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773B1 - 알32를 함유하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 - Google Patents

알32를 함유하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773B1
KR100616773B1 KR1020050018900A KR20050018900A KR100616773B1 KR 100616773 B1 KR100616773 B1 KR 100616773B1 KR 1020050018900 A KR1020050018900 A KR 1020050018900A KR 20050018900 A KR20050018900 A KR 20050018900A KR 100616773 B1 KR100616773 B1 KR 100616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azeotropic
composition
mixed refrigeran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윤식
정혜미
Original Assignee
함윤식
정혜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윤식, 정혜미 filed Critical 함윤식
Priority to KR1020050018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5/04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and hydro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5/04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 C09K5/045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containing only fluorine as hal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be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containing more than one compon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10Components
    • C09K2205/12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24Only one single fluoro component pres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32The mixture being azeotr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압축식 냉동기 또는 공조기에서 사용되는 혼합냉매 및 이를 사용한 냉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1,1-트리플로로에탄(R143a), 프로필렌(R1270), 프로판(R290) 및 이소부탄(R600a)으로 선택되는 군 중 어느 하나와 디플로로메탄(R32)을 혼합하여 공비 및 근공비를 이루는 2원 혼합냉매와 이를 사용한 냉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냉매는 오존층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순수냉매처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냉매, 냉동기, 공조기, 혼합냉매, 지구온난화, 대체냉매, 공비, 근공비, 디플로로메탄, 1,1,1-트리플로로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이소부탄

Description

알32를 함유하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AZEOTROPIC AND NEAR AZEOTROPIC MIXED REFRIGERANT INCLUDING R32}
도 1은 비공비 혼합냉매의 온도-조성 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R32/R143a 2원 혼합냉매의 온도-조성 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R32/R1270 2원 혼합냉매의 온도-조성 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R32/R290 2원 혼합냉매의 온도-조성 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4에 따른 R32/R600a 2원 혼합냉매의 온도-조성 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일반적인 냉동/공조기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Qc: 응축기에서의 열 흐름 방향(냉매℃공기)
Qe: 증발기에서 열 흐름 방향(공기℃냉매)
TS1: 증발기 공기 입구온도, TS7: 증발기 공기 출구온도
TS3: 응축기 공기 출구온도, TS6: 응축기 공기 입구온도
Evaporator: 증발기, Compressor: 압축기
Condenser: 응축기, Expansion Valve: 팽창밸브
본 발명은 저온용 냉동고 및 수송용 냉동기, 가정용 에어컨, 상업용 칠러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2원 혼합냉매와 이를 사용한 냉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2원 혼합냉매는 1,1,1-트리플로로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그리고 이소부탄으로 선택되는 군 중 어느 하나와 디클로로메탄이 각각 적정 비율로 혼합된 것으로 공비 및 근공비성을 나타내는 것을 더욱 상세한 특징으로 한다.
냉매(Refrigerant, 이하 R이라 한다)란 냉동사이클의 작동유체로서 저온의 물체에서 열을 빼앗아 고온의 물체로 열을 운반해 주는 매체를 총칭하는 것으로, 저렴하면서도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효율이 좋은 염화불화탄소(Chlorofluorocarbon, 이하 CFC라 한다)와 수소화염화불화탄소(Hydrochlorofluorocarbon, 이하 HCFC라 한다)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CFC와 HCFC에 의한 성층권 내 오존층 파괴가 중요한 지구환경문제로 대두되었고, 이로 인해 성층권의 오존을 파괴하는 CFC와 HCFC의 생산과 사용은 1987년에 채택된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규제되고 있 다. 따라서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오존파괴지수(ODP)가 0.0인 대체냉매를 사용하려 하고 있다.
어떤 물질이 기존 냉매의 대체냉매로 유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냉매와 유사한 성능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를 가져 기존의 냉매와 유사한 냉동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기존 냉매와 유사한 증기압을 가지는 것(궁극적으로 기존의 냉매와 비슷한 체적용량을 제공할 수 있음)이 압축기 바꾸거나 크게 개조하지 않고도 냉동/공조기를 제조할 수 있어 유리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순수 물질로 기존 냉매를 대체하는 경우에는 대체냉매의 체적용량이 달라서 필연적으로 압축기를 바꾸거나 크게 개조하여야 하며 또 기존 냉매와 비슷한 성능계수를 내기가 어렵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혼합 냉매를 이용하는 것이다. 혼합냉매의 특성은 조성을 잘 배합하여 성능계수(COP)를 기존의 냉매와 비슷하게 하고 동시에 기존의 냉매와 비슷한 체적용량을 내게 할 수 있으므로, 압축기를 개조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지난 몇 년간 CFC와 HCFC의 대체물로 여러 종류의 혼합냉매가 대체냉매로 제안된 바 있다.
