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972B1 - T-plate for installation spring-ba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spring-bar thereby - Google Patents

T-plate for installation spring-ba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spring-bar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972B1
KR100617972B1 KR1020060027538A KR20060027538A KR100617972B1 KR 100617972 B1 KR100617972 B1 KR 100617972B1 KR 1020060027538 A KR1020060027538 A KR 1020060027538A KR 20060027538 A KR20060027538 A KR 20060027538A KR 100617972 B1 KR100617972 B1 KR 100617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ar
plate
bar
frame r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춘배
Original Assignee
에스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피씨(주) filed Critical 에스피씨(주)
Priority to KR102006002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9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9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발전기용 스테이터 프레임내에 스프링 바를 설치하기 위한 티플레이트 및 상기 티플레이트를 이용한 스프링 바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상태의 스테이터 프레임 내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스프링 바의 폭과 너비 및 프레임 링의 높이에 대응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와이어가 통과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 설치를 위한 티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 바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plate for installing a spring bar in a stator frame for a thermal power generator and a spring bar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t-plate. More specifically, the spring bar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tator frame in a horizontal state. A through plate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width of the frame ring and the height of the frame ring is formed, and the through plat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pring plate for thermal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passed through and the spring bar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스테이터, 화력발전기, 티플레이트, 스프링바 Stator, Thermal Power Generator, T-Plate, Spring Bar

Description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 설치를 위한 티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바 설치방법{T-PLATE FOR INSTALLATION SPRING-BA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SPRING-BAR THEREBY}T-PLATE FOR INSTALLATION SPRING-BA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SPRING-BAR THEREB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티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plat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티플레이트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plate of FIG. 1.

도 3은 상부가 절개된 스테이트 프레임의 내부 양측에 지그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jig is formed on both sides of an inside of a state fram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cut off,

도 4는 그에 티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t-plate is fixed thereto.

도 5는 스테이터 프레임 내부 양측에 고정된 티플레이트에 와이어가 처짐없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re is fixed to a t-plate fixed to both sides of a stator frame without sagging,

도 6은 티플레이트의 중간가로바에 의하여 형성된 관통부에 와이어가 통과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passes through a through portion formed by a middle horizontal bar of a t-plate. FIG.

도 7은 티플레이트의 중간 가로바상으로 통과된 와이어와 프레임 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고, 7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and frame ring passed over the middle horizontal bar of the t-plate,

도 8은 티플레이트의 중간 가로바상으로 통과된 와이어와 프레임 링의 평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평면도이다.8 is a partial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lanar state of the wire and the frame ring passed over the middle horizontal bar of the t-plate.

도 9는 스테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링에 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in the frame ring of the stator frame.

도 10은 와이어가 티플레이트의 하측 가로바상으로 통과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passes through a lower horizontal bar of the t-plate,

도 11은 와이어가 티플레이트의 하측 가로바상으로 통과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passes through a lower horizontal bar of a t-plate. FIG.

도 12는 프레임 링에 형성된 홈에 스프링 바의 모형블럭을 안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1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del block of a spring bar is seated in a groove formed in a frame ring,

도 13은 와이어가 티플레이트의 상측 가로바상으로 통과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FIG. 1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re passes through an upper horizontal bar of a t-plate,

도 14는 와이어가 티플레이트의 상측 가로바상으로 통과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is passed on an upper horizontal bar of a t-plate.

도 15는 프레임 링에 형성된 홈에 스프링바를 안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낸 도면이고, 1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ring bar is seat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ring,

도 16은 고정클램프를 이용하여 스프링 바를 프레임 링에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ring bar is fixed to the frame ring using a fixing clamp,

도 17은 프레임 링에 스프링 바가 용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1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ring bar is welded to a frame ring,

도 18은 티플레이트 및 지그를 제거한 스테이터 프레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는 도면이다.FIG. 1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or frame having a t-plate and a jig remov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스테이터 프레임 110: 프레임 링10: stator frame 110: frame ring

112: 홈 120: 그라인딩부112: groove 120: grinding part

30: 지그 50: 티플레이트30: jig 50: t-plate

510: 체결공 530: 슬릿510: fastener 530: slit

550: 가로바 552: 상측 가로바550: horizontal bar 552: upper horizontal bar

554: 중간 가로바 556: 하측 가로바554: middle horizontal bar 556: lower horizontal bar

70: 와이어 810: 스프링 바의 모형블럭70: wire 810: model block of spring bar

830: 고정클램프 90: 스프링 바830: clamping clamp 90: spring bar

본 발명은 화력발전기용 스테이터 프레임내에 스프링 바를 설치하기 위한 티플레이트 및 상기 티플레이트를 이용한 스프링 바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상태의 스테이터 프레임 내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스프링 바의 폭과 너비 및 프레임 링의 높이에 대응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와이어가 통과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 설치를 위한 티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 바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plate for installing a spring bar in a stator frame for a thermal power generator and a spring bar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t-plate. More specifically, the spring bar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tator frame in a horizontal state. A through plate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width of the frame ring and the height of the frame ring is formed, and the through plat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pring plate for thermal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passed through and the spring bar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화력발전기의 스테이터는 화력발전에서 발전기 터빈과 맞물려 전기를 생산하는 부분으로서, 스테이터 프레임과,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에 고정되는 코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는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 내에 진동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의 특성을 갖는 스프링 바에 의하여 고정된다.The stator of the thermal power generator is a part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engaging with a generator turbine in thermal power generation, and comprises a stator frame and a core fixed to the stator frame. And the core is fixed by a spring bar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pring to prevent vibration transmission in the stator frame.

