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184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184B1
KR100615184B1 KR1020030076709A KR20030076709A KR100615184B1 KR 100615184 B1 KR100615184 B1 KR 100615184B1 KR 1020030076709 A KR1020030076709 A KR 1020030076709A KR 20030076709 A KR20030076709 A KR 20030076709A KR 100615184 B1 KR100615184 B1 KR 100615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emitting cells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1510A (ko
Inventor
윤차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184B1/ko
Priority to JP2004182952A priority patent/JP2005135896A/ja
Priority to US10/968,161 priority patent/US7492101B2/en
Priority to CNA2004100959749A priority patent/CN1612283A/zh
Publication of KR2005004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0Layers for protecting or enhancing the electron emission, e.g. MgO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2Fluorescent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드레스전압과 방전유지전압이 저감되고, 또한 발광효율이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의 하측에 배치된 방전유지전극쌍들;
상기 방전유지전극쌍들을 덮고 있는 상측유전층;
상기 전면기판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배면기판;
상기 배면기판의 상측에 상기 방전유지전극쌍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고 있는 하측유전층;
상기 하측유전층 상에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적색발광셀들, 녹색발광셀들, 및 청색발광셀들 중 적어도 한가지의 발광셀들 내에 배치된 CNT층; 및
상기 적색발광셀들, 녹색발광셀들, 및 청색발광셀들 내에 각각 배치된 적색발광형광층들, 녹색발광형광층들, 및 청색발광형광층들;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 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판을 도 1 의 A방향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판을 도 1 의 A방향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판을 도 1 의 A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판 11: 전면기판
12: 방전유지전극쌍 15: 상측유전층
20: 하판 21: 배면기판
22: 어드레스전극 23: 하측유전층
24: 격벽 25R: 적색발광형광층
25G: 녹색발광형광층 25B: 청색발광형광층
26: CNT층 27: CNT가 매설된 형광층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이하에서는 CNT(Carbon Nano Tube)로 칭한다)에 의하여 어드레스전압 및/또는 방전유지전압이 저감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색좌표 및/또는 발광효율이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판(10)과 하판(20)을 구비한다. 상기 상판(10)은 전면기판(11), 상기 전면기판의 하면(11a)에 형성된 방전유지전극쌍(12)들, 상기 방전유지전극쌍들을 덮고 있는 상측유전층(15), 및 상기 상측유전층을 덮고 있는 보호층(16)을 구비하고, 상기 하판(20)은 배면기판(21), 상기 배면기판의 상면(21a)에 상기 방전유지전극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어드레스전극(22)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고 있는 하측유전층(23), 상기 하측유전층 상에 형성된 격벽(24)들, 및 상기 격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발광셀 내에 도포된 형광체(25R, 25G, 25B)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는 어드레스전압과 방전유지전압을 높게 인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데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어드레스전압과 방전유지전압이 저감되고, 또한 발광효율이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의 하측에 배치된 방전유지전극쌍들;
상기 방전유지전극쌍들을 덮고 있는 상측유전층;
상기 전면기판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배면기판;
상기 배면기판의 상측에 상기 방전유지전극쌍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고 있는 하측유전층;
상기 하측유전층 상에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적색발광셀들, 녹색발광셀들, 및 청색발광셀들 중 적어도 한가지의 발광셀들 내에 배치된 CNT층; 및
상기 적색발광셀들, 녹색발광셀들, 및 청색발광셀들 내에 각각 배치된 적색발광형광층들, 녹색발광형광층들, 및 청색발광형광층들;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CNT층은 상기 하측유전층과 형광층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CNT층은 상기 형광층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특히 이 경우에는 CNT들의 적어도 일부가 CNT층의 상측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NT층은 적색발광형광층, 녹색발광형광층, 및 청색발광형광층 중 발광휘도가 가장 낮은 한 가지 또는 두 가지의 형광층이 배치된 발광셀들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NT층은 모든 발광셀들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의 하측에 배치된 방전유지전극쌍들;
상기 방전유지전극쌍들을 덮고 있는 상측유전층;
상기 전면기판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배면기판;
상기 배면기판의 상측에 상기 방전유지전극쌍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고 있는 하측유전층;
상기 하측유전층 상에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적색발광셀들, 녹색발광셀들, 및 청색발광셀들 내에 각각 배치된 적색발광형광층들, 녹색발광형광층들, 및 청색발광형광층들; 및
상기 적색발광형광층들, 녹색발광형광층들, 및 청색발광형광층들 중 적어도 한 가지의 형광층들에 매설된 CNT들;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CNT들은 적색발광형광층들, 녹색발광형광층들, 및 청색발광형광층들 중 발광휘도가 가장 낮은 한 가지 또는 두 가지의 형광층들 내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NT들은 모든 형광층들 내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CNT들의 적어도 일부는 CNT가 매설된 형광체의 상측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1 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도 전체적으로는 도 1 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판(20)은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판과 상이한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판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판(10)과 하판(20)을 구비한다. 상기 상판은 전면기판(11), 상기 전면기판의 하측, 예를 들어 전면기판의 하면(11a) 상에 배치된 방전유지전극쌍(12)들, 및 상기 방전유지전극쌍들을 덮고 있는 상측유전층(15)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유전층(15)을 덮고 있는 MgO 로 형성된 보호층(16)을 더 구비한다.
