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136B1 - 내구성을 가지는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구성을 가지는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136B1
KR100614136B1 KR1020040073260A KR20040073260A KR100614136B1 KR 100614136 B1 KR100614136 B1 KR 100614136B1 KR 1020040073260 A KR1020040073260 A KR 1020040073260A KR 20040073260 A KR20040073260 A KR 20040073260A KR 100614136 B1 KR100614136 B1 KR 100614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nitrogen
clay
group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4504A (ko
Inventor
이석기
Original Assignee
이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기 filed Critical 이석기
Priority to KR1020040073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1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2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7/00Textiles: spinning, twisting, and twining
    • Y10S57/904Flame retard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을 가지는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규의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및 나노점토의 나노복합형 수성난연제로서 섬유, 제지, 필름, 목재 등의 재료에 표면처리하여 내구성 및 난연성을 발휘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액배합법(SCP법; solution compounding process)으로 처리하여 박리된 나노입자화된 기능성 점토를 60내지 250중량부 포함하며, 상기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 기능성 점토의 카드집 구조에 삽입되어 있는 내구성의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인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난연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각종 피착물과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난연가공후의 물성변화 및 난연제에 의한 상해 등이 없어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
내구성, 나노복합형, 수성난연제,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상용성

Description

내구성을 가지는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THE AQUEOUS NANOCOMPOSITE FLAME RETARDANT HAVING DURABILITY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내구성을 가지는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및 나노점토의 나노복합 수성난연제로서 섬유, 제지, 필름, 목재 등의 재료에 표면처리하여 내구성 및 난연성을 발휘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섬유에 대하여 난연성을 부여하며 또한 세탁견뢰도(수세 등의 습식 세정 및 드라이클리닝에 대한 내구성)를 유지시키기 위한 난연 가공방법에서 사용되는 난연가공제로서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칸 등의 할로겐화 사이클로알칸 화합물을 난연성분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포스포네이트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지구환경 및 생활환경의 보호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비할로겐계 화합물의 난연가공제가 요망되고 있다.
한편, OPP, PET 등의 필름에 대하여 포스핀산의 염이 유효한 난연제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각종 중합체에 대하여 포스핀산염과 어떠한 종류의 질소 함유 화합물과의 상승효과에 관하여 일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난연 가공제 등의 피착물인 섬유나 필름 또는 제지등에 대하여 충분한 난연성이 부여되지는 않고 있으며 그리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 몇몇 화합물과의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조합들도 지금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난연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난연성 규격을 충족하기 위하여 다량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함질소 화합물의 사용시 섬유와 수지등과의 상용성과 친화성이 부족하여 표면이 불량해지거나 고온에서 물성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부족한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74258호는 나노클레이 함유 난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보여주고 있으나 상기 발명은 점토의 유기화 단계를 거치되, 유기화제(Intercalant)를 인터칼레이션하기 위하여 이를 유기용매에 녹여서 사용하여야만 하고 또한 이후 다시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기능성 점토 즉 층간격이 어느 정도 벌어져 있는 상태의 층상 실리케이트의 제조단계가 복잡하여 많은 원가 상승을 불러오고 있다. 