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890B1 -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890B1
KR100606890B1 KR1020030093408A KR20030093408A KR100606890B1 KR 100606890 B1 KR100606890 B1 KR 100606890B1 KR 1020030093408 A KR1020030093408 A KR 1020030093408A KR 20030093408 A KR20030093408 A KR 20030093408A KR 100606890 B1 KR100606890 B1 KR 100606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ody portion
pcb
switching
protectiv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1869A (ko
Inventor
정동균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8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4Frames or mounting racks for selector switches; Accessories therefor, e.g. frame c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7Redund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장비용 서브랙(sub-rack)에 플러그 인 유닛(plug-in unit) 또는 인쇄회로기판(PCB)을 착탈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스위치와 그 스위치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는, 서브랙에 장착되는 PCB가 고정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일단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몸체부와의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해 상기 서브랙에 고정 또는 분리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한 스위칭 작용으로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보호캡을 포함하는 PCB 착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보호캡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 외부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위치를 감싸 보호하고, 상기 스위치 보호캡의 일측면에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출입홀이 형성되며, 이 공기 출입홀에 대향되는 스위치 보호캡의 타측 개구부에 상기 스위치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장비, 서브랙, 이중화 절체, PCB, 프로세서, 보호캡

Description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PCB fixing device which can switch duplex-type processors}
도1은 일반적인 통신장비용 서브랙의 사시도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조립 상태 사시도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분해 상태 사시도임.
도4는 도3의 'A' 부분의 확대도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일 구성요소인 스위치 보호캡의 단면도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0 제1몸체부, 11 PCB 결합부, 13 결합핀, 15 결합홀, 20 제2몸체부, 21 결합핀 수용홀, 23 결합공, 25 걸림턱 수용홈, 30 스위치부, 31 이중화 절체 스위치, 33 스위치 보호캡
본 발명은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장비용 서브랙(sub-rack) 또는 쉘프(shelf)에 플러그 인 유닛(plug-in unit) 또는 인쇄회로기판(PCB)을 안정적으로 착탈할 수 있고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스위치와 그 스위치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장비용 서브랙 또는 쉘프는 일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다수의 슬롯을 포함하여 통신용 플러그 인 유닛 또는 PCB를 수용 및 인출할 수 있는 장비로서, 도1에 일반적인 통신장비용 서브랙이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장비용 서브랙(1)은 일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개방된 일면과 대응하는 내부 일면에 통신용 플러그 인 유닛 또는 PCB(5)의 수용을 위한 다수의 슬롯(6)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밑면과 윗면에 플러그 인 유닛 또는 PCB(5)를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 레일(3)과 플러그 인 유닛 또는 PCB(5)와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한 걸림턱(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서브랙(1)에 수용되는 PCB(5)의 양단에는 서브랙(1)의 걸림턱(4)과 결합하는 착탈 장치(7)가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두 개의 프로세서 간에 이중화 구조를 취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식이 흔히 채택되고 있다. 이중화 구조(duplex configuration)는 시스템을 두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하여 한 쪽 프로세서에 장애가 발생해도 나머지 한 쪽 프로세서에 제어를 옮겨 처리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의 가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대개의 경우 이중화 구조에서 실제 동작중인 프로세서를 액티브 프로세서(active processor)라 하며, 실제적인 동작은 하지 않고 액티브 프로세서가 비정상인 경우에 이에 대한 절체를 준비하고 있는 프로세서를 스탠바이 프로세서(standby processor)라 한다.