이러한 화력발전에 사용되는 스테이터의 길이는 10m에 달하고, 특히 스테이터 내에서 코어의 축인 상기 스프링 바는 그 길이가 6m로서, 스테이터 제작시 위치에 대한 공차가 1.5mm 이내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 바의 위치결정 및 그 검사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The length of the stator used for such thermal power generation reaches 10 m, and in particular, the spring bar, which is the axis of the core in the stator, has a length of 6 m, and the tolerance for the position during stator manufacture is within 1.5 mm. In this way, the positioning of the spring bar and its inspection are very important.

상기 스프링 바를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 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공차를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을 작업장에 수직으로 세워 놓은 상태에서 작업을 행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 바의 위치를 공차없이 표시하기 위하여 일단에 추가 결합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스프링 바의 고정 위치를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링에 표시하고, 작업자가 상기 프레임 링에 표시된 부분을 리프트를 이용하여 그라인딩 작업을 행하여 상기 스프링 바가 고정될 홈을 형성한다.As a method of fixing the spring bar in the stator frame, work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tator frame is placed perpendicular to the workplace in order to minimize the tolerance. At this time, the fixed position of the spring bar is indicated on the frame ring of the stator frame by using a wire additionally coupled to one end in order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spring bar without tolerance, and the operator uses the lift on the part indicated on the frame ring. Thereby performing a grinding operation to form a groove to which the spring bar is fixed.

그리고 길이 6m에 달하는 상기 스프링 바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 올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스프링 바를 상기 프레임 링에 형성된 홈에 용접하여 고정한다.And the worker is fixed by welding the spring bar to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ring in the state of lifting the spring bar reaching 6m length using a crane.

그러나 이와 같은 스프링 바 고정방법은 스테이터 프레임을 수직으로 세워야 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바 또한 수직방향으로 세운상태에서 제작해야 하기 때문 에 작업장인 공장높이가 20m이상을 요구하고, 또한 크레인이 없는 작업장에서는 스테이터 프레임에 스프링 바를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spring bar fixing method requires the stator frame to be upright and at the same time the spring bar also needs to be manufactured in a vertical direction, requiring a factory height of 20m or more and a stator in a workshop without cra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ring bar can not be fixed to the frame.

또한 작업자가 리프트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라인딩 작업 및 용접작업을 해야함으로써, 고도의 숙력도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매우 낮아 전체적인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operator has to perform the grinding and welding work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using the lift, not only requires a high level of proficiency, but also has a problem that the overall productivity is greatly lowered due to the low workability.

그리고 스프링 바 작업 도중 스프링 바를 고정할 상기 프레임 링의 홈의 위치가 올바른지 여부 및 스프링 바가 올바르게 상기 프레임 링의 홈에 안착됐는지 여부를 확인 및 검사하기 곤란함으로써, 공차없이 상기 프레임 링에 상기 스프링 바를 고정하기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And it is difficult to check and inspect whether the groove of the frame ring to fix the spring bar is correct during spring bar operation and whether the spring bar is correctly seated in the groove of the frame ring, thereby fixing the spring bar to the frame ring without tolerance.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very difficult to do.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테이터 프레임을 수평으로 놓은 상태에서 스프링 바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높이가 20m에 달하는 작업장 및 크레인의 구비 등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테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링에 스프링 바의 고정위치를 작업 도중 수회에 걸쳐 간편하게 표시 및 검사할 수 있어 공차없이 정밀하게 상기 프레임 링에 스프링 바를 고정할 수 있는 티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바 설치방법을 제공함이 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can be easily fixed to the spring bar in a state in which the stator frame is placed horizontally, not only the need for a workshop and a crane reaching a height of 20m, but also the spring in the frame ring of the stator fra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e plate and a spring bar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fix the spring bar to the frame ring precisely without tolerance because the bar can be easily displayed and inspected several times during the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수평상태의 스테이터 프레임 내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스프링 바의 폭과 너비에 대응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 설치를 위한 티플레이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stator frame in the horizontal state, respectively installed, spring bar installation for thermal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width of the spring bar is formed Provides a tea plate for.

특히, 상기 관통부는 상기 스프링 바의 상측의 꼭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2개의 상측 관통구와, 상기 스프링 바의 하측의 꼭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2개의 하측 관통구와, 상기 2개의 상측 관통구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스테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링의 상부면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2개의 중간 관통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 설치를 위한 티플레이트를 제공한다.Particularly, the through parts may include two upper through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vertices of the spring bars, two lower through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ower vertices of the spring bars, and the two upper through holes. It provides a tee plate for installing a spring bar for thermal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sphere and formed by two intermediate through-hole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ring of the stator frame. .

또한, 상기 관통부는 세로방향의 2개의 슬릿으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슬릿의 간격은 상기 스프링 바의 폭과 대응되며, In addition, the through part is composed of two sli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pacing of the two slits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spring bar,

상부면이 스프링 바의 상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2개의 슬릿을 가로지르도록 고정설치되는 상측 가로바와, 상부면이 스프링 바의 저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2개의 슬릿을 가로지르도록 고정설치되는 하측 가로바와, 상부면이 스테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링의 상부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2개의 슬릿을 가로지르도록 고정설치되는 중간 가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용 스프링바 설치를 위한 티플레이트를 제공한다.An upper horizontal bar fixed to traverse the two slits so that an upper surface corresponds to a height of an upper surface of the spring bar, and an upper horizontal bar fixed to traverse the two slits so that an upper surface corresponds to a height of the bottom of the spring bar And a horizontal horizontal bar, and an upper horizontal bar and an intermediate horizontal bar fixedly installed to cross the two slits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ring of the stator frame. Provide a tea plate.

