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738B1 - 치실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치실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738B1
KR100610738B1 KR1020040053065A KR20040053065A KR100610738B1 KR 100610738 B1 KR100610738 B1 KR 100610738B1 KR 1020040053065 A KR1020040053065 A KR 1020040053065A KR 20040053065 A KR20040053065 A KR 20040053065A KR 100610738 B1 KR100610738 B1 KR 100610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floss
wax
unit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7583A (ko
Inventor
홍원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치아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치아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치아랑
Priority to KR1020040053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7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7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40Yarns in which fibres are united by adhesives; Impregnated yarns or threads
    • D02G3/404Yarns or threads coated with polymeric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18Treating with particulate, semi-solid, or solid substances, e.g. wa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실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실에 왁스가 코팅되어 인출되면 소제기에 의해 닦여지면서 건조부에 의해 코팅액이 단시간에 응고되도록 하고, 치실의 진행길이가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면서 설정길이만큼 권취되면 제어부에 의해 치실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일시 정지되도록 이루어짐으로 인해, 치실에 코팅된 액상의 왁스가 소제기에서 닦여지고 건조부에서 응고된 왁스의 에지가 분배패널에서 제거됨으로 인해 치실에는 균일한 왁스 코팅층이 형성되고, 또한 치실의 진행길이가 센서에 의해 검지되어 최종적으로 실패에 권취되는 치실의 길이가 계산되고 자동으로 권취가 정지됨으로 인해 항상 균일한 길이의 치실이 실패에 권취되도록 된 치실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실, 왁스 코팅, 권취, 치실분배장치

Description

치실분배장치{Device for division of dental flo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분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이드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치실코팅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측정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5 및 도 5a는 도 1의 권취부가 도시된 사시도 및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치실분배장치 12...치실,
20...공급부 30...가이드부,
40...치실코팅부 42...압착기,
44...왁스조 46...소제기,
50...측정부 54...검지센서,
60...건조부 62...온풍기,
70...권취부 71...분배패널,
74...실패 76...요동축.
본 발명은 치실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실뭉치에서 인출된 치실에 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치실이 소정의 길이로 실패에 권취되면 치실의 공급이 일시 정지되도록 이루어진 치실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실은 일반 칫솔로 잘 닦을 수 없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의 찌꺼기나 치태(plaque)를 제거하여 치주염이나 치아우식증의 원인을 없애주어 치아와 잇몸의 건강을 유지시켜주는 치아 청결기구로 널리 알려져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치실의 제품화까지의 공정을 보면, 대형의 치실 원사가 다수의 치실뭉치로 분배된 다음 왁스가 코팅되고, 이 코팅된 치실이 권취되어 별도 보관되며, 제품화가 요구되면 코팅되어 별도 보관된 치실뭉치로부터 소형의 실패에 재권취되도록 되어 있어, 치실에 왁스코팅을 위한 장치와, 소형 실패에 권취하는 장치등이 별도로 제작되어 있었고, 이 장치들을 통해 다수의 공정을 거쳐 치실이 제품화되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036413호(명칭 : 치실감는 장치)가 출원되었다. 