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229B1 -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229B1
KR100613229B1 KR1020040081649A KR20040081649A KR100613229B1 KR 100613229 B1 KR100613229 B1 KR 100613229B1 KR 1020040081649 A KR1020040081649 A KR 1020040081649A KR 20040081649 A KR20040081649 A KR 20040081649A KR 100613229 B1 KR100613229 B1 KR 100613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ater purification
waste tires
rotating shaf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717A (ko
Inventor
이점식
Original Assignee
이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점식 filed Critical 이점식
Priority to KR1020040081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22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부에 식재용기가 삽입결착된 다수의 부유 폐타이어; 상기 폐타이어들 상호간의 연결파이프; 상기 연결파이프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폐타이어에 의해 형성된 기하학적 평면 중간부에 상기 폐타이어와 격리되어 부유되며, 중앙 천공부를 가지는 원판; 상기 원판 천공부 외주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양단부가 관통된 개방파이프; 상기 원판 천공부 및 개방파이프를 수직 관통하며, 상단 일측에는 회전체 및 개방파이프 내부 직립 부분에는 다수의 스크류가 장착되어 일체화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회전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와 결착되는 다수의 고정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질정화시스템으로써, 폐자원을 유용하게 활용하여 수질정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저비용 및 친환경적인 시스템을 제공하여 오염수를 정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수질정화, 폐타이어, 수초, 친환경