아울러, 수평상태의 스테이터 프레임 내부의 양측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티플레이트를 고정설치하는 티플레이트 설치단계;In addition, a tee plate installation step of fixing the tee plate of any one of claims 1 to 3 on both sides of the stator frame in a horizontal state;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 내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된 상기 티플레이트의 관통부에 통과되어 스테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링상에 위치하는 와이어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 링에 그라인딩부를 표시하는 그라인딩부 표시단계;A grinding part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grinding part on the frame ring based on a wir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portions of the t-plate fixed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stator frame and positioned on the frame ring of the stator frame;

상기 그라인딩부의 표시에 따라 상기 프레임 링을 그라인딩하여 상기 스프링 바가 안착되는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단계;A groove forming step of grinding the frame ring according to the marking of the grinding unit to form a groove in which the spring bar is seated;

상기 프레임 링에 형성된 홈에 상기 스프링 바를 고정하는 스프링 바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 설치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thermal power generation spring bar installation method comprising a spring bar fixing step of fixing the spring bar to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ring.

그리고 상기 홈 형성단계 후 상기 홈의 저면의 높이를 상기 티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홈 검사단계, 상기 홈에 스프링 바와 폭과 높이가 동일한 모형블럭을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티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스프링 바의 설치높이를 미리 검사하는 홈 검사단계 중 1종 이상의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 설치방법을 제공한다.And a groove inspection step of inspecting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by using a wire fixed to the t plate after the groove forming step, and fixing the model plate with a spring bar having the same width and height as the spring bar. It provides a method for installing a spring bar for thermal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tep of the groove inspection step of inspec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pring bar in advance by using the wire.

이하 본 발명의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의 설치를 위한 티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 바 설치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 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a tea plate for installing the thermal power spring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pring bar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의 설치를 위한 티플레이트는 공차를 줄이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스테이터 프레임(stator frame)을 수직으로 세워 놓은 상태에서 프레임 링에 스프링 바가 고정되는 홈(groove)를 형성하지 않고, 스테이터 프레임을 수평으로 놓은 상태에서 프레임 링에 홈을 공차없이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으로 놓인 스테이터 프레임 내부의 양측에 고정설치되고, 스프링 바의 폭과 두께에 대응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에는 와이어가 통과된다.The t-plat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thermal power spring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form a groove in which the spring bar is fixed to the frame ring in a state in which the stator frame is placed vertically as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reduce the tolerance. In order to form a groove in the frame ring without the stator frame in a horizontal position, it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tator frame placed horizontally, the throug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spring bar is formed, The wire passes through the part.

여기서 일컫는 스프링 바의 폭과 두께에 대응되는 관통부란 상기 티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링에 설치하고자 하는 스프링 바의 위치 즉 스프링 바의 꼭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 공간을 말한다.Herein, the through part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spring bar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vertex of the spring bar, ie, a vertex of the spring bar, to be installed on the frame ring while the t-plate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tator frame. Refers to the penetrating space.

그리고 스테이터 프레임 내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기 티플레이트의 관통부에는 와이어가 통과되고, 상기 와이어는 중간에 처짐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한 장력이상으로 인장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와이어는 스프링 바의 폭을 나타낼 수 있도록 2줄을 사용한다.A wire passes through the through portions of the t-plates fixed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stator frame, and the wire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is tensioned with a predetermined tension or more so that deflection does not occur in the middle. This wire uses two rows to indicate the width of the spring bar.

상기 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링에 상기 스프링 바가 고정되는 홈의 위치, 그리고 상기 홈의 저면 높이 및 상기 스프링 바가 상기 홈에 안착된 경 우 상기 스프링 바의 높이를 상기 와이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검사과정까지 일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osition of the groove to which the spring bar is fixed to the frame ring using the t-plate, and the bottom height of the groove and the height of the spring bar when the spring bar is seated in the groove so that the wir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wire It is desirable to form a penetrating por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ork and to be able to perform the inspection process at o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티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티플레이트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plat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plate of FIG.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티플레이트(50)는 도 1과 같이 'T'형상의 판상으로 구성되고, 별도로 스테이터 프레임(10)의 내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지그(3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510)이 상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세로방향의 2개의 슬릿(5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슬릿(530)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는 3개의 가로바(550)가 구비된다.T plate 5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 shaped plate as shown in Figure 1, the fastening hole for fixing to the jig 30, respective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stator frame 10 separately 5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nd two slits 5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In addition, three horizontal bars 550 crossing the two slits 530 in a horizontal direction are provided.

도 3은 상부가 절개된 스테이트 프레임의 내부 양측에 지그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지그에 티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jig is formed on both sides of a state fram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cut,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t-plate is fixed to a jig.

도 3과 같이 스테이터 프레임(10) 내부의 양측에 상기 티플레이트(50)를 고정하기 위한 지그(30)가 고정되고, 상기 지그(30)에는 2개의 체결공(31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지그(30)에 형성된 체결공(310)은 미리 계산되어 설정된 위치에 머신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jig 30 for fixing the tee plate 5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tator frame 10, and two fastening holes 310 are formed in the jig 30, respectively. The fastening hole 310 formed in the jig 30 is preferably formed by a machin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et in advance.

상기 티플레이트(50)의 체결공(510) 및 상기 지그(30)의 체결공(310)에 관통 되는 볼트 및 너트 등의 고정부재(350)에 의하여 상기 티플레이트(50)는 도 4와 같이 상기 지그(30)에 정확한 위치로 고정된다.The tee plate 50 is fixed to the fastening hole 510 of the tee plate 50 and the fixing member 350 such as a bolt and a nut which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310 of the jig 30, as shown in FIG. 4. The jig 30 is fixed to the correct position.

그리고 상기 세로방향의 2개의 슬릿(530)의 간격(WT)은 스프링 바(도 15의 90)의 폭과 동일하거나 미소만큼 작게 형성하고, 이는 상기 프레임 링(110)의 상부면 및 측면에 그라인딩부를 간편하게 표시하고, 또한 그라인더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의 폭을 확인 및 검사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 링(110)에 그라인딩부를 공차없이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pacing W T of the two slits 5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pring bar (90 in FIG. 15),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frame ring 110. In order to easily display the grinding part and to check and inspect the width of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by the grinder, the grind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without tolerance.

