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492B1 -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492B1
KR100613492B1 KR20040008783A KR20040008783A KR100613492B1 KR 100613492 B1 KR100613492 B1 KR 100613492B1 KR 20040008783 A KR20040008783 A KR 20040008783A KR 20040008783 A KR20040008783 A KR 20040008783A KR 100613492 B1 KR100613492 B1 KR 100613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ement
calcium sulfoaluminate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0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681A (ko
Inventor
안지환
한기천
한기석
유광석
천성민
김환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2004000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4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418Wet materials, e.g. slu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20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 B09B3/25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using mineral binders o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0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in the an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2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67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waste stabilisation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 하천, 호수, 산업 폐수 등의 수처리에 의해 생긴 슬러지, 산업폐기물 소각재 및 각종 유해 중금속 화합물을 함유하는 산업폐기물 및 슬러지를 고화처리 하는데 있어서 산업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를 주체로 한 광물을 고화재로서 사용한 유해 중금속 함유 산업폐기물 및 슬러지의 고화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유해 중금속, 산업폐기물, 슬러지, 고화재

Description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및 그 제조방법 {Solidifying Addition contains Calcium Sulfo Alu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의 X선회절도이다.
본 발명은 상하수, 하천, 호수, 산업 폐수 등의 수처리에 의해 생긴 슬러지, 산업폐기물 소각재 및 각종 유해 중금속 화합물을 함유하는 산업폐기물 및 슬러지를 고화처리 하는데 있어서 산업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 Aluminate, CSA, 4CaO,3Al2O3, SO3)를 주체로 한 광물을 고화재로서 사용한 유해 중금속 함유 산업폐기물 및 슬러지의 고화처리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는 복잡한 수화과정, 다양한 수화물과 다공성 미세구조에 의해 물리,화학적으로 유해 산업폐기물을 안정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효과 적으로 산업폐기물을 무해화 할 수 있는 재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함수비가 높거나, 유기물 및 중금속 화합물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산업폐기물 및 슬러지의 경우에는 시멘트의 수화과정에서 액상 중의 칼슘 2가 이온과 신속하게 결합되어 고화에 기여하지 않는 다른 석회염을 생성하고, 시멘트 입자의 표면을 치밀하게 피복하여 수화반응의 지연 또는 정지시키는 등의 고화 저해가 일어나서 다량의 시멘트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목표로 하는 고형화는 곤란하다.
이 대책으로서 시멘트에 다수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에트린자이트(3CaO,Al2O3,3CaSO4,32H2O) 생성량을 많게 유도하여 초기 수화활성을 도모코자 하고 있으나, 유효하게 고화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즉, 시멘트계 고화재의 고화 이론은 주로 에트린자이트 생성에 의한 것으로 이에 따라 다량의 수분을 결정수로 고정하고, 팽창에 의한 입밀 효과 및 유해 중금속 이온의 고용 효과를 높이게 한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실리카 분말, 염화칼슘, 염화아연 등 첨가제를 혼합한 고화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시멘트 자체의 에트린자이트 생성량은 근본적으로 제한을 받기 때문에 유효하게 고화시키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수화 반응 저해 효과가 큰 슬러지 및 유해 중금속 함유 산업폐기물의 고화에도 화학적 기능을 개선한 고화재가 필연적으로 요구되어 진다.