상기 하판(20)은 상기 전면기판(11)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배면기판(21), 상기 배면기판의 상측, 예를 들어 배면기판의 상면(21a) 상에 상기 방전유지전극쌍(12)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어드레스전극(22)들, 상기 어드레스전극 들을 덮고 있는 하측유전층(23), 상기 하측유전층 상에 형성된 격벽(24), 상기 격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적색발광셀들, 녹색발광셀들, 및 청색발광셀들 중 적어도 한가지의 발광셀들 내에 배치된 CNT층(26), 및 상기 적색발광셀들, 녹색발광셀들, 및 청색발광셀들 내에 각각 배치된 적색발광형광층(25R)들, 녹색발광형광층(25B)들, 및 청색발광형광층(26B)들을 구비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CNT층이 형광체층(25)과 하측유전층(23)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전면기판(11)은 유리를 주재료로 한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방전유지전극쌍(12)이라 함은 주방전을 일으키기 위하여 전면기판(11)의 하면(11a)에 형성된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들(13, 14)을 의미하고, 상기 전면기판에는 이러한 방전유지전극쌍이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 방전유지전극쌍 중 일 방전유지전극은 주사전극(13)이고, 다른 방전유지전극은 표시전극(14)이다.
상기 주사전극 및 표시전극 각각은 투명전극(13a, 14a) 및 버스전극(13b, 14b)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 투명전극 없이 버스전극 만으로 주사전극과 표시전극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투명전극(13a, 14a)은 방전을 일으킬 수 있는 도전체이면서 형광체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전면기판(11)으로 나아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재료로서는 ITO(indium tin oxide)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ITO와 같은 투명한 도전체는 일반적으로 그 저항이 크고, 따라서 투명전극으로 만 방전유지전극을 형성하면 그 길이방향으로의 전압강하가 커서 구동전력이 많이 소비되고 응답속도가 늦어지는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전극의 외측단부에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버스전극(13b, 14b)이 형성된다. 투명전극이 없는 경우에는 전면기판의 하면(11a) 상에 직접 버스전극이 형성된다.
상기 버스전극은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형성되어야 하는바, 현재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알려진 금속들은 빛에 대해 투명하지 않다. 투명하지 않은 금속으로 상기 버스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콘트라스트와 휘도를 모두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버스전극을 두 개의 층으로 형성하되, 전면기판 측에 가까운 제1버스전극층은 외광을 흡수하는 암색(暗色)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하고, 형광체에 가까운 제2버스전극층은 형광체로부터 발산되는 가시광을 반사하는 명색(明色)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한다. 여기서 암색성분이라 함은 빛에 대한 흡수도가 높은 어두운 색의 성분을 의미하고, 명색성분이라 함은 빛에 대한 반사도가 높은 밝은 색의 성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암색성분으로서는 루세늄, 코발트 등이 있고, 명색성분으로서는 은, 알루미늄, 금 등이 있다.
상기 상측유전층(15)은 주방전시 인접한 주사전극과 표시전극 간에 직접 통전되는 것과 양이온 또는 전자가 방전유지전극(12)에 직접 충돌하여 방전유지전극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전하를 유도하여 벽전하를 축적할 수 있고 또한 광투과성이 좋은 유전체로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유전체로서는 PbO, B2O3, SiO 2 등이 있다.
상기 보호층(16)은, 방전시 양이온과 전자가 상측유전층(15)에 충돌하여 상측유전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광투과성이 좋고 방전시 2차전자를 많이 방출하는 재료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통상적으로는 MgO 가 사용된다. 다만 이 보호층은 없을 수도 있는바, 예를 들면 상기 상측유전체 자체가 MgO 로 형성되는 경우가 그 일 예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배면기판(21)은 어드레스전극(22)들, 하측유전체(23)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통상적으로는 유리를 주재료로하여 형성된다.