그리고 상기 2개의 슬릿(530)을 외측으로 일정한 폭(WS)을 갖도록 형성한 이유는 상기 프레임 링(110)의 상부면 및 측면에 본 티플레이트(50)를 이용하여 스프링 바의 폭(WSP) 및 스프링 바(도 15의 90)가 홈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용접면을 넓게 확보하여 용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면의 폭(도 9의 WW)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two slits 530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W S to the outside is that the width W of the spring bar using the tee plate 50 on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frame ring 110. SP ) and the spring bar (90 of FIG. 15) are easily inserted into the grooves to secure the welding surface wide so that the width of the improved surface (W W of FIG. 9) for improving weldability can be displayed.

상기 3개의 가로바(550)는 도 1과 같이 상기 슬릿(530)을 통과하는 와이어(7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면이 상기 프레임 링(110)의 홈에 고정되는 스프링 바(도 15의 90)의 상부면의 높이와 대응되거나 미소만큼 높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2개의 슬릿(530)을 가로지르도록 고정 설치되는 상측 가로바 (552)와, 상부면이 상기 프레임 링(110)의 상부면의 높이와 대응되거나 미소만큼 높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2개의 슬릿(530)을 가로지르도록 고정 설치되는 중간 가로바(554)와, 상부면이 상기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도 9의 112)의 저면 높이와 대응되거나 미소만큼 높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2개의 슬릿(530)을 가로지르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측 가로바(556)로 구성된다.The three horizontal bars 550 ar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wire 70 passing through the slit 530 as shown in Figure 1, the upper surface is fixed to the groove of the frame ring 110 (bar) An upper horizontal bar 552 fixedly installed to cross the two slits 530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90 of FIG. 15 or as high as a smi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ring 110. A middle horizontal bar 554 fixed to intersect the two slits 530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The lower horizontal bar 556 is fixedly installed to cross the two slits 530 so as to correspond to the bottom height of 112 of FIG.

특히 상기 상측 가로바(552), 중간 가로바(554) 및 하측 가로바(556)는 각각 상기 프레임 링(110)의 홈에 고정되는 스프링 바(도 15의 90)의 상부면의 높이, 상기 프레임 링(110)의 상부면의 높이 및 상기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도 9의 112)의 저면 높이 보다 미소 만큼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스프링 바(도 15의 90)의 설치, 상기 프레임 링(110)에 그라인딩부 표시 및 상기 프레임 링(110)에 홈(도 9의 112)의 형성 등을 간편하게 확인, 검사 및 표시하기 위함이다.In particular, the upper horizontal bar 552, the middle horizontal bar 554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556 are respectively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bar (90 of FIG. 15) fixed to the groove of the frame ring 110,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ring 110 and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12 of FIG. 9)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is preferably formed as high as a minute, which is the height of the spring bar (90 of FIG. 15) Installation, marking the grinding portion on the frame ring 110 and the formation of a groove (112 in FIG. 9), etc. in the frame ring 110 to easily check, inspect and display.

상기 상측 가로바(552)는 상기 프레임 링(110)에 홈(도 9의 112)을 형성한 후 상기 홈(도 9의 112)에 상기 스프링 바의 모형블럭(도 12의 810) 또는 스프링 바(도 15의 9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홈(도 9의 112)이 공차없이 정밀하게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The upper horizontal bar 552 forms a groove (112 in FIG. 9) in the frame ring 110, and then a model block (810 in FIG. 12) or a spring bar of the spring bar in the groove (112 in FIG. 9). It is for confirming whether the groove (112 of FIG. 9) is precisely formed without a tolerance in the state of mounting (90 of FIG. 15).

그리고 상기 중간 가로바(554)는 상기 프레임 링(110)에 홈(도 9의 112)을 형성하기 전, 즉 상기 프레임 링(110)에 그라인딩 작업을 하기 전에 상기 프레임 링(110)의 상부면 및 측면에 그라인딩 작업을 행할 위치 즉 폭 및 높이를 자 등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And the middle horizontal bar 554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ring 110 before forming a groove (112 in FIG. 9) in the frame ring 110, that is, before grinding the frame ring 110 And a position on which the grinding operation is to be performed on the side surface, ie, a width and a height, using a ruler or the like.

또한, 상기 하측 가로바(556)는 상기 프레임 링(110)에 그라인딩 작업 중 또는 그라인딩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도 9의 112)의 저면 높이 및 폭이 공차없이 그라인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 및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위의 상기 가로바(550)의 기능은 후술되는 스프링 바 설치방법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In addition, the lower horizontal bar 556 is the grinding of the bottom ring height and width of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112 of FIG. 9) during or during the grinding operation on the frame ring 110 without tolerance To check and check whether the The function of the horizontal bar 550 abov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y the spring bar installation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티플레이트(50)를 이용할 경우 수평상태로 놓인 스테이터 프레임(10)의 프레임 링(110)에 그라인딩 부의 위치를 간편하고 정밀하게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프레임 링(110)에 홈을 형성한 경우 형성된 홈의 높이, 폭 및 기울기 등을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에 스프링 바의 모형블럭을 안착한 상태에서 모형 블럭의 높이가 정위치에 있는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등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홈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성이 대폭 향상된 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t-plat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portion on the frame ring 110 of the stator frame 10 placed in the horizontal state can be displayed simply and precisely, and the frame ring 110 When the groove is formed, not only the height, width, and inclination of the formed groove can be precisely inspected, but also the height of the model block is set in the correct position while the model block of the spring bar is seat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The groove can be formed by a simple method, such as whether it is easy to check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workability.

