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2189B1 -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189B1
KR100612189B1 KR1020020051405A KR20020051405A KR100612189B1 KR 100612189 B1 KR100612189 B1 KR 100612189B1 KR 1020020051405 A KR1020020051405 A KR 1020020051405A KR 20020051405 A KR20020051405 A KR 20020051405A KR 100612189 B1 KR100612189 B1 KR 100612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pitaxial layer
layer
high concentration
schottk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4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19197A (en
Inventor
아사노데쯔로
오노다가쯔아끼
나까지마요시부미
무라이시게유끼
도미나가히사아끼
히라따고이찌
사까끼바라미끼또
이시하라히데또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9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1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1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72Schottky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5Ohmic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7Schottky barrie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083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two-terminal devices
    • H01L29/6609Diodes
    • H01L29/66143Schottky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종래, 메사 에칭이나 두꺼운 폴리이미드층 등이 있기 때문에, 칩의 소형화가 실현되지 않고, 전극간의 거리가 있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없었다. 또한, 제조 방법으로는 쇼트키 접합 부분의 에칭 컨트롤이 곤란하였다. Conventionally, since there are mesa etching, a thick polyimide layer, and the like, miniaturization of the chip is not realized, and there is a distance between electrodes and the characteristics cannot be improved. Moreover, the etching control of the Schottky junction part was difficult by the manufacturing method.

기판 표면에 n+형 이온 주입 영역을 형성함에 의해, 메사 및 폴리이미드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화합물 반도체의 플래너형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실현할 수 있다. 전극간 거리를 좁힐 수 있으므로 칩의 축소가 실현되고, 고주파 특성도 향상된다. 또한, 쇼트키 접합 영역 형성시에는 GaAs를 에칭하지 않으므로, 재현성이 좋은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조할 수 있다. By forming the n + type ion implantation region on the substrate surfac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mesa and the polyimide layer, and the planar Schottky barrier diode of the compound semiconductor can be realized. Since the distance between electrodes can be shortened, chip reduction is realized and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are also improved. In addition, since GaAs is not etched whe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is formed, a Schottky barrier diode with good reproducibility can be manufactured.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화합물 반도체, 고주파 특성, 쇼트키 접합 부분Schottky barrier diode, compound semiconductor,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schottky junction

Description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Schottky Barrier Diod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2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the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3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the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4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the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

도 10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10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the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

도 11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

도 12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1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

도 13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1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

도 14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1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

도 15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1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비도핑된 GaAs1: undoped GaAs

2 : n+형 GaAs2: n + type GaAs

3 : n형 GaAs3: n-type GaAs

5 : 질화막5: nitride film

6 : 절연화 영역6: insulation area

7 :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zone

8 : 오믹 전극8: ohmic electrode

11 : 애노드 전극11: anode electrode

15 : 캐소드 전극15: cathode electrode

본 발명은 고주파 회로에 채용되는 화합물 반도체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래너 구조로 함으로써 동작 영역 및 칩 사이즈의 소형화를 실현한 화합물 반도체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ottky barrier diode of a compound semiconductor employed in a high frequency circui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rticularly, the Schottky barrier diode of a compound semiconduc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have a planar structure. It is about.

세계적인 휴대 전화 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용 등으로서의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고주파 디바이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 소자 로는, 고주파를 취급하기 때문에 갈륨·비소(GaAs)를 이용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 회로 자체를 집적화한 모노리식 마이크로파 집적 회로(MMIC)나, 국부 발진용 FET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With the expansion of the global mobile phone market and the demand for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s and the like, the demand for high frequency devices is increasing rapidly. Since the device handles high frequency, a field effect transistor using gallium arsenide (GaAs) is often used. Thus, a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MIC) in which the switch circuit itself is integrated, or a local oscillation FET Development is underway.

또한, GaAs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도 기지국용 등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In addition, demand for GaAs Schottky barrier diodes is increasing rapidly for base stations.

도 9에는 종래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동작 영역 부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rating region portion of a conventional Schottky barrier diode.

n+형 GaAs 기판(21) 위에 n+형 에피택셜층(22)(5 ×1018 -3)을 6㎛ 정도 적층하고, 다시 동작층이 되는 n형 에피택셜층(23)(1.3 ×1017-3)을 예를 들면 3500Å 정도 퇴적한다. on the n + type GaAs substrate (21), an n + epitaxial layer (22) (5 × 10 18 ㎝ -3) the degree of stacking, and the operation layer is a n-type epitaxial layer 23 is again 6㎛ (1.3 × 10 17 cm -3 ), for example, about 3500 kPa is deposited.

오믹 전극(28)이 되는 제1층째의 금속층은, n+형 에피택셜층(22)에 오믹 접합하는 AuGe/Ni/Au이다. 제2층째의 금속층은 Ti/Pt/Au이고, 이 제2층째 금속층의 패턴은 애노드측과 캐소드측의 2 종류가 있다. 애노드측에서는 n형 에피택셜층(23)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한다. 이 쇼트키 접합 영역(31a)을 갖는 애노드측의 제2층째의 금속층을 이하 쇼트키 전극(31)이라고 칭한다. 쇼트키 전극(31)은 애노드 본딩 패드를 형성하는 제3층째의 Au 도금층의 기초 전극으로도 되어 쌍방의 패턴은 완전히 중첩된다. 캐소드측의 제2층째의 금속층은 오믹 전극과 컨택트하고, 또한 캐소드 본딩 패드를 형성하는 제3층째의 Au 도금층의 기초 전극으로 되며, 애노드측과 마찬가지로 쌍방의 패턴은 완전히 중첩된다. 쇼트키 전 극(31)은, 그 패턴의 단(端)의 위치를 폴리이미드층의 상면에 배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쇼트키 접합 영역(31a) 주변에서 16㎛ 캐소드측에 오버랩시켜 패터닝한다. 쇼트키 접합부 이외의 기판은 캐소드 전위이며, 애노드 전극(34)과 캐소드 전위가 되는 GaAs가 교차하는 부분에서는, 절연을 위해 폴리이미드층(30)이 형성된다. 이 교차 부분의 면적은 1300㎛2 정도로 되어, 큰 기생 용량을 갖기 때문에, 그 이격 거리로서 6∼7㎛ 정도의 두께로 함으로써 기생 용량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폴리이미드는 낮은 유전률과, 두껍게 형성할 수 있는 성질 때문에 층간 절연층으로서 채용된다. The metal layer of the 1st layer used as the ohmic electrode 28 is AuGe / Ni / Au which ohmic-joins to the n + type epitaxial layer 22. FIG. The metal layer of a 2nd layer is Ti / Pt / Au, and there are two types of patterns of this 2nd layer metal layer, an anode side and a cathode side. On the anode side, a Schottky junction is formed with the n-type epitaxial layer 23. The metal layer of the 2nd layer on the anode side which has this Schottky junction region 31a is called Schottky electrode 31 below. The Schottky electrode 31 also serves as a base electrode of the Au plating layer of the third layer forming the anode bonding pad, and the patterns of both are completely overlapped. The metal layer of the second layer on the cathod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ohmic electrode and serves as a base electrode of the Au plating layer of the third layer forming the cathode bonding pads, and likewise on the anode side, both patterns completely overlap. Since the Schottky electrode 31 needs to arrange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lyimide layer, it is patterned by overlapping the 16 µm cathode side around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31a. Substrates other than the Schottky junction are at the cathode potential, and at the portion where the anode electrode 34 and the GaAs serving as the cathode potential intersect, the polyimide layer 30 is formed for insulation. Since the area of this intersection is about 1300 µm 2 and has a large parasitic capacitanc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arasitic capacitance by setting the thickness to about 6 to 7 µm as the separation distance. Polyimide is employed as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because of its low dielectric constant and thick formability.

쇼트키 접합 영역(31a)은 10V 정도의 내압과 양호한 쇼트키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1.3 ×1017-3 정도의 n형 에피택셜층(23) 위에 형성된다. 한편, 오믹 전극(28)은 취출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 메사 에칭에 의해 노출된 n+형 에피택셜층(22)의 표면에 형성한다. 또한, n+형 에피택셜층(22)의 하층은 고농도의 GaAs 기판(21)으로 되어 있고, 이면 전극으로서 오믹 전극(28)인 AuGe/Ni/Au가 형성되고, 기판 이면으로부터의 취출되는 기종에도 대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31a is formed on the n-type epitaxial layer 23 of about 1.3 x 10 17 cm -3 in order to secure a breakdown voltage of about 10V and good Schottky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 ohmic electrode 28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n + type epitaxial layer 22 exposed by mesa etching in order to reduce the extraction resistance. In addition, the lower layer of the n + type epitaxial layer 22 is a GaAs substrate 21 having a high concentration, and AuGe / Ni / Au, which is an ohmic electrode 28, is formed as a back electrode, and is taken out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substrate. It is also possible to respond.

도 10에 종래의 화합물 반도체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10 is a plan view of a Schottky barrier diode of a conventional compound semiconductor.