이 치실감는 장치는 치실의 왁스코팅장치와 제품화를 위한 소형실패에 치실을 권취하는 장치가 통합되도록 제작되어, 치실뭉치에서 인출된 치실이 왁스코팅되면서 제품화를 위한 소형 실패에 권취되도록 구성되어 코 팅된 치실의 별도 보관을 위한 공정이 생략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통합장치는 코팅된 치실이 상온에서 자연 응고되도록 되어 있어 액상의 왁스가 응고되기 전까지 치실을 따라 유동되거나 적하되었고, 이러한 현상에 의해 치실의 코팅이 부분적으로 과다 또는 과소등으로 불균일하게 이루어졌었으며, 응고된 왁스의 돌출부분만 제거되도록 되어 있어 과다 또는 과소 코팅에 대한 조정이 부재하여 치실의 불균일한 코팅이 방치되었음은 물론 제품화된 치실에 대한 만족감이 현저히 저감되었고, 또한 소형실패에 권취되는 치실의 총길이에 대한 정확한 인지를 위한 부재가 생략되어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치실의 권치가 중지됨으로써 제품화된 치실의 총길이가 불균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치실에 왁스가 코팅되어 인출되면 소제기에 의해 닦여지면서 건조부에 의해 코팅액이 단시간에 응고되도록 하고, 치실의 진행길이가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면서 설정길이만큼 권취되면 제어부에 의해 치실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일시 정지되도록 이루어짐으로 인해, 치실의 과코팅액이 닦여져 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되면서 단시간에 응고되어 균일한 코팅층이 유지되도록 하고, 실패에 설정된 길이만큼 항상 일정한 길이의 치실이 실패에 권취되도록 된 치실분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치실뭉치로부터 인출된 치실이 왁스 코팅되어 실패에 권취되도록 이루어진 치실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실뭉치가 위치된 공급부; 상기 치실뭉치에서 인출된 상기 치실이 느슨하게 진행되는 상태에서의 엉김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치실이 통과되는 안내고리 및 가로배열된 다수의 가이드봉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서 인출된 상기 치실이 왁스조에 수용된 액상의 왁스에 완전침지되어 코팅되고, 상기 치실의 과코팅액을 닦아주기 위한 소제패드가 구비된 치실코팅부; 상기 치실코팅부에서 인출된 상기 치실을 건조하여 코팅액이 응고되도록 바람을 토출하는 온풍기가 구비된 건조부; 상기 실패가 장착되어 일시 고정되면 축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요동축의 회전에 의해 코팅된 상기 치실이 실패에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치실의 진행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상기 치실의 진행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데이터가 비교되어 부합되면 요동축이 일시정지되면서 상기 치실의 진행이 정지되도록 이루어진 제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 치실코팅부에는 치실의 팽팽한 진행이 유도되도록 일정압으로 상호 밀착된 압책패드에 치실이 통과되도록 된 압착기와, 상기 왁스가 용해되어 수용되도록 왁스조와 연계배치된 가열기와, 소제패드가 상호 체결되는 고정패널과 가압패널에 개재되어 일정압으로 밀착되어진 소제기, 치실이 완전침지되도록 감겨지는 롤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측정부에는 치실코팅부에서 인출된 치실이 밀착되어 감겨지도록 홈이 형성되면서 일단부에 돌출턱이 형성된 가이드롤러가 더 포함되고, 상기 돌출턱의 회전이 검지센서에 의해 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권취부에는 건조부를 통과한 치실이 통과되어 코팅액의 에지가 제거되도록 왁스제거홀과 분배홀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양단부가 고정된 고정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배패널과, 이 분배패널의 회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고 분배패널과 실패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치실이 균일압으로 실패에 감겨지도록 분배패널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일정한 하방력을 제공하는 인장부재, 상기 요동축이 탈ㆍ착가능하도록 요동축의 일단부는 홈에 끼움되고 타단부는 축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체에 끼움되게 이루어진 분리기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치실코팅부의 왁스 용해온도와 건조부의 치실건조온도가 제어되고, 측정부의 가이드롤러와 권취부의 요동축의 구동원이 제어되며, 전원스위치 및 상기 측정부의 검지센서의 데이터가 수치화되어 표시되는 표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실분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분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내지 도 5a는 도 1의 치실분배장치의 각 구성부가 도시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실분배장치(10)는 공급조(24)에 치실뭉치(22)가 