다음으로 본 발명의 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화력발전기용 스프링 바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installing a spring bar for a thermal power generator using the t-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화력발전기용 스프링 바 설치방법은 크게 티플레이트 설치단계, 그라인딩부 표시단계, 홈 형성단계 및 스프링 바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pring bar installation method for the thermal p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t-plate installation step, a grinding part display step, a groove forming step and a spring bar fixing step.

먼저 상기 티플레이트 설치단계는 도 4와 같이 상기 티플레이트(50)를 수평상태의 스테이터 프레임(10) 내부의 양측에 고정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상기 티플레이트(50)는 스프링 바의 폭과 너비 및 프레임 링(110)의 높이에 대응되는 관통부가 형성된 구조이면 족하나,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은 티플레이트(5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t-plate installation step is to fix the t-plate 50 to both sides of the stator frame 10 in a horizontal state as shown in FIG. The t-plate 50 used here is sufficient if the structure formed with a throug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width of the spring bar and the height of the frame ring 110, preferably using the t-plate 50 as shown in FIG. It is desirable to.

상기 티플레이트(50)는 도 3과 같이 미리 스테이터 프레임(10) 내부의 양측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머신에 의하여 가공된 지그(30)에 고정설치하여, 상기 티플레이트(50)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기 티플레이트(50)의 위치를 정밀하게 고정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plate 50 is fixed to the jig 30 processed by the machine in a state that is fixed to both sides in the stator frame 10 in advance as shown in Figure 3, it is required to install the t-plate 50 Minimizing time and at the same time it is desirable to precisely install the position of the t-plate 50.

그리고 상기 그라인딩부 표시단계는 스테이터 프레임(10) 내부에 형성된 프레임 링(110)에 그라인딩하기 위한 부분을 정확히 표시하기 위한 단계이다. The grinding unit display step is a step for accurately displaying a portion for grinding on the frame ring 110 formed in the stator frame 10.

도 5는 스테이터 프레임 내부 양측에 고정된 티플레이트에 와이어가 처짐없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티플레이트의 중간가로바에 의하여 형성된 관통부에 와이어가 통과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is fixed to a t-plate fixed to both sides of a stator frame without sagging, and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passes through a penetrating portion formed by a middle horizontal bar of the t-plate. Drawing.

상기 티플레이트 설치단계에서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10) 내부의 양측에 고정설치된 상기 티플레이트(50)의 중간 가로바(554)에 의하여 형성된 관통부에 도 5 및 도 6과 같이 와이어(70)를 통과시키고, 통과된 와이어(70)에 처짐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한 장력이상으로 인장한 상태로 고정한다.Passing through the wire 70 as shown in Figs. 5 and 6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formed by the middle horizontal bar 554 of the tee plate 50 fixed to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stator frame 10 in the tee plate installation step And it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is more than a certain tension so that the sag phenomenon does not occur in the passed wire (70).

도 7은 티플레이트(50)의 중간 가로바(554)상으로 통과된 와이어(70)와 프레임 링(1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고, 도 8은 티플레이트(50)의 중간 가로바(554)상으로 통과된 와이어(70)와 프레임 링(110)의 평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평면도이다.FIG. 7 is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70 and the frame ring 110 passed over the middle horizontal bar 554 of the t plate 50, and FIG. 8 is a middle horizontal bar of the t plate 50. A partial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lanar state of the wire 70 and the frame ring 110 passed over the 554.

상기 티플레이트(50)의 중간 가로바(554)의 상부면의 높이는 도 7과 같이 상기 프레임 링(110)의 상부면보다 일정 높이(HF)만큼 높이 위치함에 따라 상기 중간 가로바(554) 상부면을 고정점으로 하여 고정되는 상기 와이어(70)는 상기 프레임 링(110)의 상부면 보다 일정 높이만큼 높이 위치하게 된다.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horizontal bar 554 of the t-plate 50 is locat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ring 110 by a predetermined height H F as shown in FIG. The wire 70 fixed with a surface as a fixed point is positioned higher by a predetermined height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ring 110.

작업자는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 링(110)의 상측에 위치한 와이어(70)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 링(110)의 상부면 및 측면에 정밀하게 그라인딩하고자 하는 부분 즉 그라인딩(120)부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자를 이용하면 더욱 간편하고 정확하게 상기 프레임 링(110)에 그라인딩부(120)를 표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operator may display a part that is to be precisely ground on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frame ring 110, that is, the grinding 120 par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wire 70 positioned above the frame ring 110. It is. In this case, using a ruler capable of measuring the length, the grinding unit 120 may be displayed on the frame ring 110 more easily and accurately.

한편, 상기 와이어(70)를 상기 티플레이트(50)의 중간 가로바(554)의 관통부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링(110)의 상부면 및 측면에 표시할 뿐만 아니라 도 8과 같이 상기 티플레이트(50)의 중간 가로바(554)의 관통부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링(110)의 상부면 및 측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스프링 바를 상기 프레임 링(110)에 용접시 용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계선면을 용이하게 표시하여 그라인딩하기 위한 것이다. Meanwhile, the wire 70 is not only displayed on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frame ring 110 in a state where the wire 70 is fix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of the middle horizontal bar 554 of the t-plate 50, but also shown in FIG. 8.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ring 110 may be displayed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middle horizontal bar 554. This is for easily displaying and grinding the mooring surface in order to improve weldability when welding the spring bar to the frame ring 110.

따라서, 상기 그라인딩부(120)는 스프링 바가 고정되는 부분을 표시한 부분, 그리고 상기 스프링 바를 상기 프레임 링(110)에 용접면을 확대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계선면을 표시한 부분을 포함한다.Therefore, the grinding part 120 includes a portion indicating a portion where the spring bar is fixed, and a portion indicating the mooring surface to securely fix the spring bar to the frame ring 110 by expanding the welding surface. .