칩의 거의 중앙에 n형 에피택셜층(23) 위에 쇼트키 접합 영역(31a)을 형성한다. 이 영역은 직경 약 10㎛의 원형이고, n형 에피택셜층(23)을 노출시킨 쇼트키 컨택트홀(29)에 제2층째의 금속층인 Ti/Pt/Au를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형성한다. 원형의 쇼트키 접합 영역(31a)의 외주를 둘러싸고 제1층째의 금속층인 오믹 전극(28)이 형성된다. 오믹 전극(28)은 AuGe/Ni/Au를 순차적으로 증착한 것으로, 칩의 절반에 가까운 영역을 점유하여 형성된다. 또한, 전극의 취출을 위해 제2층째의 금속층을 오믹 전극(28)과 컨택트시켜, 기초 전극으로 한다.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31a is formed on the n-type epitaxial layer 23 near the center of the chip. This region is formed by sequentially depositing Ti / Pt / Au, which is the second metal layer, in the Schottky contact hole 29 having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about 10 μm and exposing the n-type epitaxial layer 23. The ohmic electrode 28 which is the metal layer of a 1st layer is formed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ircular Schottky junction area | region 31a. The ohmic electrode 28 is formed by sequentially depositing AuGe / Ni / Au and occupies an area close to half of the chip. In addition, in order to take out an electrode, the metal layer of a 2nd layer is contacted with the ohmic electrode 28, and it is set as a base electrode.

애노드측 및 캐소드측의 기초 전극은 제3층째가 되는 Au 도금층용으로 형성된다. 애노드측에서는 쇼트키 접합 영역(31a) 부분과 본딩에 필요 최소한의 영역에 형성하고, 캐소드측은 원형의 쇼트키 접합 영역(31a)의 외주를 둘러싼 형상으로 패터닝된다. 또한, 고주파 특성의 요인인 인덕터 성분을 낮추기 위해, 본딩 와이어를 많이 고착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로 인해 칩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영역을 본딩 영역으로 하고 있다. The base electrode on the anode side and the cathode side is formed for the Au plating layer serving as the third layer. The anode side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31a and the minimum region necessary for bonding, and the cathode side is pattern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ircular Schottky junction region 31a.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inductor component, which is a factor of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fix a lot of bonding wires, so that a region occupying about half of the chip is a bonding region.

또한, 기초 전극과 중첩되도록 Au 도금층을 형성한다. 여기에, 스티치 본드에 의해 본딩 와이어가 고착되어, 전극이 취출된다. 애노드 본딩 패드부는 40 ×60㎛2이고, 캐소드 본딩 패드부는 240 ×70㎛2이다. 스티치 본드에 의한 접속에서는, 1회의 본딩에 의해 2개의 본딩 와이어를 접속할 수 있으므로, 본딩 면적이 작은 것이라도, 고주파 특성의 파라미터인 인덕터 성분을 작게 할 수 있고, 고주파 특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In addition, an Au plating layer is formed to overlap with the base electrode. Here, the bonding wire is fixed by the stitch bond, and the electrode is taken out. The anode bonding pad portion is 40 × 60 μm 2 , and the cathode bonding pad portion is 240 × 70 μm 2 . In connection by stitch bonding, since two bonding wires can be connected by one bonding, even if the bonding area is small, the inductor component which is a parameter of a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 can be made small, and i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a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

도 11부터 도 15에 종래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11 to 15 show a conventional Schottky barrier diode manufacturing method.

도 11에서는, 메사 에칭에 의해 n+형 에피택셜층(22)을 노출시키고, 제1층째 의 금속층을 부착시켜 오믹 전극(28)을 형성한다. In FIG. 11, the n + type epitaxial layer 22 is exposed by mesa etching, and the ohmic electrode 28 is formed by attaching the first metal layer.

즉, n+형 GaAs 기판(21)에 n+형 에피택셜층(22)(5 ×1018-3)을 6㎛ 정도 퇴적하고, 그 위에 n형 에피택셜층(23)(1.3 ×1017-3)을 3500Å정도 퇴적시킨다. 그 후 전면을 산화막(25)으로 피복하고, 예정의 오믹 전극(28) 위의 레지스트층을 선택적으로 창내기하는 포토 리소그래피 프로세스를 행한다. 그 후, 이 레지스트층을 마스크로 하여 예정의 오믹 전극(28) 부분의 산화막(25)을 에칭하고, 또한 n+형 에피택셜층(22)이 노출되도록 n형 에피택셜층(23)의 메사 에칭을 행한다. That is, n + type GaAs substrate in the n + epitaxial layer (22) (5 × 10 18 ㎝ -3) , and the degree of deposition, n-type epitaxial layer 23 thereon 6㎛ (1.3 × 10 (21) 17 cm -3 ) is deposited about 3500 mm 3 . Thereafter, the entire surface is covered with an oxide film 25, and a photolithography process for selectively windowing a resist layer on a predetermined ohmic electrode 28 is performed. Thereafter, the resist layer is used as a mask to etch the oxide film 25 of th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ohmic electrode 28, and the mesa of the n-type epitaxial layer 23 so that the n + -type epitaxial layer 22 is exposed. Etching is performed.

그 후, 제1층째의 금속층인 AuGe/Ni/Au의 3층을 순차적으로 진공 증착하여 적층한다. 그 후, 레지스트층을 제거하고, 예정의 오믹 전극(28) 부분에 금속층을 남긴다. 이어서, 합금화 열 처리에 의해 n+형 에피택셜층(22)에 오믹 전극(28)을 형성한다. Thereafter, three layers of AuGe / Ni / Au, which are metal layers of the first layer, are sequentially deposited by vacuum deposition. Thereafter, the resist layer is removed, leaving a metal layer on the predetermined ohmic electrode 28 portion. Subsequently, the ohmic electrode 28 is formed in the n + type epitaxial layer 22 by alloying heat treatment.

도 12에서는 쇼트키 컨택트홀(29)을 형성한다. 새로운 레지스트층을 전면에 형성하고, 예정의 쇼트키 접합 영역(31a) 부분을 선택적으로 창내기하는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를 행한다. 노출된 산화막(25)을 에칭한 후, 레지스트를 제거하고, 예정의 쇼트키 접합 영역(31a) 부분의 n형 에피택셜층(23)이 노출된 쇼트키 컨택트홀(29)을 형성한다. In FIG. 12, a schottky contact hole 29 is formed. A new resist layer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and a photolithography process is performed to selectively window a predetermined Schottky junction region 31a. After the exposed oxide film 25 is etched, the resist is removed to form a Schottky contact hole 29 in which the n-type epitaxial layer 23 in the predetermined Schottky junction region 31a portion is exposed.

도 13에서는 절연을 위한 폴리이미드층(30)을 형성한다. 전면에 폴리이미드를 수회에 걸쳐 코팅하여, 두꺼운 폴리이미드층(30)을 형성한다. 새로운 레지스트 층을 전면에 형성하고, 예정의 폴리이미드층(30) 부분이 남도록 선택적으로 창내기하는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를 행한다. 그 후, 노출된 폴리이미드를 웨트 에칭에 의해 제거한다. 그 후, 레지스트층을 제거하여 폴리이미드층(30)을 경화하여, 6∼7㎛의 두께로 한다. In FIG. 13, a polyimide layer 30 for insulation is formed. The polyimide is coated on the entire surface several times to form a thick polyimide layer 30. A new resist layer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and a photolithography process is performed to selectively window th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polyimide layer 30 to remain. Thereafter, the exposed polyimide is removed by wet etching. Thereafter, the resist layer is removed to cure the polyimide layer 30 to a thickness of 6 to 7 µm.

도 14에서는 쇼트키 컨택트홀(29) 내에 노출된 n형 에피택셜층(23)을 에칭하여, 쇼트키 접합 영역(31a)을 갖는 쇼트키 전극(31)을 형성한다. In Fig. 14, the n-type epitaxial layer 23 exposed in the Schottky contact hole 29 is etched to form a Schottky electrode 31 having a Schottky junction region 31a.

쇼트키 컨택트홀(29)의 주위의 산화막(25)을 마스크로 하여 n형 에피택셜층(23)을 에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택트홀(29)을 형성한 후, n형 에피택셜층(23)의 표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폴리이미드층(30)이 형성된다. 쇼트키 접합은 청정한 GaAs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 필수이며, 그 때문에 쇼트키 전극 형성 전에 n형 에피택셜층(23) 표면을 에칭한다. 또한, 동작층으로서 최적의 두께인 2500Å를 확보하기 위해, 온도 및 시간을 정밀하게 컨트롤하여 3500Å 정도의 두께로부터 2500Å가 되도록 웨트 에칭한다. The n-type epitaxial layer 23 is etched using the oxide film 25 around the Schottky contact hole 29 as a mask.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contact hole 29 is formed, the polyimide layer 30 is formed with the surface of the n-type epitaxial layer 23 exposed. It is essential that the Schottky junction is formed on a clean GaAs surface, and therefore the surface of the n-type epitaxial layer 23 is etched before the Schottky electrode is formed.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an optimum thickness of 2500 kV as the operating layer, the temperature and time are precisely controlled and wet etched to be 2500 kPa from a thickness of about 3500 kV.

그 후, Ti/Pt/Au를 순차적으로 진공 증착하고, n+형 에피택셜층(22)과의 쇼트키 접합 영역(31a)를 갖고, 애노드 전극의 기초 전극을 겸하는 쇼트키 전극(31) 및 캐소드 전극(35)용의 기초 전극을 형성한다. After that, Ti / Pt / Au is vacuum deposited sequentially, and the Schottky electrode 31 having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31a with the n + type epitaxial layer 22 serves as the base electrode of the anode electrode, and The base electrode for the cathode electrode 35 is formed.

도 15에서는 애노드 전극(34) 및 캐소드 전극(35)이 되는 Au 도금층을 형성한다. In FIG. 15, an Au plating layer serving as the anode electrode 34 and the cathode electrode 35 is formed.