위치된 공급부(20)와, 공급부(20)에서 공급된 치실(12)이 안내고리(32)를 통과하여 꼬임이 방지되면서 진행되도록 된 가이드부(30)와, 이 가이드부(30)를 거친 치실(12)이 왁 스조(44)에 수용된 액상의 왁스에 완전 침지되어 진행되면서 치실(12)의 과코팅액이 소제패드(46a)에 의해 닦여지도록 된 치실코팅부(40), 이 치실코팅부(40)를 지난 치실(12)에 온풍을 토출하여 코팅액이 응고되도록 된 건조부(60), 상기 치실코팅부(40)에서 인출된 치실(12)의 진행길이가 검지센서(52)에 의해 측정되도록 된 측정부(50), 상기 건조부(60)에 의해 응고된 왁스의 에지(edge)가 분배패널(72)에서 제거되고 이 분배패널(72)에 의해 일정압으로 치실(12)이 실패(74)에 권취되도록 된 권취부(70), 전원을 인가하면서 치실(12)의 진행속도를 제어하도록 됨은 물론 치실(12)의 권치길이에 따라 치실(12)의 진행이 일시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부(20)는 대형 원사에서 다수개로 분배된 치실뭉치(22)가 치실(12)이 인출되는 도중에 위치이탈이 방지되면서 안정된 고정위치를 확보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치실뭉치(22)가 공급조(24)에 담겨져 고정되어도 좋고, 각각 세로 또는 가로등으로 끼움되어 고정되어도 좋다.
상기 가이드부(30)에는 공급부(20)에 수용된 다수개의 치실뭉치(22)에서 인출된 치실(12) 각각에 대해 꼬임이 방지되도록 치실(12)이 관통되도록 안내고리(32)가 형성되고, 이 안내고리(32)를 통과한 치실(12)에 대해 엉김이 풀려지도록 지그재그로 통과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34)이 가로 배열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가이드봉(34)은 그 중심축이 2단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인접된 가이드봉(34) 상호 간에는 다른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실코팅부(40)는 가이드부(30)를 통과한 치실(12)이 이후로는 팽팽하 게 진행되도록 압착기(42)가 치실(12)에 일정압을 가하도록 하고, 이 압착기(42)에 의해 팽팽해진 치실(12)이 왁스조(44)에 수용된 액상의 왁스에 침지되도록 하면서 이 치실(12)의 완전침지를 위해 치실(12)이 걸쳐지도록 왁스액 수중(水中)에 침지롤러(44a)가 배치되며, 이 왁스조(44)의 왁스를 용해하면서 액상의 왁스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왁스조(44)를 가열하도록 가열기(미도시)가 연계배치되고, 또한 상기 코팅된 치실(12)이 통과되어 닦여지도록 된 소제패드(46a)가 소제기(46)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기(42)는 고정부재(42d) 및 탄성부재(42e)에 의해 고정패널(42b)과 가변패널(42c)이 고정되면서 밀착되고, 이 고정패널(42b)과 가변패널(42c)에 가압패드(42a)가 개재되며, 이 가압패드(42a)와 밀착되는 치실(12)에 일정압이 제공되어 이후의 진행이 팽팽해지도록 하며, 이 가압패드(42a)를 통과한 치실(12) 각각이 상기 고정패널(42b)에 장착된 부시(42b′)를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소제기(46)는 체결부재(46d)에 의해 고정패널(46b)과 가압패널(46c)이 체결되고, 이 고정패널(46b)과 가압패널(46c)에 소제패드(46a)가 개재되며, 이 소제패드(46a)와 밀착되어 진행되는 치실(12)의 코팅액을 닦아주어 과다 코팅액이 제거되면서 균일한 코팅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치실코팅부(40)는 일정 공간이 구획되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입체형상의 커버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부(50)는 치실(12)이 한번 이상 감겨져 진행되도록 가이드롤러(52)가 배치되고, 이 가이드롤러(52)의 일측단부에 돌출턱(52a)이 형성되고, 이 돌출턱(52a)의 회전수를 검지하여 상기 제어부(80)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검지센서(54)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52)에는 치실(12)의 감겨진 위치가 일정하도록 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치실(12)이 가이드롤러(52)에 감겨져 진행됨으로 인해 밀착력이 상승되어, 가이드롤러(52)의 회전에 의한 치실(12)의 원활한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가이드롤러(52)의 회전수에 따른 치실(12)의 진행길이가 항상 일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조부(60)는 온풍기(62)가 배치되어 치실코팅부(40)를 통과한 치실(12)에 온풍 또는 열풍이 토출됨으로써 치실(12)의 코팅액이 응고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건조부(60)는 코팅액을 응고하기 위한 것으로, 치실코팅부(40)와 근접되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치실코팅부(40)에서 인출된 치실(12)에 바람을 토출하는 온풍기(62)의 위치확보를 위해 치실(12)의 진행방향이 상승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만족하기위해 측정부(50)의 가이드롤러(52)가 온풍기(62) 보다 상측에 위치함이 좋다.