상기 어드레스전극(22)들은 상기 주사전극(13)과 표시전극(14) 간의 주방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어드레스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방전이 일어나기 위한 전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드레스방전은 주사전극(13)과 어드레스전극(22) 간에 일어나는 방전으로서, 어드레스방전이 종료되면 주사전극 측에 양이온이 축적되고 표시전극 측에 전자가 축적되며, 이로써 주사전극과 표시전극 간의 주방전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상기 하측유전층(23)은 방전시 양이온 또는 전자가 어드레스전극(22)에 충돌하여 어드레스전극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전하를 유도할 수 있는 유전체로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유전체로서는 PbO, B2O3, SiO2 등이 있다.
상기 격벽(24)은 각 형광층(25R, 25G, 25B)이 도포되는 영역을 구획하고 발광셀들 간에 오방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 에는 격벽(24) 이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매트릭스(matrix) 형상, 벌집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셀은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의 구동단위인 1개의 픽셀을 구성하는 3개의 서브픽셀 중의 일 서브픽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격벽이 매트릭스 형상 또는 벌집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격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을 의미하고, 상기 격벽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두 개의 인접한 격벽들 및 주방전이 일어나는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발광셀들은 그 내측에 배치된 형광층이 적색발광형광층(25R), 녹색발광형광층(25G), 또는 청색발광형광층(25B)인가에 따라서 각각 적색발광셀, 녹색발광셀, 또는 청색발광셀로 구분된다. 상기 발광셀들의 내부, 즉 상판(10)과 하판(20) 사이는 방전가스(주로 Ne-Xe 혼합가스)로 충전되어 있다.
상기 적색발광셀들, 녹색발광셀들, 및 청색발광셀들 중의 적어도 한 가지의 발광셀들 내에는 CNT층(26)이 배치된다. 상기 CNT층은 CNT가 포함된 층을 의미하고, CNT는 탄소원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환형의 튜브형태를 이루고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CNT들은 전자방출특성 및 전계집중효과가 뛰어나므로, 주사전극(13)과 어드레스전극(22) 간에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보다 적은 어드레스전압을 인가하여도 어드레스방전이 일어난다. 또한 같은 이유로 인하여 상기 CNT들은 주사전극과 표시전극 간의 방전인 유지방전도 보다 적은 방전유지전압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CNT층이 배치되지 않은 발광셀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한 어드레스전압 및 방전유지전압을 CNT층이 배치된 발광셀의 전극들에 인가하면, 발광휘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NT층은 적색발광형광층(25R), 녹색발광형광층(25G), 및 청색발광형광층(25B)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형광층이 배치된 발광셀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적색발광형광층(25R), 녹색발광형광층(25G), 및 청색발광형광층(25B) 중의 어느 한 가지 형광층의 발광휘도가 형광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다른 두 가지 형광층의 발광휘도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에는, 그 발광휘도가 가장 낮은 형광층이 배치된 발광셀 내에만 상기 CNT층을 형성함으로써 그 발광셀의 발광휘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색발광형광층(25R), 녹색발광형광층(25G), 및 청색발광형광층(25B) 중의 어느 한 가지 형광층의 발광휘도가 형광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다른 두 가지 형광층의 발광휘도보다 현저히 높은 경우에는, 그 발광휘도가 가장 낮은 두 가지의 형광층이 배치된 발광셀 내에만 상기 CNT층을 형성함으로써 그 발광셀의 발광휘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적색발광형광층(25R), 녹색발광형광층(25G), 및 청색발광형광층(25B) 모두의 발광휘도가 서로 유사한 경우에는, 모든 발광셀들 내에 상기 CNT층을 형성함으로써 그 발광셀의 발광휘도를 높이거나 또는 발광셀의 전극들에 인가되는 어드레스전압과 유지방전전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CNT층(26)이 형광체층(25)과 하측유전층(23)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형광체층이 소성된 후에는 그 표면과 내부에 많은 미세한 구멍들이 형성되므로 CNT층이 형광체층의 하부에 배치되어도 전술된 CNT층의 장점이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광층은 주로 방전가스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에 의하여 여기되었다가 에너지준위가 낮아지면서 가시광선을 방출시키지만, 주위에서 공급되는 전자에 의하여 여기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CNT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에 의하여 상기 형광층의 발광휘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CNT층은, CNT들이 매설된 페이스트를 하측유전층(23)과 격벽(24)이 형성된 후에 그 위에 도포한 후 이를 건조 및 소성 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격벽까지 형성된 후에 CNT층을 형성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는 격벽의 소성온도 영향이다. 하유전층과 격벽은 형성 후에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소성온도가 550℃ 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에 CNT는 그 재료의 특성이 500℃ 이상의 온도 처리를 거치면 전계방출 특성을 거의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격벽까지의 공정이 완전히 끝난 후에 페이스트화된 CNT를 방전셀에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소성해서 CNT막을 형성해야 한다. 이 때, 소성은 형광체 소성과 같이 진행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는, 어드레스전극(22)과 주사전극(13) 간에 어드레스전압(Va)이 인가됨으로써 어드레스방전이 일어나고, 이 어드레스방전의 결과로 하측유전층(23)의 상측표면과 상측유전층(15)의 하측표면 상에 벽전하(wall charge)가 축적됨으로써 주방전이 일어날 발광셀이 선택된다.
