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682B1 -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항산화성추출물 - Google Patents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항산화성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682B1
KR100614682B1 KR1020030053443A KR20030053443A KR100614682B1 KR 100614682 B1 KR100614682 B1 KR 100614682B1 KR 1020030053443 A KR1020030053443 A KR 1020030053443A KR 20030053443 A KR20030053443 A KR 20030053443A KR 100614682 B1 KR100614682 B1 KR 100614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fish
extract
present
protease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4997A (ko
Inventor
차용준
조우진
Original Assignee
경상남도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남도,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남도
Priority to KR102003005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6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14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6Echinodermata, e.g. starfish, sea cucumbers or sea urch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브틸리신 A(Subtilisin A) 성분이 함유된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노화억제효과를 가진 항산화성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노화억제효과가 있는 불가사리 추출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아므르 불가사리, 별 불가사리, 단백질분해효소, 노화억제효과

Description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항산화성 추출물{Antioxidant materials isolated from starfishes by protease treatment}
도 1은 본 발명 아므르 불가사리에 단백질분해효소를 처리한 후 효소 무처리군과의 아미노질소 함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 별 불가사리에 단백질분해효소를 처리한 후 효소 무처리군과의 아미노질소 함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 불가사리의 용매순차추출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본 발명 불가사리 유래의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브틸리신 A(Subtilisin A) 성분이 함유된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노화억제효과를 가진 항산화성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불가사리를 용매순차추출 후, 피부노화억제효과가 검정된 활성물질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정제함으로써 얻은 것이다.
불가사리는 몸은 편평한 별모양으로 연안에서 우리가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해양동물 중의 하나로서, 전국 연안에 30여종의 불가사리가 서식하고 있으며, 번식률은 대단히 높아서 마리당 200만~300만개를 산란하며, 극피동물문의 바다나리강, 불가사리아강, 거미불가사리아강, 성게강, 해삼강에 포함되는 해산 무척추동물이다. 우리나라에는 불가사리류 47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남쪽에 비해 북방계의 종이 풍부하다. 이들은 북태평양에 널리 분포하는 종으로서 일본의 북부와 북미쪽에 공통해 있는 종이다. 이들을 보면 빗살판불가사리류(Ctenodiscus), 작은불가사리류(Leptychaster), 검은띠불가사리류(Luidia), 헛불가사리류(Pseudarchaster), 애기불가사리류(Henricia), 햇님불가사리류(Solaster), 입방불가사리류(Pteraster), 문어불가사리류(Plazaster), 일본불가리류(Distolasterias), 아팰불가사리류(Aphelasterias), 그리고 우리나라 남해안일대에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으며 양식장에 피해를 주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아므르불가사리류(Asterias),등이다.
불가사리류는 육식성의 적게 먹는 동물로서 먹이에 대해 아주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래서 이미패류와 고동, 굴 등의 연체동물, 작은 갑각류, 다모류, 성게, 거미불가사리 등의 극피동물이 먹이가 된다. 자망에 걸린 어류도 먹으며 굴, 홍합, 조개 양식장에는 많은 불가사리가 습격하여 피해를 주는 수가 있다. 먹이습성상 잡식성이지만 특히 조개류를 좋아하기 때문에 패류양식장에서는 이를 해적생물로 간주하여 매년 퇴치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불가사리는 이동하는 것은 포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아주 느리게 움직이는 소라고동도 건강한 개체는 불가사리에 희생되지 않으며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었거나 죽은 개체, 그리고 정착성 조개류가 주 먹이이다. 급격히 줄어드는 수중자원 만큼 불가사리 숫자도 자연 감소하고 있다. 