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466B1 -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for improving particle size of construction waste - Google Patents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for improving particle size of construction w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7466B1 KR100607466B1 KR1020060005505A KR20060005505A KR100607466B1 KR 100607466 B1 KR100607466 B1 KR 100607466B1 KR 1020060005505 A KR1020060005505 A KR 1020060005505A KR 20060005505 A KR20060005505 A KR 20060005505A KR 100607466 B1 KR100607466 B1 KR 1006074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ommel
- sump
- coupled
- water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17 poly(methylsilsesqui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02—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perforat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6—Mills provided with vibr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용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for improving the particle size of the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집수조의 상부 일측에 트롬멜의 하측 일부가 경사지게 물속에 잠겨지도록 설치되어지고, 상기 트롬멜의 출구측 하부에서 집수조의 타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진동피더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집수조의 하부에 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지며 상기 집수조의 하부 모서리에 배출부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용 이물질 선별장치 있어서, 상기 트롬멜은 외부가 둥근 타공망으로 형성되어지며 그 내부에 소정 각도를 갖는 나선편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진동피터는 바이브레타가 고정된 피더 프레임에 그리즐리망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집수조의 상부에 트롬멜의 입구측을 향하도록 제1송풍기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트롬멜의 출구측이 위치하는 집수조의 상부 일측에 제2송풍기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2송풍기와 대향되는 집수조의 타측에 부유물질 배출부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부유물질 배출부는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는 벨트의 표면에 만곡형태로 오목한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trommel is submerged in the water obliquely on the upper one side of the sump, the vibration feeder is inclined toward the other upper portion of the sump at the bottom of the outlet side of the trommel, the lower part of the sump In the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for improving the particle size of the construction waste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the rotatable screw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edge of the sump, the trommel is formed of a perforated mesh round the outside and has a predetermined angle therein The spiral piece is coupled, the vibration Peter is a grizzly network is coupled to the feeder frame is fixed to the vibrator, the first blower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ump facing the inlet side of the trommel, the trommel of A second blower is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sump where the outlet side is located, and is opposed to the second blower. Floating material discharge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ating material discharge portion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blades concave in a curved shape on the surface of the belt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집수조, 트롬멜, 진동피더, 입도개선, 타공망,, 바이브레터 Sump, Trommel, Vibrating Feeder, Granularity Improvement, Perforation Network, Vibrator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용 이물질 선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for improving the particle size of the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용 이물질 선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icle sorting device for improving the particle size of the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집수조 20:트롬멜10: sump 20: trommel
21:타공망 22:나선가이드21: Perforation Network 22: Spiral Guide
30:진동피더 31:바이브레타30: vibration feeder 31: vibrator
32:피더 프레임 33:그리즐리망32: feeder frame 33: Grizzly mans
40:스크류 50:배출부40: screw 50: discharge part
60:제1송풍기 70:부유물질 배출부60: first blower 70: floating material discharge part
71:모터 72:벨트71: motor 72: belt
73,73':블레이드 74:제2송풍기73,73 ': Blade 74: 2nd blower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용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쇄된 건설폐기물이 투입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집수조에 그 일부가 담겨있는 트롬멜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트롬멜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투입된 골재끼리의 마찰 및 마멸을 유도하여 골재의 입형이 개선되어지는 가운데 그 표면에 잔류된 토사 등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충분한 압축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된 토사 및 슬러지가 집수조의 하부에 설치된 스크류 및 배출부를 통해 탈수된 상태로 배출시켜 그 부산물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for improving the size of construction wastes, and in particular, by passing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s through the trommel contained in the sump tank in part of the collection tank through the input conveyor belt, the aggregate inject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trommel By inducing friction and abrasion between each other, the granules of aggregates are improved, and the soils remaining on the surface are easily separated, so that sufficient compressive strength can be obtained when concrete is poured. It is to be discharged in a dehydrated state through the screw and the discharge portion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sump to facilitate the by-product treatment.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안전을 위한 목적으로 이를 다시 부순 후 재건축을 하게 되고, 건축물을 부수는 과정에서 철골 및 벽면, 슬래브, 천정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와 목재, 유리, 합성수지가포함 된 다량의 건설 폐기물이 발생된다.In general,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building is crushed and reconstructed for safety purposes.In the process of crushing the building, concrete, wood, glass, and synthetic resin that make up steel, walls, slabs, and ceilings are included. A larg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is generated.
