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054B1 - 인출구를 개선한 화장지 상자 - Google Patents

인출구를 개선한 화장지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054B1
KR100610054B1 KR1020040098379A KR20040098379A KR100610054B1 KR 100610054 B1 KR100610054 B1 KR 100610054B1 KR 1020040098379 A KR1020040098379 A KR 1020040098379A KR 20040098379 A KR20040098379 A KR 20040098379A KR 100610054 B1 KR100610054 B1 KR 100610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box
outlet
tissue box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328A (ko
Inventor
백운
Original Assignee
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운 filed Critical 백운
Priority to KR102004009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0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5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지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잔류 화장지가 적을 때 밖으로 나온 화장지가 상자속으로 들어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화장지 박스 제작시 접합부가 화장지 인출구 쪽으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접합부가 서로 맞닿는 부분을 일정폭 둔각으로 접어 탄성을 갖게 하여 밖으로 나온 화장지를 잡아 화장지가 상자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지 상자이다.
화장지상자

Description

인출구를 개선한 화장지 상자{The tissue box that improvement exit of tissue box}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개도,
도 3 은 기존 화장지 상자의 전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C,1G : 화장지 인출구로서 상자접합시 서로 맞닿는 곳
2C,2G : 1C,1G 가 서로 맞닿으면서 탄력을 유지하도록 둔각으로 접힌 곳
4 : 기존 화장지 상자의 화장지 인출구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화장지 상자로 같은 크기의 화장지를 상자내에 층층이 보관하여 필요시 1장씩 사용할 때 당기는 힘에 1장씩 톡톡 위로 당겨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편리성이 있음에도 일정크기의 상자 형태이므로 화장지가 소모되어짐에 따라 화장지 인출구와 남아있는 화장지 사이가 점점 멀어짐에 따 라 최종 인출구로 나온 화장지가 상자내로 종종 들어가는 문제점으로 본래의 편리성을 상실하여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정량을 사용하고 나서 상자를 뒤집어 상자 옆면을 절취하여 화장지를 받쳐주는 방법을 택하는 공고특허 1994-0002787 과, 상자의 밑면에 주름선을 사용하여 상자 밑면을 밀어 올려주는 공고 20-0184521 이 있고, 다른 하나는 상자 중간 부분에 격벽을 두고 화장지 인출구를 양쪽으로 두는 방법을 택한 등록번호 20-0306693 이 창안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형태로 된 상자들의 경우 상자를 뒤집어 주름선 또는 절취편을 절취하여 밀어 올려줘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주로 종이로 만든 상자여서 지지력이 떨어지게 되면 본래의 목적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장지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남아 있는 화장지와 인출구 사이가 멀어져도 상자 밖으로 나온 화장지를 잡아 주어 처음부터 화장지를 다 사용 할 때까지 상자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지를 뽑(사용)을 때엔 밖으로 나오는 화장지의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어 져야 하며, 본 화장지 상자는 1회용 소모품으로서 저렴한 재료여하 할 뿐더러 공장에서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하여야한다.
본 발명은 상자의 상부에 화장지가 겨우 빠져 나올 정도의 화장지 인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화장지를 층층이 보관하여 필요시 1장씩 뽑아 사용하며 1장씩 뽑 을 때마다 1장씩 딸려 나오도록 구성된 화장지 상자로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상자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지 상자 전개도이고, 도 3은 기존의 화장지 상자의 전개도이다.
먼저, 도 3의 기존 화장지 상자의 경우 화장지 인출구를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멍을 따내고 부드럽고 얇은 비닐 또는 부직포 등을 붙이고 가운데를 가늘게 째어 그 사이로 화장지를 뽑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래서, 상자내의 화장지와 밖으로 나온 화장지 사이가 멀어지면 밖으로 나온 화장지가 상자내로 거침없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밖으로 나온 화장지를 상자내로 들어가는 문제점을 없애기 위하여 인출구를 화장지가 밖으로 나올 때는 화장지가 인출구에 예각이 되어 마찰저항이 최소가 되도록 하고 밖에서 상자내로 화장지가 들어가려 할 때는 화장지가 인출구에 둔각이 되어 화장지가 상자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을 도 2의 전개도로 설명하면, C면과 G면은 화장지 상자의 상면이면서 화장지 인출구이고, 상자를 만들기 위하여 마지막 접어 부착하는 면이 상기한 C면과 G면 즉 화장지 인출구에서 부착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며, 그 나머지는 종래의 상자와 같은 측면 및 바닥면이다. 상기 C 면과 G 면의 1C 와 1G 에서 일정폭(5~10mm)을 떼어 2C 와 2G 선을 둔각으로 접고, 1C 와 1G 가 서로 맞닿도록 전개도의 주름선을 따라 접어 도 1 과 같은 직육면체의 박스를 만들게 되는데, 주름선을 따라 상자를 만들다 보면 최종적으로 G 면에 C 면이 부착되는데, C면의 L이 2ℓ 보다 약 2~3mm 크게 하고, 상기와 같이 1C 와 1G 에서 일정폭(5~10mm) 떼어 2C,2G 를 둔각으로 접어 제작하여 화장지 인출구가 삼각형의 모습이 되는데, 화장지를 이 1C,1G 사이로 지나도록 하여 앞서 설명한 화장지가 밖으로 나갈때는 인출구에 화장지가 예각이 되어 마찰저항을 최소화 하면서 둔각으로 접힌 부분(2C,2G)으로 인하여 탄성이 생겨 화장지를 감싸듯 압박하면서, 밖으로 나간 화장지는 상자내로 들어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장지 상자는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었으며, 특히 기존의 생산 공정을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한다.