두 개 이상의 순수냉매를 혼합하여 혼합냉매를 만드는 경우에는 비공비 혼합냉매(Non-azeotropic refrigerant mixtures, NARMs)가 생성되거나 공비 혼합냉매(Azeotropic refrigerant mixtures, ARMs)가 생성될 수 있는데, 도 1에서 볼 수 있 듯이 비공비 혼합냉매는 순수냉매와 달리 주어진 조성에서 증발이 시작되면서(point ①) 증발온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증발이 끝날 때(point ②)까지 특정한 온도 증가를 보인다. 이 같은 현상을 온도구배(Temperature glide, TG)라 한다. 이러한 온도구배는 혼합냉매를 구성하는 순수물질의 종류와 그 조성에 따라 값이 크게 변한다. 비공비 혼합냉매의 경우 온도구배가 크면 상변화시 냉매조성이 변하므로 냉동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고, 냉동시스템에 누설이 생길 경우 증기압이 높은 냉매가 먼저 누설되어 시스템 내의 조성 분리로 인한 불균형이 생길 수 있으며 또 큰 온도 구배로 말미암아 열전달계수가 감소하여 열교환기를 크게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냉매회사들은 온도구배(TG)가 3℃이하인 근공비성 혼합냉매(Near azeotropic refrigerant mixtures)를 만들려고 한다. 예를 들면 미국의 듀퐁사와 하니웰사 등에서는 R570A라는 공비혼합냉매(50%R125/50%R143a, TG=0.0℃)와 R410A라는 근공비 혼합냉매(50%R32/50%R125, TG=0.2℃ 정도)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회사들은 이전에 R407C 등과 같은 비공비 혼합냉매도 개발하여 판매하였지만 R407C의 온도구배는 7℃나 되어 시스템에 누출이 있는 경우 조성분리현상이 생기므로 이제는 대부분 온도구배 3℃이하의 근공비 혼합냉매 만을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존층파괴지수(ODP)가 0.0이므로 성층권 내 오존층에 전혀 영향을 미치니 않으면서도 기존의 순수 냉매처럼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공비 및 근공비성 2 원 혼합 냉매와 이러한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공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1,1,1-트리플로로에탄(R143a), 프로필렌(R1270), 프로판(R290), 이소부탄(R600a)으로 선택되는 군 중 어느 하나와 디플로로메탄(R32)을 혼합하여 공비 및 근공비를 이루는 R32를 함유하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2원 혼합냉매는 디플로로메탄(R32) 40 내지 99 중량부와 1,1,1-트리플로로에탄(R143a) 1 내지 6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2원 혼합냉매는 디플로로메탄(R32) 58 내지 64 중량부와 프로필렌(R1270) 36 내지 42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2원 혼합냉매는 디플로로메탄(R32) 60 내지 68 중량부와 프로판(R290) 32 내지 4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2원 혼합냉매는 디플로로메탄(R32) 80 내지 97 중량부와 이소부탄(R600a) 3 내지 2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열거한 냉매들로 구성되는 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냉동/공조기의 작동냉매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이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과 연 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 및 이를 사용한 냉동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저온용 냉동고 및 수송용 냉동기, 가정용 에어컨, 상업용 칠러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2원 혼합냉매와 이를 사용한 냉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2원 혼합냉매는 1,1,1-트리플로로에탄(R143a), 프로필렌(R1270), 프로판(R290), 그리고 이소부탄(R600a)으로 선택되는 군 중 어느 하나와 디클로로메탄(R32)이 각각 적정 비율로 혼합되어 공비 및 근공비성을 나타내는 것을 더욱 상세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존층파괴지수(ODP)가 0.0이므로 성층권 내 오존층에 전혀 영향을 미치니 않으면서도 기존의 순수 냉매처럼 사용할 수 있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 냉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비 및 근공비성 대체 혼합냉매를 개발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냉동/공조기의 성능을 모사하는 미국 표준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에서 개발한 냉매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여러 냉매에 대해 기포가 생기는 기포점(Bubble Point)과 기체가 응축하여 이슬점을 만드는 이슬점(Dew Point)을 계산하고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냉매의 온도-조성 선도를 얻었다. 보통 PEFPROP으로 널리 알려진 Carnahan-Starling-De Santis(CSD) 냉매 상태방정식은 미국표준연구소(NIST)에서 계발한 것으로 정확성 및 적용성이 이미 입증되어 전 세계 냉동/공조 관련 유수기업, 연구소, 대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혼합냉매가 냉동/공조기용 대체냉매로서 오존파괴지수(ODP)가 반드시 0.0이어야 한다는 판단 하에 R32(Difluoromethane, 디플로로메탄), R143a (1,1,1-Trifluoroethane, 1,1,1-트리플로로에탄), R1270(Propylene, 프로필렌)과 R290(Propane, 프로판) 그리고 R600a(Iso-butane, 이소부탄)로 구성된 오존층을 파괴할 염려가 없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성표]
실시 예 조성 조성비
1 R32/R143a R32 R143a
40 ∼ 99 1 ∼ 60
2 R32/R1270 R32 R1270
58 ∼ 64 36 ∼ 42
3 R32/R290 R32 R290
60 ∼ 68 32 ∼ 40
4 R32/R600a R32 R600a
80 ∼ 97 3 ∼ 20
[표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원 혼합 냉매의 조성 및 조성비를 나타낸 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R32/R143a 2원 혼합냉매의 온도-조성 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2원 혼합냉매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2(디클로로메탄) 40 내지 99 중량부와 R143a(1,1,1-트리플로로에탄) 1내지 60 중량부로 구성된다. 도 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선도에서 선도의 위쪽 선은 혼합냉매의 각 조성에 따른 이슬점을 연결한 이슬선(dew line)이고 선도의 아래쪽 선은 혼합냉매의 각 조성에 따른 끓는점을 연결한 기포선(bubble line)이다.