도 9는 스테이터 프레임(10)의 프레임 링(110)에 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groove is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of the stator frame 10.

다음으로, 홈 형성단계는 상기 그라인딩부(120)의 표시에 따라 상기 프레임 링(110)을 그라인딩하여 상기 스프링 바가 안착되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이다.Next, the groove forming step is a step of forming the groove in which the spring bar is seated by grinding the frame ring 110 according to the marking of the grinding unit 120.

이때 상기 홈은 상기 프레임 링(110)에 고정되는 상기 스프링 바의 폭 및 높이에 대응되는 홈(112)과, 상기 스프링 바를 상기 프레임 링(11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개선면(114)을 일컫는다.In this case, the groove has a groove 112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height of the spring bar fixed to the frame ring 110 and an improvement surface 114 for firmly fixing the spring bar to the frame ring 110. It is called.

상기 프레임 링(110)에 도 9와 같이 홈(112)(114)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그라인더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나, 특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a method of forming the grooves 112 and 114 in the frame ring 110 as shown in FIG. 9, a grinder is generally used,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또한 보다 공차없이 정밀한 상기 홈(112)(114)을 상기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형성하기 위해 홈 검사단계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groove inspection step in order to form the grooves 112 and 114 more precisely without tolerance using the grinder.

도 10은 와이어(70)가 티플레이트(50)의 하측 가로바(556)상으로 통과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와이어(70)가 티플레이트(50)의 하측 가로바(556)상으로 통과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 70 is passed on the lower horizontal bar 556 of the t-plate 50, and FIG. 11 is a lower horizontal bar of the t-plate 50 (FIG. 11). 55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passed through.

2개의 와이어(70)를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티플레이트(50)의 하측 가로바(556)상으로 통과시켜 일정한 장력이상으로 인장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112)의 면과 상기 와이어(70)의 높이차(HG)가 미리 체크한 높이차와 일정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홈(112)의 면의 높이가 정확히 그라인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상기 스프링 바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위치하는 상기 2개의 와이어(70)의 폭과 개선면의 폭을 제외한 상기 홈의 폭(WSP)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의 높이 및 폭을 미리 검사함으로써, 더욱 공차없이 스프링 바를 상기 프레임 링(1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10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in a state in which the two wires 70 pass through the lower horizontal bar 556 of the t-plate 50 as shown in FIG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groove 112 is ground correctly by determining whether the height difference H G of the surface of the 112 and the wire 70 is equal to the height difference checked in advance. It is preferable to check whether the width W SP of the grooves excluding the width of the two wires 70 and the width of the improvement surface that are positioned at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spring bar is identical, which is the frame ring 110. In order to check the height and width of the groove formed in advance in order to be able to fix the spring bar to the frame ring 110 without further tolerance.

도 12는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에 스프링 바의 모형블럭(810)을 안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와이어(70)가 티플레이트(50)의 상측 가로바(552)상으로 통과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와이어(70)가 티플레이트(50)의 상측 가로바(552)상으로 통과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1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del block 810 of a spring bar is seated in a groove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and FIG. 13 is an upper horizontal bar 552 of a wire 70 having a tea plate 50.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passed upwardly, and FIG. 1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wire 70 passed on the upper horizontal bar 552 of the t-plate 50 schematically.

아울러, 도 12 내지 도 14와 같이 2줄의 와이어(70)를 상기 티플레이트(50)의 상측 가로바(552)상에 각각 통과시켜 일정한 장력이상으로 인장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미리 준비한 스프링 바의 폭과 높이가 동일한 모형블럭(810)을 상기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112)에 안착하고, 상기 와이어(70)와 상기 모형블럭(810)의 높이차(HB)를 측정하여 미리 계산된 높이차와 일정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상기 2줄의 와이어(70)의 폭과 상기 스프링 바의 폭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재차 상기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112)의 폭과 너비가 공차없이 정밀하게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pring bar prepared in advance in a state in which the two wires 70 pass through the upper horizontal bar 552 of the t-plate 50 and are tensioned and fixed above a certain tension as shown in FIGS. The model block 810 having the same height and height is seated in the groove 112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and the height difference H B between the wire 70 and the model block 810 is measured and calculated in advance. The width of the groove 112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again by checking whether the height difference is equal to the height difference and the width of the two wires 70 and the width of the spring bar are the same. It is desirable to check whether the and widths are precisely formed without tolerances.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 바 고정단계는 상기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112)에 스프링 바(90)를 안착시킨 후 용접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 바(90)를 상기 프레임 링(110)에 고정하는 단계이다.Next, the step of fixing the spring bar is to secure the spring bar 90 to the frame ring 110 by welding after seating the spring bar 90 in the groove 112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to be.

도 15는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112)에 스프링 바(90)를 안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낸 도면이고, 도 16은 고정클램프(830)를 이용하여 스프링 바(90)를 프레임 링(110)에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은 프레임 링(110)에 스프링 바(90)가 용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은 티플레이트(50) 및 지그(30)를 제거한 스테이터 프레임(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pring bar 90 is seated in the groove 112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and FIG. 16 is a frame ring of the spring bar 90 using the fixing clamp 830. FIG. 1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fixing to 110, and FIG. 1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ring bar 90 is welded to the frame ring 110, and FIG. 18 is a tee plate 50 and a jig 30. It is a figure which shows schematically the stator frame 10 from which () was removed.