Claims (2)

  1. 상자의 상부에 화장지가 겨우 빠져 나올 정도의 화장지 인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화장지를 층층이 보관하여 필요시 1장씩 뽑아 사용하며, 1장씩 뽑을 때마다 1장씩 상자 밖으로 화장지가 딸려 나오도록 구성된 화장지 상자에 있어서,
    화장지 상자 상면을 알파벳 E자와 비슷한 모양의 C면과 철(凸)자 모양의 G면을 서로 마주하여 중앙부를 인출구로 하고, 그 주변은 접합하도록 하며, 상기한 C면과 G면의 양끝단(1C,1G)에서 일정폭(5~10mm)을 떼어(2C,2G) 둔각으로 접어 양끝단(1C,1G)이 서로 마주하면서 삼각형 모양의 화장지 인출구를 형성하여 이 양끝단 사이로 화장지가 지나도록 구성되어 밖으로 나오는 화장지는 인출구에 예각이 되어 마찰저항이 최소화되고, 밖으로 나온 화장지는 지긋이 압박하는 특징을 갖는 화장지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지 인출구인 C면과 G면의 양끝단에서 일정폭(5~10mm)을 떼어 둔각으로 접어 탄성을 유지함에 있어 탄성을 향상하고자 탄성이 있는 부재를 C면과 G면의 양끝단(1C,1G)에 덧붙여짐을 특징으로한 화장지 상자.
KR1020040098379A 2004-11-27 2004-11-27 인출구를 개선한 화장지 상자 KR10061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379A KR100610054B1 (ko) 2004-11-27 2004-11-27 인출구를 개선한 화장지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379A KR100610054B1 (ko) 2004-11-27 2004-11-27 인출구를 개선한 화장지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328A KR20060059328A (ko) 2006-06-01
KR100610054B1 true KR100610054B1 (ko) 2006-08-08

Family

ID=3715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379A KR100610054B1 (ko) 2004-11-27 2004-11-27 인출구를 개선한 화장지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841B1 (ko) * 2022-03-11 2023-06-22 배수원 인출 소음이 억제된 일회용 티슈 상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8297U (ko) 1979-10-06 1981-05-19
JPS5698098U (ko) 1979-12-27 1981-08-03
EP1366699A2 (en) 2002-05-28 2003-12-03 Fort James Corporation Reliable flexible sheet dispenser
US6817484B2 (en) 2000-10-27 2004-11-16 Sca Hygiene Products Gmbh Container for a stack of interfolded tissue shee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8297U (ko) 1979-10-06 1981-05-19
JPS5698098U (ko) 1979-12-27 1981-08-03
US6817484B2 (en) 2000-10-27 2004-11-16 Sca Hygiene Products Gmbh Container for a stack of interfolded tissue shee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container
EP1366699A2 (en) 2002-05-28 2003-12-03 Fort James Corporation Reliable flexible sheet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328A (ko)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11328A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
KR100610054B1 (ko) 인출구를 개선한 화장지 상자
JP5985206B2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
AU2012385256B2 (en) Sheet dispenser
JP2008195421A (ja) カートン収納用衛生用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ートン入り衛生用紙
JP2014105020A (ja) 薄葉紙収納箱
JP2007217036A (ja) 衛生用紙収納用カートン
JP2017178356A (ja) ポップアップ式ペーパー収容体
JP2006341925A (ja) 解体性に優れた衛生用紙包装箱
JP2013166593A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及び家庭用薄葉紙収納箱における家庭用薄葉紙の詰め替え方法
JP4870596B2 (ja) 包装用箱
JP2006224993A (ja) 衛生用紙収納箱
JPH0928613A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紙箱
JP4758837B2 (ja) 衛生用紙入りカートンの製造方法
JP5741248B2 (ja) 衛生用紙収納用のカートン
JP2005225564A (ja) 解体性が改善されたシールエンドカートン
KR20020093207A (ko) 밀폐수단이 구비된 티슈박스
JP2008273532A (ja) 衛生用紙収納用カートン
JP4913417B2 (ja) 衛生用紙収納用カートン
KR200381477Y1 (ko) 홀더가 부착된 화장지 상자
JP2012171642A (ja) 衛生薄葉紙収納紙箱
JP3211031U (ja) トイレ用ロールペーパーが片手で切れる紙巻器
JP2008007120A (ja) 衛生薄葉紙等の収納箱
KR20130135058A (ko) 랩절단 커터를 가지는 랩케이스
JP3213058U (ja) ティシュを横方向に取出せるフィルムレス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