불가사리는 수중생태계의 한 고리로서 다른 자원이 줄어들면 따라서 자연히 숫자가 감소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인간이 불가사리를 백해무익한 해적생물로 규정하고 인위적으로 그 숫자를 조절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불가사리의 효용가치는 지금으로서는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채포한 불가사리를 비료대용으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그 효과는 아직까지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불가사리의 식품으로서의 이용가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불가사리를 조리해 보았으나 식용으로서는 불가하였다. 최근에 불가사리에 다량 함유된 아연성분을 추출하여 건강 식품으로 소개된 바가 있다. 또한, 불가사리를 활용한 항암물질과 기능성 가축사료를 만드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우리 나라 패류 양식어장에 크게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진 아므르 불가사리와 별 불가사리의 효용가치를 높이는 일환으로생리적 활성을 갖는 물질을 분리해냄으로써 해양신물질을 기능성 소재화하고 상기 물질을 대량생산하고자 본 발명을 실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가사리로부터 노화억제효과를 가진 불가사리 항산화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불가사리에 서브틸리신 A(Subtilisin A) 성분이 함유된 단백질분해효소를 처리한 후 용매순차추출하고, 상기로부터 얻은 용매추출물의 노화억제효과를 검정하고, 상기 효과가 검정된 분획은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상기 분획의 노화억제효과를 검색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불가사리 시료의 용매순차추출단계; 용매추출물의 노화억제효과 검정단계; 상기 효과가 검정된 분획의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시단계; 정제된 물질의 노화억제효과 검정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불가사리는 우리 나라 패류 양식어장에 크게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진 별 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 및 아므르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2종을 시료로 하였으며,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여 균질기 (Waring blender Co., USA)로 갈아서 분석용 시료로 하였다.
본 발명 불가사리 유래의 항산화성 추출물은 불가사리에 3배(v/w)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하여 50℃에서 3∼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과 잔사를 분리한 다음, 분리된 잔사에 3배(v/w)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4℃에서 5∼6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여과하여 여액을 회수하여 얻음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람직스럽게는 상기 불가사리 유래의 항산화성 추출물은 상기 메탄올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진공여과하여 분리한 잔사에 3배(v/w)의 아세톤을 첨가하여 4℃에서 5∼6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여과하여 여액과 잔사를 분리함으로써 여액을 회수하여 얻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불가사리 유래의 항산화성 추출물은 상기 용매순차추출에서 얻은 상등액을 5:5 또는 7:3의 비율로 혼합된 CH3Cl3 : MeOH 용매계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200 메쉬)를 수행하여 얻은 분획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불가사리의 성분분석을 위해, 일반성분은 AOAC법에 준하여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은 semi micro Kjeldahl법, 지방은 Soxhlet법, 회분은 건식회화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아미노질소는 Formol법으로 정량하였다. 카노티노이드는 전처리 후 44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고, 구성아미노산 분석은 아미노산 자동분석기(Pharmacia Biochrom 20, 미국 파마시아 LKB 바이오테크)로 분석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불가사리 시료의 성분분석
경남 마산시 진전면 일대 해안으로부터 수심 5∼10 m 범위의 해역에서 각 월별(5월∼7월)로 채집한 아므르 불가사리 (Asterias amurensis)와 별 불가사리 (Asterina pectinifera)를 냉동용기(ice chest)에 담아 실험실로 한시간 이내에 운반하여 시료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수세한 후 신문지로 표면의 수분을 일부 제거한 다음 균질기 (Waring blender Co., USA)로 갈아서 분석용 시료로 하였다.
일반성분은 AOAC법에 준하여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은 semi micro Kjeldahl법, 지방은 Soxhlet법, 회분은 건식회화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아미노질소는 Formol법으로 정량하였다.
카노티노이드는 전처리 후 44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고, 구성아미노산 분석은 아미노산 자동분석기(Pharmacia Biochrom 20, 미국 파마시아 LKB 바이오테크)로 분석하였다.