예정의 애노드 전극(34) 및 캐소드 전극(35) 부분의 기초 전극을 노출시켜 다른 레지스트층으로 피복한 후, 전해금 도금을 행한다. 그 때, 레지스트층이 마스크로 되고, 기초 전극이 노출된 부분만 Au 도금이 부착하여, 애노드 전극(34), 캐소드 전극(35)이 형성된다. 기초 전극은 전면에 형성되고, 레지스트 제거 후, Ar 플라즈마에 의한 이온밀링을 행하여, Au 도금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기초 전극을 절삭하여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34, 35)의 형상으로 패터닝한다. 그 때, Au 도금 부분도 다소 절삭되지만, 6㎛ 정도의 두께라면 문제없다. The base electrode of the predetermined anode electrode 34 and the cathode electrode 35 portion is exposed and covered with another resist layer, followed by electrolytic plating. At that time, the resist layer is used as a mask, and Au plating is attached only to a portion where the base electrode is exposed, so that the anode electrode 34 and the cathode electrode 35 are formed. The base electrode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and after removal of the resist, ion milling by Ar plasma is performed to cut the base electrode in a portion where Au plating is not performed and pattern the shape of the anode and cathode electrodes 34 and 35. In that case, although Au plating part is also somewhat cut | disconnected, if it is about 6 micrometers thick, there is no problem.

또한, 이면을 백랩핑 처리하여, AuGe/Ni/Au를 순차적으로 증착하고, 합금화 열 처리를 실시하여, 이면의 오믹 전극(28)을 형성한다. Further, the backside is back-laminated, AuGe / Ni / Au is sequentially deposited, and an alloying heat treatment is performed to form the ohmic electrode 28 on the backside.

화합물 반도체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모든 공정이 완성되면, 조립을 행하는 후속 공정으로 이행된다. 웨이퍼 상의 반도체 칩은 다이싱되어, 개별 반도체 칩으로 분리되어,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이 반도체 칩을 고착시킨 후, 본딩 와이어로 반도체 칩의 애노드 및 캐소드 본딩 패드와 소정의 리드(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한다. 본딩 와이어로는 금 세선을 이용하여, 주지된 스티치 본딩으로 접속된다. 그 후, 트랜스퍼 몰드되어 수지 패키지가 실시된다. When all the steps are completed, the compound semiconductor Schottky barrier diode proceeds to the subsequent step of performing assembly. The semiconductor chip on the wafer is diced, separated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and the semiconductor chip is fixed to a frame (not shown), and then the anode and cathode bonding pads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predetermined leads (not shown) are bonded with a bonding wire. ). As a bonding wire, it is connected by well-known stitch bonding using a fine gold wire. Thereafter, it is transferred to a resin package.

종래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기판 구조는, 다용한 기종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면으로부터도 캐소드 전극을 취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n+형 GaAs 기판 위에 n+형 에피택셜층을 형성하고, 그 상층에는 소정의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1.3 ×1017-3 정도의 n형 에피택셜층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A substrate of a conventional Schottky barrier diode is to respond to a frequently used type, and has a structure that from the can is also taken out of the cathode is, to form an n + type epitaxial layer on the n + type GaAs substrate, In order to secure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the upper layer has a structure in which an n-type epitaxial layer of about 1.3 × 10 17 cm -3 is formed.

쇼트키 전극은 소정의 특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n형 에피택셜층의 청정한 표면을 노출시켜 금속을 증착하고, 쇼트키 접합을 형성한다. 오믹 전극은 취출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 그 하층의 n+형 에피택셜층에 오믹 접합을 형성한다. Since the Schottky electrode needs to secure certain characteristics, the clean surface of the n-type epitaxial layer is exposed to deposit a metal to form a Schottky junction. In order to reduce the extraction resistance, the ohmic electrode forms an ohmic junction in the underlying n + type epitaxial layer.

여기서, 종래 구조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오믹 전극(28) 형성을 위해서는 메사를 형성하여 n+형 에피택셜층(22)을 노출시켜야 한다. n형 에피택셜층(23)은 두께가 3500Å 정도이며, 그 아래의 n+형 에피택셜층(22)을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메사 에칭이 필수이다. 기판 표면에는 기판 보호를 위한 산화막(25)이 형성되어 있고, 메사 에칭은 그 표면에 포토레지스트에 의한 마스크를 형성하여 에칭하지만, 산화막(25) 표면과 레지스트의 밀착성에 변동이 생긴다. 이러한 상황에서 웨트 에칭하면 에칭이 필요 이상으로 가로 방향으로 확대되어, 필요한 산화막(25)까지 에칭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어, GaAs가 노출되면 메사의 형상이 불안정해진다. 이 때문에 메사의 개구부에 형성하는 오믹 전극(28) 형성 시의 포토레지스트도, 주위단부의 형상으로 새깅이 발생하는 등, 결과적으로 리프트 오프에 의한 오믹 전극(28)의 형상이 나빠지거나, GaAs가 쇼트키 접합 부근까지 에칭되어,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Here, the conventional structure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in order to form the ohmic electrode 28, a mesa must be formed to expose the n + type epitaxial layer 22. The n-type epitaxial layer 23 has a thickness of about 3500 kPa, and mesa etching is essential in order to expose the n + type epitaxial layer 22 thereunder. An oxide film 25 for protecting the substrat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mesa etching is performed by forming a mask with a photoresist on the surface thereof, but variations in the adhesion between the surface of the oxide film 25 and the resist occur. In such a situation, when wet etching, the etching is exten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ore than necessary, and may be etched to the required oxide film 25. When GaAs is exposed, the shape of the mesa becomes unstable. For this reason, the photoresist at the time of forming the ohmic electrode 28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mesa also causes sagging to occur in the shape of the peripheral end. Etching to the vicinity of the Schottky junction may cause problems such as adversely affecting characteristics.

둘째, 애노드 전극(34)은 그 대부분이 캐소드 전위가 되는 GaAs 상에 형성되어 있어, 여기서의 기생 용량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교차 부분의 면적은 1300㎛2 이므로, 두꺼운 층간 절연막으로 기생 용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필수이다. 메사를 매립하여, 두꺼운 층간 절연막으로 하기 위해, 6∼7㎛의 폴리이미드층(30)을 형성해야한다. 쇼트키 접합 영역(31a)의 전극을 취출하기 위해 폴리이미드층(30)에는 개구부를 형성하지만, 두꺼운 폴리이미드층(30)의 에칭에 의해, 또한 폴리이미드층(30) 위의 전극의 스텝 커버리지를 고려하는 목적도 있어, 그 개구부에는 테이퍼가 생긴다. 그러나, 폴리이미드층(30)의 막질의 변동이나, 폴리이미드층(30)과 레지스트와의 밀착성의 변동에 의해, 그 테이퍼의 각도가 30∼45도로 크게 변동된다. 이 때문에, 동작 영역인 쇼트키 접합 영역(31a)과 오믹 전극(28)과의 이격 거리는, 테이퍼를 고려하면 7㎛ 정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각 접합의 이격 거리는 직렬 저항에 기여하므로, 이격 거리가 크면 고주파 특성의 향상을 저지하고, 또한 칩의 소형화도 실현되지 않는 원인으로 되어 있다. Secondly, the anode electrode 34 is formed on GaAs, the majority of which is at the cathode potential, so that the parasitic capacitance here becomes large. Since the area of the intersection is 1300 µm 2 , it is essential to reduce the parasitic capacitance with a thick interlayer insulating film. In order to fill the mesa to form a thick interlayer insulating film, a polyimide layer 30 having a thickness of 6 to 7 µm must be formed. Openings are formed in the polyimide layer 30 to take out the electrodes of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31a, but step coverage of the electrodes on the polyimide layer 30 is further obtained by etching the thick polyimide layer 30. There is also an object to consider, the opening is tapered. However, the taper angle varies greatly by 30 to 45 degrees due to variations in the film quality of the polyimide layer 30 and variations in adhesion between the polyimide layer 30 and the resist. For this reason, the distance betwee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31a and the ohmic electrode 28, which is the operating region, needs to be about 7 µm in consideration of the taper. However,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of each junction contributes to the series resistance, a large separation distance prevents the improvement of the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 and also causes the miniaturization of the chip.

셋째, 쇼트키 접합 및 오믹 접합의 부근에 테이퍼가 생기게 되므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동작 영역 부근에서는 층간 절연막 6㎛의 두께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기생 용량을 증가시키고, 특성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도 있었다. Third, since the taper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Schottky junction and the ohmic junction, the thickness of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6 µm cannot be maintained in the vicinity of the operating region of the Schottky barrier diode, which increases parasitic capacitance and deteriorates characteristics. There was a problem.

넷째, 층간 절연막으로서 폴리이미드를 채용하거나, 배선 및 전극의 취출용이 되는 본딩 패드에 Au 도금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시킬 수 없는 요인이 되었다. Fourth, since polyimide was used as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or Au plating was used as the bonding pad for taking out the wiring and the electrode, the cost could not be reduced.