상기 스프링 바(90)를 도 15와 같이 상기 프레임 링(110)에 형성된 홈(112)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그 상태에서 재차 2줄의 와이어(70)를 상기 티플레이트(50)의 상측 가로바(552)상에 각각 통과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70)와 상기 스프링 바(90)의 높이차와 상기 2줄의 와이어(70) 폭과을 측정하여 상기 스프링 바(90)가 공차없이 상기 홈(112) 상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ring bar 90 is seated in the groove 112 formed in the frame ring 110 as shown in FIG.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ire 70 and the spring bar in a state in which two wires 70 are passed through the upper horizontal bar 552 of the tee plate 50 and fixed in the state. It is preferable to check whether the spring bar 90 is seated on the groove 112 without a tolerance by measuring the height difference of 90 and the width of the two wires 70.

그리고 상기 스프링 바(90)가 공차없이 상기 홈(112)상에 안착된 경우 도 16과 같이 고정클램프(830)를 이용하여 상기 스프링 바(90)를 상기 프레임 링(11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용접공정 중 상기 스프링 바(90)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when the spring bar 90 is seated on the groove 112 without tolerance, it is preferable to fix the spring bar 90 to the frame ring 110 by using the fixing clamp 830 as shown in FIG. 16. This is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spring bar 90 from being moved during the welding process.

상기 고정클램프(830)는 도 16과 같은 구조 및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스프링 바(90)를 상기 프레임 링(110)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 및 형상이면 족하다.The fixing clamp 83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and shape as shown in FIG. 16, and the fixing clamp 830 may be any structure and shape capable of fixing the spring bar 90 to the frame ring 110.

또한, 상기 스프링 바(90)를 상기 프레임 링(110)에 용접하기 전에 상기 스프링 바(90)와 상기 프레임 링(110)에 예열공정을 거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스프링 바(90)와 프레임 링(110)의 물성차이에 의하여 용접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before the spring bar 90 is welded to the frame ring 110, the spring bar 90 and the frame ring 110 may be preheated, which may be the spring bar 90 and the frame ring 110. This is to prevent the weldability from being lowered due to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of 110).

이와 같이 예열된 상기 스프링 바(90)와 상기 프레임 링(110)을 용접공정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 바(90)를 도 17과 같이 상기 프레임 링(110)에 고정하고, 그 후 도 18과 같이 상기 티플레이트(50) 및 지그(30)를 제거하면 스프링 바(90)의 설치 작업이 완료된다.The spring bar 90 and the frame ring 110 preheated as described above are fixed to the frame ring 110 as shown in FIG. 17 by the welding process. Removing the tee plate 50 and the jig 30 completes the installation of the spring bar 90.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 바(90)를 상기 프레임 링(110)에 고정할 경우 스테이터 프레임(10)이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도 공차없이 간편하게 상기 스프링 바(90)를 상기 프레임 링(110)에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링 바(90)를 상기 프레임 링(110)에 고정전에 수회에 걸쳐 그라인딩부(120), 홈(112) 및 스프링 바(90)의 위치를 확인 및 검사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하게 상기 프레임 링(110)에 상기 스프링 바(9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spring bar 90 is fixed to the frame ring 110, the spring bar 90 may be easily fixed to the frame ring 110 without tolerance even when the stator frame 10 is horizontally placed.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part 120, the groove 112, and the spring bar 90 can be checked and inspected several times before the spring bar 90 is fixed to the frame ring 110. In order to be able to fix the spring bar 90 to the frame ring 110.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티플레이트는 스프링 바의 폭과 너비 및 프레임 링의 높이에 대응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 와이어가 통과되어 고정됨으로써, 종래와 달리 스테이터 프레임을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도 스테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링에 정밀하게 그라인딩부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 링에 그라인딩 된 홈의 폭, 너비를 수회에 걸쳐 확인 및 검사할 수 있어 공차없이 스프링 바를 상기 프레임 링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ough part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width of the spring bar and the height of the frame ring, and a wire passes through the fixed part to fix the stator frame horizontally, unlike the conventional art. Not only can the grinding part be accurately displayed on the frame ring of the stator frame, but also the width and width of the grooves ground on the frame ring can be checked and inspected several times so that the spring bar can be fixed to the frame ring without tolerance. It can be effective.

그리고, 상기 티플레이트를 2개의 슬릿과, 3개의 가로바로 구성함으로써, 더욱 상기 프레임 링에 그라인딩부를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고, 또한 그라인더 작업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링에 형성된 홈의 폭 및 높이를 수회에 걸쳐 확인 및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 링에 형성된 홈에 스프링 바의 모형블록을 안착한 상태 또는 상기 프레임 링에 형성된 홈에 스프링 바를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바가 올바르게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보다 공차없이 스프링 바를 상기 프레임 링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configuring the t-plate with two slits and three horizontal bars, the grinding portion can be easily displayed on the frame ring, and the width and the height of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ring by the grinder operation are repeated several times. In addition to checking and inspecting,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spring bar is correctly positioned in a state in which the model block of the spring bar is seat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ring or the spring bar is seat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r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fixed to the frame ring without the spring bar.

한편, 본 발명의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의 설치방법을 티플레이트 설치단계, 그라인딩부 표시단계, 홈 형성단계 및 스프링 바 고정단계로 구성함으로써, 스테이터 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놓은 상태에서도 스프링 바를 공차없이 간편하게 프레임 링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by configuring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spring bar for thermal power gen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 tea plate installation step, the grinding portion display step, the groove forming step and the spring bar fixing step, even when the stator frame is 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pring bar is easily It can be fixed to the frame ring.

그리고 상기 홈 형성단계 후 상기 홈의 폭 및 너비를 검사하는 검사단계를 거침으로써, 미리 상기 프레임 링의 홈의 폭 및 너비를 검사하여 보다 공차없이 정밀하게 상기 스프링 바를 상기 프레임 링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fter the groove forming step, the width and width of the grooves are inspected. The width and width of the grooves of the frame ring may be inspected in advance to fix the spring bar to the frame ring more accurately. It works.

