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815B1 -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 Google Patents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815B1
KR100614815B1 KR1020040027995A KR20040027995A KR100614815B1 KR 100614815 B1 KR100614815 B1 KR 100614815B1 KR 1020040027995 A KR1020040027995 A KR 1020040027995A KR 20040027995 A KR20040027995 A KR 20040027995A KR 100614815 B1 KR100614815 B1 KR 100614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nut
wrench
jaw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9340A (ko
Inventor
임재광
Original Assignee
임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광 filed Critical 임재광
Publication of KR20040079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340A/ko
Priority to PCT/KR2004/0023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502580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8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open ja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치의 헤드부에 형성된 대향하는 턱들 중에서 하나의 턱에 이동이 가능한 이동톱니부를 형성하고 상기 턱들의 사이에 진입방지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볼트나 너트의 측면방향에서 진입하여 일방향으로만 볼트 등을 조일 수 있고 타방향으로는 볼트를 물지 못하고 헛돌게 되어 결국 볼트 등으로부터 렌치를 이탈시키지 않고 연속하여 볼트를 죄거나 풀어줄 수 있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관한 것이다.
렌치, 이동톱니부, 래칫, 연속, 개방형, 진입방지 돌기

Description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WRENCH WITH A SINGLE MOVABLE TEETH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안내홈 및 이동톱니부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너트를 죄이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일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헤드부의 7측방향 단면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일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이동톱니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9는 하강방지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서 이동톱니부가 안내홈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있어서 톱니들이 너트의 측면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있어서 톱니들이 너트의 모서리를 구속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종래의 2중의 이동식 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
1: 헤드부 2: 손잡이부
3: 좌측턱 4: 제1톱니
10: 우측턱 11: 안내홈
12,13: 걸림부 20: 이동톱니부
21: 제2톱니 26: 걸림턱
200: 헤드부 205: 진입방지 돌기
210, 220: 턱 222: 걸림부
224: 안내홈 230: 이동톱니부
본 발명은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관한 것으로 렌치의 대향하는 턱들 중의 하나에 이동톱니부를 설치하고 상기 턱들의 사이에 진입방지 돌기를 형성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볼트를 죄어주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공회전을 하는 렌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렌치를 볼트에 한 번 진입시키면 볼트를 완전히 죄어 줄 때까지 렌치를 이탈시키지 않고 연속하여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렌치의 헤드부에 진입방지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이동톱니부가 밀려들어가지 않아서 렌치의 공회전이 근본적으로 방지된다.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공구인 렌치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고정된 조오를 갖는 것이 있고, 고정식 조오를 갖는 렌치는 너트에 렌치의 조오를 진입하여 너트를 회전시킨 후 너트로부터 조오를 이탈하고 새로운 위치에서 너트에 조오를 진입시킨 후 이전의 동작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너트에 대한 렌치의 이탈 및 진입을 반복하는 것은 작업자에게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너트로부터 렌치의 이탈 및 진입을 단 한번만 수행하면 작업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칫형 렌치가 고안되었다. 래칫형 렌치는 일방향 회전만을 구속하고 반대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래칫을 설치한 행태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렌치가 고안되었다.
일예로서 폐곡선의 형상을 갖는 회전식 톱니부와 래칫을 결합하여 일방향으로만의 회전을 하용하게 구성한 래칫형 렌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폐곡선의 회전식 톱니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는 회전식 톱니부의 개구를 통하여 너트에 진입하여야 했기 때문에, 파이프의 중간에 설치된 너트 또는 작업공간에서는 끊어진 부분이 없는 파이프에 설치된 너트를 조이는 경우에는 렌치를 너트로 진입하기 곤란하거나 불가능하여 개방된 고정식 조오를 갖는 렌치를 사용하였고 따라서 작업범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량한 것으로서 이탈 및 진입을 반복할 필요가 없는 래칫형 렌치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너트로의 측방향 진입을 가능하게 한 개방된 조오를 갖는 개방형 래칫 렌치가 고안되었다.
이러한 개방형 래칫 렌치의 하나로서 2중의 이동식 톱니부를 갖는 렌치가 있다.