이러한 건설 폐기물은 초기에는 특정한 장소에 매립하여 처리하였으나, 매립 후 발생되는 침출수로 인해 토양이 다시 오염되는 원인으로 현재는 거의 매립하지 않고 대부분을 재활용하고 있다. 즉, 건축물을 부수는 과정에서 발생된 건설 폐기물 중 재활용이 가능한 철골 등을 먼저 수거한 후 콘크리트를 분쇄기로 분쇄시키고, 분쇄된 콘크리트속에 포함된 다량의 이물질은 별도의 이물질 선별장치를 통해 분리시켜 이물질이 제거된 순수한 재생골재를 얻고, 재생골재를 얻는 과정에서 생성된 부산물인 폐목편, 직물류조각, 프라스틱, 종이류, 비닐류는 소각으로 폐기처 분하면 된다.These construction wastes were initially disposed of in a specific place, but the soil is recontaminated by the leachate generated after the landfill. In other words, the first collection of recyclable steel frame among the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rushing the building is first collected, and then the concrete is crushed by a grinder, and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rushed concrete is separated through a separate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The removed pure recycled aggregate is obtained, and waste wood chips, fabric pieces, plastics, papers, and vinyl, which are by-product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obtaining recycled aggregates, may be disposed of by incineration.
한편, 분쇄된 콘크리트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이물질 선별장치는 재생골재 및 재생골재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매개체의 따라 습식선별법 및 건식선별법이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that separates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rushed concrete is used wet and dry selection method depending on the medium for sort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ecycled aggregate and the recycled aggregate.
여기에서, 상기 습식선별법은 물을 이용한 것으로서 이송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금속재가 분리된 콘크리트 분쇄물을 집수조내로 이동되는 가운데 분쇄물과 이물질과의 비중 차이에 의해 이물질이 저수조의 상부로 떠오르도록 하고, 그 상부로 떠오른 이물질을 별도의 이물질제거장치인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선별되도록 하고, 동시에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분쇄물(골재)은 별도의 이송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장소에 모아 놓도록 구성되어 있다.Here, the wet screening method uses water to allow the foreign matter to ri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by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crushed matter and the foreign matter while the concrete crushed material separated from the metal material is moved into the water collecting tank through the transfer conveyor belt. The foreign matter that has risen to the top is screened using a separate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screen, etc. At the same time, the concrete crushed material (aggregate)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is configured to be collected in a certain place by using a separate transfer conveyor belt.
그러나 이러한 습식선별법을 이용하여 선별되어진 골재는 골재속에 포함된 이물질만이 제거된 상태로 그 표면에 토사 등의 이물질이 붙어있는 상태로 있고, 그 모서리가 날카로움에 따라 쉽게 부서지는 원인으로 이를 콘크리트 타설에 사용할 경우, 충분한 압축강도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ggregate selected by the wet screening method has only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ggregate removed, and the foreign matter such as earth and sand adhered to the surface, and the edge is easily broken due to its sharpness. When used in, there was a problem that does not obtain sufficient compressive strength.
또한, 습식선별법을 이용하여 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저수조내에 적채된 토사 및 슬러지 등의 부산물은 배출장치인 버킷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그 배출율이 낮아짐과 동시에 수분함수율이 높음에 따라 이를 별도의 압출탈수기 등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by-products such as soil and sludge trapped in the reservoir during the production of aggregate using the wet screening method are discharged using the bucket conveyor belt, which is a discharge device. There was a hassle to remove moisture using a separate extrusion dehydrato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파쇄된 건설 폐기물이 투입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집수조에 그 일부가 담겨있는 트롬멜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투입된 골재끼리의 마찰 및 마멸을 유도하여 골재의 입형이 개선되어지는 가운데 그 표면에 잔류된 토사 등이 용이하게 분리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충분한 압축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집수조의 하부에 스크류 및 배출부를 설치하여 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하부로 낙하되어지는 토사 및 슬러지가 탈수된 상태로 배출되어 부산물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용 