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368B1 -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 Google Patents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368B1
KR100610368B1 KR1020060029459A KR20060029459A KR100610368B1 KR 100610368 B1 KR100610368 B1 KR 100610368B1 KR 1020060029459 A KR1020060029459 A KR 1020060029459A KR 20060029459 A KR20060029459 A KR 20060029459A KR 100610368 B1 KR100610368 B1 KR 100610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frame
sewer pipe
block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상
Original Assignee
모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9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반을 개착하지 않고서도 하수관을 더 큰 직경의 하수관으로 교체할 수 있는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와, 중공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외부의 윈치와 연결된 이동 부재와 체결되고 후반부에 설치된 제1 추진 블록과, 제1 추진 블록에 설치되어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선택적으로 팽창하는 제1 추진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1 추진부; 및 지지부의 앞면에 설치된 제2 추진 실린더와, 제2 추진 실린더에 의하여 왕복 이동되는 제2 추진 블록과, 제2 추진 블록에 설치되고 기존 하수관을 파쇄하는 비트부를 포함하는 제2 추진부;를 구비하고, 윈치에 의하여 이동 부재에 텐션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1 추진 실린더가 팽창하여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추진 실린더의 팽창에 의하여 비트부가 전진하며 기존 하수관을 파쇄할 수 있다.
하수관, 비개착식, 관거, 확경

Description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Apparatus for replacing sewage pipe with larger one of non-excavation type}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을 시공 순서별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존 하수관 12 : 신 하수관
20 : 프레임 30 : 제1 추진부
40 : 제2 추진부 60 : 이동 부재
90 : 맨홀
100 :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본 발명은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반을 개착하지 않고서도 하수관을 더 큰 직경의 하수관으로 교체할 수 있는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지반에 매설되어 각종 하수(下水), 우수(雨水) 등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수관은 그 내부를 통하여 흘러가는 하수량과 우수량을 고려하여 그 크기가 정해진다. 따라서, 하수량 또는 우수량이 증가하면 하수관은 보다 많은 양의 하수 또는 우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그 치수가 큰 것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특히, 최근에는 대형 아파트 단지나 공단 조성 등으로 인하여 하수량이 크게 증가하는 곳이 많은 실정이다.
한편, 지반에 매설된 하수관에는 관 자체의 노후화, 지반의 침하, 또는 지상으로부터의 토압의 변동 등에 의해 균열, 파손 또는 그 접속부가 분리되는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 하수관로에 이러한 결함이 발생되면, 하수관로 내부를 흐르는 오폐수가 결함 부분을 통하여 지반으로 유출된다. 유출된 오폐수는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된다.
결함이 발생된 하수관로를 복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그라우팅(grouting) 또는 라이닝(lining) 공법 등이 있지만, 그라우팅 또는 라이닝 공법으로 보수, 보강이 어려운 경우 즉, 소정 구역의 하수관 전체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는 하수관을 새 것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설된 하수관을 더 큰 직경의 하수관으로 교체하거나 결함이 발생된 하수관을 신(新) 하수관으로 교체하기 위해서 지반을 개착하는 경우에는 지상의 구조물을 철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와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민원 발생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지반을 개착하지 않고 하수관을 교체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 이다.
본 발명인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반을 개착하지 않고 하수관을 더 큰 직경의 하수관으로 교체할 수 있는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반을 개착하지 않고 결함이 발생된 하수관을 신(新) 하수관으로 교체할 수 있는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중공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외부의 윈치와 연결된 이동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후반부에 설치된 제1 추진 블록과, 제1 추진 블록에 설치되어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선택적으로 팽창하는 제1 추진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1 추진부; 및 상기 지지부의 앞면에 설치된 제2 추진 실린더와, 제2 추진 실린더에 의하여 왕복 이동되는 제2 추진 블록과, 제2 추진 블록에 설치되고 기존 하수관을 파쇄하는 비트부를 포함하는 제2 추진부;를 구비하고, 상기 윈치에 의하여 이동 부재에 텐션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1 추진 실린더가 팽창하여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추진 실린더의 팽창에 의하여 비트부가 전진하며 기존 하수관을 파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추진 블록의 둘레에는 제1 가이드부와 제1 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제1 가이드부와 제1 가이드홈 중 나머지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제1 가이드부와 제1 가이드 홈은 서로 형합하여 제1 추진 블록 또는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추진 블록의 둘레에는 제2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제2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 홈 중 나머지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 홈은 서로 형합하여 제2 추진 블록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체인 또는 제1 줄부재이고, 제1,2 