상기의 이중화 구조를 갖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각각 포함하는 PCB들은 동일한 통신장비용 서브랙에 수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현재 제어를 담당하고 있는 프로세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다른 프로세서가 제어를 담당할 수 있도록 절체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CB 착탈 장치를 이중화 절체용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캡을 포함시킴으로써 PCB의 기능 안정화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 이중화 절체의 필요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는, 서브랙에 장착되는 PCB가 고정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일단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몸체부와의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해 상기 서브랙에 고정 또는 분리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한 스위칭 작용으로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보호캡을 포함하는 PCB 착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보호캡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 외부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위치를 감싸 보호하고, 상기 스위치 보호캡의 일측면에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출입홀이 형성되며, 이 공기 출입홀에 대향되는 스위치 보호캡의 타측 개구부에 상기 스위치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효과 및 다른 특징들이 명확해질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도3은 분해 상태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제1몸체부(10), 제2몸체부(20) 및 스위치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10)는 피씨비 결합부(11), 결합핀(13) 및 결합홀(15)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부(20)는 결합핀 수용홀(21), 결합공(23) 및 걸림턱 수용홈(25)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부(30)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몸체부(10)에 고정되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과 스위치 보호캡(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3에서 도면 부호 '24'는 회동핀이고,'27'은 토션 스프링이다. 상기 스위치부(30)를 상기 제2몸체부(20)에 고정시키는 구성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는 각각 상기 결합홀(15) 및 결합공(23)이 겹쳐지면서 상기 회동핀(24)의 관통에 의해 상호간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10)에 압력을 가하여 제2몸체부(20)에 근접시키면 상기 제1몸체부(10)의 결합핀(13)이 상기 제2몸체부(20)의 결합핀 수용홀(21)과 결합하면서 상기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는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결합핀(13)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합핀(13)과 결합핀 수용홀(21)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를 상기 회동핀(24)을 중심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토션 스프링(27)은 상기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에 탄성력을 가해 양자가 용이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제1몸체부(10)의 PCB 결합부(11)에 PCB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1에 도시된 통신장비용 서브랙(1)과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CB의 상하 연단에 대칭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PCB 착탈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브랙(1)의 슬라이딩 레일(3)을 따라 PCB를 슬라이딩시켜 서브랙(1)의 내부면에 형성된 슬롯(6)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부(2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몸체부(10)의 결합핀(13)과 상기 제2몸체부(20)의 결합핀 수용홀(21)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2몸체부(20)와 제1몸체부(10)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게 하면 상기 제2몸체부(20)의 걸림턱 수용홈(25)이 서브랙(1)에 형성된 걸림턱(4)과 결합하여 PCB와 서브랙이 완전히 결합된다.
상기 제1몸체부(10)의 탄성을 갖는 결합핀(13)과 상기 제2몸체부(20)의 결합핀 수용홀(21)의 결합을 해제하면 상기 토션 스프링(27)의 탄성의 도움을 받아 상기 제2몸체부(20)는 상기 제1몸체부(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몸체부(20)의 걸림턱 수용홈(25)과 서브랙(1)의 걸림턱(4)의 결합도 해제되어 PCB를 서브랙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도4는 도3의 'A' 부분 즉, 상기 스위치부(30)의 확대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30)는 이중화 절체 스위치(31)와 스위치 보호캡(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는 세 개의 단자(311a, 311b, 311c)와 결합공(313)과 스위치 버튼(315)과 스위치 레버(31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 보호캡(33)에는 결합공(331)과 힌지 결합홀(332)과 공기 출입홀(3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는 상기 결합공(313)을 통하여 상기 제1몸체부(10)에 고정되고, 상기 세 단자(311a, 311b, 311c)는 상기 제1몸체부(10)와 결합하는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스위칭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제1몸체부(10)의 결합핀(13)과 상기 제2몸체부(20)의 결합핀 수용홀(21)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가 밀착되면 상기 제2몸체부(20)는 상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의 스위치 레버(317)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압력은 상기 스위치 버튼(315)으로 전달되어 이에 따라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전기적 신호가 상기 세 단자(311a, 311b, 311c)를 통하여 상기 제1몸체부(10)에 결합된 PCB에 전달된다.
상기 스위치 보호캡(33)은 고탄력 신축성을 갖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의 세 단자(311a, 311b, 311c)를 제외한 외부 전체를 밀착하여 감싸도록 함으로써 이중화 절체 스위치(3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위치 보호캡(33)은 결합공(331)을 통하여 상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 및 제1몸체부(10)에 고정된다.