이물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is problem,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induces friction and abrasion of aggregates put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trommel that is part of the sump contained in the sump through the input conveyor belt granules of aggregate This is improved, so that the soil and the like remaining on the surface can be easily separated to obtain a sufficient compressive strength when placing concrete, an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ggregate by installing a screw and a discharge part in the bottom of the sump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for improving the particle size of the construction waste which can be discharged in the dehydrated state of the soil and sludge falling to the bottom to facilitate the treatment of by-product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집수조(10)의 상부 일측에 외부가 둥근 타공망(21)으로 형성되어지며 그 내부에 소정 각도를 갖는 나선가이드(22)가 결합된 트롬멜(20) 하측 일부가 경사지게 물속에 잠겨지도록 설치되어지고, 상기 트롬멜(20)의 출구측 하부에서 집수조(10)의 타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진동피더(3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집수조(10)의 하부에 스크류(4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지며 상기 집수조(10)의 하부 모서리에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절곡된 형태인 배출유로(51)를 갖는 배출부(5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집수조(10)의 타측에 모터(71)의 회전으로 연동되는 벨트(72)의 표면에 만곡형태로 오목한 다수개의 블레이드(73)(73')가 결합된 부유물질 배출부(7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집수조(10)의 내부에는 수중펌프(28)에 결합된 노즐(29)이 트롬멜(20)의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용 이물질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피터(30)는 바이브레타(31)가 고정된 피더 프레임(32)에 그리즐리망(33)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집수조(10)의 상부에 트롬멜(20)의 입구측을 향하도록 제1송풍기(6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트롬멜(20)의 출구측이 위치하는 집수조(10)의 상부 일측에 제2송풍기(74)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집수조(10)의 상부에 진동피더(30)의 그리즐리망(33)을 향하는 제3송풍기(34)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트롬멜(20)의 출구측과 진동피더(30)사이에는 하부가 물속에 잠겨지며 그 상부가 물밖으로 노출된 이물질 휀스(67)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부유물질 배출부(70)가 설치된 집수조(10)의 외측에는 제2바이브레이터(81)가 설치된 탈수스크린(8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탈수스크린(80)의 하부에는 집수조(10)의 내측과 연결되어지는 물받이판(82)이 결합되어 탈수된 물이 집수조(10)로 공급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51)는 복수개의 가압로울러(52)(52')가 설치되어 토사와 슬러지속에 포함된 수분이 탈수되어 외부로 배출되어지고, 상기 배출유로(51)에 펌프(53)의 흡입측에 연결된 흡입파이프(531)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펌프(53)의 토출측에 연결된 토출파이프(532)가 집수조(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용 이물질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round perforated
In addition,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용 이물질 선별장치(A)는 도1,2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집수조(10), 트롬멜(20), 진동피더(30), 스크류(40), 배출부(50), 제1송풍기(60), 부유물질 배출부(70) 및 탈수스크린(8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A) for improving the particle size of the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여기에서, 상기 집수조(10)는 그 내부로 항상 일정량의 물이 채워져 부력을 이용하여 분쇄된 건설폐기물의 골재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부만이 개방된 직사각형태로 하부는 양측에서 중앙 하부를 향하여 그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폭이 좁아지는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갖는 스크류(40)가 모터(41)의 구동스프라켓(42)에 체인(43)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라켓(4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동스크라켓(43)이 스크류(40)의 일측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스크류(40)의 양측단은 베어링(44)이 내장된 캡(45)이 결합되어 집수조(10)에 채워진 물이 누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Here, the sump (10) is always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water therein to have a function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ggregate of the construction waste crushed using buoyancy, the upper portion is open only in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lower side both sides The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lower portion in the center is configured to have a narrow shape, the narrow width in the