도 14는 종래의 2중의 이동식 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의 이동식 톱니부를 갖는 렌치는 대략 이동식 톱니부(8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82)이 형성된 헤드부(80)와 각 수용홈(82)에서 스프링(84)에 의해 탄성가능하게 지지된 이동식 톱니부(83)로 구성된다. 2중 톱니부 렌치는 너트(85)와 물린 상태에서 렌치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각각의 이동식 톱니부(83)가 걸림부(81)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너트(85)를 조이게 되고, 렌치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각각의 이동식 톱니부(83)가 수용홈(82)의 내부로 후퇴하여 렌치와 너트가 헛돌게 되고, 다시 상기 시계방향으로 렌치를 회전하여 조이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2중 톱니부 렌치는 2개의 이동식 톱니부(83)를 형성하여야 했기 때문에 렌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2개의 이동식 톱니부(83)를 설치함에 따른 렌치의 생산비용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2개의 이동식 톱니부가 모두 헤드부(80)에서 이동이 가능한 것이므로 너트(85)에 렌치를 진입시킨 상태에서 렌치에 일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나의 이동식 톱니부가 수용홈으로 후퇴하게 되고, 이동식 톱니부의 하나가 후퇴한 상태에서는 나머지 이동식 톱니부가 너트의 모서리와 물림하지 않게 되므로 조이는 작업에서 렌치가 너트를 물지 못하고 헛돌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너트에 렌치를 진입한 상태에서 2개의 이동식 톱니부들이 모두 후퇴한 경우에는 렌치의 치수보다 너트의 치수가 큰 경우에도 물림이 가능하므로, 렌치의 치수와 너트의 치수가 일치하는지 여부가 즉시에 확인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편, 렌치의 치수보다 너트의 치수가 큰 경우에 렌치를 너트에 진입하여 너트를 조이게 되면, 이동식 톱니부는 수용홈의 걸림턱에 도달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너트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수용홈의 일측에서 고정되어 버리고, 이 상태에서 너트를 계속하여 조이게 되면 수용홈의 일부가 마모되어 손상되거나 또는 렌치의 조오 자체가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개의 이동식 톱니부가 너트를 조이기 때문에 각각의 수용홈이 대칭으로 정확하게 형성되어야 2개의 이동식 톱니부가 모두 정확하게 너트를 물게 되므로, 수용홈의 형성이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수용홈의 위치가 예정된 위치를 조 금이라도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동식 톱니부와 너트의 물림이 헐거워지게 되어 톱니에 국부적으로 하중이 가해지고 따라서 톱니의 마모 및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관한 것으로 렌치의 대향하는 턱들 중의 하나에 이동톱니부를 설치하고 상기 턱들의 사이에 진입방지 돌기를 형성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볼트를 죄어주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공회전을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구를 형성하는 일측의 턱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톱니가 형성되고 타측의 턱에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는 걸림부가 구비된 안내홈이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홈에 탄성지지되며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톱니가 형성된 이동톱니부; 및 파지를 위해 상기 헤드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너트를 상기 개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이동톱니부가 위치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너트는 상기 제2톱니와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변위하고, 상기 헤드부를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이동톱니부가 이동하여 상기 너트가 상기 헤드부에 대하여 헛돌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개구에 상기 너트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2톱니는 상기 너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방향에서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구를 형성하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톱니를 갖고 안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턱이 설치되고 타측의 턱에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는 걸림부가 구비된 안내홈이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안내홈에서 탄성지지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톱니가 형성된 이동톱니부; 및 파지를 위해 상기 헤드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너트를 상기 개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이동톱니부가 위치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너트는 상기 제2톱니와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변위하고, 상기 헤드부를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이 이동톱니부가 이동하여 상기 너트가 상기 헤드부에 대하여 헛돌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이동척은 일측에 복수의 이송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톱니와 맞물려 상기 이동턱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너트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너트와 물림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과 착탈되는 헤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개구를 형성하는 일측의 턱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톱니가 형성되고 타측의 턱에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는 걸림부가 구비된 안내홈이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홈에 탄성지지되며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톱니가 형성된 이동톱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너트를 상기 개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이동톱니부가 위치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너트는 상기 제2톱니와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변위하고, 상기 헤드부를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이 이동톱니부가 이동하여 상기 너트가 상기 헤드부에 대하여 헛돌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제1톱니들이 형성된 일측의 턱 및 걸림부가 구비된 안내홈이 형성된 타측의 턱을 포함하며 상기 턱들의 사이에 개구가 형성된 헤드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에 복수의 제2톱니들이 형성된 이동톱니부; 및 상기 헤드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톱니부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안내홈에서의 소정의 범위 이내로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일측의 턱과 상기 타측의 턱의 사이에 상기 개구를 향하여 돌출한 진입방지 돌기를 구비한 것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걸림부는 상기 안내홈의 내면의 단부에서 돌출된 단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복수의 제1톱니들이 형성된 일측의 턱 및 걸림부가 구비된 안내홈이 형성된 타측의 턱을 포함하며 상기 턱들의 사이에 개구가 형성된 헤드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에 복수의 제2톱니들이 형성된 이동톱니부; 및 상기 헤드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걸림부는 상기 안내홈의 내측 일면에 형성된 구속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톱니부는 상기 구속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일측의 턱과 상기 타측의 턱의 사이에 상기 개구를 향하여 돌출한 진입방지 돌기를 구비한 것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제1톱니들을 구비하고 미끄럼 안내부를 따라 변위가 가능한 이동턱 및 상기 이동턱의 타측에 위치하며 걸림부가 구비된 안내홈이 형성된 고정턱을 포함하고 개구를 형성하는 헤드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에 복수의 제2톱니들이 형성된 이동톱니부; 및 상기 헤드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톱니부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안내홈내에서의 이동이 소정의 범위 이내로 제한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일측의 턱과 상기 타측의 턱의 사이에 상기 개구를 향하여 돌출한 진입방지 돌기를 구비한 것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진입방지 돌기는 상기 일측의 턱과 타측의 턱의 사이의 가운데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의 개구를 너트 또는 볼트의 머리에 진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너트 또는 볼트가 상기 이동톱니부의 제2톱니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닿기 이전 또는 닿는 동시에 상기 너트 또는 볼트의 모서리 중의 하나가 상기 진입방지 돌기에 닿도록 상기 진입방지 돌기가 소정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의 개구를 너트 또는 볼트에 진입시켜 상기 이동톱니부의 복수의 제2톱니들이 상기 너트 또는 볼트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일방향으로 토크를 주면 상기 이동톱니부는 상기 걸림부에 걸려서 상기 헤드부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톱니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대한 구속을 유지하여 상기 너트 또는 볼트가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헤드부에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토크를 주면 상기 너트 또는 볼트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상기 제2톱니들을 눌러서 상기 이동톱니부를 상기 안내홈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너트 또는 볼트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상기 제2톱니들을 이탈하며 상기 제2톱니들이 상기 너트 또는 볼트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구속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너트 또는 볼트는 정지상태로 있고 상기 헤드부만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탈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안내홈 및 이동톱니부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는 고정턱이 일측에 형성된 막대형의 손잡이부(2)와 손잡이부(2)의 일측으로 개구를 이루도록 좌측턱(3)과 우측턱(10)이 형성된 헤드부(1) 및 헤드부(1)의 우측턱(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이동톱니부(20)로 구성된다.