채취 기간 수분(%) 조 단백질(%) 조 지질(%) 회분(%)
아므르 불가사리 (Asterias amurensis) 5월 72.35±0.32 10.32±0.07 1.77±0.13 13.39±0.18
7월 72.80±0.09 12.09±0.04 2.55±0.19 9.31±0.30
별 불가사리 (Asterina pectinifera) 5월 65.18±0.02 8.71±0.11 0.44±0.03 22.54±0.25
7월 64.75±0.03 10.03±0.05 1.18±0.16 22.37±0.16
1) 평균±S.D (n=3).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므르 불가사리와 별 불가사리의 일반성분 조성은 일반 어패류에 비하여 수분 함량이 적고, 회분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아므르 불가사리의 경우 전체 고형물 함량에 대한 회분의 함량이 약 50%, 별 불가사리의 경우에는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일반 어패류의 회분이 1∼3%인 것에 비하여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별 불가사리가 아므르 불가사리보다 수분과 단백질 함량이 낮은 반면 회분 함량이 높았는데, 이는 불가사리의 종류에 따라 일반성분의 조성도 약간 다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수분 및 회분을 제외하고는 2종 모두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았다.
상기의 결과에 따라, 아므르 불가사리와 별 불가사리에 대한 구성 아미노산 을 분석하였다.
성분 함량(mg%)
아므르 불가사리 (Asterias amurensis) 별 불가사리 (Asterina pectinifera)
O-phospho-L-serine 9.39 (0.15)2) 72.73 (0.85)
Taurine 19.10 (0.18) 296.87 (3.49)
O-phosphoethanolamine 79.50 (0.74) N/D
Urea 25.13 (0.23) 75.92 (0.89)
Aspartic acid1 298.23 ( 2.76) 508.48 (5.97)
Hydroxy-L-proline 221.11 (2.05) 134.21 (1.58)
L-Threonine 20.03 (0.19) 540.21 (6.35)
Serine N/D1) 409.19 (4.81)
Asparagine N/D N/D
Glutamic acid 2552.45 (23.65) 991.09 (11.64)
Sarcosine 35.59 (0.33) 10.79 (0.13)
α-Amino adipic acid 8.58 (0.08) 5.54 (0.07)
Proline 3528.21 (32.71) 301.93 (3.55)
Glycine 78.09 (0.72) 1025.11 (12.04)
L-Alanine N/D 594.79 (6.99)
L-Citrulline 33.92 (0.31) 73.79 (0.87)
L-α-Amino-n-butyric acid 7.38 (0.07) 7.04 (0.08)
L-Valine 23.47 (0.22) 389.32 (4.57)
L-Cystine 54.11 (0.50) 66.79 (0.78)
L-Methionine 12.16 (0.11) 8.29 (0.10)
Cystathionine 934.82 (8.67) 12.88 (0.15)
L-Isoleucine 3.96 (0.04) 300.53 (3.53)
L-Leucine 11.99 (0.11) 482.43 (5.67)
L-Tyrosine 22.28 ( 0.21) 220.76 (2.59)
β-Alanine 766.83 (7.11) 8.73 (0.10)
L-Phenylalanine N/D 302.99 (3.57)
D,L-β-Aminoisobutyric acid 69.26 (0.64) 12.29 (0.14)
L-Homocystine 65.50 (0.61) 1.77 (0.02)
γ-Amino-n-butyric acid 196.52 (1.82) 0.49 (0.01)
Ethanolamine 46.47 (0.43) 58.79 (0.69)
Aminonium chloride 292.10 (2.71) 268.26 (3.16)
δ-Hydroxylysine 70.99 (0.66) 95.21 (1.12)
L-Ornithine 30.46 (0.28) 31.20 (0.37)
L-Lysine 494.96 (4.59) 464.03 (5.45)
1-Methyl-L-histidine 42.17 (0.39) 3.83 (0.04)
L-Histidine 152.82 (1.42) 147.19 (1.73)
3-Methyl-L-histidine 0.88 (0.01) 6.06 (0.07)
L-Anserine 24.91 (0.23) 8.49 (0.10)
L-Carnosine 4.26 (0.04) 1.81 (0.02)
L-Arginine 542.15 (5.03) 571.20 (6.71)
Total 10786.98 (100) 8511.33 (100)
1) N/D : 미검출 2) % 총 아미노산 함량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함량은 아므르 불가사리가 10,786.95 mg%로서 별 불가사리의 8,511.33 mg%보다 많은 함량이였다. 아므르 불가사리의 경우 프롤린이 전체 구성 아미노산의 32.71%인 3,528.21 mg%로 가장 많았고, 글루탐산은 2,552.45 mg% (23.65%)로서 다음으로 많은 함량이였다. 그외 시스타티오닌(cystathionine)이 8.37%, β-알라닌이 7.11%, L-아르기닌이 5.03% 및 L-리신이 4.59% 순이었다. 한편 별 불가사리의 경우 글리신이 1,025.11 mg%로서 전체 구성 아미노산의 12.04%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글루탐산 (11.64%), L- 아르기닌 (6.71%), L-트레오닌 (6.35%), 아스파르트산 (5.97%) 및 L-루신 (5.67%)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불가사리의 종류에 따라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의 종류도 약간 다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콜라겐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류가 많이 존재하고 있어 기능성소재로서의 가치가 있었다.