추진 블록의 중앙 및 지지부의 중앙에는 제1 체인 또는 제1 줄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는 비트부에 의한 굴착시에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의 선단에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붕괴 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비트부는 비트 및, 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비트는 소정 개수가 기존 하수관의 콘크리트 부분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과 신 하수관이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의 후단에는 신 하수관의 선단에 형성된 요철과 형합하는 요철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는 신 하수관이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추진 블록과 신 하수관을 연결하는 제2 체인 또는 제2 줄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을 시공 순서별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1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프레임(20)과, 프레임(20)을 선택적으로 전진시키는 제1 추진부(30) 및, 기존 하수관(10)을 파쇄하는 제2 추진부(40)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존 하수관(10)'은 지반에 매설되어 있는 교체 대상인 하수관을 뜻하고, '신 하수관(12)'은 기존 하수관(10)을 대체하기 위하여 새로이 지반에 매설되는 하수관을 뜻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2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22)와, 상기 중공을 전반 부(24)와 후반부(25)로 구획하는 지지부(26)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2)는 기존 하수관(10)이 중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기존 하수관(10)보다 큰 치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22)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22)에는 제1 가이드 부(35)와 형합하는 제1 가이드 홈(27) 및, 제2 가이드 부(45)와 형합하는 제2 가이드 홈(28)이 형성된다. 제1,2 가이드 홈(27)(28)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또한, 몸체(22)의 선단에는 붕괴 방지부(29)가 마련된다. 붕괴 방지부(29)는 몸체(2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비트(47a)에 의한 굴착시에 상부 지반 또는 측면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22)의 후단에는 신 하수관(12)의 선단에 형성된 요철(13)과 형합하는 요철(21)이 형성된다. 상기 요철(13)(21)은 몸체(22)와 신 하수관(12)을 결합시킨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신 하수관(12)을 몸체(22)쪽으로 압입하면 신하수관(12)의 선단이 몸체(22)의 후단에 삽입되면서 요철(13)(21)끼리 서로 맞물려 체결된다.
한편, 도면은 몸체(22)의 후단 내면에 요철(21)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요철(21)은 후단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몸체(22)의 후단 외면에 요철(21)이 형성되고 신 하수관의 내면에 몸체(22)의 요철(21)과 형합하는 요철(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26)는 몸체(22)의 중공을 전반부(24)와 후반부(25)로 구획한다. 지지부(26)의 뒷면에는 제1 추진 실린더(34)가 설치되고 지지부(26)의 앞면에는 제2 추진 실린더(43)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26)는 중공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지지부(26)에는 이동 부재(60)가 통과하는 관통공(26a)이 형성된다. 관통공(26a)은 지지부(26)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진부(30)는 후반부(25)에 설치된다. 제1 추진부(30)는 이동 부재(60)와 연결된 제1 추진 블록(31)과, 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선택적으로 팽창하는 제1 추진 실린더(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추진 블록(31)에는 제1 추진 실린더(34)가 설치된다. 제1 추진블록(31)은 이동 부재(60)의 일단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1 추진 블록(31)에는 이동 부재(6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31a)이 형성되고, 이동부재(60)는 제1 추진블록(31)의 뒷면에서 잭(32)에 의하여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추진블록(31)은 그 둘레에 마련된 제1 가이드부(35)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가이드부(35)는 제1 추진 블록(31)의 둘레에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제1 가이드부(35)는 제1 가이드 홈(27)과 형합된다. 제1 가이드부(35)와 제1 가이드 홈(27)은 프레임(20) 또는 제1 추진 블록(3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이동 부재(60)의 견인력이 전방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추진 실린더(34)가 팽창하면 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제1 가이드부(35)와 제1 가이드 홈(27)은 이러한 프레임(2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또한, 제1 가이 드부(35)와 제1 가이드 홈(27)은 제1 추진 실린더(34)의 수축에 의하여 제1 추진블록(31)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제1 추진 블록(3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한편, 도면은 제1 추진블록(31)에 제1 가이드부(35)가 형성되고 프레임(20)에 제1 가이드 홈(27)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제1 추진블록(31)에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프레임(20)에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형합하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추진 실린더(34)는 한쪽 끝단이 제1 추진블록(31)에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이 지지부(26)에 설치된다. 제1 추진 실린더(34)는 요구되는 추진력과 관경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개수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추진부(40)는 전반부(24)에 설치된다. 제2 추진부(40)는 제2 추진 실린더(43)와, 제2 추진 실린더(43)에 의하여 왕복 이동되는 제2 추진 블록(41)과, 제2 추진 블록(41)에 설치된 비트부(47)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추진 실린더(43)는 한쪽 끝단이 지지부(26)의 앞면에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이 제2 추진 블록(41)에 설치된다. 