그 동안 이와 같은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멘트계 고화재보다 에트린자이트 생성량이 많고 수화 활성이 높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을 고화재로 첨가 사용 하여 왔다. 그러나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을 제조하는 데는 알루미나 원이 필수적으로 소요되고 추가로 SO3 원의 공급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통 보오크사이트, 석회석, 석고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의 경우는 소성온도가 1200∼1300℃내외로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에 비하여 100∼200℃ 낮은 에너지 절약형 시멘트일 뿐만 아니라 속경성, 고강도성, 고유동성 및 팽창성 등의 특성을 나타내 여러 특수시멘트 분야 및 전통적인 시멘트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하는 원료인 철강산업에서 발생되는 부산 슬러지(압연슬러지, 백운석슬러지)와 인산부산석고는 다른 산업에도 사용되고 있으나, 많은 양은 매립 등의 처리방법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환경오염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을 제조함에 있어, 철강산업에서 부산 되어 발생하고 있는 무기성 슬러지인 압연슬러지와 백운석슬러지를 이용하고, 또한 인산부산석고를 사용함으로써, 분말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분쇄가 용이하며, 원료의 단가를 줄일 수 있고 환경저해요인 저감효과와 더불어 폐자원을 실질적으로 실용 있게 활용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을 이용하여 유해 중금 속 함유 산업폐기물 및 슬러지를 환경 유해성이 없도록 고화하는데 있어서, 중금속 이온들을 클링커 광물 내에 쉽게 고용 또는 불용화 하여 중금속 이온의 용출이 되지 않도록 첨가제를 사용하여 안정한 화합물 형태로 고화하도록 한 고화재 제조방법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는 30 ~ 66중량%인 압연종말슬러지와, 30 ~ 50중량%인 백운석슬러지와, 4 ~ 20 중량%인 부산석고로 이루어져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50 중량부를 이루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분말과;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 중량부를 이루는 불용성 무수석고(CaSO4)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10 중량부를 이루는 알칼리 탄산염; 및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10 중량부를 이루는 황산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제조방법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을 분쇄하여 분말의 브레인 비표면적이 2,000 ∼5,000cm2/g를 이루도록 하는 분쇄단계와; 시멘트 및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50 중량부를 이루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분말,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 중량부를 이루는 불용성 무수석고 분말,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10 중량부를 이루고, Na2CO3, K2CO3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알칼리 탄산염,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10 중량부를 이루고, Al2(SO4)3로 이루어지는 황산염을 섞는 혼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의 일 실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표 1과 같이 Al2O3원으로 압연슬러지를, CaO원으로 백운석슬러지를, SO3원으로 인산부산석고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화학조성을 갖는 산업부산물을 이용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최대로 되는 배합조건으로 배합한 후 일정 입도로 분쇄한다.
여기서,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의 조성은 30 ~ 66중량%인 압연종말슬러지와, 30 ~ 50중량%인 백운석슬러지와, 4 ~ 20 중량%인 부산석고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혼합물의 입도가 88㎛, 잔분이 5 ~ 20 중량%로 분쇄되어 이루어진다.
이후에, 상기 혼합물을 소성로에서 1,000∼1,300℃의 소성온도로 1시간 이상 유지한 후 공냉시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을 제조하는 바, 생성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의 X선회절도는 도 1과 같이 주요 광물상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잘 발달되어 있고, 베라이트(β-C2S) 및 MgO 이다.
[표 1]
시료명 화학조성(중량%)
SiO2 Al2O3 Fe2O3 CaO MgO Na2O K2O SO3 lg-loss
백운석슬러지 3.7 1.2 1.7 40.7 10.4 0.13 0.26 0.61 41.06
압연슬러지 13.8 22.1 7.0 11.3 2.2 0.44 0.48 0.55 39.83
인산부산석고 3.34 0.87 0.35 33.93 0.45 0.01 0.03 42.23 16.40
이때, 소성온도가 낮거나, 백운석슬러지의 함량이 높은 경우에는 미반응 석회의 량이 많아져 팽창성을 나타내므로 붕괴, 파괴의 염려가 있으며, 소성온도가 높거나 석회석 배합량이 적어도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 생성량이 적어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사용한 원료의 배합비 및 소성온도를 적당히 변화시킴으로써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분말과 불용성 무수석고의 조성비율을 조절하는 바,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분말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50중량부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불용성 무수석고 분말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 중량부를 이루도록 조절되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혼합되어 고화재를 이룬다.
이때,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분말에는 칼슘실리케이트 및 유리석회 또한 함유되는데 이 조성비율 또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제조시에 조절됨으로써, 고화 대상물에 적합하고, 고화 효과가 우수한 고화재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 이외에 부수적으로 생성되는 불용성 무수석고 및 활성 알루미나와 유리석회 성분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의 에트린자이트 생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편, 폐기물 중에 유기물 및 유해 중금속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경우,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 이외에 중금속 고정 효과 및 유기물에 의한 시멘트 수화 저해를 방지하기 위한 첨가제로서 알칼리 탄산염, 명반, 염화물 및 황산염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0.5∼10중량% 범위 내에서 첨가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고화 처리가 가능하다.