한편, 카로티노이드는 광선에 의해서 유발되는 광감광 산화반응에 있어서 활성화 산소에 대해 강력한 소거제로 작용한다. 또한 광감광 산화반응시 형성되는 활성화된 일중항 산소와 반응하여 전체적인 반응의 진행을 억제하고, 자유 라디칼 반응의 억제 기작에 의해 발생되는 활성산소로부터 세포와 조직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암발생을 억제하고 강력한 항산화력으로 동물의 번식 촉진, 성장률 개선, 질병발생 억제, 어육의 색상개선 등 유용한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의 함량을 분석하는 것은 추후 기능성 물질분석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가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아므르 불가사리 별 불가사리
총 카로티노이드 0.62 mg% 5.88 mg%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므르 불가사리에는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0.62 mg%로 적은 반면, 별 불가사리에는 5.88 mg%로 상당히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것은 진주담치 수컷 (male) 이 1.1 mg%, 암컷 (female) 이 3.2 mg%인 것에 비해 별 불가사리에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안정성만 확보된다면 의약용제, 사료첨가물, 건강식품 등에 이용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2: 본 발명 불가사리의 용매순차추출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불가사리는 수분과 회분을 제외하면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단백질가수분해효소를 처리할 경우 노화억제효과를 갖는 불가사리 추출물의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으리라 사료되어 효소분해처리조건 및 수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서브틸리신 A(Subtilisin A) 성분이 함유된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한 추출시간에 따른 아므르 및 별 불가사리의 가수분해율은 아미노질소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조사하였고, 단백질분해효소로써 알칼라아제 0.6LTM (Alcalase 0.6LTM, 노보엔자임 社, 덴마크)와 프로타멕스TM (ProtamexTM, 노보엔자임 社, 덴마크)를 사용하였다.
알칼라아제 0.6LTMBacillus licheniformis 균으로 부터 추출된 효소로서, 효소의 주성분은 서브틸리신 A(Subtilisin A)이며, 효소분해의 특성은 엔도프로티아제(endoprotease)이며, 최적활성적온은 55-77℃ 범위이며, 최적 pH는 6.5-8.5 범위입니다. 효소의 평균분자량은 27,300 이며, 기질에 반응하는 촉매의 활성부위는 serine 아미노산 부위입니다.
프로타멕스TM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amylosiqufaciens 균으로 부터 추출된 식품가수분해를 위해 사용하는 Bacillus protease complex이며, 최적온도는 35-60℃, 최적 pH는 5.5-7.5 범위입니다.
도 1과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브틸리신 A(Subtilisin A) 성분이 함유된 단백질분해효소를 처리한 경우 대조군보다 가수분해율이 더 높았는데, 특히 알칼라아제 0.6LTM 보다 프로타멕스TM를 사용한 처리군의 가수분해율이 더 높았다. 그리고 반응 5시간까지 분해율이 계속 증가하다가 6시간째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는 추출 6시간동안 가수분해율이 낮아 자가소화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50℃에서 단백질분해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반응 1시간 후에 60.2 mg% 까지 아미노질소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그 후 반응 5시간까지는 거의 일정수준의 범위에 있었다. 알칼라아제 0.6LTM을 처리한 경우와 비교해 보면 반응초기에는 불가사리의 자가소화효소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4℃에서 효소 무처리군은 자가소화효소의 효과는 거의 볼 수 없었다.
