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484B1 - 이온정수기 - Google Patents

이온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484B1
KR100607484B1 KR1020040073279A KR20040073279A KR100607484B1 KR 100607484 B1 KR100607484 B1 KR 100607484B1 KR 1020040073279 A KR1020040073279 A KR 1020040073279A KR 20040073279 A KR20040073279 A KR 20040073279A KR 100607484 B1 KR100607484 B1 KR 100607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enoid valve
electrolytic cell
drain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241A (ko
Inventor
이근택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48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02F2001/4619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only cathodic or alkaline water, e.g. for redu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정수 출수시 정수가 드레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온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온정수기, 전해조, 솔레노이드밸브

Description

이온정수기{DEVICE FOR PRODUCING ION WATER}
도 1은 종래의 냉온 이온정수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정수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정수기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필터부 13 : 전해조
15 : 온수조 16 : 냉각수단
61 : 레귤레이터 62 : 급수솔레노이드밸브
63 : 전해조솔레노이드밸브 64 : 온수솔레노이드밸브
65 : 냉수솔레노이드밸브 66 : 상온수솔레노이드밸브
67 : 온수안전솔레노이드밸브 68 : 냉온수솔레노이드밸브
91 : 배수관 92 : 온수관
93 : 냉수관 94 : 상온수관
70 : 코크 95 : 냉온수관
160 : 냉수조 600 :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
본 발명은 이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정수 출수시 정수가 드레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온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 이온정수기는 필터부를 통과시켜 정수한 물을 다시 전해조에서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리시킨 다음, 산성수나 차가운 알칼리 이온수나 따뜻한 알칼리 이온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냉온 이온정수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필터를 구비하며 수도물을 여과ㆍ정제하기 위한 필터부(110), 필터부(110)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전기적으로 분해하여 산성수 및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전해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터부(110) 전방에 레귤레이터(610) 및 급수솔레노이드밸브(6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전해조(630) 전방에 전해조솔레노이드밸브(630)가 설치될 수 있다.
전해조(130)에서 생성된 배수 또는 산성수가 배수관(910)을 통해 드레인된다.
여기서, 전해조(130)의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정수 공급시에는 필터부(110)를 지난 정수가 전해조(130)를 거치되 전해조(13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정수가 그대로 코크(700)를 통해 출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정수 출수시에도, 정수가 전해조(130)를 통과하면, 정수중 상당부분이 전해조(130)에 연결된 배수관(910)을 통해 자동 드레인 되기 때문 에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수 출수시 정수가 드레인 되는 것을 방지한 이온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온정수기는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링 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산성수 및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의 배수흐름을 단속하는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전해조의 전압인가와, 상기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전해조 전압인가시에는 상기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를 열고, 상기 전해조 전압비인가시에는 상기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수 출수시 정수가 드레인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정수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온정수기는 크게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필터부(11)와, 상기 필터링 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산성수 및 알칼리 이온 수를 생성하는 전해조(13)와, 상기 전해조(13)의 배수흐름을 단속하는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와, 상기 전해조(13)의 전압인가와, 상기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터부(11)는 상수, 지하수 등의 원수를 여과, 정제하기 위한 다수개의 필터로 이루어져 있다.
전해조(13)는 필터부(11)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산성수 및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한다.
여기서, 전해조(13)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그 전압이 인가 또는 비인가 되어, 전압 인가시에는 알칼리 이온수와 산성수를 생성하고, 비인가 시에는 정수를 그대로 통과시켜 정수를 출수하게 된다.
이때, 알칼리 이온수 생성시 생성되는 배수는 배수관(91)을 통해 드레인 되게 되는데, 산성수 및 알칼리수와 배수의 비율은 약 2 : 1이 된다.
그러나, 제어부가 전해조(13) 전압을 비인가 하여 정수를 출수시킬 때에도, 상당량의 정수가 그대로 배수관(91)을 통해 드레인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흐름을 단속하는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는 이온수 출수시에는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를 개방하여 배수가 드레인되도록 하고, 정수 출수시에는 상기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를 폐쇄하여 정수가 드레인 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는 제어부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된다.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는 배수관(91)에 설치되거나, 전해조(13)에 일체 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는 전해조(13)의 배수유출구에 설치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전해조(13)의 전압과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의 전압을 연결하여, 제어부에 의해 전해조(600)와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전해조(13)에는 온수관(92), 냉수관(93), 상온수관(94)이 연결되어 있으며, 각 유로상에는 온수솔레노이드밸브(64), 냉수솔레노이드밸브(65), 상온수솔레노이드밸브(6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각 기능수의 선택에 따라 열리고 닫힘으로써, 각 유로상의 유체 흐름을 단속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전해조(13)를 통과한 정수 및 상온 알칼리 이온수는 상온수관(94)을 통하여 출수될 수 있다.
온수관(92)을 통해 이송된 알칼리 이온수는 온수조(15)내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뒤 온수 탱크에 저장된다.
나아가, 알칼리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온수조(15)에 이어 온수안전솔레노이드밸브(67)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이온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온수안전버튼을 눌러야지만 온수안전솔레노이드밸브(67)가 개방되면서 온수를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하므로 어린이들이 코크(70)를 실수로 잘못 조작하여도 온수로 인하여 어린이들이 화상을 입는 것을 미리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수관(93)을 통해 이송된 알칼리 이온수는 냉매수가 저장된 냉각수단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알칼리 냉수로 코크(70)를 통해 제공된다.
또한, 출수되는 물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여, 정수 및 알칼리 상온수와 알칼리 냉온수와 산성수를 필요에 따라 하나의 코크(7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정수기는 알칼리 온수, 알칼리 냉수, 상온 알칼리 이온수, 정수 등의 다양한 기능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하나의 코크(70)로 여러가지 기능수를 한꺼번에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필터부(11), 상기 필터링 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산성수 및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13)와 상기 전해조(13)의 전압인가와, 상기 전해조(13)의 배수흐름을 단속하는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알칼리 이온수를 냉각하여 보관하는 냉수조(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전 실시예를 참고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의 특징적인 작용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해조(13)는 필터부(11)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산성수 및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한다.
여기서, 전해조(13)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그 전압이 인가 또는 비인가 되어, 전압 인가시에는 알칼리 이온수와 산성수를 생성하고, 비인가 시에는 정수를 그대로 통과시켜 정수를 출수하게 된다.
이때, 알칼리 이온수 생성시 생성되는 배수는 배수관(91)을 통해 드레인 되 게 되는데, 산성수 및 알칼리수와 배수의 비율은 약 2 : 1이 된다.
그러나, 전해조에 제어부가 전압을 비인가 하여 정수를 출수시킬 때에도, 배수관을 통해 상당량의 정수가 그대로 배수관(91)을 통해 드레인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흐름을 단속하는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는 이온수 출수시에는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를 열려 배수가 드레인되도록 하고, 정수 출수시에는 상기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를 닫혀 정수가 드레인 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된다.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는 배수관(91)에 설치되거나, 전해조(13)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는 전해조(13)의 배수유출구에 설치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전해조(13)의 전압과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600)의 전압을 연결하여, 제어부에 의해 전해조(600)와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이렇게 전해조(13)를 통과한 정수 및 상온 알칼리 이온수는 상온수관(94)을 통하여 출수될 수 있다.
한편, 알칼리 이온수는 4도씨로 냉각해서 마시는 것이 가장 좋으므로, 상기 알칼리 이온수를 냉각하는 냉각수단과, 냉각된 알칼리 이온수를 저장하는 냉각탱크로 이루어진 냉수조(1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알칼리 이온수는 냉온수관(95)을 통해 유입된 후 냉수조(160)에서 냉각된 되어 냉수관(93)을 통하여 알칼리 냉수로 출수되게 된다.
또한, 냉온수관(95)에는 이송되는 알칼리 이온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냉온수솔레노이드밸브(68)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이온정수기는 전해조(13)로부터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이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알칼리 이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로 이루어진 온수조(15)가 구비되어 알칼리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알칼리 이온수는 냉온수관(95)을 통해 유입되어, 온수조(15)내에 가열되어 저장된 후, 온수관(92)을 통하여 출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온정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어부에 의해 전해조의 전압 비인가시에는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의가 닫힘으로써, 정수가 출수될 때 정수가 배수배관을 통해 드레인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수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둘째, 상기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전해조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이온정수기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링 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산성수 및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의 배수흐름을 단속하는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전해조의 전압인가와, 상기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전해조 전압인가시에는 상기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를 열고, 상기 전해조 전압비인가시에는 상기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를 닫으며,
    상기 전해조에 이어진 유로는 세개의 유로로 분기되어, 각 유로상에 온수솔레노이드밸브, 냉수솔레노이드밸브, 상온수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온수솔레노이드밸브에 이어 온수조가 설치되고, 상기 온수조에 이어서 온수안전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냉수솔레노이드밸브에 이어 냉각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세개의 유로는 하나의 코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정수기.
KR1020040073279A 2004-09-14 2004-09-14 이온정수기 KR100607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279A KR100607484B1 (ko) 2004-09-14 2004-09-14 이온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279A KR100607484B1 (ko) 2004-09-14 2004-09-14 이온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241A KR20060025241A (ko) 2006-03-21
KR100607484B1 true KR100607484B1 (ko) 2006-08-02