제2 추진 실린더(43)는 요구되는 추진력과 관경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개수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추진 블록(41)은 제2 추진 실린더(43)에 의하여 왕복 이동된다. 제2 추진 블록(41)에는 이동 부재(6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41a)이 형성된다. 관통공(41a)은 제2 추진 블록(41)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추진블록(41)은 그 둘레에 마련된 제2 가이드부(45)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가이드부(45)는 제2 추진블록(41)의 둘레에 원통형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2 가이드부(45)는 제2 가이드 홈(28)과 형합된다. 제2 가이드부(45)와 제2 가이드 홈(28)은 제2 추진 실린더(43)의 팽창과 수축에 의하여 제2 추진블록(41)이 이동되는 경우에 제2 추진블록(4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한편, 도면은 제2 추진블록(41)에 제2 가이드부(45)가 형성되고 프레임(20)에 제2 가이드 홈(28)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제2 추진블록(41)에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프레임(20)에 상기 제2 가이드 홈과 형합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비트부(47)는 기존 하수관(10)을 파쇄한다. 비트부(47)는 비트(47a)와, 비트(47a)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소정 개수의 비트(47a)가 기존 하수관(1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기존 하수관(10)이 원형 단면인 경우에는 비트(47a)가 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기존 하수관(10)이 사각형 단면인 경우에는 비트(47a)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 비트(47a)는 콘크리트 부분과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기존 하수관(10)의 중공부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이동 부재(60)는 맨홀(90) 외부의 윈치(미도시)와 제1 추진블록(31)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동 부재(60)는 선택적으로 제1 추진 블록(31)을 전방으로 견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 부재(60)는 제1 체인 또는 제1 줄부재이다. 상기 제1 체인 또는 제1 줄부재는 제1,2 추진블록(31)(41)의 중앙부 및 지지부(26)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6a)(31a)(41a)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윈치는 체인 또는 줄을 감는 통상적인 장치이다. 이동 부재(60)는 윈치의 회전에 의하여 윈치에 감겨지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100)는 제1 추진블록(31)과 신 하수관(12)을 연결하는 제2 체인(62) 또는 제2 줄부재를 구비한다. 제2 체인(62) 또는 제2 줄부재는 잭(미도시)에 의하여 제1 추진블록(31) 및 신 하수관(1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체인(62) 또는 제2 줄부재는 신 하수관(12)과 지반의 마찰에 의하여 신 하수관(12)이 프레임(20)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100)는 신 하수관(12)의 후단에 설치된 반력 실린더(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반력 실린더(70)는 신 하수관(12)의 후단을 밀어 줌으로써 프레임(20)이 전방으로 더 용이하게 전진될 수 있도록 한다. 반력 실린더(70)는 반력벽(72)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100)를 이용하여 기존 하수관(10)을 신 하수관(12)으로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100)는 맨홀(90)과 반대편의 맨홀(미도시)을 연결하는 기존 하수관(10)을 신 하수관(12)으로 교체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100)를 맨홀(90)에 투입한 후, 기존 하수관(10)이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이동 부재(60) 즉, 제1 체인 또는 제1 줄부재를 기존 하수관(10)과 반대편 맨홀(미도시)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하고 윈치(미도시)에 연결한다. 또한, 제2 체인(62)으로 제1 추진블록(31)과 신 하수관(12)을 연결한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윈치를 이용하여 이동 부재(60)에 텐션을 인가함과 동시에 제1 추진 실린더(34)를 팽창시켜 프레임(20)을 소정 거리만큼 전진시킨다. 프레임(20)의 전진이 완료되면, 제1 추진 실린더(34)를 수축시킴과 동시에 이동 부재(60)를 프레임(20)이 전진한 거리만큼 권취하여 제1 추진 블록(31)이 전진되도록 한다.
제1 추진 블록(31)의 전진이 완료되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트(47a)를 회전시키면서 제2 추진 실린더(43)를 팽창시켜 기존 하수관(10)을 파쇄한다. 이 때, 비트(47a)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붕괴 방지부(29)는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면은 붕괴 방지부(29)가 비트(47a)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지반이 견고한 경우에는 비트(47a)가 붕괴 방지부(29)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지반이 견고한 경우에는 비트(47a)가 기존 하수관(10)을 먼저 파쇄한 후에 붕괴 방지부(29)가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파쇄된 기존 하수관(10)은 진공 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진공 부재는 진공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기존 하수관(10)의 파쇄된 조각들을 외부로 배출한다. 진공 부재에 관해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459809호에 기재되어 있다.
기존 하수관(10)을 소정 간격만큼 파쇄하는 것이 완료되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추진 실린더(43)를 수축시켜 비트(47a)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비트(47a)의 후방 이동이 완료되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추진 실린더(34)를 팽창시켜 프레임(20)을 소정 간격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기존 하수관(10)을 신 하수관(12)으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지반을 개착하지 않고 기존 하수관을 더 큰 직경의 신 하수관으로 교체할 수 있다.
둘째, 지반을 개착하지 않고 결함이 발생된 하수관을 신 하수관으로 교체할 수 있다.