또한 단순한 분리, 정제의 과정을 거친 층상 실리케이트의 층간 간격은 통상 0.2 nm이며, 유기화 과정을 거친 경우에도 유기화제(알킬암모늄 등)의 알킬그룹의 크기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개 1.2 내지 2.8 nm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가장 많이 사용되는 몬모릴로나이트의 경우이며, 온도가 올라갈 경우 등과 같은 여러 조건하에서 약 10 nm까지 층간간격이 벌어질 수도 있음), 이러한 경우 고분자물질을 삽입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그 효율과 삽입 조건이 까다롭다. 살펴보건대, 상기 인용발명의 경우 유기화 과정을 거친 층상 실리케이트와 고분자를 혼합하여 고분자 나노복합체를 만드는 단계에서, 용융법(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를 직접 고분자 물질과 용융상태에서 혼합하는 것) 또는 용액법(고분자 물질을 용제에 녹여 용액을 만든 후에 이것을 유기화 층상물질과 혼합하여 고분자를 넣는 방식)을 사용하였는지는 명확하지는 않으나 중합법을 사용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며, 첫째, 용융법을 사용하는 경우 인계 화합물을 고점도의 용융체 상태로 층간 삽입시키기는 상기 층간 간격으로는 매우 많이 어려울 것이며, 둘째, 용액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분자량이 더욱 커지는 경우의 층간 삽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분자를 녹이기 위한 용제의 선택이 필요하며 최종적으로 나머지 고형분을 용제와 분리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나노점토와 난연제가 액상이 아닌 고상(solid)상태의 혼합이며 이러한 이유로 이의 사용양태가 매우 제한적이며 이를 다시 표현하면 상용성이 매우 나쁜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인용발명의 경우 최종적인 난연제 조성물을 분말상태 또는 펠릿 상태로 하여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난연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물질에 혼합하여 이를 액상으로 만들어 코팅하는 방식등으로 사용하거나, 펠릿상태의 것을 다른 고분자 물질과 섞어서 압출등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상기 인용발명의 난연제 조성물이 제품에서의 난연성을 발휘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므로 상용성에 있어 과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22984호도 상기 인용 등록특허와 동일한 문제점이 존재하며 적용분야의 한정성으로 인한 상용성이 부족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3-80968등도 난연성을 부여하는 난연제를 공개하고 있지만 분말상의 것으로 적용분야 및 상용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적용시 별도의 공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함질소 인산에스테 르계 화합물과 기능화된 무기 나노 클레이 화합물 혼합함으로써 시너지(synergy) 효과가 극대화되어 충분한 난연성과 아울러 내구성(durability)이 부여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수용액상태로 제조됨으로서 여러가지 섬유, 제지, 필름등에 대한 상용성을 높이며, 종래의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Solution, Melt, In-situ polmerization법 등)을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액배합법(SCP법; solution compounding process)으로 처리하여 박리된 나노입자화된 기능성 점토를 60 내지 250중량부 포함하며, 상기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 기능성 점토의 카드집 구조에 삽입되어 있는 내구성의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인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상기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화학식 (Ⅰ)
Figure 112004041562196-pat00001
(여기서, x는 1 내지 5의 정수이며, R1 ,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기로서 각각 수소원자이거나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CH2CH(OH)CH2CH3의 알콜유도체이며, R3는 우레아, 멜라민, 아민류, 이민류 및 아민알코올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함질소 형성기 기능기이며, 함질소 형성성기능기의 질소 원자는 인원자에 직접 화학 결합하고 있다)이거나,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화학식 (Ⅱ)
Figure 112004041562196-pat00002
(여기서, R1은 수소원자이거나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CH2CH(OH)CH2CH3의 알콜유도체이고 R2 , R3는 서로 같거나 다른 기로서 아미드기, 멜라민기,이민기, 아민아미드기 또는 알킬렌아민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인산아미드에스테르계 화합물이며 그 제조는 ⅰ) 수팽윤성 점토의 수화와 양이온교환을 통한 점토의 박리(exfoliation) 및 풀림제(peptizer)에 의한 점토의 카드집 구조(house of cards structure) 형성의 풀림화 단계; ⅱ) 첨가제와 바인더 및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의 교반 혼합단계; 및 ⅲ) ⅰ)단계의 카드집 구조가 형성된 점토에 ⅱ)단계의 교반 혼합물을 삽입(intercalation)하는 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다만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공지기능 및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의 하나인 나노입자화된 기능성 점토에 관하여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토의 원재료는 천연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등의 수팽윤성이 우수한 점토로서 이를 산 및 염기의 전처리 과정과 건조후 볼밀 등을 사용하여 분쇄하여 평균입경이 2.5㎛ 정도의 것으로 하여 사용한다. 