한편, 상기 권취부(70)는 대략 "ㄴ"자 형상인 분배패널(72)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안내홀(72a)과 분배홀(72b)에 치실(12)이 통과되면서 치실(12)의 응고된 왁스의 에지가 제거되고, 상기 분배홀(72b)을 통과한 치실(12)이 실패(74)에 권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제거된 왁스가 집진되도록 왁스받이(77)가 배치된다.
상기 분배패널(72)은 고정축(7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외력에 의해 회 동된 분배패널(72)이 복원되도록 하방력을 제공하는 인장부재(73)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이 때, 인장부재(73)의 타단부는 분배패널(72)의 하측에 위치된 고정샤프트(75)에 결합된다.
상기 인장부재(73)에 의한 하방력은 분배패널(72)이 실패(74)와 항상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하여 치실(12)이 실패(74)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한다. 즉, 실패(74)에 분배홀(72b)측 분배패널(72)의 단부가 인장부재(73)의 인장력에 의해 접촉되도록 하면서 권취되는 치실(12)의 두께에 따라 분배패널(72)의 회동각이 가변되도록 하면서, 치실(12)이 권취되는 도중 분배패널(72)이 정위치에서 이탈됨으로 발생되는 치실(12)의 권취력 변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패(74)는 착ㆍ탈가능하게 요동축(76)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요동축(76)은 분리기(75)에 의해 착ㆍ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분리기(75)는 요동축(76)의 일단부는 홀에 끼움되도록 하고, 타단부는 축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체(75a)에 끼움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체(75a)는 손잡이(75b)에 부여된 외력에 의해 이동되면 탄성부재(75a′)에 의해 복원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요동축(76)은 홀에 끼움된 일단부가 구동원 즉, 모터(77)와 연계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요동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80)는 분배장치(1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스위치(82)와, 분배장치(10)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동작 및 정지스위치(84)와, 상기 가열기와 온풍기(62)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다이얼(86) 및, 상기 검지센서(54)로부터 수신 된 데이터가 수치로 표시되도록 표시부(8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에서 상기 온풍기(62)의 풍속 및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됨이 바람직하고, 온풍기(62)의 동작은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실분배장치에 대한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공급부(20)에 위치된 치실뭉치(22)에서 인출된 치실(12)이 권취부(70)의 분배패널(72)에 형성된 분배홀(72b)까지 정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롤러(52)와 요동축(76)의 회전력에 의해 치실(12)이 일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치실뭉치(22)에서 인출된 치실(12)은 가이드부(30)에서 꼬임 및 엉김이 방지되어 진행되고, 치실코팅부(40)에서 압착기(42)를 통과하면서 팽팽하게 되어 왁스에 완전침지된 다음 소제기(46)에서 닦여져 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되어 진행되며, 건조부(60)에서 치실(12)의 코팅액이 응고되고, 측정부(50)에서 진행거리가 검지되며, 권취부(70)에서 응고된 왁스의 에지가 제거되면서 실패(74)에 권치된다.