좌측턱(3)에는 내측으로 복수개의 제1톱니(4)들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턱(10)에는 이동톱니부(20)를 안내하기 위한 직선상의 사각통로인 안내홈(11)이 헤드부(1)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안내홈(11)의 단부 모서리에는 턱이진 걸림부(12, 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톱니부(20)는 일측에 복수의 제2톱니(21)들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홈(11)을 따라서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사각통로의 안내홈(11)에 들어맞는 4개의 수직한 면(25)들을 갖는다. 이동톱니부(20)의 상, 하면에는 안내홈(11)의 걸림부(12, 13)에 걸리게 되는 걸림턱(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톱니부(20)는 제2톱니(21)들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 부분이 스프링(40)에 부착되고, 이동톱니부(20)가 부착된 스프링(40)의 지지부(15)에 부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가 너트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좌측턱(3)에 형성된 제1톱니(4)들은 각 톱니(4)마다 좌측면(5)이 경사가 크고 우측면(6)은 경사가 완만하다. 또한, 우측턱(10)의 안내홈(11)에 설치된 이동톱니부(20)의 제2톱니(21)들도 마찬가지로 각 톱니(21)마다 좌측면(22)이 경사가 크고 우측면(23)은 경사가 완만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를 나타낸 일부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헤드부를 나타낸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는 좌측턱(53)이 헤드부(60)로부터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헤드부(60)의 좌측턱(52)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는 좌측턱(52)의 일측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렌치의 제1톱니(4)들과 동일한 형상의 톱니(53)들이 형성되고, 좌측턱(52)의 하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헤드부(60)의 미끄럼 안내부(62)에 결합되는 미끄럼부(54)로 이루어진다. 미끄럼부(54)의 위쪽은 이송너트(66)와 맞물려 헤드부(60)로부터 좌측턱(52)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톱니(55)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60)의 우측턱(6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치의 우측턱(10)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우측턱(61)의 반대측에는 좌측턱(52)이 설치되기 위한 미끄럼 안내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안내부(62)의 아래쪽에는 이송너트 유지홈(63)이 형성되고, 이송너트 유지홈(63)에서 이송너트(66)가 미끄럼부(54)의 이송톱니(55)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는 헤드부(100)의 체결돌기(110)와 손잡이부(120)의 체결홈(130)에 의해 헤드부(100)가 손잡이부(12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이동톱니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230)를 갖는 렌치는 헤드부(200)의 좌측으로 제1톱니들(213)을 구비한 턱(210)이 위치하고 우측으로 이동톱니부(230)가 설치된 턱(220)이 위치한다. 우측의 턱(220)에는 안내홈(224)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톱니(232)들이 형성된 이동톱니부(230)는 상기 안내홈(224)을 통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홈(224)의 내측에서 탄성지지된다. 이동톱니부(230)가 안내홈(224)의 내측에서 탄성지지되는 구조는 안내홈(224)의 내측에서 이동톱니부(230)의 후방에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이 고정피스에 의해 헤드부(220)에 고정되는 커버로 지지된다. 이동톱니부(230)는 계단과 같은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톱니부의 단턱은 안내홈(224)의 내측면의 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222)에 걸려서 구속된다.
헤드부(200)에서 좌측의 턱(210)과 우측의 턱(220)을 연결하는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좌측의 턱(210)과 우측의 턱(22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를 향하여 돌출된 진입방지 돌기(205)가 형성된다. 진입방지 돌기(205)는 너트 또는 볼트가 일정범위를 넘어서 헤드부(20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측의 턱들(210, 220) 사이의 중앙에 위치한다.