종래기술의 점토의 원재료도 이와 같으나 이를 처리하는 방식 및 입자 구조가 다르다. 종래기술의 나노점토 형성방식은 입자의 층간 간격은 1 nm정도인 상기 점토를 물에 넣고 수화 및 양이온 교환하여 정제하고 유기용제하에서 유기화제(intercalent)를 넣어 친수성과 소수성의 성질을 갖게 하고 유기용제를 날려 점토의 층상구조를 형성하게 하여 고상(solid)의 5 내지 10 nm의 간격을 갖는 점토 배열을 갖게 하는 것으로 수화이후의 과정이 복잡하다. 한편 이러한 나노점토의 경우 층상구조안의 소수성과 친수성의 유기화제로 인한 층간 간격이 크지 않아 물질 삽입(intercalation)이 어려울 뿐더러 물질에 따라 진공 또는 온도 조절이 세심하게 요구되는 문제가 있게 되며, 만들어진 조성물도 고상이어서 이를 적용시 별도의 처리가 필요하거나 적용되는 방식에도 상당히 한계가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식에서는 점토의 수화 이후 유기화제를 통한 층상구조의 박리가 아니라 풀림제(peptizer)를 사용하여 점토의 카드집 구조(house of cards structure)를 형성하게 되며(본 발명의 나노입자화된 점토를 기능성 점토라 하겠다). 이때 입자간 간격은 수백 나노미터에 이르게 되고 전단력(shear rate)에 따라 졸(sol)과 겔(gel)로 변 동이 가능한 요변성(thixotropy)을 가지게 되고, 삽입가능한 물질의 범위가 넓게 될 수 있으며 저장안정성이 매우 좋아질 뿐만 아니라 공정이 줄어들며 수용액상의 상태로 존재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점토의 카드집 구조에 삽입되는 난연성 물질은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인원자 및 질소원자가 포함된 인산계 화합물이 난연성 재료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자체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난연성을 발휘하기 위한 조건들에 제한이 가해지고 여러 물질과의 상용성(compatibility)이 부족하며, 섬유나 제지등에 대하여 수분산성이 부족하여 매우 선택적인 가공방법만을 사용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기능성 점토와의 혼합을 통하여 해결될 수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의 경우 그 시너지 효과가 충분히 월등하다.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화학식 (Ⅰ)
Figure 112004041562196-pat00003
(여기서, x는 1 내지 5의 정수이며, R1 ,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기로서 각각 수소원자이거나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CH2CH(OH)CH2CH3의 알콜유도체이며, R3는 우레아, 멜라민, 아민류, 이민류 및 아민알코올류로 이루어진 군 으로부터 선택된 함질소 형성기 기능기이며, 함질소 형성성기능기의 질소 원자는 인원자에 직접 화학 결합하고 있다)이거나,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화학식 (Ⅱ)
Figure 112004041562196-pat00004
(여기서, R1은 수소원자이거나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CH2CH(OH)CH2CH3의 알콜유도체이고 R2 , R3는 서로 같거나 다른 기로서 아미드기, 멜라민기,이민기, 아민아미드기 또는 알킬렌아민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인산아미드에스테르계 화합물이 그것이다. 상기 화합물들은 본인의 등록특허 제293246호, 공개특허 제2002-66055호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그 제조방법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내구성을 가지는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몬토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벤토나이트 등의 수팽윤성 점토를 물에 넣어 수화 정제시키고 양이온교환시켜 점토의 기본적 박리를 시킨다. 이후 풀림제를 사용하여 점토의 카드집 구조를 형성한다. 이 상태의 물질의 상태는 종래와는 달리 수용액상으로 만들어지게 되며 졸상태와 겔상태로 상호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것은 점토의 구성이 단순한 층상 구조가 아니며 원자현미경 사진을 통해 카드집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점토의 배열 구조속에 넣을 첨가제, 바인더 및 난연제로서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준비하여 이를 교반기에 넣어 혼합한다.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자체로도 난연성을 발휘하나 본 발명에서의 기능성 점토와의 혼합을 통하여 그 상용성 및 난연성은 극대화될 수 있다. 삽입되는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 20중량부 이하인 경우 난연성의 상승효과의 기대가 미비하며 80중량부 이상인 경우 기능성 점토에 삽입하는 한계에 이르게 된다. 한편 수팽윤성 점토는 20 내지 80 중량부, 바인더는 40 내지 18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수팽윤성 점토의 자체적 난연성을 고려한 것이며, 바인더의 경우 양이 너무 적은 경우 난연제의 피착물에의 적용시 부착력의 문제가 발생하며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점토의 양의 상대적 저하로 인해 본 발명의 시너지 효과가 저해될 수 있고 다른 기능성 물질의 추가삽입에 문제가 있게 된다.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의 기능성 점토내의 삽입 및 삽입안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분산제, 소포제, 증점제, 금속비누계 건조제 넣어서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교반 혼합된 물질을 상기 기능성 점토의 카드집 구조에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 양 물질을 교반 혼합시킨다.