이 때, 상기 실패(74)는 회전되면서 축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요동축(76)에 장착되어, 상기 치실(12)이 회전 및 왕복이동되는 실패(74)에 권취된다.
상기 실패(74)에 권취되는 치실(12)의 길이가 제어부(80)의 표시부(88)에 수치로 표시되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치실(12)이 실패(74)에 권취되면 자동으로 가이드롤러(52)와 요동축(76)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 때 정지스위치(84)를 선택하 여 치실(12)의 진행이 완전 정지하도록 한다.
상기 실패(74)와 근접된 거리에서 치실(12)이 끊어지게 되며, 분리기(75)를 통해 요동축(76)이 위치이탈되면 요동축(76)으로부터 실패(74)가 분리된다.
새로운 실패(74)가 요동축(76)에 장착되면 요동축(76)이 분리기(75)의 원위치 의해 정위치되고, 끊겨진 치실(12)의 단부가 새로운 실패(74)에 부착된 다음, 동작스위치(84a)의 선택으로 치실(12)이 실패(74)에 재권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치실에 코팅된 액상의 왁스가 소제기에서 닦여지고 건조부에서 응고된 왁스의 에지가 분배패널에서 제거됨으로 인해 치실에는 균일한 왁스 코팅층이 형성되고, 또한 치실의 진행길이가 센서에 의해 검지되어 최종적으로 실패에 권취되는 치실의 길이가 계산되고 자동으로 권취가 정지됨으로 인해 항상 균일한 길이의 치실이 실패에 권취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치실뭉치로부터 인출된 치실이 왁스 코팅되어 실패에 권취되도록 이루어진 치실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실뭉치가 위치된 공급부;
    상기 치실뭉치에서 인출된 상기 치실이 느슨하게 진행되는 상태에서의 엉김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치실이 통과되는 안내고리 및 가로배열된 다수의 가이드봉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서 인출된 상기 치실이 왁스조에 수용된 액상의 왁스에 완전침지되어 코팅되고, 상기 치실의 과코팅액을 닦아주기 위한 소제패드가 구비된 치실코팅부;
    상기 치실코팅부에서 인출된 상기 치실을 건조하여 코팅액이 응고되도록 바람을 토출하는 온풍기가 구비된 건조부;
    상기 실패가 장착되어 일시 고정되면 축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요동축의 회전에 의해 코팅된 상기 치실이 실패에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치실의 진행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상기 치실의 진행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데이터가 비교되어 부합되면 요동축이 일시정지되면서 상기 치실의 진행이 정지되도록 이루어진 제어부;
    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분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코팅부에는 치실의 팽팽한 진행이 유도되도록 일정압으로 상호 밀착된 압책패드에 치실이 통과되도록 된 압착기와, 상기 왁스가 용해되어 수용되도록 왁스조와 연계배치된 가열기와, 소제패드가 상호 체결되는 고정패널과 가압패널에 개재되어 일정압으로 밀착되어진 소제기, 치실이 완전침지되도록 감겨지는 롤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분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는 치실코팅부에서 인출된 치실이 밀착되어 감겨지도록 홈이 형성되면서 일단부에 돌출턱이 형성된 가이드롤러가 더 포함되고, 상기 돌출턱의 회전이 검지센서에 의해 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분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에는 건조부를 통과한 치실이 통과되어 코팅액의 에지가 제거되도록 왁스제거홀과 분배홀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양단부가 고정된 고정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배패널과, 이 분배패널의 회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고 분배패널과 실패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치실이 균일압으로 실패에 감겨지도록 분배패널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일정한 하방력을 제공하는 인장부재, 상기 요동축이 탈ㆍ착가능하도록 요동축의 일단부는 홈에 끼움되고 타단부는 축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체에 끼움되게 이루어진 분리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분배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치실코팅부의 왁스 용해온도와 건조부의 치실건조온도가 제어되고, 측정부의 가이드롤러와 권취부의 요동축의 구동원이 제어되며, 전원스위치와 상기 측정부 검지센서의 데이터가 수치화되어 표시되는 표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분배장치.