좌측의 턱(210)의 최하단에 형성된 것을 제외한 제1톱니(213)들과 우측의 턱의 이동톱니부(230)의 최하단에 형성된 것을 제외한 제2톱니(232)들의 간격은 렌치의 사용치수에 해당하는 너트의 대향한 측면들 사이의 거리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작용을 살펴본다.
렌치의 개구를 너트(30)에 진입한 상태에서 렌치를 시계방향(39)으로 회전시키면, 너트(30)의 모서리의 우측면(31)이 좌측턱(3)의 하나의 제1톱니의 좌측면(5)에 접촉하고 너트(30)의 다른 모서리의 우측면(32)이 이동톱니부(20)의 다른 제2톱니의 좌측면(22)과 접촉한다. 너트(30)의 모서리의 우측면(32)이 이동톱니부(20)의 제2톱니의 좌측면(22)을 밀어부칠때, 이동톱니부(20)는 좌측에 위치한 안내홈(11)의 걸림부(12, 13)에 걸리게 되어 반작용으로 이동톱니부(20)의 제2톱니(21)가 너트(30)에 힘을 가하여 너트(30)를 조이게 된다.
한편, 렌치를 너트로부터 이탈하지 않은 상태에서 렌치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인접한 제2톱니의 우측면(23)과 너트(30)의 모서리의 좌측면(33)이 접촉하고, 너트(30)가 제2톱니의 우측면(23)을 밀어붙이면 제2톱니는 이동톱니부(20)와 함께 안내홈(11)으로 후퇴하면서 너트(30)가 제2톱니(21)를 타고 넘어가게 되어, 너트(30)에 대하여 렌치는 공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1톱니(4) 및 제2톱니(21)들은 우측면(6, 23)의 경사가 좌측면(5, 22)의 경사에 비해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너트(30)는 시계방향으로 톱니(4, 21)들을 쉽게 타고 넘어 렌치의 공회전을 돕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제1톱니(4)는 헤드부(1)에 고정된 구조이고 제2톱니(21)는 이동톱니부(20)와 함께 헤드부(1)에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너트(30)에 렌치를 진입한 상태에서 제1톱니(4)와 너트(30)를 밀착시키고 이동톱니부(20)가 안내홈(11)의 걸림부(12, 13)에 접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면 렌치의 치수가 너트(30)의 치수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즉 이동톱니부(20)가 안내홈(11)의 걸림부(12, 13)에 접하고 있으면 렌치의 치수는 너트(30)의 치수와 동일한 것이고 접하지 못한 상태이면 너트(30)의 치수가 렌치의 치수보다 큰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는 제1톱니(4)들이 고정된 것이므로, 너트(30)에 렌치를 진입할 때에 너트(30)의 일측 모서리를 제1톱니(4)에 밀착시켜서 구속하고 너트(30)의 타측 모서리를 이동톱니부(20)의 제2톱니(21)에 물리도록 결합하면, 렌치와 너트(30)는 조이기 위한 최적의 물림상태가 된다. 따라서 최적의 물림을 찾기 위해 몇번 렌치를 흔들어주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는 이동톱니부(20)를 하나만 설치하였기 때문에 안내홈(11)의 위치를 정확하게 대칭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즉, 안내홈(11)을 2개 형성하는 것에 비해 안내홈(11)의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는 좌측턱(52)이 이동가능하여 너트의 치수에 따라 턱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치수의 너트들을 하나의 렌치로 모두 조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서는 좌측턱(52)의 이송을 위해 이송톱니(55)와 이송너트(66)가 결합되는 구성을 채택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이송볼트가 이송톱니(55)와 결합하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는 헤드부(100)가 손잡이부(120)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다양한 치수의 헤드부(100)만을 여러개 구비하면 다양한 치수의 너트에 대하여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동톱니부(20)를 구속하는 걸림부(12, 13)를 하중이 충분히 분산되도록 'ㄷ'자형으로 둘러싸며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걸림턱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동톱니부(20)가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구성을 채택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이동톱니부(20)가 탄성지지되기만 한다면 다양한 수단 예를 들면,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서는 헤드부(1)와 손잡이부(2)가 착탈 가능한 구성을 채택하고 결합을 유지하는 구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이 결합을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하강방지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서 이동톱니부가 안내홈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밀려들어가기 이전의 너트 및 이동톱니부의 상단의 위치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방지 돌기가 없는 헤드부(300)에 너트(150)를 진입한 상태에서 렌치에 힘을 주면 너트(150)가 헤드부(200)의 내측으로 계속하여 진입하면서, 너트(150)의 측면이 이동톱니부(230)의 제2톱니(232)를 안내홈(324)의 내측으로 밀어넣게 되어 제1톱니(313)들과 제2톱니(232)들 사이의 간격이 d1에서 d2로 커지게 된다. 이 때 렌치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너트(150)의 모서리는 제2톱니(232)들을 타고 넘게 되므로 너트(150)는 헤드부(300)에 위치고정되지 않으며, 렌치는 너트를 죄지 못하고 공회전을 한다.