상기 종동스프라켓(43)이 결합된 스크류(40)의 타측 하부인 집수조(10)의 모서리에는 후술하는 배출부(50)가 설치되어 집수조(10)의 하부로 모인 토사 및 슬러지(부산물)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그 속에 포함된 수분이 탈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트롬멜(20)은 개방된 집수조(10)의 상부에 길이방항열 위치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투입컨베이어벨트(90)를 통해 투입되는 분쇄물에 마찰을 주어 마모가 발생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입형이 개선되어지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외부는 둥근 타공망(21)으로 형성되어지며 그 내부 즉, 내면에는 소정 각도를 갖는 나선가이드(22)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이러한 트롬멜(20)은 집수조(10)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23)에 의하여 집수조(10)에 채워진 물속에 하측의 일부가 항상 잠겨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23)에 결합된 복수개의 로울러(24)(24')에 의하여 용이하게 회전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타공망(21)의 출구측 외부에는 모터(25)의 스프라켓(26)에 연결된 체인(27)이 결합되어 있어 트롬멜(20)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트롬멜(20)이 위치한 집수조(10)의 내부에는 수중펌프(28)에 결합된 노즐(29)이 트롬멜(20)의 하부면을 향하여 설치되어 물이 분사됨으로써 타공망(2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분쇄물 사이의 이물질이 용이하게 분리되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상기 진동피더(30)는 트롬멜(20)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어지는 입형이 개선된 건설폐기물을 집수조(10)의 외부로 인출 또는 배출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트롬멜(20)이 설치된 방향을 따라 일직선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가 집수조(10)의 내부를 향하여 일정 깊이로 연장된 형태를 취하도록 구비되어 트롬멜(20)의 출구뿐만 아니라 타공을 통해 배출 또는 낙하되어지는 건설폐기물의 일부도 받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vibrating
이를 위해, 상기 진동피더(30)는 피더 프레임(30)의 상부에 제1바이브레이터(31)가 고정되어 있으며, 피더 프레임(32)에는 소정의 두께로 길이가 긴 봉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된 형태를 갖는 그리즐리망(33)이 결합되어 있다.To this end, the vibrating
또한, 상기 진동피더 프레임(30)이 집수조(10)의 외부로 노출된 하부에는 그 리즐리망(33)을 향하는 제3송풍기(34)가 설치되어 그리즐리망(33)을 따라 이송되어지는 분쇄물이 건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배출부(50)는 건설폐기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 및 입형을 개선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된 토사 및 슬러지(부산물)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배출되어지는 부산물속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집수조(10)의 모서리 하단에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절곡된 형태를 갖는 배출유로(51)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유로(51)의 상,하부에 복수개의 가압로울러(52)(52')가 설치되어 가압로울러(52)(52') 사이를 통과하는 부산물을 압축시켜 수분이 탈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부산물이 압축되어지는 과정에서 탈수되어진 수분(물)은 배출유로(51)에 흡입파이프(531)의 일측이 결합되어지며 그 타측에 펌프(53)의 흡입측이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펌프(53)는 토출측에 토출파이프(532)의 일측이 결합되어지며 토출파이프(532)의 타측이 집수조(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이 재순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ehydrated water (water) in the process of compressing the by-produc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상기 제1송풍기(60)는 투입컨베이어 벨트(90)의 하부와 트롬멜(20)의 입구측에 설치된 것으로 회전하는 트롬멜(20)의 내부에서 나선가이드(22)에 의하여 혼합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된 물위에 뜬 이물질을 트롬멜(20)의 출구측으로 신속하게 이송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트롬멜(20)의 출구측과 진동피더(30)사이에는 이물질 휀스(61)가 설치되어 제1송풍기(60)로 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하여 진동피더(30)의 방향으로 이 송되어지는 이물질이 진동피더(30)에 실려 외부로 이송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이물질 휀스(61)는 그 하부가 물속에 소정 깊이로 잠겨지며 상부를 향하여 소정 높이로 노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상기 부유물질 배출부(70)는 트롬멜(20)의 출구측과 진동피더(30) 사이에 위치된 집수조(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송풍기(60)에 의하여 트롬멜(20)의 밖으로 이송된 이물질이 제2송풍기(74)에 의하여 직각방향으로 다시 이송되어지는 것을 떠서 집수조(10) 밖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uspended
이를 위해, 상기 부유물질 배출부(50)는 모터(71)의 회전에 연동되는 벨트(72)의 표면에 만곡형태로 오목한 다수개의 블레이드(73)(73')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모터(71)와 벨트(72)는 지지프레임(75)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o this end, the suspended
상기 탈수스크린(80)은 부유물질 배출부(50)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배출되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이물질속에서 탈수된 물을 집수조(10)로 다시 재공급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dewatering screen (80)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by remov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through the floating