R32/R143a 선도에 알 수 있듯이, R32가 40중량부를 이루는 경우 TG가 약 0.2도 이고, R32의 비율이 약 50 중량부 이후부터는 두 냉매가 공비 혹은 근소한 TG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R32/R143a 2원 혼합냉매는 R32의 조성이 40 내지 99 중량부인 경우 공비 및 근공비성 혼합냉매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R32/R1270(프로필렌) 2원 혼합냉매의 온도-조성 선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2원 혼합냉매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2 조성이 58 내지 64 중량부이고 R1270(프로필렌) 조성이 36내지 42 중량부로 구성된다. 이 경우를 R32/R1270(프로필렌) 온도-조성 선도에서 확인해 보면, R32의 조성이 58중량부이고 R1270(프로필렌) 조성이 42인 경우 TG가 약 1.5도이고, R32 조성이 약 60.1중량부이고 R1270(프로필렌) 조성이 약 39.9인 경우 공비를 이루다가, R32 조성이 64 중량부이고 R1270(프로필렌) 조성이 36인 경우 TG가 약 1.5도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R32 조성이 58 내지 64 중량부이고 R1270(프로필렌) 조성이 36내지 42 중량부로 구성될 경우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가 되는 것이다. 만일 R32의 조성이 58 중량부에 미치지 못하거나 64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TG가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이와 같은 범위에서 R32/R1270 혼합냉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냉매의 유출에 따른 조성비 변화 및 열전달계수 감소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R32/R290(프로판) 2원 혼합냉매의 온도-조성 선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2원 혼합냉매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2 조성이 60 내지 68 중량부이고 R290(프로판)의 조성이 32내지 40 중량부로 구성된다. 이 경우를 R32/R290 온도-조성 선도에서 확인해 보면, R32의 조성이 60중량부에고 R290의 조성이 40 중량부인 경우 TG가 약 3도이고, R32 조성이 약 65중량부이고 R290(프로판)의 조성이 약 35 중량부인 경우 공비를 이루다가, R32 조성이 68 중량부이고 R290(프로판)의 조성이 32 중량부인 경우 TG가 약 1.5도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R32 조성이 60 내지 68 중량부이고 R290(프로판)의 조성이 32내지 40 중량부로 구성될 경우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가 되는 것이다. 만일 R32의 조성이 60 중량부에 미치지 못하거나 68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TG가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이와 같은 범위에서 R32/R290(프로판) 혼합냉매를 사용할 경우는 상기한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크다.