  6. 삭제
KR1020040053065A 2004-07-08 2004-07-08 치실분배장치 KR100610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65A KR100610738B1 (ko) 2004-07-08 2004-07-08 치실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65A KR100610738B1 (ko) 2004-07-08 2004-07-08 치실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583A KR20040077583A (ko) 2004-09-04
KR100610738B1 true KR100610738B1 (ko) 2006-08-21

Family

ID=3736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065A KR100610738B1 (ko) 2004-07-08 2004-07-08 치실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7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903B1 (ko) 2021-01-07 2022-01-10 김도연 전동 위생 장치
KR20220099689A (ko) 2021-01-07 2022-07-14 김도연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5206A (en) * 1993-03-08 1997-07-08 Ippisch; Kevin Automated dental floss dispensing apparatus
US5842489A (en) 1996-05-15 1998-12-01 Colgate-Palmolive Company Texturized dental floss and method of making
JPH11221239A (ja) 1997-11-14 1999-08-17 Mcneil Ppc Inc 香味付きデンタルフロス
KR100357046B1 (ko) 2000-02-01 2002-10-18 롯데상사주식회사 분말향과 당알코올을 이용한 치실의 제조방법
EP1415613A2 (en) 1996-04-26 2004-05-06 W L Gore &amp; Associates, Inc. Dental floss art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5206A (en) * 1993-03-08 1997-07-08 Ippisch; Kevin Automated dental floss dispensing apparatus
EP1415613A2 (en) 1996-04-26 2004-05-06 W L Gore &amp; Associates, Inc. Dental floss article
US5842489A (en) 1996-05-15 1998-12-01 Colgate-Palmolive Company Texturized dental floss and method of making
JPH11221239A (ja) 1997-11-14 1999-08-17 Mcneil Ppc Inc 香味付きデンタルフロス
KR100357046B1 (ko) 2000-02-01 2002-10-18 롯데상사주식회사 분말향과 당알코올을 이용한 치실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903B1 (ko) 2021-01-07 2022-01-10 김도연 전동 위생 장치
KR20220099689A (ko) 2021-01-07 2022-07-14 김도연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583A (ko) 200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820B1 (ko) 인쇄기의 블랭킷 세척 장치와 세척 방법
US4326549A (en) Dental hygiene appliance
JP5591495B2 (ja) 多リブ付きデンタルテープ
US4338957A (en) Dental prophylaxis device and process
US4706695A (en) Interdental cleaning and polishing tool
NO153388B (no) 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et boerstehode
US20100139689A1 (en) Electrically powered dental flossing device with sanitary and disposable floss containing unit
US8522796B2 (en) Coated multi-ribbed dental tape
KR100610738B1 (ko) 치실분배장치
US20140366903A1 (en) Dental Floss And Brush Apparatus
EP2149632B1 (en) Process for coating dental tape
CN101002644A (zh) 牙刷尖头刷丝的自动成型方法
US4434925A (en) Strip solder feeding and re-winding device
US20120325263A1 (en) Flossing device
US3987806A (en) Dental floss applicator
KR101760068B1 (ko) 탈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도계 장치
KR100288887B1 (ko) 자동세발기
US2513262A (en) Wire stripping apparatus
JPH10258982A (ja) マンコンベアーの移動手摺表面保守装置
CN208459198U (zh) 一种纤维湿摩擦测试设备
EP2149631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ating dental tape
JPS6032131Y2 (ja) カ−ドロ−ラのバ−シ−ズ除去装置
JP3694387B2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清掃装置
US20170105822A1 (en) Loose Floss Method of Inter-dental Plaque Removal
CN210085652U (zh) 一种用于纺丝卷绕机的机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