Claims (5)

수평상태의 스테이터 프레임 내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스프링 바의 폭과 너비 및 프레임 링의 높이에 대응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It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tator frame in the horizontal state, respectively, the through part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width of the spring bar and the height of the frame ring, 상기 관통부에는 와이어가 통과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 설치를 위한 티플레이트.Tee plate for installing a spring bar for thermal p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portion is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세로방향의 2개의 슬릿으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슬릿의 간격은 상기 스프링 바의 폭과 대응되며, According to claim 1, The through portion is composed of two sli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pacing of the two slits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spring bar, 상부면이 스프링 바의 상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2개의 슬릿을 가로지르도록 고정설치되는 상측 가로바와, 상부면이 스프링 바의 저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2개의 슬릿을 가로지르도록 고정설치되는 하측 가로바와, 상부면이 스테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링의 상부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2개의 슬릿을 가로지르도록 고정설치되는 중간 가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용 스프링바 설치를 위한 티플레이트.An upper horizontal bar fixed to traverse the two slits so that an upper surface corresponds to a height of an upper surface of the spring bar, and an upper horizontal bar fixed to traverse the two slits so that an upper surface corresponds to a height of the bottom of the spring bar And a horizontal horizontal bar, and an upper horizontal bar and an intermediate horizontal bar fixedly installed to cross the two slits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ring of the stator frame. T-plates. 수평상태의 스테이터 프레임 내부의 양측에 와이어가 통과되어 고정되는 티플레이트를 각각 고정설치하는 티플레이트 설치단계;A t-plate installation step of fixing and installing the t-plates fixed by passing wires on both sides of the stator frame in a horizontal state;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 내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된 상기 티플레이트에 통과되어 고정되는 와이어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 링에 그라인딩부를 표시하는 그라인딩 표시단계;A grinding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grinding part on the frame ring based on a wire passed through the t-plate fixed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stator frame, respectively; 상기 그라인딩부의 표시에 따라 상기 프레임 링을 그라인딩하여 상기 스프링 바가 안착되는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단계;A groove forming step of grinding the frame ring according to the marking of the grinding unit to form a groove in which the spring bar is seated; 상기 프레임 링에 형성된 홈에 상기 스프링 바를 고정하는 스프링 바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 설치방법.And a spring bar fixing step of fixing the spring bar to a groove formed in the frame r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플레이트 설치단계의 티플레이트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티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 설치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plate of the t-plate installation step is a t-plate of claim 1 or 2.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단계 후 상기 홈의 저면의 높이를 상기 티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홈 검사단계, 상기 홈에 스프링 바와 폭과 높이가 동일한 모형블럭을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티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스프링 바의 설치높이를 미리 검사하는 홈 검사단계 중 1종 이상의 검사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 설치방법.According to claim 3 or 4, After the groove forming step of the groove inspection step of inspecting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by using a wire fixed to the t-plate, a model block having the same width and height as the spring bar in the groove Method of installing a spring bar for thermal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inspection step of the groove inspection step for inspec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pring bar in advance by using a wire fixed to the t-plate in a seated state.
KR1020060027538A 2006-03-27 2006-03-27 T-plate for installation spring-ba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spring-bar thereby KR1006179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538A KR100617972B1 (en) 2006-03-27 2006-03-27 T-plate for installation spring-ba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spring-bar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538A KR100617972B1 (en) 2006-03-27 2006-03-27 T-plate for installation spring-ba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spring-bar thereb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972B1 true KR100617972B1 (en) 2006-09-05

Family

ID=3762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538A KR100617972B1 (en) 2006-03-27 2006-03-27 T-plate for installation spring-ba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spring-bar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9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8105A (en) * 2018-11-01 2019-02-12 浙江亚普自动化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handware derust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9629A (en) 1984-08-14 1986-03-11 Toshiba Corp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KR200235945Y1 (en) 2000-12-06 2001-09-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fixing stator assembly using u-pl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9629A (en) 1984-08-14 1986-03-11 Toshiba Corp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KR200235945Y1 (en) 2000-12-06 2001-09-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fixing stator assembly using u-pl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8105A (en) * 2018-11-01 2019-02-12 浙江亚普自动化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handware derus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18102B (en) Stationary fixture used for axial compression stability test of columnar bent plate
KR20150000789U (en) Apparatus for vertical support
KR100617972B1 (en) T-plate for installation spring-ba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spring-bar thereby
KR101348921B1 (en) A jig device for manufacturing a generator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enerator frame using the same
JP6623946B2 (en) Fixture for photovoltaic panel
KR100697218B1 (en) Probe block assembly for inspecting flat display panel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KR20120007432U (en) Jig for stacking lower guide using hatch cover of ship
KR100725533B1 (en) Bellmouse measurement device
KR20120007434U (en) Jig for stacking lower guide using hatch cover of ship
JP2006349549A (en) Coil end inspection device of stator
KR10178858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Frame Assembly of Semiconductor Making and Inspecting Apparatus
KR10207245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obe card head block
CN210719947U (en) Test piece deformation measurement auxiliary device in compression test
CN108772651B (en) Auxiliary tool for manufacturing large octagonal base
KR101855183B1 (en) Frame Assembly for Semiconductor Making and Inspecting Apparatus
KR20140004563U (en) A device for installing a collar plate
CN102539324A (en) Detection device used for testing welding pulling force of patch type diode
KR100625113B1 (en) Spring-bar position inspecting device for generator
JP5455389B2 (en) Grating mounting structure
JP4580853B2 (en) Shroud head structure assembly method
JP4257338B2 (en) Branch line insulator assembly tool
JP2546972B2 (en) Insertion method and equipment for stress core material of column-type underground continuous wall
KR100682518B1 (en) Tensile force test jig for catenary insulated rod
JP2011178357A (en) Platform fence installation structure and platform fence installation method
KR20140005685U (en) A jig for the deck plate section stee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