또한, 종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하의 문제가 있었다. Moreo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there existed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쇼트키 접합은, 최상층의 n형 에피택셜층(23)에 쇼트키 접합시키지만, 동작층의 내압 및 저항을 고려한 최적의 두께인 2500Å를 확보하기 위해, 3500Å 정도의 n형 에피택셜층(23)으로부터 2500Å가 될 때까지 에칭하여 형성된다. 이 때의 에칭은 웨트 에칭이기 때문에, 시간이나 온도, 또한 에칭액 내에서의 웨이퍼의 진동 폭, 진동 스피드 등의 컨트롤이 대단히 곤란한 데다가, 에칭액을 소정의 선도 유지 시간 내에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면 웨이퍼마다 변동이 생겨, 동작 영역 특성의 재현성 및 고주파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First, although the Schottky junction is a Schottky junction to the uppermost n-type epitaxial layer 23, in order to secure an optimum thickness of 2500 kPa in consideration of the breakdown voltage and resistance of the operating layer, an n-type epitaxial layer of about 3500 kPa ( 23) is formed by etching until it becomes 2500 kPa. Since etching at this time is wet etching,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time and temperature, the vibration width of the wafer in the etching liquid, the vibration speed and the like, and it is required to use the etching liquid within a predetermined freshness holding time. Therefore, according to this method, variations occur in each waf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mprove the reproducibility of the operating region characteristics and the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둘째, 메사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많은 공정이 필요한 메사 에칭이 필요해져 레지스트와 산화막과의 밀착성의 변동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으로서의 폴리이미드층 형성 공정이나, 폴리이미드층 위에 전극을 취출하기 위한 Au 도금 형성 공정 등이 동시에 필요하고, 제조 플로우를 복잡하게 하여, 시간적으로도 효율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Second, by employing a mesa structure, a mesa etching requiring a large number of steps is required, and a defect may occur due to a change in adhesion between the resist and the oxide film. Moreover, the polyimide layer formation process as an interlayer insulation film, the Au plating formation process for taking out an electrode on a polyimide layer, etc. are required simultaneously, and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a manufacturing flow was complicated and it was not efficient also in time.

화합물 반도체는 그 기판의 가격 자체가 높기 때문에, 합리화를 위해서는 칩 사이즈를 축소하여 비용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즉, 칩 사이즈의 저감은 불가피하고, 재료 자체의 비용의 삭감도 요망되고 있다. 또한 동시에, 고주파 특성의 개선도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의 간소화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였다. Since compound semiconductors have a high price of the substrate itself,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hip size and reduce costs in order to rationalize. In other words, it is inevitable to reduce the chip size and to reduce the cost of the material itself. At the same time, improvement of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is also required. Moreover, it was also an important subject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화합물 반도체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평탄한 일 도전형의 고농도 에피택셜층 및 일 도전형의 에피택셜층과, 상기 에피택셜층을 관통하여 상기 고농도 에피택셜층까지 도달하는 일 도전형의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과, 상기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 표면에 오믹 접합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으로 외주가 둘러싸인 상기 에피택셜층 표면상의 원형의 쇼트키 접합 영역과, 상기 쇼트키 접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고 또한 전극의 취출용으로 되는 제2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기판 표면에 형성된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 표면에 오믹 전극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화합물 반도체의 플래너형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가 실현되고, 동작 부분의 면적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칩 사이즈의 소형화나 비용의 삭감, 또한 기생 용량 및 저항을 저감시킴으로써, 고주파 특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se problems, and includes a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 a flat one-conductive high-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and a one-conducting epitaxial layer, and the epitaxial layer penetrating the high-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A highly conductive ion implantation region of one conductivity type reaching the shir layer, a first electrode that is ohmic-bonded to the surface of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a circular Schottky junction region on the surface of the epitaxial layer surrounded by the first electrode, and And a second electrode for forming the epitaxial layer and the Schottky junction i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and for extracting the electrode, wherein the ohmic electrod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formed on the substrate surface. By forming a planar Schottky barrier diode of a compound semiconductor is realized, Since the area can also be reduced, the chip size can be reduce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parasitic capacitance and resistance can be reduce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또한, 비도핑 화합물 반도체 기판에 일 도전형의 고농도 에피택셜층 및 일 도전형의 에피택셜층을 적층하고, 예정의 제1 전극 아래의 상기 에피택셜층 표면으로부터 상기 고농도 에피택셜층에 달하는 일 도전형의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 표면에 오믹 접합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전극으로 외주가 둘러싸인 원형의 쇼트키 접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 표면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층을 연장하여 전극의 취출용으로 되는 제2 전극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금속층과 동일한 금속층으로 제1 전극의 취출용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 공정의 간소화 및 효율화를 실현하고, 고주파 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one conductivity type high 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and one conductivity type epitaxial layer are laminated on the undoped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 and the conductivity reaches from the surface of the epitaxial layer under a predetermined first electrode to the high 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In the step of forming a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of a type, a step of forming a first electrode to be ohmic-bonded to the surface of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and a circular Schottky junction region surrounded by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electrode. Forming a metal layer forming a Schottky junction with the surface of the tactical layer, extending the metal layer to form a second electrode for extraction of the electrode, and simultaneously forming an extraction electrode of the first electrode with the same metal layer as the metal layer; It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cess, the short to realize the simplification and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further improve the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The barrier diode is to provide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발명의 실시예>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부터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본 발명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화합물 반도체 기판(1)과, 고농도 에피택셜층(2)과, 에피택셜층(3)과,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과, 제1 전극(8)과, 제2 전극(11)으로 구성된다. The Schottky barrier di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 1, a high 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2, an epitaxial layer 3, a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a first electrode 8, And the second electrode 11.

도 1에 동작 영역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region portion.

화합물 반도체 기판(1)은 비도핑된 GaAs 기판으로서, 그 위에 5000Å의 고농 도 에피택셜층(2)(5 ×1018-3) 및 2500Å의 n형 에피택셜층(3)(1.3 ×1017-3)을 적층한다. 어떤 층에도 메사는 형성되지 않고, 평탄한 기판 구조로 되어 있다. The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 1 is an undoped GaAs substrate, on which a high 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2 (5 × 10 18 cm −3 ) and a n-type epitaxial layer 3 (2500 × 3) (1.3 × 10) are placed thereon. 17 cm -3 ) are laminated. Mesas are not formed in any of the layers, but have a flat substrate structure.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은 오믹 전극(8) 아래의 n형 에피택셜층(3)의 표면으로부터 n+ 에피택셜층(2)까지 도달하도록 형성한다. 원형의 쇼트키 접합 영역(11a)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오믹 전극(8)과 거의 중첩하고, 적어도 쇼트키 접합 영역(11a)을 둘러싼 부분에서는 오믹 전극(8)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쇼트키 접합 영역(11a)과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과의 이격 거리는 1㎛이다. 즉, 종래의 메사 구조를 채용하는 대신에, 플래너 구조를 유지한 상태에서 표면에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메사를 형성하지 않고 오믹 접합을 실현할 수 있다.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is formed so as to reach the n + epitaxial layer 2 from the surface of the n-type epitaxial layer 3 under the ohmic electrode 8. It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ircular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and substantially overlaps the ohmic electrode 8, and protrudes from the ohmic electrode 8 at least at the portion surrounding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and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is 1 μm. In other words, instead of adopting the conventional mesa structure,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is formed on the surface while the planar structure is maintained, and ohmic bonding can be realized without forming a mesa.

제1 전극인 오믹 전극(8)은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에 컨택트하는 제1층째의 금속층이다. AuGe/Ni/Au를 순차적으로 증착하고, 쇼트키 접합 부근을 원형으로 도려낸 형상으로 패터닝된다. 인접하는 쇼트키 접합 영역(11a)과의 이격 거리는 2㎛이다. The ohmic electrode 8 serving as the first electrode is the first metal layer which contacts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AuGe / Ni / Au is sequentially deposited and patterned into a shape with a circular cutout near the Schottky junctio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adjacent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is 2 micrometers.

제2 전극은 쇼트키 접합 영역(11a)에서 애노드 본딩 패드(11b)에 이르는 애노드 전극(11)이다. GaAs 표면을 피복하는 질화막(5)에 직경 10㎛의 원형의 쇼트키 컨택트홀을 형성하고, Ti/Pt/Au를 순차적으로 증착한 제2층째의 금속층으로서, n형 에피택셜층(3)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함으로써 쇼트키 접합 영역(11a)을 형성한다. 또한, 그 금속층을 전극의 취출용으로 되는 본딩 와이어 고착 영역까지 연장 하여 애노드 본딩 패드(11b)를 형성한다. 즉, n형 에피택셜층(3)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쇼트키 금속층과 그 전극의 취출용으로 되는 배선 및 애노드 본딩 패드(11b)를 형성하는 금속층이 애노드 전극(11)으로서 동일한 증착 금속층으로 되어 있다. 동작 영역이 되는 n형 에피택셜층(3)은 내압 등 소정의 특성을 얻기 위해 최적인 2500Å으로 되어 있어, 종래 필요한 동작층 두께의 컨트롤을 위한 에칭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재현성이 좋은 쇼트키 접합을 형성할 수 있어, 특성이 안정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질화막(5)을 통해 오믹 전극(8) 또는 캐소드 전위인 GaAs와 절연된다. The second electrode is the anode electrode 11 from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to the anode bonding pad 11b. An n-type epitaxial layer 3 and the second metal layer in which a circular Schottky contact hole having a diameter of 10 µm was formed in the nitride film 5 covering the GaAs surface, and Ti / Pt / Au was sequentially deposited.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is formed by forming a Schottky junction. Further, the metal layer is extended to the bonding wire fixing area for taking out the electrode to form the anode bonding pad 11b. That is, the Schottky metal layer forming the n-type epitaxial layer 3 and the Schottky junction, and the metal layer forming the wiring and the anode bonding pad 11b for taking out the electrode are the same deposition metal layers as the anode electrode 11. It is. The n-type epitaxial layer 3 serving as the operating region is 2500 kPa, which is optimal for obtaining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such as breakdown voltage, and the etching process for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operating layer required in the past can be omitted. A key junction can be formed and a Schottky barrier diode with stabl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nitride film 5 is insulated from the ohmic electrode 8 or GaAs which is a cathode potential.