이하에서는 구체적 실시예들과 그 결과들을 보인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공지된 방법에 의해 가공된 헥토라이트를 준비한다. 전동교반기가 장착된 1L 플라스크에 전처리된 헥토라이트 70g, 계면활성제 1g, 물 140g, 풀림제 3g을 넣고 30분간 600 rpm의 속도로 분산시켜 점토를 수화, 박리 및 풀림화시킨다. 분산제 2g, 소포제 2g, 증점제 2.5g, 금속비누계 건조제 1g의 첨가제와 바인더 70g, 인산아미드에스테르계 화합물인 HO(P=O)(NHCONH(CH2)6NH2)2 100g을 1000 rpm의 속도로 30분간 교반 혼합한다. 상기 과정의 용액을 배합하고 600 rpm으로 60분간 교반하여 나노복합 난연제를 만든다.
실시예 2 내지 3
실시예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며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은 H0(NH2(C=O)NH(P=O)O)2H이고 실시예 3은 실시예 1과 2의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제외하고 코팅제를 만들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헥토라이트를 제외하고 난연제를 만들었다(즉 기능성 점토가 없음).
비교예 3
Nicca Finone P-100(Nicca Chemical Co.)
비교예 4
Nicca Finone S-200(Nicca Chemical Co.)
<난연성 시험>
(1)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4의 난연코팅제를 다음의 내용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으며 본 발명에 난연제의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1) 섬유직물 : 코튼, 레이온, T/C(65/35), T/R(65/35), 폴리에스테르
2) 난연제 상태 : 수용액상(10% 농도)
3) 처리
① 패드(pad) : 1 dip - 1 nip 법
② 드라이(dry) : 100℃ 에서 2분
③ 베이크(bake) : 150℃ 에서 2분
4) 시험방법
JIS-L1091-A-1(45°경사 마이크로 버너시험법)
JIS-L1091-D(접염법)
표 1
시험 항목 시험 방법 섬유 종류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탄화 면적(cm2) JIS-L1091-A-1 코튼 12 13 12 24 21 40이상 27
레이온 14 13 13 23 22 4이상 28
T/C 13 14 12 23 21 40이상 40이상
T/R 14 13 12 23 21 40이상 40이상
접염회수(회) JIS-L1091-D 폴리에스테르 5 5 5 3 3 3 1
(2)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4의 난연코팅제를 다음의 내용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1) 대상 : SC 마닐라지, OPP, PET필름
2) 난연제 상태 : 수용액상(10% 농도)
3) 처리
역회전 오버롤 코팅법으로 코팅하며 코팅두께는 10±2㎛이며 건조조건은 열풍건조식으로 60℃에서 10초동안 하였다.