이를 위해, 상기 탈수스크린(80)은 부유물질배출부(50)가 형성된 집수조(10)의 상단 바깥측 하부에 설치된 제2바이브레이터(81)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탈수스크린(80)의 하부는 집수조(10)의 내측과 연결되어지는 물받이판(82)이 결합되어 탈수된 물이 집수조(10)로 재공급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o this end, the dewatering screen (8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vibrator (81) installed at the upper outer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10) where the floating material discharge unit (50) is formed, and the dewatering screen (80) The lower portion of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같는 이물질 선별장치는 우선 투입컨베이어 벨트(90)를 통해 이물질이 포함된 분쇄물이 집수조(10)의 상부에 그 하부가 잠겨진 상태로 회전 되는 트롬멜(20)의 내부로 투입되어지면서 트롬멜(20)의 회전에 따라 그 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선가이드(22)에 의하여 투입된 분쇄물이 혼합되며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됨에 따라 날카로운 분쇄물의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개선이 된다.The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first put into the inside of the
이때 분쇄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은 트롬멜(20)의 하부가 집수조(10)에 채워진 물속에 잠겨있는 상태로 있음에 따라 물위로 떠오르게 되고, 물위로 떠오른 이물질은 투입컨베이어 벨트(90)의 하부와 트롬멜(20)의 입구측 사이에 설치된 제1송풍기(60)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하여 트롬멜(20)의 출구측으로 신속하게 이송되어진다.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rushed matter floats on the water as the lower part of the
이때 수중펌프(28)에 결합된 노즐(29)에서 트롬멜(20)의 하부면을 향하여 물이 분사됨으로써 타공망(2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분쇄물 사이의 이물질이 용이하게 분리되어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water is injected from the
다음, 트롬멜(20)의 경사에 의하여 출구측으로 이송되어진 입형이 개선된 분쇄물은 집수조(10)의 하부로 낙하됨과 동시에 트롬멜(20)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피더(30)의 그리즐리망(33)에 얹혀지게 되고, 그리즐리망(33)에 얹혀진 분쇄물은 피더 프레임(32)에 설치된 제1바이브레이터(31)에 의한 진동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배출컨베이어 벨트(90')에 실려 별도의 적하장으로 이송되어진다.Next, the pulverized product having the improved shape transferred to the outlet side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이때, 집수조(10)의 외부로 노출된 하부에 설치된 제3송풍기(34)로 부터 그리즐리망(33)을 향하는 공기가 분사되어짐으로써 그리즐리망(33)을 따라 이송되어지는 분쇄물이 건조되어지게 된다.At this time, air is directed toward the grizzly net 33 from the third blower 34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다음, 트롬멜(20)의 출구측으로 배출된 이물질은 집수조(10) 상부에 설치된 제2송풍기(74)에 의하여 제2송풍기(74)와 대향되도록 설치된 부유물질배출부(50)를 향하여 이송되어지게 되고, 부유물질배출부(50)측으로 이송된 이물질은 모터(71)에 의하여 회전되는 벨트(72)에 결합된 블레이드(73)(73')에 의하여 건져 올려지게 되며, 블레이드(73)(73')에 의하여 건져 올려진 이물질은 제2바이브레이터(81)에 의하여 진동되어지고 있는 탈수스크린(80)에 실려짐과 동시에 그 진동력에 의하여 수분이 탈수되어진다. 탈수되어진 수분은 그 하부에 설치된 물받이판(82)을 통해 집수조(10)로 흘러들어가게 된다.Next,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to the outlet side of the
이 과정에서 트롬멜(20)의 출구측으로 배출된 이물질 중 일부분이 부유물질배출부(50)로 이송되지 않고 진동피더(30)로 이동되어지나, 이물질 휀스(61)에 의하여 그 이동이 차단되어짐으로써, 이물질이 진동피더(30)의 그리즐리망(33)에 얹혀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In this process, a part of the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to the outlet side of the
한편, 집수조(10)의 하부로 낙하된 토사와 슬러지는 모터(41)의 구동스프라켓(42)에 체인(44)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라켓(43)에 의하여 스크류(40)가 회전됨에 따라 집수조(10)의 하부 모서리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배출부(50) 통해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soil and sludge dropp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즉, 배출유로(51)의 상하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압로울러(52)(52')가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되어짐에 따라 그 사이를 통과하는 부산물인 토사 및 슬러지가 압축되어짐으로써 수분이 탈수되어지고, 이때 탈수되어진 물은 펌프(53)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파이프(531) 및 토출파이프(532)를 통해 집수조(10)의 상부로 재공급되어지게 된다.That is, as the plurality of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파쇄된 건설폐기물이 투입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집수조에 그 일부가 담겨있는 트롬멜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투입된 골재끼리의 마찰 및 마멸을 유도하여 골재의 입형이 개선되어지는 가운데 표면에 있는 토사 등이 용이하게 분리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충분한 압축강도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s to pass through the trommel that is partly contained in the sump through the input conveyor belt, thereby inducing friction and abrasion between the injected aggregates and improving the granularity of the aggregates. Soil and sand can be easily separated, so that sufficient compressive strength can be obtained when concrete is poured.