도 3에는 노화억제효과를 갖는 불가사리 추출물의 추출 공정도를 도시하였다. 도 3의 공정도에 따라, 서브틸리신 A(Subtilisin A) 성분이 함유된 단백질분해효소를 5시간 처리한 후 용매별로 추출을 실시하고 각 용매 분획별 수율과 추출효율을 비교하고, 추출 구간별 수율은 표 4에 나타내었다.
용매 아므르 불가사리 (Asterias amurensis) 별 불가사리 (Asterina pectinifera)
대조군1) 단백질분해효소 대조군 단백질분해효소
알칼라아제 0.6LTM 프로타멕스TM 알칼라아제 0.6LTM 프로타멕스TM
15.31 17.42 17.71 18.19 19.94 20.78
메탄올 9.27 11.13 12.16 5.50 7.70 7.93
아세톤 1.44 1.68 1.66 0.21 0.36 0.34
에틸 에테르 0.12 0.18 0.19 0.04 0.06 0.06
에틸 아세테이트 0.05 0.09 0.09 0.02 0.05 0.04
26.19 30.50 31.81 23.94 28.66 29.11
잔여물 73.81 69.50 68.19 76.94 71.34 70.89
1) 단백질분해효소의 무처리 ; 단위 : w/w%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용매별 추출물을 살펴보면, 두 종 모두 물 추출물에서 15.31∼20.78%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메탄올, 아세톤 추출물 순이었고, 에틸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은 수율이 매우 낮았다. 그리고 효소 무처리군에 비해 효소를 첨가한 경우 효소가 단백질분해나 색소등을 분리하여 추출물의 색깔이 확실히 짙었고, 수율도 높게 나왔는데, 알칼라아제 0.6LTM 보다 프로타멕스TM를 처리했을 때 더 높은 수율을 나타내어 프로타멕스TM에 의한 추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본 발명 불가사리 용매추출물의 노화억제효과 검정
상기 실시예 2에서 단백질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추출한 불가사리 용매추출물의 노화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발명 불가사리 용매추출물의 노화억제효과 시험은 Blios의 방법(1958)에 준하여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Aldrich Co., USA)에 대한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으로 측정하였다. 즉, 조제한 DPPH 용액 0.8 mL에 에탄올 3∼4 mL을 가하고 10초 동안 강하게 진탕하여 분광 광도계의 흡광도 값이 0.95-0.99가 되도록 에탄올의 양을 조정한 다음 시료 0.2 g을 취하여 앞에서 조절한 적정량의 에탄올과 DPPH용액 0.8 mL를 가하여 10초 동안 강하게 진탕한 후 10분 동안 방치하고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712006501008392-pat00007
1) 미검출 ; 단위 : mg/mL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므르 불가사리보다 별 불가사리가 더 우수하였고, 두 종류 모두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좋은 노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본 발명 불가사리 용매추출물의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분리 및 정제
상기 실시예 3에서 생리활성이 검정된 본 발명 불가사리 용매추출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도 4의 단계 1에 따라 단백질분해효소(프로타멕스TM)를 처리한 효소군으로부터 메탄올 및 아세톤 순서로 용매순차추출 후 CH3Cl3 : MeOH (10:0, 9:1, 7:3, 5:5, 3:7, 1:9, 0:10) 용매계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I(200 mesh))를 이용하여 각 분획별로 50 mL씩 취하여 총 7개의 분획으로 분리 및 정제하였다. 그 후, 상기 분획의 노화억제효과를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Figure 712006501008392-pat00006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획득한 각 분획의 노화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별 불가사리가 아므르 불가사리보다 효과가 더 좋게 나타났다. 별 불가사리의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4번 분획의 EDA50이 4.04 mg/mL로 가장 좋았고, 아세톤 추출물에서는 6번 분획이 3.05 mg/mL로 가장 좋았다. 아므르 불가사리의 메탄올 추출물은 EDA50이 10.66∼18.38 mg/mL, 아세톤 추출물은 10.06∼20.00 mg/mL으로 대체적으로 별 불가사리에 비해 노화억제효과가 낮았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브틸리신 A(Subtilisin A) 성분이 함유된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노화억제효과를 가지는 항산화성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불가사리 추출물은 현저히 탁월한 노화억제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화억제효과를 갖는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 기능성제품제조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아므르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또는 별 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서브틸리신 A(Subtilisin A) 성분이 함유된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하여 50℃에서 3-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하여 분리된 잔사에 3배(v/w)의 메탄올 또는 아세톤을 첨가하여 4℃에서 5-6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5:5 또는 7:3의 비율로 혼합된 CH3Cl3:MeOH 용매계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200 메쉬)를 수행하여 얻은 분획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억제효과를 갖는 불가사리 추출물.