이와 같이 헤드부에 하강방지 돌기를 형성하지 않으면 작업자가 렌치의 해드부를 너트에 정확한 깊이만큼 진입시켜야 너트를 죄지 못하는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만약 작업자가 렌치에 일정수준을 넘어서는 힘을 가하게 되면 너트가 렌치의 헤드부의 내측으로 과도하게 진입하면서 이동톱니부를 안내홈의 내측으로 밀어넣게 되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렌치의 공회전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렌치의 헤드부에 하강방지 돌기를 형성하는 이점이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있어서 톱니들이 너트의 측면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50)는 측면을 따라 개구를 통과해야 헤드부(200)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너트(150)의 모서리(156)는 진입방지 돌기(205)에 접촉하고 너트(150)의 대향하는 양측면들(152, 153)은 각각 제1톱니들(213)과 제2톱니(232)들에 접촉하고 있다. 너트(150)는 이동톱니부(230)의 제2톱니(232)들에 닿거나 또는 닿기 이전에 진입방지 돌기(205)에 걸려서 더 이상의 진입이 저지되므로 이동톱니부(230)는 안내홈(224)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렌치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너트(150)의 우측면(153)이 제2톱니(232)들에 대하여 위쪽 방향으로의 마찰력을 발생시키지만 이동톱니부(230)는 걸림부(미도시)에 걸린 상태에서 헤드부(200)에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이동톱니부(230)의 제2톱니(232)들과 좌측의 턱(210)의 제1톱니들(213)에 의해 너트(150)는 헤드부(200)와 일체로 회전하고, 너트는 죄여지게 된다.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상태에서 렌치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너트(150)의 우측면(153)이 제2톱니(232)들에 대하여 하방으로의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이동톱니 부(230)는 안내홈(224)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너트(150)의 상기 우측면(153)이 제2톱니(232)를 아래로 누르면서 너트(150)의 모서리(157)가 가장 위쪽의 제2톱니(232)를 타고 넘어가고, 이동톱니부(230)가 안내홈(224)으로 밀려들어가면서 톱니(213, 232)들 사이의 간격이 d3에서 d4로 커지게 되어 너트(150)의 좌측면의 하단의 모서리(158)는 제1톱니(213)를 타고 넘어간다. 따라서 렌치의 헤드부(200)는 너트(150)를 헤드부(200)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공회전을 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있어서 톱니들이 너트의 모서리를 구속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의 상태는 도 11의 상태에서 렌치를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킬 때에 도달되는 상태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50)의 양측의 모서리들(157, 158)이 각각 제1톱니들(213)의 사이와 제2톱니(232)들의 사이에 끼워져 구속된 상태에서는 진입방지 돌기(205)와 너트(150)의 아래쪽 측면(154) 사이에는 약간 간격이 생기지만, 이 간격은 무시할 만큼 작고 따라서 렌치를 너트의 방향으로 밀어주어도 이동톱니부(230)가 안내홈(224)의 안으로 밀려들어가는 치수 또한 무시할만큼 작다. 따라서 상기 대향하는 너트(150)의 모서리들(157, 158)은 여전히 제1톱니들(213)과 제2톱니들(232)에 의해 구속된다. 이 상태에서 렌치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너트(150)의 구속된 우측 모서리(157)가 제2톱니(232)에 대하여 상방으로 힘을 가하지만 제2톱니들(232)이 형성된 이동톱니부(230)는 걸림부(미도시)에 걸려서 헤드부(200)에 위치고정된다. 따라서 제2톱니(232)들과 제1톱니들(213) 사이의 간격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너트(150)의 구속된 모서리들(157, 158)은 상기 제2톱니들(232)과 제1톱 니들(213)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고 헤드부(20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50)의 양측의 모서리들(157, 158)이 각각 제1톱니들(213)과 제2톱니들(232)의 사이에 끼워져 구속된 상태에서 렌치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톱니들(232) 중의 하나는 상기 너트(150)의 우측의 모서리(157)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제2톱니(232)들이 형성된 이동톱니부(230)는 안내홈(224)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고, 따라서 제1톱니들(213)과 제2톱니(232)들 사이의 간격이 커지면서 너트(150)의 구속되었던 좌측의 모서리(158)가 제1톱니(213)를 타고 넘어가고 결국 너트(150)의 구속되었던 우측의 모서리(157)도 이동톱니부(230)를 누르면서 제2톱니(232)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따라서 렌치의 헤드부(200)는 너트(150)를 구속하지 못하고 공회전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렌치의 헤드부에 진입방지 돌기를 형성하면 작업자가 렌치를 너트에 진입하는 힘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진입방지 돌기기 너트의 진입거리를 제한하게 되어 이동톱니부가 안내홈으로 밀려들어가지 않게 되므로 렌치의 헤드부가 너트를 완전히 구속하는 상태가 마련되어 렌치의 공회전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렌치의 헤드부(200)에 형성된 진입방지 돌기(205)는 양측의 턱들(210, 220)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데, 이는 헤드부(200)의 너트(또는 볼트)가 헤드부(200)의 내측으로 진입할 때에 개구를 통과하기 위해 서는 너트(150)의 측면들(152, 153)이 턱들(210, 220)의 사이를 지나서 통과해야 하고 따라서 너트의 모서리(156)가 선두에서 진입한다. 따라서 진입방지 돌기(205)가 두 턱들(210, 220)의 중앙에 형성되어야 너트(150)가 진입할 깊이에 대응하는 진입방지 돌기(205)의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그 높이를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다. 진입방지 돌기(205)의 높이를 최소화 하면 너트(150)의 회전시 너트(150)와 진입방지 돌기(205)의 사이에서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작업자가 작업 중에 렌치에 힘을 주더라도 진입방지 돌기(205) 때문에 이동톱니부(230)가 안내홈(224)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지 않게 되므로, 렌치의 공회전이 근본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헤드부(200)의 진입방지 돌기(205)는 상단이 좁은 돌기의 형상을 채택하였다. 너트(205)의 아래쪽의 측면이 상기 진입방지 돌기(205)에 닿은 상태에서 렌치를 공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너트(150)가 회전하면서 이동톱니부(230)를 아래로 눌러주어야 하는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방지 돌기(205)를 형성함으로써 너트(150)가 회전하는 경우에 너트(150)의 모서리가 헤드부(200)를 기준으로 진입방지 돌기(150)의 단부보다 아래로 하강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이 마련되었다. 너트(150)의 모서리가 하강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마련하지 않으면 너트는 헤드부(200)에서 이격되고 이 경우 너트가 헤드부(200)를 이탈할 가능성이 커진다.