그 후 상기 선택된 발광셀의 주사전극(13)과 표시전극(14) 사이에 방전유지전압(Vs)이 인가되면, 주사전극 상에 쌓여 있던 양이온들과 표시전극 상에 쌓여 있 던 전자들이 충돌하여 주방전을 일으키고, 이 주방전 시에 여기된 Xe의 에너지 준위가 낮아지면서 자외선이 방출된다. 그리고 이 자외선이 발광셀 내에 도포된 형광층(25R, 25G, 25B)의 형광체를 여기시키는데, 이 여기된 형광의 에너지준위가 낮아지면서 가시광이 방출되며, 이 방출된 가시광이 화상을 구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되 제1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CNT층(26)이 형광층(25) 상에 배치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CNT들이 발광셀의 방전공간에 노출되어 어드레스방전과 유지방전에 보다 많이 기여할 수 있게 되므로, 어드레스전압 및 유지방전전압이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 많이 저감된다. 특히 상기 CNT층(26)에 포함된 CNT들의 적어도 일부는 CNT층의 상측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게 되는데, 이는 CNT의 전자방출효과와 전계집중효과를 더욱더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CNT층은 불투명하고 형광체보다 어두운 색을 띠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광이 상기 CNT층에 흡수되고,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형광층(25)을 형성한 후, 그 위에 CNT층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를 참조하되 제1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발광셀 내에 별도의 CNT층이 배치되는 것이 아니고, 형광층(27) 내에 CNT들이 매설된다는 것이다. 상기 형광층은, 형광체 페이스트가 하측유전층(23) 상에 도포된 후 건조 및 소성됨으로써 형성되는바, 상기 형광체 페이스트를 제작할 때, 분말 상 태의 CNT를 혼합하여 제작한 후에, 이를 격벽 사이의 하측유전층 상에 도포하고, 이를 건조 및 소성시키면 도 4 에 도시된 CNT들이 매설된 형광층(27)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CNT 입자는 형광체 입자에 비해서 그 단위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형광체 입자간의 공극에 CNT가 위치하게 된다.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CNT들은 상기 적색발광형광층들, 녹색발광형광층들, 및 청색발광형광층들 중 한 가지, 두 가지, 또는 모든 형광층들에 매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CNT들의 적어도 일부가 발광셀의 방전공간에 노출되어 어드레스방전과 유지방전에 보다 많이 기여할 수 있게 되므로, 어드레스전압 및 유지방전전압이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 많이 저감된다. 특히 상기 CNT들의 적어도 일부는 CNT가 매설된 형광층의 상측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게 되는데, 이는 CNT의 전자방출효과와 전계집중효과를 더욱더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CNT층은 불투명하고 형광체보다 어두운 색을 띠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광이 상기 CNT층에 흡수되고,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CNT를 포함하는 CNT 페이스트를 별도로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발광셀 내에 형광층과 구별되는 별도의 CNT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비하여 공정이 간단해지고,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어드레스전압과 방전유지전압이 저감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또한 적색발광셀, 녹색발광셀, 및 청색발광셀의 발광휘도가 균일하게 됨으로써 화질이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나아가 콘트라스트가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의 하측에 배치된 방전유지전극쌍들;
    상기 방전유지전극쌍들을 덮고 있는 상측유전층;
    상기 전면기판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배면기판;
    상기 배면기판의 상측에 상기 방전유지전극쌍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고 있는 하측유전층;
    상기 하측유전층 상에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적색발광셀들, 녹색발광셀들, 및 청색발광셀들 중 적어도 한가지의 발광셀들 내에 배치된 CNT층; 및
    상기 적색발광셀들, 녹색발광셀들, 및 청색발광셀들 내에 각각 배치된 적색발광형광층들, 녹색발광형광층들, 및 청색발광형광층들;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NT층은 상기 하측유전층과 형광층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NT층은 상기 형광층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NT층에 포함된 CNT들의 적어도 일부는 CNT층의 상측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NT층은 적색발광형광층, 녹색발광형광층, 및 청색발광형광층 중 발광휘도가 가장 낮은 한 가지의 형광층이 배치된 발광셀들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NT층은 적색발광형광층, 녹색발광형광층, 및 청색발광형광층 중 발광휘도가 가장 낮은 두 가지의 형광층이 배치된 발광셀들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NT층은 모든 발광셀들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의 하측에 배치된 방전유지전극쌍들;
    상기 방전유지전극쌍들을 덮고 있는 상측유전층;
    상기 전면기판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배면기판;
    상기 배면기판의 상측에 상기 방전유지전극쌍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고 있는 하측유전층;
    상기 하측유전층 상에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적색발광셀들, 녹색발광셀들, 및 청색발광셀들 내에 각각 배치된 적색발광형광층들, 녹색발광형광층들, 및 청색발광형광층들; 및
    상기 적색발광형광층들, 녹색발광형광층들, 및 청색발광형광층들 중 적어도 한 가지의 형광층들에 매설된 CNT들;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NT들은 적색발광형광층들, 녹색발광형광층들, 및 청색발광형광층들 중 발광휘도가 가장 낮은 한 가지의 형광층들 내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NT들은 적색발광형광층들, 녹색발광형광층들, 및 청색발광형광층들 중 발광휘도가 가장 낮은 두 가지의 형광층들 내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NT들은 모든 형광층들 내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NT들의 적어도 일부는 CNT가 매설된 형광체의 상측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30076709A 2003-10-31 2003-10-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709A KR100615184B1 (ko) 2003-10-31 2003-10-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4182952A JP2005135896A (ja) 2003-10-31 2004-06-21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10/968,161 US7492101B2 (en) 2003-10-31 2004-10-20 Plasma display panel
