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132B1 -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 - Google Patents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132B1
KR100618132B1 KR1020050001985A KR20050001985A KR100618132B1 KR 100618132 B1 KR100618132 B1 KR 100618132B1 KR 1020050001985 A KR1020050001985 A KR 1020050001985A KR 20050001985 A KR20050001985 A KR 20050001985A KR 100618132 B1 KR100618132 B1 KR 10061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plate
flange
combustion
contro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516A (ko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102005000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1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8Metals or alloys, e.g. oligodynamic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ent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練燒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통된 직육면체의 연소실을 갖추고 연소실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후렌지를 구비하되, 전방의 후렌지에는 버너(BURNER)와 연돌(煙突)을 장착하고, 후방의 후렌지에는 마감판을 장착 하므로서 밀폐시킨채 연소실 내부에는 연소개스의 흐름을 유도하게 하기위한 이동식 안내판을 삽입한 연소실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구조는 연소실 내부에 카본이 퇴적되는 것을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게하여 열전달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한 연소실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5001124984-pat00001
연소실(2), 버너(3), 연돌(4), 마감판(5), 이동식안내판(6)

Description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COMBUSTION CHAM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연소개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 4의 설명도.
도 6은 연소개스의 흐름을 유도 하기위한 이동식 안내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4에서 도 6 내지 도 7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9는 카본제거를 용이하게 하기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않은 일반적인 연소실을 설명 하기위한 참고도.
본 발명은,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練燒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통된 직육면체의 연소실을 갖추고 연소실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후렌지를 구비하되, 전방의 후렌지에는 버너(BURNER)와 연돌(煙突)을 장착하고, 후방의 후렌지에는 마감판을 장착 하므로서 밀폐시킨채 연소실 내부에는 연소개스의 흐름을 유도하게 하기위한 이동식 안내판을 삽입한 연소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소실은 연료를 공급하는 버너와, 공급된 연료를 연소 시키기 위한 공간인 연소실과, 연소된 개스를 배출 해내기위한 연돌로 구성 되어지는데 이때, 연소실의 내부에는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카본이 퇴적되게 마련이고 퇴적된 상기 카본층은 단열효과를 나타내게 되며, 열전달력을 약 50% 정도로 경감 시키는 동시에, 연소실의 급격한 연비저하를 초래하게 되며, 연소실 내부에서 발생시킨 열량을 연소실 외부로 전달 시키지 못하게 하는 비 효율성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었던 것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성된 카본이 퇴적 되어있는 상태대로 운전을 하고있는 현실이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번호 10-2004-0048731로써, 이미 출원된 바 있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멸치자숙기는 이러한 기존 타입의 연소실을 구비한채 멸치를 자숙 하기위해 발명 되었으며, 실제로 여러 현장에서 탁월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지난번 출원한것에 더하여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練燒室)을 구비하게 하므로서 연소효율을 더욱 높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자숙기를 추가로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더하여, 연소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연소실내에 카본이 퇴적되어서 연소효율이 낮아지게 될때마다 신속히 연소실을 분해하여 퇴적된 카본을 용이하게 제거 하므로서 높은 연소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실내에 카본이 퇴적되어서 연소효율이 낮아지게 될때마다 신속히 연소실을 분해하여 퇴적된 카본을 용이하게 제거 하므로서 연소효율을 더욱 높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연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한,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및 도2, 3, 4 를 참조하면,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은
관통된 직육면체의 연소실(2)과, 버너(3)와, 연돌(4)과, 마감판(5)과, 이동식 안내판(6)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된 직육면체의 연소실(2)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의 금속재로서 상기 관통된 직육면체의 연소실(2)의 일측 끝단에는 전방후렌지(21)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관통된 직육면체의 연소실(2)의 일측 끝단에는 후방후렌지(22)가 구비된다.
상기 관통된 직육면체의 연소실(2)는 가열시키려는 액체(100)를 수납한채 무엇인가를 삶아내게 하기위한 자숙통(200)의 하측면에 위치한채 상기 자숙통(200)과는 일정한 거리가 이격된 상태가 유지 되도록 배치한 후 용접결합 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전방후렌지(21)와 후방후렌지(22)는 상기 자숙통(200)의 외부로 돌출 되어진다.
상기 전방후렌지(21)에 대응한 상대 후렌지는 일측단에 버너(3)가 취부되어 고정결합 되어있으며, 또한 일측단에는 연돌(4)이 취부되어 고정결합 된다.
상기 연돌(4)은 판상의 금속재로서 만들어지며 상기 연돌(4)의 단면은 도 4에서 직사각형으로 도시 되어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단면의 형상은 정사각형 혹은 원형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후방후렌지(22)에 대응한 상대 후렌지는 판상의 금속재로서 전체면이 막혀진 상기 마감판(5)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통된 직육면체의 연소실(2)의 내부에는 연소개스의 흐름을 유도하게 하기위한 상기 이동식 안내판 (6)이 장착되어 지는데 상기 이동식 안내판(6)은 도 5, 도 6, 도 7에서 보여지듯 상기 관통된 직육면체의 연소실(2)의 내부를 제 1연소실(61)과, 제 2연소실(62)로 양분 하기위한 중앙분리판(63)과, 상기 버너(3)에서 발생된 연소개스가 상기 제 1연소실(61)을 경유하여 원활하게 상기 제 2연소실(62)에 도달케 하기위한 방향조절판(64)과, 상기 제 2연소실(62)에 이르른 연소개스가 연돌(4)을 향하여 이동하되, 너무 신속하게 통과하지 못하게 하기위한 속도제어판(65)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분리판(63),방향조절판(64),속도제어판(65) 들은 각각 간격유지용 보강재(66)에 의하여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조절판(64)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손잡이(67)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전방후렌지(21)와 후방후렌지(22)에 대응한 상대 후렌지들을 제거한 후 상기 이동식 안내판(6)을 꺼내기만 하면 상기 관통된 직육면체의 연소실(2)의 내부를 매우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바람직한 장치가 되는 것이다.
즉, 전기한 예에서의 특허출원 10-2004-0048731호 등의 기술은 연소실이 고정장착 되어있으므로 인하여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카본이 연소실의 내부에 퇴적되게 마련이며, 그결과 연소효율이 급격히 떨어진채 운전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나
본 발명에 의한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은 상기 연소실(2)의 내부를 주기적으로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음으로서 경제적인 연소실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연소실을 주기적으로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서 연소실 내에 카본의 퇴적을 막을수 있는것이며,
그 결과, 연소실 내에서 발생된 열량을 연소실 외부로 최대한 많이 전달 시키게 하여 자숙시간을 단축시키고, 연료소모량의 절감으로 인한 높은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양측 끝단에 전방후렌지(21)및 후방후렌지(22)를 구비한 관통된 직육면체의 연소실(2)과,
    상기 전방후렌지(21)에 대응한 상대 후렌지에는 일측에 버너(3)가 취부되어 고정결합 되어있으며, 또한 일측에는 연돌(4)이 취부되어 고정결합 되고,
    상기 후방후렌지(22)에 대응한 상대 후렌지는 판상의 금속재로서 전체면이 막혀진 마감판(5)을 장착 하므로서 상기 연소실(2)을 밀폐시킨 구조를 갖으며,
    상기 연소실(2)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된 직육면체의 연소실(2)의 내부를 제 1연소실(61)과, 제 2연소실(62)로 양분 하기위한 중앙분리판(63)과, 상기 버너(3)에서 발생된 연소개스가 상기 제 1연소실(61)을 경유하여 원활하게 상기 제 2연소실(62)에 도달케 하기위한 방향조절판(64)과, 상기 제 2연소실(62)에 이르른 연소개스가 연돌(4)을 향하여 이동하되, 너무 신속하게 통과하지 못하게 하기위한 속도제어판(65)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분리판(63),방향조절판(64),속도제어판(65) 들은 각각 간격유지용 보강재(66)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며 상기 방향조절판(64)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손잡이(67)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이동식 안내판(6)을 구비 하므로서,
    연소실을 주기적으로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하여 연소실 내에 카본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연소실 내에서 발생된 열량을 연소실 외부로 최대한 많이 전달 시키게 하여 자숙시간을 단축시키고, 연료소모량의 절감으로 인한 높은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게 한것을 특징 으로하는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
KR1020050001985A 2005-01-10 2005-01-10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 KR100618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985A KR100618132B1 (ko) 2005-01-10 2005-01-10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985A KR100618132B1 (ko) 2005-01-10 2005-01-10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607U Division KR200382068Y1 (ko) 2005-01-10 2005-01-10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516A KR20060081516A (ko) 2006-07-13
KR100618132B1 true KR100618132B1 (ko) 2006-09-11