또한, 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하부로 낙하되어지는 토사 및 슬러지가 집수조의 하부에 설치된 배출부를 통해 탈수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부산물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soil and sludg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ggregate to b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is discharged in a dehydrated stat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on tank,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easily be processed by-product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5505A KR100607466B1 (en) | 2006-01-18 | 2006-01-18 |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for improving particle size of construction was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5505A KR100607466B1 (en) | 2006-01-18 | 2006-01-18 |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for improving particle size of construction was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07466B1 true KR100607466B1 (en) | 2006-08-01 |
Family
ID=3718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5505A KR100607466B1 (en) | 2006-01-18 | 2006-01-18 |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for improving particle size of construction was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7466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3976A (en) * | 1996-05-30 | 1997-12-09 | Miike Tekkosho Kk | Separating apparatus using water |
JP2001096186A (en) | 1999-09-29 | 2001-04-10 | Minoru Watanabe | Simple floating/sinking separator |
JP2002086012A (en) | 2000-09-13 | 2002-03-26 | Miyamoto Seisakusho:Kk | Separator |
KR20040057498A (en) * | 2002-12-26 | 2004-07-02 | 주식회사 광산기공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ecycling aggregate using waste concrete |
KR100441286B1 (en) | 2003-02-12 | 2004-07-21 |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 sand and gravel a manufacturing device |
KR20050055362A (en) * | 2003-12-08 | 2005-06-13 | 현대건설주식회사 | An alien matter of a reclaiming earth removing device using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nd method thereof |
-
2006
- 2006-01-18 KR KR1020060005505A patent/KR10060746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3976A (en) * | 1996-05-30 | 1997-12-09 | Miike Tekkosho Kk | Separating apparatus using water |
JP2001096186A (en) | 1999-09-29 | 2001-04-10 | Minoru Watanabe | Simple floating/sinking separator |
JP2002086012A (en) | 2000-09-13 | 2002-03-26 | Miyamoto Seisakusho:Kk | Separator |
KR20040057498A (en) * | 2002-12-26 | 2004-07-02 | 주식회사 광산기공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ecycling aggregate using waste concrete |
KR100441286B1 (en) | 2003-02-12 | 2004-07-21 |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 sand and gravel a manufacturing device |
KR20050055362A (en) * | 2003-12-08 | 2005-06-13 | 현대건설주식회사 | An alien matter of a reclaiming earth removing device using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nd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88836B1 (en) | Sorting and separating device of construction waste | |
KR100650509B1 (en) | Vibrating screen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ed, including sedimentation storage tank | |
JP4829744B2 (en) | Sorting device | |
CN108855587B (en) | Construction waste screening and separating method | |
KR100764643B1 (en) |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aggregate using construction waste | |
KR100534680B1 (en) | Sorting equipments of contaminating materials in construction wastes and reusing method of supplement water | |
US7775371B2 (en) | Device for the separation of waste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ir densities | |
KR100688123B1 (en) | Screening treatment method of construction waste and its device | |
KR100739230B1 (en) | Construction Waste Wet Treatment System | |
KR100668443B1 (en) | Sediment Discharge Device for Wet Treatment Equipment of Construction Waste | |
KR100533738B1 (en) | Equipment classify contaminating materials wet construction waste | |
KR100607466B1 (en) |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for improving particle size of construction waste | |
KR100525357B1 (en) | Apparatus for washing aggregate for use in a recycl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 |
KR100722569B1 (en) | Aggregate sorting method using trommel and bucket and its device | |
KR10093147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separating flammables from construction waste by using water and pressurized air | |
KR100689099B1 (en) | Aggregate discharge device for wet treatment device of construction waste | |
KR100875379B1 (en) | Vertical improvement device for wet foreign matter sorter | |
KR100683496B1 (en) | Wet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of construction waste | |
KR101815112B1 (en) | Loess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wet type sorting apparatus for recycle aggregate | |
KR101211806B1 (en) | Separator for extraneous substance of construction waste | |
KR200332864Y1 (en) | Apparatus for washing aggregate for use in a recycl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 |
KR100616525B1 (en) | Aggregate Washer | |
KR0123017B1 (en) | Apparatus or process for separating the disused building | |
KR20050051428A (en) | Method of regenerating sand utilizing waste concrete and an apparatus thereof | |
KR100751838B1 (en) | Separation device of construction was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1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