다란 슬롯을 통하여 디스크를 자동으로 삽입 또는 취출하는 광기기 장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롯 인 방식의 광기기 장치에서도, 디스크를 로딩 및 척킹하는 구조물은 컴팩트하게 배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디스크의 로딩 및 척킹을 위한 구조물이 지나치게 경박 단소화되면 진동이나 충격에 취약해지므로, 디스크에 정보를 읽거나 기록할 때 에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턴테이블이나 픽업이 설치되는 서브데크를 광기기 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메인데크에 고정할 때, 충분한 댐핑을 제공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안정적이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로딩 및 척킹 구조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충분한 댐핑을 제공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안정적이며, 디스크의 삽입 또는 취출이 용이하고, 컴팩트한 구조로서 라운드 형상의 미려한 디자인 확보가 가능한 광기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기기 장치는,
슬롯으로 유입된 디스크의 측면을 밀어서 턴테이블과 동중심되는 위치로 로딩시키는 디스크캠을 구비하는 로딩유니트;
상기 로딩된 디스크를 상기 턴테이블에 척킹시키며, 이를 지지하는 척킹유니트;
상기 로딩 및 척킹유니트를 구동원에 연결시키며,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디스크를 로딩 후 척킹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디스크를 언척킹 후 상기 슬롯 방향으로 언로딩시키는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구동유니트;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크캠은,
장구 형상으로서 디스크 측면에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디스크의 로딩 및 척킹시에 상기 디스크 측면에 접촉 간섭되고, 상기 디스크의 척킹 후에는 상기 디스크 측면에서 도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딩유니트는,
상기 언로딩 방향으로 상기 디스크 측면에 탄성력을 부여하되, 상기 디스크의 척킹 후에는 상기 디스크 측면에서 도피되는 가압레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캠이 상기 디스크의 로딩 전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가압레버가 상기 디스크 측면을 밀어서 언로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딩유니트는,
메인데크 커버의 힌지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힌지핀을 회동 중심으로 하며, 상기 슬라이드 레버의 로딩캠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로딩캠에 의하여 슬라이딩 및 회동되고, 상기 디스크의 일 측면에서 상기 메인데크 커버의 제1디스크캠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디스크캠이 구비되는 제1레버;
메인데크에 고정된 제2레버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디스크의 타 측면에 위치되는 제2 및 제3디스크캠이 마련되는 제2레버; 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딩유니트는,
연결레버 힌지를 회동 중심으로 하며, 일측에는 상기 제1레버에 마련된 후크와 접촉되는 제1레버 보스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레버가 결합되는 연결레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레버는, 상기 디스크의 로딩시에 상기 후크가 상기 제1레버 보스를 밀어서 작동되고, 상기 디스크의 척킹 후에는 상기 후크가 상기 제1레버 보스로부터 도피되면서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로딩 전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척킹유니트는,
척킹부재를 구비한 턴테이블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서브데크;
상기 슬라이드 레버에 형성된 척킹캠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척킹캠에 의하여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게, 상기 서브데크를 메인데크에 결합시키는 서브데크 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데크의 승강 또는 하강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가 척킹 또는 언척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실시예가 가능함을 먼저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기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디스크가 로딩 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디스크가 로딩된 후 척 킹될 때 디스크 캠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디스크가 척킹된 후 디스크 캠이 도피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디스크가 언로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디스크와 디스크 캠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광기기 장치는, 로딩유니트, 척킹유니트,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유니트를 포함한다. 로딩유니트는, 디스크캠(314), 상기 디스크캠(314)이 마련되는 제1 및 제2레버(310, 330), 연결레버(320), 가압레버(400)를 포함한다. 척킹유니트는, 서브데크(500), 서브데크 브라켓(600), 언척킹 핀(950)을 포함한다. 구동유니트는, 구동원으로서 로딩모터(110), 기어열(120), 슬라이드 레버(200)를 포함한다.
디스크(800)가 슬롯(미도시)으로 유입되면 디스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로딩 및 척킹유니트를 구동하는 구동유니트에 로딩 명령을 보낸다. 구동유니트의 로딩모터(110)에 의하여 슬라이드 레버(200)가 로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로딩 및 척킹유니트가 구동되어 디스크(800)가 로딩 후 척킹된다. 디스크(800)의 언로딩 신호가 광기기 장치에 입력되면, 구동유니트의 로딩모터(110)에 의하여 슬라이드 레버(200)가 언로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로딩 및 척킹유니트가 구동되어 디스크(800)가 언척킹 후 언로딩된다.