애노드 본딩 패드(11b)의 아래에는, 붕소 등을 주입하여 절연화된 영역(6)(이하 절연화 영역)이 형성된다. 비도핑된 GaAs 기판까지 도달하는 절연화 영역(6)의 GaAs 부분이 캐소드 전위로 되지 않으므로, 폴리이미드 및 질화막을 형성하지 않고 와이어 본딩부를 기판에 직접 고착시킬 수 있다. Under the anode bonding pad 11b, an insulating region 6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sulating region) is formed by injecting boron or the like. Since the GaAs portion of the insulated region 6 reaching the undoped GaAs substrate does not become the cathode potential, the wire bonding portion can be directly fixed to the substrate without forming the polyimide and nitride film.

캐소드 전극(15)도 제2층째의 Ti/Pt/Au이며, 오믹 전극(8)과 컨택트하여, 애노드 전극(11)과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다. 제2층째의 금속층은 캐소드 본딩 영역까지 연장되어, 캐소드 본딩 패드(15b)로 된다. 오믹 전극(8)이 컨택트하는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 및 n+형 에피택셜층(2)은 캐소드 전위(전극)가 된다. 캐소드 본딩 패드(15b)는 n형 에피택셜층(3) 표면에 직접 고착된다. The cathode electrode 15 is also Ti / Pt / Au of the second layer and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ohmic electrode 8 to face the anode electrode 11 with each other. The metal layer of the second layer extends to the cathode bonding region and becomes the cathode bonding pad 15b.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and the n + type epitaxial layer 2 which the ohmic electrode 8 contacts become a cathode potential (electrode). The cathode bonding pad 15b is directly adhered to the n-type epitaxial layer 3 surface.

도 2 및 도 3에 본 발명의 화합물 반도체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칩의 패턴도의 개략이고, 도 3은 동작 영역 부분의 확대도 이다. 이 도면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쇼트키 접합이 하나인 경우이다. 2 and 3 show plan views of the Schottky barrier diode of the compound semicondu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attern of a chip,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n operation region portion. This figure shows the case of one Schottky junc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층째의 금속층인 Ti/Pt/Au를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애노드 전극(11)을 형성한다. 애노드 전극(11)은 칩의 거의 중앙에서 n형 에피택셜층(3)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쇼트키 접합 영역(11a)을 갖는다. 이 영역은 직경 약 10㎛의 원형으로, 그 원형 부분만이 GaAs에 직접 컨택트하고 있다. 또한, 그 금속층을 연장시켜 애노드 본딩 패드(11b)를 형성하고, 전극의 취출을 행한다. The anode electrode 11 is formed by sequentially depositing Ti / Pt / Au, which is the second metal layer. The anode electrode 11 has a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which forms a Schottky junction with the n-type epitaxial layer 3 at about the center of the chip. This area is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about 10 mu m, and only the circular portion is in direct contact with GaAs. Further, the metal layer is extended to form the anode bonding pad 11b, and the electrode is taken out.

애노드 본딩 패드(11b) 아래에는 B+ 이온을 주입한 절연화 영역(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애노드 본딩 패드(11b)를 절연막을 개재하지 않고 기판에 직접 고착할 수 있어, 본딩 시의 불량을 저감시키고, 본딩 패드부에서의 기생 용량을 없앨 수 있다. Under the anode bonding pad 11b, an insulation region 6 into which B + ions are implanted is formed. As a result, the anode bonding pad 11b can be directly fixed to the substrate without interposing the insulating film, thereby reducing defects in bonding and eliminating parasitic capacitance in the bonding pad portion.

파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이 오믹 전극(8)이 된다. 원형의 쇼트키 접합 영역(11a)의 외주를 둘러싸고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도시하지 않음)과 컨택트하고 있다. 오믹 전극(8)은 AuGe/Ni/Au를 순차적으로 증착한 제1층째의 금속층이다.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과 거의 중첩하여 형성되고, 또한 전극의 취출을 위해 제2층째의 증착 금속층에 의한 캐소드 전극(15)을 형성하고, 연장하여 캐소드 본딩 패드(15b)를 형성한다. 캐소드 전극의 취출은 고주파 특성의 요인인 인덕터 성분을 낮추기 위해, 본딩 와이어를 많이 고착할 필요가 있으며, 그로 인해 칩의 절반을 차지하는 영역을 본딩 영역으로 하고 있다. The part shown with the broken line becomes the ohmic electrode 8. As shown in FI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is contacted with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not shown). The ohmic electrode 8 is a metal layer of the first layer in which AuGe / Ni / Au is sequentially deposited. It is formed so as to overlap with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and the cathode electrode 15 by the vapor deposition metal layer of the 2nd layer is formed for extraction of an electrode, and is extended and the cathode bonding pad 15b is formed. In order to reduce the inductor component, which is a factor of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extraction of the cathode electrode requires a large amount of bonding wires to be fixed. Therefore, a region occupying half of the chip is used as the bonding region.

애노드 및 캐소드 본딩 패드(11b, 15b)에는 스티치 본드에 의해 본딩 와이어 가 고착되고, 전극이 취출된다. 애노드 본딩 패드(11b)부의 면적은 60 ×70㎛이고, 캐소드 본딩 패드(15b)부는 180 ×70㎛이다. 스티치 본드에 의한 접속에서는, 1회의 본딩으로 2개의 본딩 와이어를 접속할 수 있으므로, 본딩 면적이 작은 것이라도, 고주파 특성의 파라미터인 인덕터 성분을 작게 할 수 있어, 고주파 특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Bonding wires are fixed to the anode and cathode bonding pads 11b and 15b by stitch bonding, and electrodes are taken out. The area of the anode bonding pad 11b portion is 60 × 70 μm, and the cathode bonding pad 15b portion is 180 × 70 μm. In connection by stitch bonding, since two bonding wires can be connected by one bonding, even if the bonding area is small, the inductor component which is a parameter of a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 can be made small, and i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a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위가 되는 GaAs의 교차 부분은 사선으로 나타내는 영역만으로 되고, 이 부분의 면적은 약 100㎛2이다. 이것은, 종래의 1300㎛과 비교하여 1/13 정도까지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층간 절연막인 폴리이미드를 얇은 질화막(5)으로 대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anode electrode and GaAs serving as the cathode potential is only an area indicated by diagonal lines, and the area of this portion is about 100 mu m 2 . Since this can be reduced to about 1/13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1300 µm, the polyimide, which is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can be substituted for the thin nitride film 5.

본 발명의 특징은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을 형성하고, 쇼트키 접합 영역(11a) 및 오믹 전극(8)을 GaAs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플래너 구조를 실현한 것에 있다. 메사 형상의 변동에 따른 오정렬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쇼트키 접합 영역(11a)과 오믹 전극(8)의 이격 거리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애노드 전극(11) 아래에는, 그 대부분의 영역에 절연화 영역(6)이 형성되어 있고, 캐소드 전위가 되는 GaAs와 애노드 전극(11)이 교차하는 부분의 면적은 100㎛2 정도가 되어, 종래와 비교하여 1/13의 면적으로 되어 있다. 폴리이미드 두께(이격 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기생 용량을 억제할 필요가 없으므로, 폴리이미드층은 얇은 질화막으로 대용할 수 있고, 폴리이미드의 테이퍼 부분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the planar structure of the Schottky barrier diode by forming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and forming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and the ohmic electrode 8 on the GaAs surfac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misalignment due to the change in the mesa shap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and the ohmic electrode 8 can be greatly reduced. Insulating regions 6 are formed in most of the regions below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GaAs serving as the cathode potential and the anode electrode 11 cross each other is about 100 µm 2 . 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e area is 1/13. Since the parasitic capacitance does not need to be suppressed by increasing the polyimide thickness (separation distance), the polyimide layer can be substituted with a thin nitride film, and the tapered portion of the polyimide also does not need to be considered.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쇼트키 접합 영역과 오믹 전극의 이격 거리는 7㎛에서 2㎛까지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과의 이격 거리는 1㎛이고, 이 경우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은 캐리어의 이동 경로로서 거의 오믹 전극(8)과 동일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이격 거리는 1/7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쇼트키 접합 영역(11a) 및 오믹 전극(8)의 이격 거리는 직렬 저항에 기여하므로, 이격 거리를 축소할 수 있으면 저항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고, 고주파 특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Thus, specificall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and the ohmic electrode can be reduced from 7 µm to 2 µm. In additio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is 1 占 퐉, and in this case,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has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ohmic electrode 8 as the carrier's movement path. The distance can be reduced to 1/7.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and the ohmic electrode 8 contributes to the series resistance, if the separation distance can be reduced, the resistance can be further reduced, which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이에 따라, 칩의 소형화에 기여하게 되어, 칩 사이즈는 종래 0.27 ×0.31㎟ 사이즈였던 것이, 0.25 ×0.25㎟까지 축소될 수 있다. 사이즈로는 본딩 패드를 배치할 필요성이나, 조립 시에 핸들링할 수 있는 칩 사이즈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0.25㎟이 현 실정에서의 한계이지만, 동작 영역에서는 1/10 정도까지 대폭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작 영역을 배치하는 자유도가 대단히 커진다. This contributes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chip, so that the chip size, which was conventionally 0.27 x 0.31 mm 2, can be reduced to 0.25 x 0.25 mm 2. As the size, there is a need to arrange bonding pads, but there is a limit of the chip size that can be handled at the time of assembly, so 0.25 mm2 is the limit in the current situation, but in the operating area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o about 1/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gree of freedom in arranging the operation region is great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애노드 전극은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금속층을 연장시킨 만큼 전극 구조인 것에도 특징이 있다. 폴리이미드가 얇은 질화막으로 대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전극 및 배선은 증착 금속층으로 실현할 수 있어, 비용의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The anode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electrode structure as long as the metal layer forming the Schottky junction is extended. Since the polyimide can be substituted with a thin nitride film, the electrode and the wiring can be realized by the deposited metal layer, which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cost reduc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애노드 전극(11)이 형성하는 쇼트키 접합 영역(11a)을 복수개 형성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FIG. 4 show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Schottky junction regions 11a formed by the anode electrode 11, which i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쇼트키 접합 영역(11a)을 복수개 형성할 수 있다. 예 를 들면 도 4와 같이 배치하면 쇼트키 접합 영역(11a)이 병렬로 접속되게 되어, 저항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chottky junction regions 11a can be form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is connected in parallel, which can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resistance.