  5. 삭제
KR1020030053443A 2003-08-01 2003-08-01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항산화성추출물 KR100614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443A KR100614682B1 (ko) 2003-08-01 2003-08-01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항산화성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443A KR100614682B1 (ko) 2003-08-01 2003-08-01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항산화성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997A KR20050014997A (ko) 2005-02-21
KR100614682B1 true KR100614682B1 (ko) 2006-08-25

Family

ID=3722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443A KR100614682B1 (ko) 2003-08-01 2003-08-01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항산화성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272B1 (ko) * 2005-11-25 2007-03-2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발억제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102481102B1 (ko) * 2020-11-20 2022-12-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997A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rmansyah et al. Production of protein hydrolysate contain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Hermetia illucens
Wang et al. Evaluation of defatted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L.) larvae meal as an alternative protein ingredient for juvenile Japanese seabass (Lateolabrax japonicus) diets
Mizani et al. An effective method for producing a nutritive protein extract powder from shrimp-head waste
Ettoumi et al. Bioaccumulation of cyanobacterial toxins in aquatic organisms and its consequences for public health
Sila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carotenoproteins from deep-water pink shrimp processing waste
EP3570854B1 (fr) Utilisations thérapeutiques d'une poudre d'insectes
Abdel-Salam Amino acid composition in the muscles of male and female commercially important crustaceans from Egyptian and Saudi Arabia coasts
CN108347970A (zh) 用于水产养殖的天冬氨酰-二肽
KR100699324B1 (ko)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FR2947149A1 (fr) Hydrolysat de proteines de poissons pour son utilisation dans l'inhibition de la prise de poids et/ou la perte de poids
KR100614682B1 (ko)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항산화성추출물
EP0277482B1 (fr) Procédé de production de crustacés planctoniques et son application
KR100606499B1 (ko)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피부 미백용 추출물
KR100606500B1 (ko)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불가사리 유래의 항균성 추출물
Mazur-Marzec Characterization of phycotoxins produced by cyanobacteria
CN1844130A (zh) 槭树提取物及在制备自由基清除剂或抗氧化剂中的应用
KR20050014995A (ko) 불가사리 유래 생리활성물질의 효율적 추출방법
Hwang et al. Dietary flounder skin improves growth performance, body composition, and stress recovery in the juvenile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KR100620151B1 (ko)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아므르 불가사리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용 조성물
Sinaga et al.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ish protein hydrolysate from mahseer (Tor tambroides)
KR100620150B1 (ko)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별 불가사리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용 조성물
KR102453960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및 돈혈장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뱀장어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Zakipour Rahimabadi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of bioactive peptides from rainbow trout viscera using different ultrafiltration
KR101441072B1 (ko) 오징어 육의 효소분해물을 첨가한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Abu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cyanide levels of hybrid catfish fed whole cassava root meal in replacement of maiz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