Claims (8)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신 하수관이 체결되는 몸체와, 상기 중공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외부의 윈치와 연결된 이동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후반부에 설치된 제1 추진 블록과, 제1 추진 블록에 설치되어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선택적으로 팽창하는 제1 추진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1 추진부; 및
    상기 지지부의 앞면에 설치된 제2 추진 실린더와, 제2 추진 실린더에 의하여 왕복 이동되는 제2 추진 블록과, 제2 추진 블록에 설치되고 기존 하수관을 파쇄하는 비트부를 포함하는 제2 추진부;를 구비하고, 상기 윈치에 의하여 이동 부재에 텐션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1 추진 실린더가 팽창하여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추진 실린더의 팽창에 의하여 비트부가 전진하며 기존 하수관을 파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진 블록의 둘레에는 제1 가이드부와 제1 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제1 가이드부와 제1 가이드홈 중 나머지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제1 가이드부와 제1 가이드 홈은 서로 형합하여 제1 추진 블록 또는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진 블록의 둘레에는 제2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제2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 홈 중 나머지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 홈은 서로 형합하여 제2 추진 블록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체인 또는 제1 줄부재이고, 제1,2 추진 블록의 중앙 및 지지부의 중앙에는 제1 체인 또는 제1 줄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비트부에 의한 굴착시에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의 선단에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붕괴 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부는 비트 및, 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비트는 소정 개수가 기존 하수관의 콘크리트 부분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신 하수관이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의 후단에는 신 하수관의 선단에 형성된 요철과 형합하는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 하수관이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추진 블록과 신 하수관을 연결하는 제2 체인 또는 제2 줄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KR1020060029459A 2006-03-31 2006-03-31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KR100610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459A KR100610368B1 (ko) 2006-03-31 2006-03-31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459A KR100610368B1 (ko) 2006-03-31 2006-03-31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368B1 true KR100610368B1 (ko) 2006-08-09

Family

ID=3718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459A KR100610368B1 (ko) 2006-03-31 2006-03-31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8273A2 (en) * 2010-10-08 2012-04-12 Harr Technologies Inc. Trenchless drainage structure replac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2134A (ja) * 1987-10-13 1989-04-19 Fujita Corp 老朽管渠更新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2134A (ja) * 1987-10-13 1989-04-19 Fujita Corp 老朽管渠更新工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8273A2 (en) * 2010-10-08 2012-04-12 Harr Technologies Inc. Trenchless drainage structure replacement
WO2012048273A3 (en) * 2010-10-08 2012-07-19 Harr Technologies Inc. Trenchless drainage structure replacement
US8556539B2 (en) 2010-10-08 2013-10-15 Harr Technologies, Inc. Trenchless drainage structure replacement
US9651167B2 (en) 2010-10-08 2017-05-16 Harr Technologies, Inc. Trenchless drainage structure replac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821B1 (ko)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CN204901197U (zh) 一种直径为300-600mm的排水管道用局部注浆修复装置
CN111156032B (zh) 一种注浆管内插型钢注浆加固既有地铁隧道结构及方法
KR200163592Y1 (ko) 유리섬유보강플라스틱주입관을이용한다단그라우팅장치
CN101457654B (zh) 伸缩型抽放封孔器
JPS6393991A (ja) 既設地下管の修復方法
KR20150108204A (ko) 지반 침하 방지용 자켓차수패커를 이용한 차수성 흙막이 벽체의 차수 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102397A (ko) 사각관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
KR100885302B1 (ko) 지하수 관정개발 시공 방법
KR100610368B1 (ko) 비개착식 관거 확경 장치
JP4609712B2 (ja) 充填材の空洞への充填手段および充填方法
KR20180022219A (ko) 팽윤성 팩커를 이용한 지반보강 그라우팅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186482B1 (ko) 지하 매설관 비굴착 교체방법
JP5485810B2 (ja) 注入工法および装置
KR200211157Y1 (ko) 지중관체 보수장치
KR102252070B1 (ko) 노후 지중 매설관 교체장치
KR101138023B1 (ko) 전면압착방식의 배수보강 일체형 지반구조물 안정화 장치
KR200211197Y1 (ko) 지중관체 보수장치
KR101368999B1 (ko) 관거매설공의 보강이 가능한 관거 추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 시공 공법
KR100542194B1 (ko) 하수관의 가지관 연결부위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공법
KR20090043892A (ko) 분기관의 유출수 및 유입수 차수공법
JP2008174981A (ja) 支柱建て込み用装置および支柱建て込み方法
KR200212998Y1 (ko) 지하수 굴착공 막음장치
CN220266778U (zh) 一种排水管道非开挖短管
CN114321560B (zh) 一种短管内衬修复排水管道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