4) 시험방법
JIS-L1091-A-1(45°경사마이크로 버너시험법)
JIS-L1091-D(접염법)
표 2
시험 항목 시험 방법 대상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탄화 면적(cm2) JIS-L1091-A-1 SC마닐라지 15 15 14 27 27 40이상 40이상
접염회수(회) JIS-L1091-D OPP 4 5 5 2 2 1 1
PET 5 5 5 2 2 1 1
<내구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4의 난연코팅제를 다음의 내용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으며 세탁회수가 증가하더라도 여전히 내구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1) 섬유직물 : 코튼, PET, T/C(65/35)
2) 난연제 상태 : 수용액상(10% 농도)
3) 처리
1 dip - 1 nip 법
180℃×60초
4) 시험방법(가정용 세탁기 1회 기준)
세탁 -> 헹굼 -> 탈수 -> 건조
40℃온수×5분 강회전 15분 강회전 100℃×2분
가정용 세제 0.8 g/물 1L
5) 체크방법
세탁견뢰도 JIS-L0844-76-A-2법
마찰견뢰도 JIS-L0849-71
승화견뢰도 JIS-L0878-75
*5로 갈수록 우수한 것임
표 3
회수 시험종류 세탁견뢰도 마찰견뢰도(DRY상태) 승화견뢰도
대상 코튼 PET합성섬유 T/C 혼방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3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3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3
1 5 5 4 5 5 3.5 5 3 3
2 5 5 4 5 4.5 3 5 3 2
3 5 4.5 4 5 4 3 5 2.5 2
4 5 4.5 3.5 5 4 2.5 5 2.5 2
5 5 3.5 3 5 3 2.5 5 2 2
6 4.5 3 3 4.5 3 2 5 2 2
7 4.5 3 2.5 4.5 2 2 4.5 2 2
8 4.5 2.5 2 4 1.5 2 4.5 2 2
9 4 2.5 2 4 1.5 1.5 4.5 2 2
10 4 2 1.5 4 1 1.5 4 2 2
11 4 2 1.5 4 1 1.5 4 2 2
12 4 2 1.5 4 1 1 4 2 2
본 발명의 나노복합 난연제 조성물은 수용액상으로써 환경친화성이 있으며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와 기능성 나노점토에 의한 난연성의 상승효과가 나타났고, 가공조제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적용할 수 있는 가공방식과 피착물의 종류가 다양해지며, 적용후의 안정된 물성이 유지되어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또한 제조방법이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간단하고 편리해진다.

Claims (6)

  1.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액배합법(SCP법; solution compounding process)으로 처리하여 박리되고 나노입자화된 기능성 점토를 60내지 250중량부 포함하며, 하기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 기능성 점토의 카드집 구조에 삽입되어 있는 내구성의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질소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화학식 (Ⅰ)
    Figure 112004041562196-pat00005
    (여기서, x는 1 내지 5의 정수이며, R1 ,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기로서 각각 수소원자이거나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CH2CH(OH)CH2CH3의 알콜유도체이며, R3는 우레아, 멜라민, 아민류, 이민류 및 아민알코올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함질소 형성기 기능기이며, 함질소 형성성기능기의 질소 원자는 인원자에 직접 화학 결합하고 있다)이거나,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화학식 (Ⅱ)
    Figure 112004041562196-pat00006
    (여기서, R1은 수소원자이거나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CH2CH(OH)CH2CH3의 알콜유도체이고 R2 , R3는 서로 같거나 다른 기로서 아미드기, 멜라민기,이민기, 아민아미드기 또는 알킬렌아민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인산아미드에스테르계 화합물이거나,
    또는 상기 화학식 (Ⅰ)및 (Ⅱ)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의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점토는 수팽윤성 점토 20 내지 80중량부, 바인더 40 내지 18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구성의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점토는 계면활성제, 분산제, 소포제, 증점제, 금속비누계 건조 제를 더 포함하는 내구성의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의 어느 하나의 의해 제조되는 내구성을 가지는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를 섬유, 제지 또는 필름에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내구성 및 난연성 향상 섬유, 제지 또는 필름.