좌측의 턱(210)에 형성된 제1톱니들(210)의 일부와 우측의 턱(220)의 이동톱니부(230)에 형성된 제2톱니(232)들의 일부 사이의 간격이 너트(150)의 마주보는 측면들 사이의 거리와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한 것은, 제1톱니들(213)과 제2톱니(232)들이 너트(150)의 모서리를 구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너트(150)의 측면들 또한 구속할 수 있도록 하여 너트의 모든 부분을 통해서 토크를 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작업을 더욱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00)의 개구를 육각형의 너트(150)에 진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너트(150)가 상기 이동톱니부(230)의 제2톱니(232)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닿기 이전 또는 닿는 동시에 상기 너트(150)의 모서리 중의 하나가 상기 진입방지 돌기(205)에 닿아서. 상기 헤드부(200)의 더 이상의 진입이 저지되고, 따라서 상기 이동톱니부(230)가 상기 안내홈(224)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진입방지 돌기(205)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치의 안내홈(224)에 구비된 걸림부(222)는 평면인 안내홈(224)의 내면의 일단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224)의 내면을 미끄러져 이동하는 이동톱니부(230)가 단턱에 걸리는 구성을 채택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안내홈(224)의 내면의 소정의 부분에 상기 내면에서 함몰된 소정 치수의 구속홈을 형성하고 이동톱니부(230)에 상기 구속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이동톱니부(230)가 소정 위치를 넘어서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230)를 갖는 렌치에서는 안내홈(224)이 형성되지 않은 좌측의 턱을 이동턱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230)를 갖는 렌치에 서 제1톱니들이 형성된 좌측의 턱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그것과 같이 이동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230)를 갖는 렌치에서는 헤드부(200)와 손잡이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의 그것과 같이 헤드부(200)와 손잡이부를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에 따르면 너트에 헤드부의 개구가 진입한 상태에서 렌치를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이동톱니부가 너트에 힘을 가해주게 되므로, 너트를 조이거나 풀어줄 때에 너트로부터 렌치를 이탈시키지 않고도 작업을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부의 제1톱니 및 제2톱니는 각각이 우측면의 경사가 좌측면의 경사에 비해 완만하게 형성되므로 렌치가 공회전하는 것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치를 너트에 진입한 상태에서 렌치의 제1톱니와 너트를 밀착시키고 이동톱니부가 안내홈의 걸림부에 접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면 렌치의 치수가 너트의 치수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쉽게 확인되므로, 렌치의 치수보다 큰 너트를 작업하여 렌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치는 제1톱니들이 고정된 것이므로 너트의 모서리를 이동 톱니부의 제2톱니에 물리도록 결합하면, 렌치와 너트의 최적의 물림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는 이동톱니부를 하나만 설치하였기 때문에, 안내홈을 2개 형성하는 것에서 요구되는 안내홈의 대칭성 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내홈의 제작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는 좌측턱이 이동가능하여 너트의 치수에 따라 턱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치수의 너트들을 하나의 렌치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는 개구의 일측에 안내홈을 형성하고 안내홈에 탄성지지되도록 이동톱니부를 설치한 것으로서, 2개의 이동톱니부를 설치한 것에 비해 간소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조비용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렌치의 헤드부에 진입방지 돌기를 형성하면 작업자가 렌치를 너트에 진입하는 힘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진입방지 돌기기 너트의 진입거리를 제한하게 되어 이동톱니부가 안내홈으로 밀려들어가지 않게 되므로 렌치의 헤드부가 너트를 완전히 구속하는 상태가 마련되어 렌치의 공회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의 축방향으로는 물론이고 볼트의 횡방에서의 진입도 가능하여 긴 파이프의 중간에 설치된 너트도 그 자리에서 쉽게 진입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4)

  1. 개구를 형성하는 일측의 턱(3)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톱니(4)가 형성되고 타측의 턱(10)에는 걸림부(12, 13)가 구비된 안내홈(11)이 형성된 헤드부(1);
    상기 안내홈(1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홈(11)의 내측에서 탄성지지되며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톱니(21)가 형성된 이동톱니부(20); 및
    파지를 위해 상기 헤드부(1)에 연결된 손잡이부(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너트(30)를 상기 개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이동톱니부(20)가 위치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너트(30)는 상기 제2톱니(21)와 상기 걸림부(12, 13)에 의해 상기 헤드부(1)와 일체로 변위하고, 상기 헤드부(1)를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이동톱니부(20)가 이동하여 상기 너트(30)가 상기 헤드부(1)에 대하여 헛돌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 상기 너트(3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2톱니(21)는 상기 너트(3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상기 걸림부(12, 13)가 형성된 방향에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11)은 직선상의 안내경로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4. 개구를 형성하는 일측에 복수의 톱니(53)를 갖고 미끄럼 안내부(62)를 따라 이동 가능한 좌측턱(52)이 설치되고 타측의 턱(61)에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는 걸림부가 구비된 안내홈이 형성된 헤드부(60);