이하, 실시 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실시예]
표 2와 같은 유해 중금속을 함유하는 화학공장 폐수처리에서 생성되는 슬러 지에 대해 상기와 같이 제조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광물을 브레인 비표면적 3,000cm2/g으로 분쇄하고,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5∼50중량% 첨가하여 고화재를 제조하였다. 이 때 고화재 조성물 중에는 알칼리 탄산염 (소다회) 및 황산염(명반) 등을 0.5 ~ 10중량% 첨가하고, 슬러지의 혼합성을 좋게 하기 위해 물을 25중량%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하였다. 고화시킨 공시체의 고화강도 측정 결과는 표 3과 같으며, 고화시편의 28일 양생 후 폐기물 공정시험법에 의한 중금속 용출시험 결과는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화강도가 우수한 특성을 지니며, 또한, 중금속 이온의 포집, 고정 효과도 극히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 2]
시료명 중금속 함유량(mg/kg)
Hg Cd Cr+6 As Pb Cu
슬러지 2.3 25.3 10.0 1,720 4,650 478
통상 시멘트계 고화재는 석고 및 알루미나 원, 기타 여러 첨가제를 사용하여 에트린자이트 생성량을 많게 유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고화재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반응 특성에 의해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수화물은 침상결정 중의 칼슘 2가 이온의 활성이 커서 유해 중금속 이온 등 시멘트의 수화 및 고화를 저해하는 이온들을 흡착 고용시킨다. 또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수화물 내에 중금속이나 슬러지 등을 안정한 형태로 포집, 고정시킴으로써, 산업폐기물 및 슬러지 등을 안정하고 견고하게 고화시킨다.
[표 3]
구 분 배합비(중량%) 고화강도(kg/cm2)
슬러지 고화재 조성물(20중량%) 7일 28일
시멘트 CSA 명반 소다회
비교예 80 100 0 0 0 2.0 2.7
실시예 1 80 95 5 0 0 5.8 8.6
실시예 2 80 90 10 0 0 11.2 14.3
실시예 3 80 80 15 5 0 14.3 16.7
실시예 4 80 70 20 0 5 22.4 28.9
실시예 5 80 60 30 5 5 30.6 35.9
실시예 6 80 50 50 0 0 33.5 40.1
[표 4]
구 분 중금속 용출량(mg/L)
Hg Cd Cr+6 As Pb Cu
비교예 0.07 0.48 0.13 27.26 12.24 6.36
실시예 1 불검출 0.04 0.06 0.14 0.13 0.85
실시예 2 불검출 0.01 0.05 0.06 0.08 0.37
실시예 3 불검출 불검출 0.03 0.02 0.04 0.11
실시예 4 불검출 0.005 불검출 0.01 0.02 0.04
실시예 5 불검출 불검출 0.01 불검출 0.01 0.03
실시예 6 불검출 불검출 0.01 불검출 0.01 0.02
기준치 0.005 0.1 0.5 0.5 1.0 3.0
본 발명의 고화처리재 반응 특성은 에트린자이트 생성 반응속도가 시멘트계 고화재보다 현저히 빠르고, 생성량도 많아 유기물 및 중금속 화합물 등의 시멘트 경화 저해 물질이 존재하여도 반응이 진행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고화재는 상기의 반응 특성에 의해 고함수 슬러지의 고화에 효과적이고, 중금속 고정 능력이 우수하며, 장기적으로 안정한 유해 중금속 함유 산업폐기물 및 슬러지의 고화재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1)

  1. 유해 중금속 함유 산업폐기물 및 슬러지의 고화재에 있어서;
    30 ~ 66중량%인 압연종말슬러지와, 30 ~ 50중량%인 백운석슬러지와, 4 ~ 20 중량%인 부산석고로 이루어져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50 중량부를 이루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분말과;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 중량부를 이루는 불용성 무수석고(CaSO4)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10 중량부를 이루는 알칼리 탄산염; 및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10 중량부를 이루는 황산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분말은 브레인 비표면적이 2,000 ∼5,000c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6. 제 1 항에 대하여;
    상기 알칼리 탄산염은 Na2CO3, K2CO3 중에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염은 Al2(SO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8. 유해 중금속 함유 산업폐기물 및 슬러지의 고화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을 분쇄하여 분말의 브레인 비표면적이 2,000 ∼5,000cm2/g를 이루도록 하는 분쇄단계와;