도5는 상기 스위치 보호캡(33)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위치 보호캡(33)이 상기 제2몸체부(20)와 접촉하는 일 측면에 힌지 결합홀(332)과 공기 출입홀(3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결합홀(332)과 공기 출입홀(333)에 대향되는 타측 개구부 상하 양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 표면으로의 장착시 외력이나 충격에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돌기부(3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 결합홀(332)은 상기 제2몸체부(20)가 상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의 스위치 레버(317)의 단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고, 상기 공기 출입홀(333)은 상기 스위치 보호캡(33)을 상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와 밀착하도록 장착하는 과정에서 공기 부하가 형성되어 장착이 곤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 보호캡(33)의 내부에는 상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안내활강부(도면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절체 스위칭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와 스위치 보호캡(33)이 상기 제1몸체부(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부(10)의 결합핀(13)과 상기 제2몸체부(20)의 결합핀 수용홀(21)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가 밀착되면 상기 제2몸체부(20)는 상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의 스위치 레버(317)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압력은 상기 스위치 버튼(315)으로 전달되어 이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전기적 신호가 상기 세 단자(311a, 311b, 311c)를 통하여 상기 제1몸체부(10)에 결합된 PCB에 전달되어 PCB에 장착된 액티브 프로세서가 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상기 액티브 프로세서가 장애 발생 등의 이유로 더 이상 제어를 담당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상기 제1몸체부(10)의 결합핀(13)과 상기 제2몸체부(20)의 결합핀 수용홀(21)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제2몸체부(20)가 상기 제1몸체부(10)로부터 이탈하도록 하면, 상기 이중화 절체 스위치(31)의 스위치 레버(317)와 스위치 버튼(315)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고 미리 정해진 방식에 의하여 세 단자(311a, 311b, 311c)를 통하여 상기 제1몸체부(10)에 결합된 PCB가 아닌 동일한 서브랙에 설치된 다른 PCB에 장착된 스탠바이 프로세서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제어를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PCB 착탈 장치에 따르면, 이중화 절체용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캡을 PCB 착탈 장치와 일체화시켜 구성함으로써 이중화 절체의 필요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특히, 스위치 보호캡으로 인해 외력이나 충격으로부터 이중화 절체용 스위치의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PCB의 기능 안정화 및 신뢰성을 향상시켜 통신장비 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서브랙에 장착되는 PCB가 고정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일단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몸체부와의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해 상기 서브랙에 고정 또는 분리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한 스위칭 작용으로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보호캡을 포함하는 PCB 착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보호캡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 외부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위치를 감싸 보호하고, 상기 스위치 보호캡의 일측면에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출입홀이 형성되며, 이 공기 출입홀에 대향되는 스위치 보호캡의 타측 개구부에 상기 스위치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PCB 착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30093408A 2003-12-18 2003-12-18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 KR100606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408A KR100606890B1 (ko) 2003-12-18 2003-12-18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408A KR100606890B1 (ko) 2003-12-18 2003-12-18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869A KR20050061869A (ko) 2005-06-23
KR100606890B1 true KR100606890B1 (ko) 2006-08-01

Family

ID=3725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408A KR100606890B1 (ko) 2003-12-18 2003-12-18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728A (ko) 2017-10-19 2019-04-29 오건희 서브랙용 모듈 이젝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882B1 (ko) * 2021-02-17 2021-04-06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회동구조를 갖는 정보통신기기용 셸프의 백피시비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728A (ko) 2017-10-19 2019-04-29 오건희 서브랙용 모듈 이젝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869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5566B1 (en) A circuit breaker
CA1259423A (en) Printed circuit board module
US6266253B1 (en) Rack system for insertion of electrical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using centering and contact elements
KR100606890B1 (ko) 이중화 절체 스위칭이 가능한 피씨비 착탈 장치
US20170293774A1 (en) Detection of the opening of a data-entry device
JP3842505B2 (ja) 電子機器の不正開蓋防止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1993013639A1 (en) Printed circuit board apparatus with optical switching
US6885835B2 (en) Device for cutting off power supply of printer
US20120008281A1 (en) Electronic unit, electronic system, and containing device
CN203150799U (zh) 电子装置及其防尘盖
ES2948403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de entrada
KR100324007B1 (ko) 모듈 디바이스용 상호 접속장치
CN213633923U (zh) 一种高适配性千兆单纤光模块外壳
JP3744259B2 (ja) 回路遮断器
JPS6275991A (ja) カ−トリツジ接続装置
KR200372026Y1 (ko) 콘센트 안전장치
JP2771421B2 (ja) 高電圧の保護回路
JPH022094A (ja) 電子機器
CN205510120U (zh) 卡连接器及其卡托盘
KR200454911Y1 (ko) 단자용 커버
KR0127849Y1 (ko) 광 전송장비의 광 콘넥터 연결장치
KR200288568Y1 (ko) 전화교환기의 알람모듈용 배터리 장착기구
JPH03244196A (ja) 電子回路パッケージ
KR970000256B1 (ko) 기판 분리장치
JP2001067440A (ja) メモリカ−ド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