로딩유니트는, 메인데크(100)의 일 측에 위치한 슬롯에서 유입된 디스크(800)를 턴테이블(530)과 동중심되는 위치로 로딩하거나, 언척킹된 디스크(800)를 다시 슬롯 방향으로 언로딩시킨다. 로딩유니트는 복수의 디스크캠(314)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크캠(314)은 단면이 장구 형상이며, 그 중앙의 오목부에 디스크(800)의 측면이 접촉 간섭된다. 디스크캠(314)은 디스크(800)의 일 측면에서 이동되는 제1디스크캠(314a)과, 디스크(800)의 타 측면에서 이동되는 제2 및 제3디스크캠(314b, 314c)을 포함한다. 제1디스크캠(314a)은 메인데크 커버(700)에 형성된 제1디스크캠 레일(720)을 따라 이동되면서 디스크(800)를 로딩 방향으로 푸쉬한다. 제2 및 제3디스크캠(314b, 314c)은 제2레버(330)의 이동에 따라 디스크(800)의 측면을 로딩 방향으로 푸쉬한다. 디스크캠(314)은 로딩된 디스크(800)가 턴테이블(530)에 척킹 또는 언척킹될 때에 디스크(800)의 측면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한다. 디스크캠(314)은 디스크(800)의 척킹 후에 디스크(800)의 측면에서 도피되므로, 척킹 완료된 디스크(800)는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다.
슬라이드 레버(200)에는 피니언(220)이 형성된다. 로딩모터(110)는 기어열(120)에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220)을 구동하여 슬라이드 레버(200)를 로딩 및 언로딩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슬라이드 레버(200)의 일 단부에는 로딩캠(312)을 가이드하는 로딩캠 레일(230)이 마련되고, 그 측부에는 척킹캠(640)을 가이드하는 척킹캠 레일(240)이 형성된다. 로딩캠 레일(230)은 디스크캠(314)의 이동이 개시되도록 로딩캠(312)을 도입하는 참조부호 L1의 도입부, 디스크캠(314)을 로딩방향으로 완전히 이동시키는 참조부호 L2의 로딩부, 디스크(800)의 로딩 및 척킹이 완료된 후 디스크캠(314)을 디스크(800) 측면으로부터 도피시키는 참조부호 L3의 도피부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레버(200)의 타 단부에는 가압레버(400)를 작동시키는 가압레버 캠(410)을 작동시키는 가압레버 캠 레일(210)이 구비된다.
제1레버(310)는 순차적으로 힌지핀(311), 로딩캠(312), 후크(313), 제1디스 크캠(314a)을 구비한다. 힌지핀(311)은 메인데크 커버(700)에 마련된 힌지핀 레일(710)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힌지핀(311)은 슬라이딩되면서 제1레버(310)의 회동 중심이 된다. 로딩캠(312)은 로딩캠 레일(230)을 따라 가이드되며 제1레버(310)를 슬라이딩 및 회동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로딩 및 척킹시에 후크(313)는 연결레버(320)의 제1레버 보스(322)를 밀어서 연결레버(320)를 회동시킨다. 척킹 후에 제1레버(310)의 로딩캠(312)이 참조부호 L3의 도피부로 이동되면서, 제1디스크캠(314a)은 디스크(800) 측면에서 도피되고, 후크(313)는 제1레버 보스(322)와 접촉 해제되며, 탄성부재(900)에 의하여 연결레버(320)가 로딩 전의 위치로 이동되고, 제2레버(330)에 형성된 제2 및 제3디스크캠(314b, 314c)이 디스크(800) 측면에서 도피된다.
연결레버(320)는 순차적으로 제1레버 보스(322), 연결레버 힌지(323), 연결레버 가이드(325), 제2레버 보스(326)를 구비한다. 제1레버 보스(322)는 제1레버(310)의 후크(313)에 접촉되며 연결레버 힌지(323)를 회동 중심으로 연결레버(320)를 회동시킨다. 제1레버 보스(322)는 제1레버 보스 도피홈(740)에 의하여 메인데크 커버(700)로부터 도피된다. 연결레버(320)를 로딩 전의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900a)의 일 단부는 참조부호 324의 탄성부재 고정부에 결합된다. 연결레버 가이드(325)는 메인데크 커버(700)에 형성된 연결레버 가이드 레일(760)을 따라 가이드된다. 제2레버 보스(326)는 제2레버(330)에 형성된 제2레버 보스 결합홈(333)에 결합되어 제2레버(330)를 작동시킨다.