    시멘트 및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50 중량부를 이루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분말,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 중량부를 이루는 불용성 무수석고 분말,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10 중량부를 이루고, Na2CO3, K2CO3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알칼리 탄산염,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10 중량부를 이루고, Al2(SO4)3로 이루어지는 황산염을 섞는 혼합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은 30 ~ 66중량%인 압연종말슬러지와, 30 ~ 50중량%인 백운석슬러지와, 4 ~ 20 중량%인 부산석고가 혼합되고, 상기 혼합물의 입도가 88㎛, 잔분이 5 ~ 20 중량%로 분쇄되며, 상기 혼합분말이 전기로에서 1,000 ~ 1,300℃로 1시간 이상 소성된 후에, 소성된 혼합물이 공냉됨으로써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제조방법.
KR20040008783A 2004-02-10 2004-02-10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및 그제조방법 KR10061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8783A KR100613492B1 (ko) 2004-02-10 2004-02-10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8783A KR100613492B1 (ko) 2004-02-10 2004-02-10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681A KR20050080681A (ko) 2005-08-17
KR100613492B1 true KR100613492B1 (ko) 2006-08-18

Family

ID=3726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08783A KR100613492B1 (ko) 2004-02-10 2004-02-10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490B1 (ko) * 2006-02-27 2007-10-30 주식회사 서울암면 유·무기성 폐자원용 고화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681A (ko)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28490A1 (ja) 有害物質の不溶化剤、有害物質の不溶化方法及び水処理方法
KR100648461B1 (ko)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연약지반 및 슬러지 처리용 고화제조성물
KR20040030902A (ko) 시멘트 혼화재, 시멘트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중성화억제 방법
JP2006187773A (ja) シアン、リンおよび/または窒素および/またはヒ素である汚染物質によって汚染された土壌用固化不溶化剤
JP2001348571A (ja) 地盤改良材
KR100771490B1 (ko) 유·무기성 폐자원용 고화제의 제조방법
EP1201617A1 (en) Cement compositions with high durability
KR20000049749A (ko) 저발열시멘트계 고화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2017145294A (ja) 有害物質の溶出防止剤および溶出防止方法
JP6957922B2 (ja) 石炭灰硬化物
JPH08311446A (ja) 土質改良用固化材
JP3274376B2 (ja) 泥状物の団粒化剤、それを用いた固化剤
KR100375407B1 (ko) 폐기물의 중금속 용출방지를 위한 고형체 제조방법 및이에 의해 제조된 고형체
JP2004136160A (ja) 有害重金属捕集材
JP6907747B2 (ja) 石炭灰硬化物
KR100613492B1 (ko)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광물이 함유된 고화재 및 그제조방법
JP6922448B2 (ja) 石炭灰組成物
JP2012214591A (ja) フッ素含有無機系廃棄物を用いる土壌固化材の製造方法及び得られた土壌固化材並びに同土壌固化材を用いる軟弱な土壌の固化方法
KR100374189B1 (ko) 토질안정 처리재의 제조방법
JPH11244815A (ja) 汚染金属固定安定化材とその処理方法
JP5836096B2 (ja) 土工材料
KR100935204B1 (ko) 중금속 용출 억제 기능의 고화제를 포함하는 고형체 및 그 제조방법
JP3810350B2 (ja) セメント混和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Stegemann Interactions between wastes and binders
KR100375408B1 (ko)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고화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