Description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A water cleaning system using used tires}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질정화시스템 전체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질정화시스템 부분 정면 개략도이다.
* 도면 주요부분 부호설명*
10: 폐타이어 11: 폐타이어 중공부
12: 식재용기 13: 수초
14: 결착구 15: 연결파이프
16: 원판중공부 17: 원판
18: 개방파이프 19: 천공
20: 스크류 21: 회전체
22: 윤활수단 23: 고정지지대
100: 결착부 230: 하부 고정지지대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수면에 설치된 식재용기내에 식재된 수초 및 수목을 활용한 수질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제안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4127호(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에서는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그 내부공간에 그물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그물위로 수질정화능력을 가진 수초가 성장할 수 있도록 수초를 형성하며, 그물 위 또는 그물 아래에는 수질정화능력이 있는 별도의 정화제를 매달아 이중의 수질정화능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친환경적 수질개선시스템(특허출원 제10-2001-51202호)을 통하여 폐타이어를 활용한 식재용기 결착구를 개시한 바 있으며, 상기 식재용기에는 수질개선을 위한 다수의 수초 또는 수목이 재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 제안되었던 단순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로부터 개량되어, 수질정화에 적용되는 수초 및 수목의 생장을 촉진시켜 수질정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질정화를 위한 수초 및/또는 수목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풍 등의 자연재해에도 존속될 수 있는 있는 강인한 구조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가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부에 식재용기가 삽입결착된 다수의 부유 폐타이어; 상기 폐타이어들 상호간의 연결파이프; 상기 연결파이프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폐타이어에 의해 형성된 기하학적 평면 중간부에 상기 폐타이어와 격리되어 부유되며, 중앙 천공부를 가지는 원판; 상기 원판 천공부 외주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양단부가 관통된 개방파이프; 상기 원판 천공부 및 개방파이프를 수직 관통하며, 상단 일측에는 회전체 및 개방파이프 내부 직립 부분에는 다수의 스크류가 장착되어 일체화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회전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와 결착되는 다수의 고정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유 폐타이어(10) 중공부(11)에는 일체된 식재용기(12)가 삽입결착되며, 상기 식재용기는 수초(13) 또는 수목의 식재를 위하여 측면 및 하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천공정도는 수초 또는 수목 식재에 요구되는 주먹자갈이 낙하되지 아니할 정도면 족하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식재용기 상외주부는 결착구(14)가 형성되어 폐타이어 내외주부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재용기은 폐타이어 중공부에 삽입된 후, 별도의 결착도구, 예를들면 식재용기 하부로 부터 삽입되어 식재용기 외면에 형성된 요철과 결착될 수 있는 도우넛 형상의 보조 결착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폐타이어 중공부에 삽입결착된 식재용기 외면에 의하여 폐타이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수면상 부유를 위한 부유물질이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식재용기가 삽입되기 전, 상기 내부공간에 스티로폼으로 발포하여 폐타이어 내부에 발포스티로폼이 충진된 폐타이어를 활용하였다. 상기 스티로폼과 일체화된 폐타이어 중공부에 식재용기가 삽입되어 내부공간에 충진된 부유물질이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발명하였다. 상기 폐타이어는 다수개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짝수개의 부유 폐타이어가 본 시스템에 적용된다.
상기 폐타이어는 연결파이프(15)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된다. 연결파이프와 폐타이어의 결착은 통상의 방법으로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일자 연결파이프를 상기 장착된 식재용기 상부에 감아 연장하여 이와 대응되는 폐타이어 식재용기와 연결한다. 결국, 연결파이프는 연장된 타원형상으로 구성되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연결파이프는 내부에 부유물질이 충전될 수 있으며, 충전공정은 연결파이프로 양단 폐타이어를 결착하기 전에 이루어진다.
다수의 폐타이어는 격리되어 수면상에 설치된 폐타이어 갯수에 따라 기하학적 형상을 이룬다. 예를들면 4개의 부유 폐타이어는 십자형상으로 배치되며, 8개으 부유 폐타이어는 스타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4개의 부유 폐타이어의 십자형상을 기준으로 개시된다. 상기 십자형상의 중앙부, 즉 4개의 폐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장된 타원형상의 연결파이프가 겹치는 부위 하면에는 중앙 중공부(16)를 가진 원판(17)이 설치된다. 상기 원판은 바람직하게는 부유될 수 있는 플라스틱 원판일 수 있다. 상기 원판을 연결파이프와 결착시키는 구조는 통상적이다.
상기 원판 중공부로부터 양단이 개방된 플라스틱 또는 철재파이프(18)가 수중에 장착된다. 상기 플라스틱 개방파이프 일단 외주부가 상기 원판 천공부 외주면과 삽입 결착(100)된다. 상기 개방파이프 하부, 즉 수저에 위치하는 개방파이프 부위에는 다수의 천공(19)이 형성된다. 상기 천공은 수저 또는 수중의 저온 하천수를 상부로 전달하기 위한 수송통로로 구성된다.
상기 원판 중공부(16) 및 개방파이프(18)를 관통하여 회전축(19)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은 일체로 수면상의 회전체 및 다수의 수중 스크류(2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은 자연풍을 이용하여 회전체(21)에 의해 회전축이 작동될 수도 있고,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수중의 저온 하천수를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원판천공부를 통하여 수면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크류의 수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사기 회전체(21)는 전통적으로 사용된 풍구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 및 개방파이프는 단독으로 지지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고정지지대(23)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대 일단은 연결파이프(15)에 고정되며, 타단은 회전축을 감싸는 윤활수단(22)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은 윤활수단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윤활수단을 통하여 회전축은 회전될 수 있으며, 윤활수단으로는 회전축을 유지시키고 회전가능하게 하는 통상의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나, 베어링이 구비된 수단일 수 있다. 또한 하부고정지지대(230)를 이용하여 수중 개방파이프(18)를 연결파이프(15)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은 하천 또는 호수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폐타이어(10)에 결착된 식재용기(12)에는 수질정화용 수초 및/또는 수목이 식재된다. 바람직하게는 노랑꽃 창포, 버드나무, 철쭉, 산골개나리 일 수 있다. 상기 수초(13) 등이 식재된 페타이어를 이용한 시스템은 수질오염이 심각한 호수 등에 장착된다. 본 시스템은 수면에 배치된 폐타이어들이 연결파이프(15)로 결착되어 안정된 구조를 형성한다. 자연풍에 의해 회전체(21)가 회전되면, 회전체 하부에 장착된 다수의 스크류(20)와 연동 회전되며, 개방파이프(18) 하부에 천공된 다수의 구멍(19)을 통해 수저 저온수가 상기 스크류를 통해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된 저온수는 원판 중공부(16)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며, 상기 원판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다시 수면으로 회귀된다. 이와같은 인위적인 수류를 형성함으로써 수중 정화 미생물의 활동 및 폐타이어 식재용기에 심어진 수초 또는 수목의 생장을 촉진시켜 본 시스템이 장착된 오염수는 정화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변형, 개량 또는 변화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특히, 회전축 또는 고정지지대의 변형은 무궁한 것이며, 당업자는 이와같은 변형을 특이한 사상의 변경없이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와 같은 청구범위에 따라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중정화시스템을 개시한 것으로써, 폐자원을 유용하게 활용하여 수질정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저비용 및 친환경적인 시스템을 제공하여 오염수를 정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강풍등의 자연재해를 감안하여 안정적이며 유지관리가 용이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시스템을 통하여 친자연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수면에 식재된 수초 또는 수목등의 인공적인 배치를 통하여 보다 개량된 조경을 완성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수질정화시스템이다.