또한, 쇼트키 컨택트홀 직경을 작게 하여 복수개 배치하면, 전체 쇼트키 컨택트홀 면적이 동일하며 하나를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쇼트키 컨택트홀의 중심과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과의 이격 거리를 더 저감시킬 수 있어,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에서의 캐리어의 트랩이 효과적으로 된다. 이에 따라, 캐소드 저항의 값이 작아져, 고주파 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Schottky contact hole diameters are arranged in small numbers, the total Schottky contact hole areas are the same and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e is arrange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Schottky contact hole and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is reduced. It can further reduce, and the trapping of the carrier in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becomes effective. As a result, the value of the cathode resistance is reduc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further improving the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도 5 내지 도 8에 본 발명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다. 5 to 8 show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chottky barrier di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비도핑 화합물 반도체 기판에 일 도전형의 고농도 에피택셜층 및 일 도전형의 에피택셜층을 적층하고, 예정의 제1 전극 아래의 에피택셜층 표면으로부터 고농도 에피택셜층에 달하는 일 도전형의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 표면에 오믹 접합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1 전극으로 외주가 둘러싸인 에피택셜층 표면에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금속층을 형성하고, 금속층을 연장시켜 전극의 취출용으로 되는 제2 전극을 형성하고, 동시에 금속층으로 제1 전극의 취출용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The Schottky barrier diode laminates a one conductivity type high 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and one conductivity type epitaxial layer on an undoped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 and reaches a high 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from the surface of the epitaxial layer under a predetermined first electrode. Forming a highly conductive ion implantation region of one conductivity type, forming a first electrode to be ohmic-bonded to the surface of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and forming a Schottky junction on the surface of the epitaxial layer surrounded by the first electrode Forming a metal layer, extending the metal layer to form a second electrode for taking out the electrode, and simultaneously forming a takeout electrode of the first electrode from the metal layer.

본 발명의 제1 공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도핑 화합물 반도체 기판(1)에 일 도전형의 고농도 에피택셜층(2) 및 일 도전형의 에피택셜층(3)을 적층하고, 예정의 제1 전극(8) 아래의 에피택셜층(3)의 표면으로부터 고농도 에피택셜 층(2)에 달하는 일 도전형의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을 형성하는 것이다. In the first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high conductivity epitaxial layer 2 and one conductivity type epitaxial layer 3 are laminated on an undoped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 1,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of one conductivity type that reaches the high 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2 is formed from the surface of the epitaxial layer 3 under the predetermined first electrode 8.

본 공정은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공정으로서, 예정의 오믹 전극(8)이 형성되는 영역 아래의 n형 에피택셜층(3)을 관통하여 n+형 에피택셜층(2)에 달하는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을 형성한다. This process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penetrates the n-type epitaxial layer 3 under the region where the predetermined ohmic electrode 8 is formed and reaches the n + type epitaxial layer 2. The region 7 is formed.

즉, 비도핑된 GaAs 기판(1)에 n+형 에피택셜층(2)(5 ×1018-3)을 5000Å 정도 퇴적하고, 그 위에 n형 에피택셜층(3)(1.3 ×1017-3)을 2500Å 퇴적한다. 그 후 전면을 질화막(5)으로 피복하고, 레지스트층을 형성하여 예정의 절연화 영역(6) 위의 레지스트층을 선택적으로 창내기하는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를 행한다. 그 후, 이 레지스트층을 마스크로 하여 B+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비도핑된 GaAs 기판(1)까지 달하는 절연화 영역(6)을 형성하고, 캐소드 전위가 되는 GaAs와 애노드 본딩 패드부(11b)와의 절연화를 도모한다. That is, n + type epitaxial layer 2 (5 x 10 18 cm -3 ) is deposited on the undoped GaAs substrate 1 about 5000 m 3 , and the n type epitaxial layer 3 (1.3 x 10 17 ) is deposited thereon. Cm- 3 ) is deposited at 2500Å. Thereafter, the entire surface is covered with a nitride film 5, a resist layer is formed, and a photolithography process for selectively windowing the resist layer on the predetermined insulating region 6 is performed. Then, using this resist layer as a mask, ion implantation of B + impurities is performed to form the insulating region 6 up to the undoped GaAs substrate 1, whereby GaAs and the anode bonding pad portion 11b serving as cathode potentials are formed. I insulate with and.

이어서, 예정의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이 형성되는 영역 위의 레지스트층을 선택적으로 창내기하는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를 행한다. 그 후, 이 레지스트층을 마스크로 하여 고농도의 n형 불순물(Si+, 1 ×1018-3 정도)을 이온 주입하고, 예정의 오믹 전극(8) 아래의 n형 에피택셜층(3)을 관통하여, n+형 에피택셜층(2)에 달하는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을 형성한다. 이 때, 이온 주입은 다른 조건으로 복수회 주입하고,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의 불순물 농도가 깊 이 방향으로 가능한 한 균일해지도록 형성한다. Next, a photolithography process is performed to selectively window the resist layer on the region where the predetermined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is to be formed. Thereafter, a high concentration of n-type impurities (Si + , about 1 x 10 18 cm -3 ) is ion-implanted using the resist layer as a mask, and the n-type epitaxial layer 3 under the predetermined ohmic electrode 8 is formed.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extending through the n + type epitaxial layer 2 is formed. At this time, the ion implantation is implanted a plurality of tim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so that the impurity concentration of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is as uniform as possible in the depth direction.

그 후, 레지스트층을 제거하고, 어닐링용으로 질화막(5)을 재차 피착하여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 및 절연화 영역(6)의 활성화 어닐링을 실시한다. Thereafter, the resist layer is removed, and the nitride film 5 is deposited again for annealing, and activation anneal of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and the insulation region 6 is performed.

이에 의해, 예정의 오믹 전극(8) 아래에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이 형성된다. 이후의 공정에서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의 표면에, 오믹 전극(8)을 형성함으로써, 플래너 구조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가 실현된다. 이에 의해, 쇼트키 접합 영역과, 오믹 전극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의 이격 거리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어, 직렬 저항을 저감시켜 고주파 특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가 된다. As a result, a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is formed under the predetermined ohmic electrode 8. By forming the ohmic electrode 8 on the surface of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in a later step, a Schottky barrier diode having a planar structure is realized. As a resul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and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ohmic electrode can be greatly reduced, resulting in a Schottky barrier diode that can greatly reduce the series resistance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

본 발명의 제2 공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의 표면에 오믹 접합하는 제1 전극(8)을 형성하는 것이다. In the second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first electrode 8 to be ohmic-bonded to the surface of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is formed.

전면에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예정의 오믹 전극(8)을 형성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창내기하는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를 행한다. 레지스트층으로부터 노출된 질화막(5)을 제거하고, 제1층째의 금속층인 AuGe/Ni/Au의 3층을 순차적으로 진공 증착하여 적층한다. 그 후, 리프트 오프에 의해 레지스트층을 제거하고, 예정의 오믹 전극(8) 부분에 제1층째의 금속층을 남긴다. 이어서, 합금화 열 처리에 의해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 표면에 오믹 전극(8)을 형성한다. A photolithography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a resist layer is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and selectively windowed a portion for forming a predetermined ohmic electrode 8. The nitride film 5 exposed from the resist layer is removed, and three layers of AuGe / Ni / Au, which are the metal layers of the first layer, are sequentially deposited by vacuum deposition. Thereafter, the resist layer is removed by lift-off, leaving the metal layer of the first layer on the predetermined ohmic electrode 8 portion. Subsequently, the ohmic electrode 8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by alloying heat treatment.

본 발명의 제3 공정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8)으로 외주가 둘러싸인 에피택셜층(3) 표면에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금속층을 형성하고, 금속층을 연장하여 전극의 취출용으로 되는 제2 전극(11)을 형성하고, 동시에 금속층으로 제1 전극(8)의 취출용 전극(15)을 형성하는 것에 있다. In the third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a metal layer forming a Schottky junc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pitaxial layer 3 surround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electrode 8, and the metal layer is extended. The 2nd electrode 11 used for extraction of an electrode is formed, and the extraction electrode 15 of the 1st electrode 8 is formed simultaneously with a metal layer.

본 공정은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공정으로서, 우선 도 7에서는 재차 전면에 층간 절연막이 되는 질화막을 5000Å 정도 퇴적한다. 그 후, 레지스트층 PR을 전면에 형성하고, 예정의 쇼트키 접합 영역(11a) 및 애노드 본딩 패드(11b), 캐소드 전극(15) 부분을 선택적으로 창내기하는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를 행한다. 노출된 질화막(5)을 드라이 에칭하고, 레지스트층 PR을 제거하여 n형 에피택셜층(3)이 노출된 컨택트홀(9)을 형성한다. This step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Fig. 7, a nitride film, which becomes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is deposited on the entire surface of about 5000 kPa. Thereafter, the resist layer PR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and a photolithography process is performed to selectively window portions of the predetermined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the anode bonding pad 11b, and the cathode electrode 15. The exposed nitride film 5 is dry etched, and the resist layer PR is removed to form a contact hole 9 in which the n-type epitaxial layer 3 is exposed.