Family

ID=3717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985A KR100618132B1 (ko) 2005-01-10 2005-01-10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1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455U (ko) * 1973-07-05 1975-03-29
JPS5840493A (ja) * 1981-06-22 1983-03-09 ノルスク・ヒドロ・アクシエセルスカ−プ 熱交換器
KR890014033U (ko) * 1987-12-24 1989-08-10 최진민 다단계 연소실을 갖는 보일러
KR890018008U (ko) * 1988-02-22 1989-09-08 최진민 다단계 연소실을 갖는 보일러
KR900014760U (ko) * 1989-01-04 1990-08-02 김성중 온수보일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455U (ko) * 1973-07-05 1975-03-29
JPS5840493A (ja) * 1981-06-22 1983-03-09 ノルスク・ヒドロ・アクシエセルスカ−プ 熱交換器
KR890014033U (ko) * 1987-12-24 1989-08-10 최진민 다단계 연소실을 갖는 보일러
KR890018008U (ko) * 1988-02-22 1989-09-08 최진민 다단계 연소실을 갖는 보일러
KR900014760U (ko) * 1989-01-04 1990-08-02 김성중 온수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516A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5495T3 (es) Quemador para hornos alimentados con bolitas, virutas de madera, cereales y residuos vegetales en general.
EP1800767A3 (en) Sludge removal
CN200998690Y (zh) 一种矿物流体除铁装置
ES2899736T3 (es) Herramienta de limpieza de barra de aire, sistema y método
FR2958662B1 (fr) Installation pour le traitement de surface de pieces manufacturees
KR100618132B1 (ko)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
JP5203149B2 (ja) 膜分離装置
KR200382068Y1 (ko) 카본제거를 용이하게한 연소실
JP6197247B2 (ja) 熱交換器の付着物除去方法
KR101845893B1 (ko) 슬러지대응물 제거를 위한 진동충격장치
JP2008286491A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における塵埃除去方法
FI20115049L (fi) Polttokattilan arina ja polttokattila
JP6194267B2 (ja) 2次空気供給装置付きエンジン
JPWO2016208615A1 (ja) 連続式熱処理炉、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5748640B2 (ja) 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加熱炉
RU2007117274A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JP2015100907A (ja) クーラント処理装置
EP1936179A3 (en) Fuel filter
CN218853774U (zh) 一种工业炉窑烟气的湿法脱硫脱硝装置
JP4417369B2 (ja) 発電システム
JP3196079U (ja) 搬送ベルトクリーナ
CN202129258U (zh) 加湿器喷咀瓷片清洗夹具
JP5769609B2 (ja) ごみ減容化システム
KR100734184B1 (ko) 고체연료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보일러
KR101062440B1 (ko) 진동방지부를 포함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