Claims (5)

  1. 중공부에 식재용기(12)가 삽입결착되며, 상기 식재용기 외면에 의해 형성된 폐타이어 내부공간이 발포고분자로 충진되어 수중에 부유될 수 있는 다수의 부유 폐타이어(10);
    상기 폐타이어들 상호간의 연결파이프(15);
    상기 연결파이프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폐타이어에 의해 형성된 기하학적 평면 중간부에 상기 폐타이어와 격리되어 부유되며, 중앙 천공부를 가지는 원판(17);
    상기 원판 천공부 외주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양단부가 관통된 개방파이프(18);
    상기 원판 천공부 및 개방파이프를 수직 관통하며, 상단 일측에는 회전체 및 개방파이프 내부 직립 부분에는 다수의 스크류가 장착되어 일체화된 회전축(19);
    상기 회전축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회전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와 결착되는 다수의 고정지지대(23); 를 포함하여 구성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폐타이어에 삽입결착된 식재용기의 하부는 다수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파이프 하부는 다수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및 고정지지대간 연결구는 회전축이 회전자재하도록 윤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KR1020040081649A 2004-10-13 2004-10-13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KR100613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649A KR100613229B1 (ko) 2004-10-13 2004-10-13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649A KR100613229B1 (ko) 2004-10-13 2004-10-13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943U Division KR200371944Y1 (ko) 2004-10-13 2004-10-13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717A KR20060032717A (ko) 2006-04-18
KR100613229B1 true KR100613229B1 (ko) 2006-08-21

Family

ID=3714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649A KR100613229B1 (ko) 2004-10-13 2004-10-13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525B1 (ko) * 2007-12-17 2011-10-31 이점식 태양전지 및 풍력장치가 복합된, 심층수 순환기능을 가지는수질정화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456A (ko) * 1999-05-24 1999-09-06 최원영 폐타이어를이용한수질정화구조물및이를이용한수질정화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456A (ko) * 1999-05-24 1999-09-06 최원영 폐타이어를이용한수질정화구조물및이를이용한수질정화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525B1 (ko) * 2007-12-17 2011-10-31 이점식 태양전지 및 풍력장치가 복합된, 심층수 순환기능을 가지는수질정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717A (ko) 200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213B1 (ko) 인공 생태 수초섬
JPWO2008081554A1 (ja) 各種植物および微生物の水質浄化機能を利用した富栄養化汚染水域の総合的水質改善システム。
CN100497205C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人工湿地系统
CN201406348Y (zh) 组合型生态浮床
US20070209277A1 (en) Floating wetland raft
US20140083007A1 (en) Spiral garden
JP2008500062A (ja) 超拡大、浮力調整型浮島
CN202156956U (zh) 雨水生态净化及储存系统
CN105461071A (zh) 绿色生态浮岛装置
JP2006025783A (ja) 水質浄化植物繁茂用浮島およびその製造設置方法
CN107055801A (zh) 水生态修复系统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CN102701428A (zh) 设置有安装网的用于水处理生物流离球及使用方法
CN102424480A (zh) 一种用于除去富营养化水体中藻类及污染物的净化装置
CN107996371A (zh) 一种基于固体基质的水面无土种植方法
KR100591885B1 (ko) 수질정화용 수초섬
JP2002119160A (ja) 樹脂培地及び前記樹脂培地を利用した水質浄化装置並びに水質浄化方法
KR100613229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CN202246262U (zh) 可移动的水域净化用仿生态浮床
KR101077526B1 (ko) 수중화분용 거치장치
KR200371944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CN210945026U (zh) 一种水生态修复浮床
KR20050074690A (ko) 수경재배용 뜨게
JP2002142584A (ja) 浮き花壇
KR101127107B1 (ko) 인공섬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