그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차 레지스트를 전면에 형성하고, 애노드 전극(11) 및 캐소드 전극(15)의 패턴을 선택적으로 창내기하는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를 행한다. 전면에 제2층째의 금속층인 Ti/Pt/Au의 3층을 순차적으로 진공 증착하여 적층하고, 리프트 오프에 의해 레지스트층 PR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n형 에피택셜층(3)의 표면에 쇼트키 접합 영역(11a)을 형성하는 금속층을 애노드 본딩 패드(11b)까지 연장된 애노드 전극(11)이 형성된다. 또한 동시에, 오믹 전극(8)에 컨택트하여, 캐소드 본딩 패드(15b)까지 연장된 캐소드 전극(15)이 형성된다. 그 후, 이면을 백랩핑 처리한다. Then, as shown in FIG. 8, a resist is again formed on the whole surface, and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of selectively creating the pattern of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cathode electrode 15 is performed. Three layers of Ti / Pt / Au, which are the metal layers of the second layer, are sequentially deposited on the entire surface by vacuum deposition, and the resist layer PR is removed by lift-off. Thereby, the anode electrode 11 which extends the metal layer which forms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to the anode bonding pad 11b on the surface of the n-type epitaxial layer 3 is formed. At the same time, the ohmic electrode 8 is contacted to form the cathode electrode 15 which extends to the cathode bonding pad 15b. Thereafter, the back surface is subjected to back lapping treatment.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동작층의 두께의 컨트롤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것을 행하는 GaAs 에칭 공정에서, 시간이나 온도, 또한 에칭액 내에서의 웨이퍼의 진동 폭, 진동 스피드 등의 정밀한 컨트롤이 대단히 곤란한데다가, 에칭액을 소정의 선도 유지 시간 내에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사전에 동작층으로서 최적인 2500Å의 에피택셜층(3)을 형성해 두면, 동작층의 두께의 컨트롤을 위한 에칭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재현성이 좋은 쇼트키 접합을 형성할 수 있어, 특성이 안정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In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since the control of the thickness of the operating layer is required, precise control such as the time and temperature, the vibration width of the wafer in the etching solution, the vibration speed, etc. in the GaAs etching step is very difficult. It is required to use within a predetermined freshness holding time. Howev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pitaxial layer 3 of 2500 kPa which is optimal as the operating layer is formed in advance, the etching step for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operating layer can be omitted, so that the reproducibility is short. The key junction can be form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producing a Schottky barrier diode with stable characteristics.

또한, 애노드 전극(11) 및 캐소드 전극(15)은 통상의 리프트 오프법으로 형성하는 증착 금속이다. 또한, 애노드 전극(11)과 오믹 전극(8)과의 층간 절연막은 질화막(5)이고, 본딩 패드부도 기판에 직접 고착할 수 있으므로, 폴리이미드층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폴리이미드층 위에서 폴리이미드의 문제점을 흡수하기 위해 두껍게 형성한 배선 및 본딩 패드 형성의 Au 도금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수회에 걸친 코팅을 행하는 폴리이미드층 형성 공정 및 Au 도금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면, 제조 플로우를 간략화하여, 효율적으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cathode electrode 15 are vapor deposition metals formed by the normal lift-off method. In additi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between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ohmic electrode 8 is the nitride film 5, and the bonding pad portion can also be directly fixed to the substrate, so that the polyimide layer can be omitted. Thereby, the Au plating process of wiring and bonding pad formation thickly formed in order to absorb the problem of polyimide on a polyimide layer can be skipped conventionally. If the polyimide layer formation process and Au plating process which perform several coating can be skipped, a manufacturing flow can be simplified and a Schottky barrier diode can be manufactured efficiently.

화합물 반도체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전체 공정이 완성되면, 조립을 행하는 후속 공정으로 이행한다. 웨이퍼 상의 반도체 칩은 다이싱되어, 개별의 반도체 칩으로 분리되고,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이 반도체 칩을 고착시킨 후, 본딩 와이어로 반도체 칩의 본딩 패드(11b, 15b)와 소정의 리드(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한다. 본딩 와이어로는 금 세선을 이용하여, 주지된 스티치 본딩으로 접속된다. 그 후, 트랜스퍼 몰드되어 수지 패키지가 실시된다. When the whole process is completed, the compound semiconductor Schottky barrier diode proceeds to the subsequent step of assembling. The semiconductor chip on the wafer is diced, separated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and the semiconductor chip is fixed to a frame (not shown), and then the bonding pads 11b and 15b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predetermined leads are bonded with a bonding wire. (Not shown). As a bonding wire, it is connected by well-known stitch bonding using a fine gold wire. Thereafter, it is transferred to a resin package.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이하에 기재하는 수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numerous effects described below can be obtained.

첫째, GaAs 표면에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을 형성하고, 쇼트키 접합 영역(11a) 및 오믹 전극(8)을 GaAs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플래너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메사 형상의 변동에 의한 오믹 전극 형상의 변동이나 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오정렬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쇼트키 접합 영역(11a)과 오믹 전극(8)의 이격 거리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쇼트키 접합 영역(11a) 및 오믹 전극(8)의 이격 거리는 직렬 저항에 기여하므로, 이격 거리를 축소할 수 있으면 저항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First, the planar structure of the Schottky barrier diode can be realized by forming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on the GaAs surface and forming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and the ohmic electrode 8 on the GaAs surface.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ohmic electrode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due to the change in the mesa shape can be suppressed, and the misalignment need not be taken into account,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and the ohmic electrode 8 can be greatly reduced. .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11a and the ohmic electrode 8 contributes to the series resistance, the resistance can be further reduced if the separation distance can be reduced.

둘째, 캐소드 전위가 되는 GaAs와 애노드 전극(11)이 교차하는 부분의 면적은 100㎛2 정도가 되어, 기생 용량이 대폭적으로 저감된다. 이것은 애노드 전극(11) 아래의 대부분의 영역에 절연화 영역(6)이 형성되어 있어, 이에 따라 기생 용량을 발생시키는 교차부의 면적이, 종래와 비교하여 쇼트키 접합 부분만으로 1/13로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노드 본딩 패드(11b)도 GaAs에 직접 고착될 수 있으므로, 이 부분에서의 기생 용량은 발생하지 않고, 전체 기생 용량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기생 용량을 억제해야하고 유전률이 낮은 폴리이미드를 채용하여 두꺼운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였지만, 얇은 질화막으로 대용할 수 있다. 질화막은 폴리이미드와 비교하여 유전률이 높지만,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5000Å 정도의 질화막을 이용해도, 종래와 비교하여 기생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Second, the area where the GaAs serving as the cathode potential and the anode electrode 11 intersect is about 100 µm 2 , and parasitic capacitance is greatly reduced. This is because the insulating region 6 is formed in most of the areas under the anode electrode 11, whereby the area of the intersection generating parasitic capacitance can be reduced to 1/13 only by the Schottky junction portion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t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anode bonding pad 11b can also be directly fixed to GaAs, the parasitic capacitance in this portion does not occur, and the overall parasitic capacitance can be greatly reduced. Conventionally, although a parasitic capacitance must be suppressed and polyimide with low dielectric constant is used to form a thick interlayer insulating film, it can be substituted by a thin nitride film. The nitride film has a higher dielectric constant than that of polyimide, bu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nitride film of about 5000 kPa is used, the parasitic capacitance can be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셋째, 두꺼운 폴리이미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동작 영역이 되는 폴리이미드 개구부의 테이퍼 부분의 거리나, 테이퍼 각도의 변동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 다. Third, since the thick polyimide is not used,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distance of the tapered portion of the polyimide opening to be the operating region and the variation of the taper angle.

이상의 점으로부터, 쇼트키 접합 영역과 오믹 전극의 이격 거리는, 단순히 내압과 마스크 정합 정밀도만을 고려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쇼트키 접합 영역과 오믹 전극의 이격 거리는 7㎛에서 2㎛까지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과의 이격 거리는 1㎛이고, 이 경우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7)은 캐리어의 이동 경로로서 거의 오믹 전극(8)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이격 거리는 1/7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저항의 대폭적인 저감과, 기생 용량의 대폭적인 저감 및 기생 용량의 변동의 저감에 의해, 고주파 특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In view of the abov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and the ohmic electrode only needs to consider the breakdown voltage and the mask matching accuracy. Specificall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and the ohmic electrode can be reduced from 7 μm to 2 μm. In addition,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is 1 μm, in this case,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7 has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ohmic electrode 8 as a carrier movement path. It can be reduced to 1/7. Therefore, significant reduction in resistance, significant reduction in parasitic capacitance, and reduction in variation in parasitic capacitance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넷째, 칩의 소형화에 기여하게 됨으로써, 칩 사이즈는 종래 0.27 ×0.31㎟의 사이즈였지만, 0.25 ×0.25㎟까지 축소할 수 있다. 사이즈로서는 본딩 패드를 배치할 필요성이나, 조립 시에 핸들링할 수 있는 칩 사이즈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0.25㎟이 현 실정에서의 한계이지만, 동작 영역은 1/10 정도까지 대폭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영역을 배치하는 자유도가 대단히 커진다. Fourth, by contribut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chip, the chip size was conventionally 0.27 x 0.31 mm 2, but can be reduced to 0.25 x 0.25 mm 2. As the size, 0.25 mm2 is the limit in the present situation because there is a need to arrange a bonding pad or a chip size that can be handled during assembly. However, since the operating area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o about 1/10, The degree of freedom for arranging regions is greatly increased.