    상기 안내홈에서 탄성지지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복수의 톱니가 형성된 이동톱니부; 및
    파지를 위해 상기 헤드부(60)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너트를 상기 개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이동톱니부가 위치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너트는 상기 이동톱니부의 톱니와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헤드부(60)와 일체로 변위하고, 상기 헤드부(60)를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이 이동톱니부가 이동하여 상기 너트가 상기 헤드부(60)에 대하여 헛돌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턱(52)은 일측에 복수의 이송톱니(55)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60)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톱니(55)와 맞물려 상기 좌측턱(52)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너트(6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6. 너트와 물림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100)의 일측과 착탈되는 손잡이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100)는, 개구를 형성하는 일측의 턱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톱니가 형성되고 타측의 턱에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는 걸림부가 구비된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홈에 탄성지지되며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톱니가 형성된 이동톱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너트를 상기 개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1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이동톱니부가 위치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너트는 상기 이동톱니부의 톱니와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헤드부(100)와 일체로 변위하고, 상기 헤드부(100)를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이 이동톱니부가 이동하여 상기 너트가 상기 헤드부(100)에 대하여 헛돌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7. 복수의 제1톱니들(213)이 형성된 일측의 턱(210) 및 걸림부(222)가 구비된 안내홈(224)이 형성된 타측의 턱(220)을 포함하며 상기 턱들(210, 220)의 사이에 개구가 형성된 헤드부(200);
    상기 안내홈(224)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안내홈(224)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홈(224)의 내측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에 복수의 제2톱니(232)들이 형성된 이동톱니부(230); 및
    상기 헤드부(200)에 연결된 손잡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톱니부(230)는 상기 걸림부(222)에 의해 상기 안내홈(224)에서의 소정의 범위 이내로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헤드부(200)는 상기 일측의 턱(210)과 상기 타측의 턱(220)의 사이에 상기 개구를 향하여 돌출한 진입방지 돌기(205)를 구비한 것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22)는 상기 안내홈(224)의 내면의 단부에서 돌출된 단턱인 것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9. 복수의 제1톱니들(213)이 형성된 일측의 턱(210) 및 걸림부가 구비된 안내홈(224)이 형성된 타측의 턱(220)을 포함하며 상기 턱들(210, 220)의 사이에 개구가 형성된 헤드부(200);
    상기 안내홈(224)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홈(224)의 내측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에 복수의 제2톱니(232)들이 형성된 이동톱니부(230); 및
    상기 헤드부(200)에 연결된 손잡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내홈(224)의 걸림부는 상기 안내홈(224)의 내측 일면에 형성된 구속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톱니부(230)는 상기 구속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200)는 상기 일측의 턱(210)과 상기 타측의 턱(220)의 사이에 상기 개구를 향하여 돌출한 진입방지 돌기(205)를 구비한 것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10. 복수의 제1톱니들을 구비하고 미끄럼 안내부를 따라 변위가 가능한 이동턱 및 상기 이동턱의 타측에 위치하며 걸림부가 구비된 안내홈이 형성된 고정턱을 포함하고 개구를 형성하는 헤드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에 복수의 제2톱니들이 형성된 이동톱니부; 및
    상기 헤드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톱니부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안내홈내에서의 이동이 소정의 범위 이내로 제한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일측의 턱과 상기 타측의 턱의 사이에 상기 개구를 향하여 돌출한 진입방지 돌기를 구비한 것인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방지 돌기(205)는 상기 일측의 턱(210)과 타측의 턱(220)의 사이의 가운데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12.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0)의 개구를 너트 또는 볼트의 머리에 진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너트 또는 볼트가 상기 이동톱니부(230)의 제2톱니(232)들 중의 적어도 하나 에 닿기 이전 또는 닿는 동시에 상기 너트 또는 볼트의 모서리 중의 하나가 상기 진입방지 돌기(205)에 닿도록 상기 진입방지 돌기(205)가 소정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13.