제2레버(330)는 순차적으로 제2레버 힌지(331), 제3디스크캠(314c), 제2레버 보스 결합홈(333), 제2레버 가이드(334), 제2디스크캠(314b)을 구비한다. 제2레버 힌지(331)는 제2레버(330)의 회동 중심이 된다. 제2레버 가이드(334)는 메인데크 커버(700)에 형성된 제2레버 가이드 레일(770)을 따라 가이드된다.
가압레버(400)는 순차적으로 가압레버 캠(410), 가압레버 힌지(430), 디스크 접촉면(440)을 구비한다. 가압레버 캠(410)은 슬라이드 레버(200)에 형성된 가압레버 캠 레일(210)에 의하여 가압레버 힌지(430)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가압레버 캠(410)은 참조부호 420의 탄성부재 고정부에 결합된 탄성부재(900b)에 의하여 디스크(800) 측면에 언로딩 방향의 가압력을 작용한다. 상기 가압력은 로딩 및 언로딩시에 디스크(800) 측면을 디스크캠(314)에 밀착시키고, 언로딩시에 디스크(800)를 슬롯 방향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척킹 후에는 가압레버 캠 레일(210)에 의하여 가압레버 캠(410)이 밀려서 가압레버(400)가 디스크(800) 측면에서 도피되므로, 디스크(800)는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다.
메인데크(100)의 상부에는 메인데크 커버(700)가 조립된다. 서브데크(500)에는 스핀들모터와 일체로 조립된 턴테이블(530) 및 픽업(520)이 장착된다. 턴테이블(530)은 스핀들모터 회전축(531)에 결합되며, 픽업(520)은 피딩모터(510)와 연결된 리드스크류(511)에 의하여 디스크(800)의 내주 및 외주를 왕복한다. 턴테이블(530)의 상부에는 디스크(800) 내주를 척킹하기 위한 척킹부재(532)가 마련된다. 서브데크(500)의 일 측부는 서브데크 브라켓(600)에 의하여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게 메인데크(100)에 결합된다. 서브데크 브라켓(600)은 판스프링(61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메인데크(100)에 결합된다. 슬라이드 레버(200)가 로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슬라이드 레버(200)에 형성된 척킹캠 레일(240)이 슬라이딩된다. 척킹캠 레일(240)을 따라 척킹캠(640)이 가이드된다. 척킹캠 레일(240)에는 척킹캠(640)의 도입을 위한 참조부호 C1의 도입부, 서브데크(500)를 척킹 위치로 상승시키는 참조부호 C2의 척킹부, 디스크(800)가 척킹된 후 서브데크(500)를 안착위치로 하강시키는 참조부호 C3의 안착부가 형성된다.
서브데크 브라켓(600)과 서브데크(500)의 결합부에는 댐퍼(540a)가 개재되어 서브데크(500)의 진동을 댐핑시키고, 외부에서 서브데크(500)로 유입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서브데크 브라켓(600)의 자체 탄성 및 서브데크 브라켓(600)과 메인데크(100)를 결합시키는 판스프링(610)의 탄성에 의하여 서브데크(500)는 적절한 탄성을 가지며 메인데크(100)에 결합된다. 서브데크(500)의 타 측부에도 댐퍼(540b)가 개재되고, 이는 적절한 댐핑을 제공하며 서브데크(500)와 메인데크(100)를 결합시킨다.
메인데크(100)에는 언척킹시에 척킹된 디스크(800)의 분리를 돕는 언척킹 핀(95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데크(500)가 하강되면, 언척킹 핀(950)이 디스크(800)를 상측으로 눌러서 디스크(800)를 언척킹시킨다.