다섯째, 쇼트키 접합 영역을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저항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쇼트키 접합부의 컨택트 직경을 작게 하여 복수개 형성하면, 전체 쇼트키 컨택트 면적이 동일한 쇼트키 접합 영역을 1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저항을 저감시켜,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에서의 캐리어의 트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고주파 특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Fifth, resistance can be further reduced by forming a plurality of Schottky junction regions. When a plurality of Schottky junctions are formed with a small contact diameter, the resistance is further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e Schottky junction region having the same Schottky contact area is formed, thereby trapping the carrier trap in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Since it can be effective, it has the advantage that a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 improves more.

여섯째, 폴리이미드층이나 금 도금을 이용하지 않고, 애노드 전극도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금속층과 동일한 금속층으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저감할 수 있는 데다가, 칩이 축소되어, 비용의 대폭적인 삭감이 실현된다. Sixth, since the anode electrode can be realized with the same metal layer as the metal layer forming the Schottky junction without using a polyimide layer or gold plating,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the chip is reduced, and the cost is greatly reduced. do.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이하에 개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Moreov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the effect disclosed below can be acquired.

첫째, 안정된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고주파 회로에서 대단히 중요한 과제인 특성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n형 에피택셜층은 동작층으로서 최적인 2500Å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와 같은 정밀한 GaAs의 에칭 컨트롤이 불필요해진다. 즉, 수율이 향상되고, 재현성이 좋고, 안정된 특성을 갖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First, since it becomes possible to form a stable Schottky jun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fluctuations in characteristics, which is a very important task in a high frequency circuit. The n-type epitaxial layer is formed at an optimum 2500 kV as the operating layer, so that precise GaAs etching control as in the prior art is unnecessary. In other words, the yield is improved, the reproducibility is good, and the production of the Schottky barrier diode having stable characteristics is possible.

둘째, 상기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를 효율적으로 또한 제조 공정을 더 간략화하여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사 에칭 공정, 쇼트키 접합 형성 전의 n형 에피택셜층 에칭 공정, 폴리이미드층 형성 공정, Au 도금 공정 등이다. 폴리이미드층은 두께가 6∼7㎛이므로, 수회의 코팅을 반복하여 형성된다. 폴리이미드층을 수회에 걸쳐 코팅하면 시간이 걸리고, 제조 플로우도 복잡해진다. 또한, 폴리이미드가 불필요해지면, Au 도금층에 의한 전극도 불필요해진다. 종래에는 땜납 실장 시의 열이나 와이어 본딩 시의 스트레스에 의한 전극의 끊어짐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의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두꺼운 Au 도금층에 의해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폴리이미드층이 불필요하면, 그 영향을 고려할 필요도 없다. 즉, 금 도금 전극은 불필요해지고, Ti/Pt/Au의 증착 금속만으로 쇼트키 접합 영역,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형성할 수 있어,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한, 종래 수율의 저하를 일으켰던 상기한 요인이 제거되므로, 수율도 향상되게 된다. Second, the above-described production of the Schottky barrier diode can be efficiently realiz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further. Specifically, it is a mesa etching process, an n-type epitaxial layer etching process before a Schottky junction formation, a polyimide layer forming process, Au plating process, etc. Since the polyimide layer has a thickness of 6 to 7 µm, a plurality of coatings are repeatedly formed. Coating the polyimide layer several times takes time and the manufacturing flow is complicated. Moreover, when polyimide becomes unnecessary, the electrode by Au plating layer also becomes unnecessary.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or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due to heat during solder mounting or stress during wire bonding,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trength of the electrode, and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are formed by a thick Au plating layer. However, if the polyimide layer is not necessary, the influence does not need to be considered. In other words, the gold-plated electrode becomes unnecessary, and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can be formed only by the deposition metal of Ti / Pt / Au,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above-mentioned factors which have caused the lowering of the conventional yield are eliminated, the yield is also improved.

즉, 기생 용량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저항을 저감하여 고주파 특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이면서, 제조 공정의 간략화와 효율화를 도모한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at is, the Schottky barrier diode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parasitic capacitance and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by reducing the resistance,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manufacturing method which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mprove the efficiency.

Claims (13)

삭제delete 화합물 반도체 기판과, A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평탄한 일 도전형의 고농도 에피택셜층 및 일 도전형의 에피택셜층과, A flat one conductivity type high 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and one conductivity type epitaxial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상기 에피택셜층을 관통하여 상기 고농도 에피택셜층까지 도달하는 일 도전형의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과, A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of one conductivity type penetrating the epitaxial layer and reaching the high 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상기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 표면에 오믹 접합하는 제1 전극과, A first electrode which is ohmic-bonded to the surface of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상기 제1 전극으로 외주가 둘러싸인 상기 에피택셜층 표면상의 원형의 쇼트키 접합 영역과, 상기 쇼트키 접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고 또한 전극의 취출용으로 되는 제2 전극A second Schottky junction region on the surface of the epitaxial layer surrounded by the first electrode, and a Schottky junction in the Schottky junction region, and for extracting the electrode 을 포함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Schottky barrier diod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 전극이 되는 금속층으로 상기 제1 전극의 취출용의 전극을 형성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The Schottky barrier diode which forms the electrode for taking out the said 1st electrode from the metal layer used as a said 2nd electrod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화합물 반도체 기판은 비도핑된 GaAs 기판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And the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 is a undoped GaAs substrat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과의 이격 거리는 1㎛ 이상 5㎛ 이하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The Schottky barrier diod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is between 1 μm and 5 μm.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 전극이 형성되는 쇼트키 접합 영역을 복수개 형성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A Schottky barrier diode for forming a plurality of Schottky junction regions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은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protrudes from the first electrode. 삭제delete 비도핑 화합물 반도체 기판에 일 도전형의 고농도 에피택셜층 및 일 도전형의 에피택셜층을 적층하고, 예정의 제1 전극 아래의 상기 에피택셜층 표면으로부터 상기 고농도 에피택셜층에 달하는 일 도전형의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One conductivity type high 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and one conductivity type epitaxial layer are laminated on an undoped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 and the one conductivity type reaching the high concentration epitaxial layer from the surface of the epitaxial layer under a predetermined first electrode. Forming a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상기 고농도 이온 주입 영역 표면에 오믹 접합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Forming a first electrode which is ohmic-bonded to the surface of the high concentration ion implantation region, 상기 제1 전극으로 외주가 둘러싸인 원형의 쇼트키 접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 표면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하는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층을 연장하여 전극의 취출용으로 되는 제2 전극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금속층과 동일한 금속층으로 제1 전극의 취출용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In a circular Schottky junction region surrounded by the first electrode, a metal layer forming a Schottky junction with the surface of the epitaxial layer is formed, and the metal layer is extended to form a second electrode for extraction of the electrode. And simultaneously forming an extraction electrode of the first electrode from the same metal layer as the metal layer. 을 포함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Schottky barrier diod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2 전극은 Ti/Pt/Au의 다층 금속층을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형성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And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by sequentially depositing a multilayer metal layer of Ti / Pt / Au.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금속층으로 제1 및 제2 전극의 본딩 패드를 각각 형성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And forming bonding pad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with the metal layer,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 전극은 절연막을 개재하여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1 전극 상으로 연장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The second electrode extends on the first electrode to intersect the first electrode through an insulating film.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2 전극은 절연막을 개재하여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1 전극 상으로 연장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And the second electrode extends on the first electrode to intersect the first electrode via an insulating film.
KR1020020051405A 2001-08-30 2002-08-29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1218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1533 2001-08-30
JP2001261533A JP2003069048A (en) 2001-08-30 2001-08-30 Schottky barrier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197A KR20030019197A (en) 2003-03-06
KR100612189B1 true KR100612189B1 (en) 2006-08-14

Family

ID=1908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405A KR100612189B1 (en) 2001-08-30 2002-08-29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069048A (en)
KR (1) KR100612189B1 (en)
CN (1) CN1279626C (en)
TW (1) TWI28441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4475B2 (en) * 2004-02-17 2006-08-01 Velox Semiconductor Corporation Lateral conduction Schottky diode with plural mesas
JP4954463B2 (en) * 2004-10-22 2012-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Schottky barrier diode
CN102456570A (en) * 2010-10-22 2012-05-16 上海芯石微电子有限公司 Manufacturing method for schottky diode
US9607955B2 (en) 2010-11-10 2017-03-28 Cree, Inc. Contact pa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5445A (en) * 1983-03-15 1988-05-17 Itt Gallium Arsenide Technology Center, A Division Of Itt Corporation Interdigitated Schottky diode
EP0704906A2 (en) * 1994-09-22 1996-04-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ode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5445A (en) * 1983-03-15 1988-05-17 Itt Gallium Arsenide Technology Center, A Division Of Itt Corporation Interdigitated Schottky diode
EP0704906A2 (en) * 1994-09-22 1996-04-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ode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aAs IC symposium pp.101-104(1989.10.2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84419B (en) 2007-07-21
JP2003069048A (en) 2003-03-07
CN1407632A (en) 2003-04-02
KR20030019197A (en) 2003-03-06
CN1279626C (en)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925B1 (en)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30025175A1 (en) Schottky barrier diode
KR100272686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179106A1 (en) Schottky barrier diode
US11749622B2 (en) Field effect transistor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0620926B1 (en) Integrated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12189B1 (en)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12186B1 (en)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12188B1 (en) Schottky barrier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61218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chottky barrier diode
KR100620924B1 (en)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16049B1 (en) Schottky barrier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68296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chottky barrier diode
KR10062150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US20230215840A1 (en) Semiconductor device
EP1280210A2 (en) Schottky barrier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chottky barrier diode
JP2023183333A (en) Semiconductor device,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07103419A (en) Schottky barrier diod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