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0)의 개구를 너트 또는 볼트에 진입시켜 상기 이동톱니부(230)의 복수의 제2톱니(232)들이 상기 너트 또는 볼트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200)에 일방향으로 토크를 주면 상기 이동톱니부(230)는 상기 걸림부(222)에 걸려서 상기 헤드부(200)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톱니(232)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대한 구속을 유지하여 상기 너트 또는 볼트가 상기 헤드부(200)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헤드부(200)에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토크를 주면 상기 너트 또는 볼트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상기 제2톱니(232)들을 눌러서 상기 이동톱니부(230)를 상기 안내홈(224)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너트 또는 볼트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상기 제2톱니(232)들을 이탈하며 상기 제2톱니(232)들이 상기 너트 또는 볼트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구속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너트 또는 볼트는 정지상태로 있고 상기 헤드부(200)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14.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0)와 상기 손잡이부는 탈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KR1020040027995A 2003-09-16 2004-04-22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KR100614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4/002340 WO2005025807A1 (en) 2003-09-16 2004-09-15 Wrench with a single movable teeth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211A KR20030086940A (ko) 2003-09-16 2003-09-16 단일 톱니부 이동형 렌치
KR1020030064211 2003-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340A KR20040079340A (ko) 2004-09-14
KR100614815B1 true KR100614815B1 (ko) 2006-08-22

Family

ID=323887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211A KR20030086940A (ko) 2003-09-16 2003-09-16 단일 톱니부 이동형 렌치
KR1020040027995A KR100614815B1 (ko) 2003-09-16 2004-04-22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211A KR20030086940A (ko) 2003-09-16 2003-09-16 단일 톱니부 이동형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00869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4315B1 (en) 2014-08-20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e-way nut faste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08B1 (ko) * 2007-10-31 2008-10-09 김재수 자동스패너
KR101464336B1 (ko) * 2009-07-06 2014-12-04 더블유스테이트 주식회사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991U (ko) * 1996-05-13 1997-12-10 임병학 한방향으로만 힘이 걸리는 몽키 스패너
JP2000334668A (ja) * 1999-05-26 2000-12-05 Tsukasa Buhin:Kk ラチェットスパナ
KR200296751Y1 (ko) * 2002-08-28 2002-12-05 이영호 렌치
KR200334582Y1 (ko) * 2003-09-16 2003-11-28 임재광 단일 톱니부 이동형 렌치
WO2005025807A1 (en) * 2003-09-16 2005-03-24 Jae-Kwang Lim Wrench with a single movable teeth por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991U (ko) * 1996-05-13 1997-12-10 임병학 한방향으로만 힘이 걸리는 몽키 스패너
JP2000334668A (ja) * 1999-05-26 2000-12-05 Tsukasa Buhin:Kk ラチェットスパナ
KR200296751Y1 (ko) * 2002-08-28 2002-12-05 이영호 렌치
KR200334582Y1 (ko) * 2003-09-16 2003-11-28 임재광 단일 톱니부 이동형 렌치
WO2005025807A1 (en) * 2003-09-16 2005-03-24 Jae-Kwang Lim Wrench with a single movable teeth por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4315B1 (en) 2014-08-20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e-way nut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940A (ko) 2003-11-12
KR20040079340A (ko) 2004-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298B1 (en) Ratcheting open-end wrenches
US20150157885A1 (en) Anti-Falling Device
US4151763A (en) Combination adjustable open-end and box-end wrench
US7866236B2 (en) Automatic screw feeding apparatus for power screwdriver
US20090193939A1 (en) Ratchet Wrench
US3584525A (en) Releasing tool for one-piece cable tie
EP2373459B1 (en) Adjustable wrenches
US20070221897A1 (en) Ratcheted winch bar
KR100614815B1 (ko) 단일 이동톱니부를 갖는 렌치
US20040237727A1 (en) Robust wrench
US7389713B1 (en) Adjustable socket for use with a socket wrench
US7255026B1 (en) One-way monkey wrench
WO1995032076A1 (en) Friction clutch wrench
US5417129A (en) Ratchet wrench including toothless drive
EP2255927B1 (en) Ratchetable open-ended wrench
EP1484135B1 (en) Ratchet wrench
KR200334582Y1 (ko) 단일 톱니부 이동형 렌치
US10328553B1 (en) Adjustable open ended wrench with bidirectional release action
US3664214A (en) Combination pliers and wrench tool
US5103697A (en) Quick adjust wrench with positive positioning
US20080289454A1 (en) Wrench
US2849908A (en) Locking open end wrench with lock retaining means
KR102038018B1 (ko) 다기능 체결 공구
WO2005025807A1 (en) Wrench with a single movable teeth portion
US20060086212A1 (en) Adjustable wr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