Family

ID=3713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279A KR100607484B1 (ko) 2004-09-14 2004-09-14 이온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4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433B1 (ko) * 2006-06-07 2007-11-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수온도 유지를 위한 이온정수기 및 이온정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7825B2 (ja) 1993-02-12 2003-04-21 ミズ株式会社 連続式電解水生成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7825B2 (ja) 1993-02-12 2003-04-21 ミズ株式会社 連続式電解水生成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241A (ko) 200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484B1 (ko) 이온정수기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130009329A (ko) 정수기
KR101861710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200338971Y1 (ko) 이온 냉온정수기
KR200413327Y1 (ko) 이온수기
KR100590003B1 (ko) 정수기
KR100476646B1 (ko) 이온수용 정수기의 배관구조
JP2001276815A (ja) 浄水装置
KR102502949B1 (ko) 순간 냉온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N220412977U (zh) 一种商务热胆式氢水机
KR20120082658A (ko) 이온수 생성 장치
JPH10216725A (ja) 洗浄機能付き連続式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KR101202954B1 (ko) 온도에 따른 전류제어 기능이 있는 이온수기
JP2017100108A (ja) 電解水生成装置
JP4474889B2 (ja) イオン整水器
KR100870366B1 (ko) 냉이온수기 및 그 작동방법
KR200301154Y1 (ko) 이온수 제조가 가능한 냉온정수기
KR100476653B1 (ko) 이온수용 정수기의 일체형 컨트롤박스 구조
JP2001259619A (ja) 浄水装置
KR200412954Y1 (ko) 하이브리드 전해조 방식 이온수기
KR200327036Y1 (ko) 이온 정수기의 온수안전장치
JP3283938B2 (ja) 先止めの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
JPH06154758A (ja) イオン水給水装置
KR100690060B1 (ko) 이온수기 및 이온수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