[본 발명의 실시 예 4]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R32/R600a(이소부탄) 2원 혼합냉매의 온도-조성 선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 4에 따른 2원 혼합냉매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R32 조성이 80 내지 97 중량부이고 R600a(이소부탄) 조성이 3내지 20 중량부로 구성된다. 이 경우를 R32/R600a 온도-조성 선도에서 확인해 보면, R32의 조성이 80중량부에고 R600a 조성이 20인 경우 TG가 약 3도이고, R32 조성이 약 83중량부이고 R600a 조성이 약 17 중량부인 경우 공비를 이루며, 이 후 R32와 R600a는 공비 혹은 근소한 TG의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R32 조성이 80 내지 97 중량부이고 R600(부타디엔) 조성이 3내지 20 중량부로 구성될 경우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가 되는 것이다. 만일 R32의 조성이 80 중량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TG가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이와 같은 범위에서 R32/R600a 혼합냉매를 사용할 경우는 상기한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일반적인 냉동/공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공조기는 일반적으로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팽창 밸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 1내지 4에 따른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 냉매를 사용하면, 일반적인 순수냉매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냉매의 누출 등에도 불구하고 그 조성 및 열전달 계수 등의 변화가 없어 일반적인 냉동/공조기를 개조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된 용어인 냉동시스템은 냉동기/공조기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별히 구분하지 않은 이상 양자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 것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혼합냉매 및 이를 사용한 냉동시스템에 의하면 혼합냉매를 구성하는 물질의 오존층파괴지수가 0.0이므로 냉매의 유출이 있거나 냉매를 폐기하는 경우에도 지구의 오존층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냉매는 공비 및 근공비를 이루는 2원 냉매이므로 상변화에 따른 조성의 변화가 없으므로 순수 냉매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냉동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냉매 유출시의 조성 분리 현상이 방지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 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1,1,1-트리플로로에탄(143a), 프로필렌(R1270), 프로판(R290), 이소부탄(R600a)으로 선택되는 군 중 어느 하나와 디플로로메탄(R32)을 혼합하여 공비 및 근공비를 이루는 혼합냉매중에서,
    디플로로메탄(R32) 40 내지 99 중량부와 1,1,1-트리플로로에탄(143a) 1 내지 6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32를 함유하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
  3. 1,1,1-트리플로로에탄(143a), 프로필렌(R1270), 프로판(R290), 이소부탄(R600a)으로 선택되는 군 중 어느 하나와 디플로로메탄(R32)을 혼합하여 공비 및 근공비를 이루는 혼합냉매중에서,
    디플로로메탄(R32) 58 내지 64 중량부와 프로필렌(R1270) 36 내지 42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32를 함유하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50018900A 2005-03-08 2005-03-08 알32를 함유하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 KR100616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900A KR100616773B1 (ko) 2005-03-08 2005-03-08 알32를 함유하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900A KR100616773B1 (ko) 2005-03-08 2005-03-08 알32를 함유하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773B1 true KR100616773B1 (ko) 2006-08-28

Family

ID=3760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900A KR100616773B1 (ko) 2005-03-08 2005-03-08 알32를 함유하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7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520B1 (ko) * 2011-09-16 2013-08-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냉동/공조기 및 발전 플랜트용 r32/r290 혼합냉매
KR101421797B1 (ko) * 2012-07-24 2014-07-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메틸렌플로라이드와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냉동, 공조기 및 발전 플랜트용 혼합냉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520B1 (ko) * 2011-09-16 2013-08-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냉동/공조기 및 발전 플랜트용 r32/r290 혼합냉매
KR101421797B1 (ko) * 2012-07-24 2014-07-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메틸렌플로라이드와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냉동, 공조기 및 발전 플랜트용 혼합냉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8389B (zh) 一种含cf3i的低可燃或不可燃混合制冷剂
CN109971433A (zh) 一种多元混合制冷剂
CN101270275B (zh) 一种混合制冷剂
KR100492169B1 (ko) 알502와 알22 대체용 혼합냉매 및 이를 사용한 냉동시스템
KR100616773B1 (ko) 알32를 함유하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
KR100616770B1 (ko) 알32를 함유하는 근공비성 3원 혼합냉매
KR100669091B1 (ko) 근공비성 3원 혼합냉매
KR100616769B1 (ko) 알143에이를 함유하는 공비 및 근공비성 2원 혼합냉매
KR100616771B1 (ko) 근공비성 3원 혼합냉매
KR100616772B1 (ko) 근공비성 3원 혼합냉매
KR100633733B1 (ko) 근공비성 3원 혼합냉매
KR101572757B1 (ko) R32와 RC270과 R1234yf를 사용하는 3원 혼합냉매
KR100492171B1 (ko) 알502와 알22 대체용 혼합냉매 및 이를 사용한 냉동시스템
KR100540285B1 (ko) 알12 및 알22 대체용 혼합냉매 및 이를 사용한 냉동시스템
CN113046029B (zh) 一种含有氟代烯烃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540279B1 (ko) 알502와 알22 대체용 혼합냉매 및 이를 사용한 냉동시스템
KR100648412B1 (ko) 저온용 혼합냉매 조성물
KR101572758B1 (ko) R32와 RC270과 R152a를 사용하는 3원 혼합냉매
KR20220010339A (ko) 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20220010340A (ko) 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100492174B1 (ko) 알12 및 알22 대체용 혼합냉매 및 이를 사용하는 냉동시스템
KR20220010909A (ko) 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20220010908A (ko) 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100540282B1 (ko) 알502 및 알22 대체용 혼합냉매 및 이를 사용한 냉동시스템
KR100540284B1 (ko) 알12 및 알22 대체용 혼합냉매 및 이를 사용하는 냉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