  6. 삭제
KR1020040073260A 2004-09-14 2004-09-14 내구성을 가지는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614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260A KR100614136B1 (ko) 2004-09-14 2004-09-14 내구성을 가지는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260A KR100614136B1 (ko) 2004-09-14 2004-09-14 내구성을 가지는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504A KR20060024504A (ko) 2006-03-17
KR100614136B1 true KR100614136B1 (ko) 2006-08-22

Family

ID=3713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260A KR100614136B1 (ko) 2004-09-14 2004-09-14 내구성을 가지는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1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974B1 (ko) * 2008-06-09 2011-03-29 (주)금강알텍 세탁내구성이 우수한 난연직물의 제조방법
KR101256171B1 (ko) * 2011-05-13 2013-04-19 주식회사 나노코 카본나노튜브 함유 난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415B1 (ko) * 2007-06-22 2009-03-02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 특성 나노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195A (ko) * 1998-10-27 2000-05-15 윤종호 광범위한 난연효과를 나타내는 함질소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 및그 제조방법
KR20020027701A (ko) * 2000-10-04 2002-04-15 이종두 나노클레이 함유 난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66055A (ko) * 2001-02-08 2002-08-14 니카코리아 (주) 친수성 및 열안정성을 지니는 신규의인산아미드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195A (ko) * 1998-10-27 2000-05-15 윤종호 광범위한 난연효과를 나타내는 함질소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 및그 제조방법
KR20020027701A (ko) * 2000-10-04 2002-04-15 이종두 나노클레이 함유 난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66055A (ko) * 2001-02-08 2002-08-14 니카코리아 (주) 친수성 및 열안정성을 지니는 신규의인산아미드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27195
1020020027701
102002006605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974B1 (ko) * 2008-06-09 2011-03-29 (주)금강알텍 세탁내구성이 우수한 난연직물의 제조방법
KR101256171B1 (ko) * 2011-05-13 2013-04-19 주식회사 나노코 카본나노튜브 함유 난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504A (ko) 200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4221B2 (en) Intumescent fire retardant and the method of its manufacture
CN101250375B (zh) 一种poss/聚氨酯水性复合涂料及其制备方法
US7416780B2 (en) Flame-retardant composition comprising organophosphorus compound impregnated on a porous support,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CN101786637A (zh) 高阻燃性能有机插层层状粘土的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10220851A1 (en) Dispersion of carbon nanotubes and nanoplatelets in polyolefins
EP0822163B1 (en) Exfoliated layered materials and nanocompositions comprising said exfoliated layered materials having water-insoluble oligomers or polymers adhered thereto
CN101720785A (zh) 一种复合抗菌剂及其制备方法
TW200734275A (en) Process for preparing organically modified layered double hydroxide
KR20090025348A (ko)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안정성 현탁액 및 이의 제조 방법
TWI453226B (zh) A method for preparing an aqueous polyurethane hav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and a nanocomposite thereof
US20110133128A1 (en) Coated particles
CN109652984B (zh) 一种织物阻燃涂层整理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PT99365A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uma composicao para o tratamento de tecidos que compreendem uma argila emoliente, um agente de floculacao argiloso e um polissiloxano substituido
KR100614136B1 (ko) 내구성을 가지는 수성 나노복합 난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639290B1 (ko) 무기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열가소성 물질에서의 용도
Joshi Nanotechnology in Textiles: Advances and Developments in Polymer Nanocomposites
Uddin Studies in finishing effects of clay mineral in polymers and synthetic fibers
JP3836215B2 (ja) 制電性樹脂組成物
WO2007077744A1 (ja) 有機化層状ケイ酸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樹脂組成物
CN106519202A (zh) 一种微晶纤维素改性聚酯的制备方法
KR20020006904A (ko)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친유기성 클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71894B1 (ko) 기능성 실리카 현탁액
KR100852363B1 (ko) 염색견뢰도와 난연성이 우수한 분산염료 조성물
Jin et al. Hierarchically structured silica from mediation of linear poly (ethyleneimine) incorporated with acidic/basic additives
JPH10509205A (ja) 結晶性混合金属水酸化物粒子が分散したポリマー複合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