메인데크(100)는 적어도 일부분에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기기 장치가 저장매체로 사용되는 캠코더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그 디자인 설계시에 다양한 창작 자유도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롯 인 방식의 광기기 장 치는, 장구 형상의 디스크캠으로 디스크를 삽입 또는 취출시키므로 컴팩트한 구조로 된 로딩 및 척킹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고, 서브데크 브라켓과 댐퍼에 의하여 서브데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충분한 댐핑을 확보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안정적이며, 디스크캠이 디스크 측면을 국부적으로 이동하는 공간 절약적인 구조의 메인데크로 인하여 라운드 형상의 미려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슬롯으로 유입된 디스크의 측면을 밀어서 턴테이블과 동중심되는 위치로 로딩시키는 디스크캠을 구비하는 로딩유니트;
    상기 로딩된 디스크를 상기 턴테이블에 척킹시키며, 이를 지지하는 척킹유니트;
    상기 로딩 및 척킹유니트를 구동원에 연결시키며,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디스크를 로딩 후 척킹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디스크를 언척킹 후 상기 슬롯 방향으로 언로딩시키는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구동유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캠은,
    장구 형상으로서 디스크 측면에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디스크의 로딩 및 척킹시에 상기 디스크 측면에 접촉 간섭되고, 상기 디스크의 척킹 후에는 상기 디스크 측면에서 도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니트는,
    상기 언로딩 방향으로 상기 디스크 측면에 탄성력을 부여하되, 상기 디스크 의 척킹 후에는 상기 디스크 측면에서 도피되는 가압레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캠이 상기 디스크의 로딩 전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가압레버가 상기 디스크 측면을 밀어서 언로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니트는,
    메인데크 커버의 힌지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힌지핀을 회동 중심으로 하며, 상기 슬라이드 레버의 로딩캠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로딩캠에 의하여 슬라이딩 및 회동되고, 상기 디스크의 일 측면에서 상기 메인데크 커버의 제1디스크캠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디스크캠이 구비되는 제1레버;
    메인데크에 고정된 제2레버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디스크의 타 측면에 위치되는 제2 및 제3디스크캠이 마련되는 제2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니트는,
    연결레버 힌지를 회동 중심으로 하며, 일측에는 상기 제1레버에 마련된 후크와 접촉되는 제1레버 보스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레버가 결합되는 연결레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레버는, 상기 디스크의 로딩시에 상기 후크가 상기 제1레버 보스를 밀어서 작동되고, 상기 디스크의 척킹 후에는 상기 후크가 상기 제1레버 보스로부터 도피되면서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로딩 전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기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유니트는,
    척킹부재를 구비한 턴테이블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서브데크;
    상기 슬라이드 레버에 형성된 척킹캠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척킹캠에 의하여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게, 상기 서브데크를 메인데크에 결합시키는 서브데크 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데크의 승강 또는 하강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가 척킹 또는 언척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데크는,
    상기 서브데크의 하강시에 상기 디스크를 언척킹시키는 언척킹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기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데크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상기 서브데크 브라켓 및 복수의 댐퍼에 의하여 상기 메인데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기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데크는, 적어도 일부분의 측면에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기 장치.
KR1020050043157A 2005-05-23 2005-05-23 광기기 장치 KR100618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157A KR100618785B1 (ko) 2005-05-23 2005-05-23 광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157A KR100618785B1 (ko) 2005-05-23 2005-05-23 광기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8785B1 true KR100618785B1 (ko) 2006-09-06

Family

ID=3762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157A KR100618785B1 (ko) 2005-05-23 2005-05-23 광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7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914A (ko) * 1998-08-26 2000-03-15 구자홍 기록매체 재생장치
KR20040062097A (ko) * 2002-12-31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방진장치
JP2004362633A (ja) 2003-06-02 2004-12-24 Teac Corp 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914A (ko) * 1998-08-26 2000-03-15 구자홍 기록매체 재생장치
KR20040062097A (ko) * 2002-12-31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방진장치
JP2004362633A (ja) 2003-06-02 2004-12-24 Teac Corp ディス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6661B2 (ja) 光機器装置
US7730502B2 (en) Disc changer having disc discharge mechanism
JP2007220277A (ja) 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932647B1 (ko) 디스크 취출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광디스크 장치
KR100854079B1 (ko) 광기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32650B1 (ko) 광디스크 장치
KR100618785B1 (ko) 광기기 장치
KR100260470B1 (ko) 디스크 드라이브용 얇은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셔터암을 가진디스크 장치
JP3822621B2 (ja) ディスク装置
JP4529800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525471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487860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612771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9980064565A (ko) 디스크 트레이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를 상승하도록 조작부재에의해 작동되는 카트리지 상승부재를 가진 디스크 장치
JP3842095B2 (ja) 情報記録媒体再生装置
JP4219072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422901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710688B2 (ja) ディスク装置
JP524620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596803B2 (ja) 情報記録媒体駆動装置
JP3717677B2 (ja) 情報記録媒体駆動装置
KR100486509B1 (ko) 광디스크 고정장치
JP4283865B2 (ja) ディスク装置
KR101319934B1 (ko) 디스크드라이브의 디스크 로딩장치
JPWO2005057571A1 (ja) シャッタ開閉装置、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