CNA2004100959749A CN1612283A (zh) 2003-10-31 2004-10-29 等离子体显示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709A KR100615184B1 (ko) 2003-10-31 2003-10-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510A KR20050041510A (ko) 2005-05-04
KR100615184B1 true KR100615184B1 (ko) 2006-08-25

Family

ID=3454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709A KR100615184B1 (ko) 2003-10-31 2003-10-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92101B2 (ko)
JP (1) JP2005135896A (ko)
KR (1) KR100615184B1 (ko)
CN (1) CN16122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456B1 (ko) * 2004-02-05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0765B1 (ko) * 2005-11-30 2007-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97949A (ko) * 2006-03-30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738214B1 (ko) * 2006-10-26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58814B1 (ko) * 2007-01-30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39396A (ko) * 2007-10-18 200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43308A (ko) * 2007-10-29 2009-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46022A (ko) * 2007-11-05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46018A (ko) * 2007-11-05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10174084A (ja) * 2009-01-28 2010-08-12 Panasonic Corp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含有するイン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728A (ja) 1999-03-19 2000-09-29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490527B1 (ko) 2000-02-07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카본나노튜브를 채용한 2차 전자 증폭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표시 패널 및 백라이트
WO2001079362A1 (fr) 2000-04-17 2001-10-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cre pour panneau d'affichage et procede permettant de produire un panneau d'affichage a plasma au moyen de ladite encre
KR20020014480A (ko) * 2000-08-18 2002-02-25 구자홍 탄소나노튜브를 미량 혼합한 형광체
JP4102073B2 (ja) 2001-01-17 2008-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72530A (ja) 2002-03-15 2003-09-26 Toray Ind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部材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ならびに無機材料ペースト
JP3921118B2 (ja) 2002-04-04 2007-05-30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表示パネル
US20040256975A1 (en) * 2003-06-19 2004-12-23 Applied Nanotechnologies, Inc. Electrode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510A (ko) 2005-05-04
JP2005135896A (ja) 2005-05-26
CN1612283A (zh) 2005-05-04
US7492101B2 (en) 2009-02-17
US20050093450A1 (en) 2005-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18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5881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27619B1 (ko) 반사 휘도를 줄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70228959A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6003240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N1885479B (zh) 等离子体显示面板
KR10063715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93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2166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176B1 (ko) 화소 배열 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441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버스전극 형성방법 및 이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버스전극을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95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90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5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8977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27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2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3847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599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100109525A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5011279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9500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