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065B1 -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065B1
KR100606065B1 KR1020030060931A KR20030060931A KR100606065B1 KR 100606065 B1 KR100606065 B1 KR 100606065B1 KR 1020030060931 A KR1020030060931 A KR 1020030060931A KR 20030060931 A KR20030060931 A KR 20030060931A KR 100606065 B1 KR100606065 B1 KR 100606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val
sleep
subscriber station
time period
paging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479A (ko
Inventor
장선희
박정훈
박윤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065B1/ko
Priority to US10/879,786 priority patent/US7450926B2/en
Priority to EP04748390.4A priority patent/EP1661269B1/en
Priority to CN200480024994A priority patent/CN100576777C/zh
Priority to PCT/KR2004/001656 priority patent/WO2005022781A1/en
Publication of KR2005002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슬립 인터벌과 리스닝 인터벌을 합친 페이징 인터벌의 타입별로 가입자 단말을 그룹핑할 그룹을 소정개 설정하고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에 의거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을 상기 그룹들 중 하나의 그룹에 등록하되, 상기 그룹을 페이징 인터벌이 최소시구간부터 최대시구간까지 2의 지수승으로 증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수증가그룹과, 상기 페이징 인터벌이 기 설정된 임의의 최대시구간만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대시구간그룹으로 설정하고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에 의해 해당 가입자 단말을 상기 지수증가그룹 또는 최대시구간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상기 그룹정보에 의거하여 슬립 모드 상태인 단말들 중 소정 시점에 깨어있는 단말을 기지국이 미리 알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페이징 메시지 전송을 줄이고 이로 인해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무선접속 통신 시스템, 슬립 모드 제어, 슬립 인터벌, 리스닝 인터벌

Description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제안하고 있는 슬립 모드 제어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절차도,
도 2a 내지 도 2d는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를 제어하기 위해 기지국 및 단말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 포맷,
도 3은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제안하고 있는 슬립구간 업데이트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슬립 모드를 제어하기 위해 기지국 및 단말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 포맷,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모드 제어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징 인터벌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슬립 모드 시작 시점에 의한 가입자 단말들의 그룹핑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들의 그룹 등록 및 그룹 이동을 설명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입자 단말들을 그룹핑하기 위한 페이징 인터벌 그룹의 운용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셀룰러(cellular) 망(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망,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 등)에서는 슬립 모드(sleep mode)를 구현하기 위하여 추적 페이징(slotted paging)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종래의 셀룰러 망에서 동작하는 단말들은 액티브 모드(active mode)가 아닐 경우 파워(power)를 적게 소비하는 슬립 모드에 머물러 있다가 이따금 한번씩 깨어나(awake) 자신에게 온 페이징(paging)이 있는지 확인하고, 자신에게 온 페이징이 있는 경우에만 액티브 모드로 상태천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다시 슬립 모드 로 진입하였다.
이 때,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는 자신이 확인해야 할 페이징 슬롯(paging slot)이 정해져 있어, 각 단말은 약속된 페이징 슬롯에만 깨어나 자신의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를 확인하면 되었다. 예컨대, CDMA의 경우 각 단말은 페이징 슬롯이 정해져 있고 GSM의 경우 페이징 그룹(paging group)이 정해져 있어서, CDMA 및 GSM 단말들은 일정 시간마다 한 번씩 깨어나면 되었고 그 시간은 시스템에서 정해주는 고정된 값이어서 시스템에서 구현 및 관리하기가 매우 쉬었다.
그렇지만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인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일명, 4세대(4G: 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이라고도 함)에서는 슬립 모드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이는 IEEE 802.16a 통신 시스템에 가입자 단말기의 이동성을 고려한 시스템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제안하는 슬립 모드의 경우 슬립 인터벌(sleep interval)이 2의 지수승(이하, '2의 지수승'으로 표기)으로(exponentially) 증가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즉,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의 경우 슬립 인터벌이 2의 지수승으로 증가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가입자 단말들 각각의 슬립 모드 시작시점(start time)과 슬립 인터벌(sleep interval), 그리고 깨어나는 시점을 관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슬립 모드의 제어가 어렵다.
도 1은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제안하고 있는 슬립 모드 제어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절차도이다. 통상적으로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는 가입자 단말의 요구 또는 기지국의 제어에 따라 개시되는데, 도 1에는 가입자 단말 의 요구에 의해 슬립 모드의 제어가 개시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립 모드로 진입하고자 하는 가입자 단말(10)은 슬립 요청 메시지(SLP-REQ message)를 기지국(20)에게 보낸다(S31). 이 때 가입자 단말은 자신이 원하는 슬립 인터벌(sleep interval)구간의 최소 크기(minimum size)값(예컨대, 최소시구간(min-window))과 최대 크기(maximum size)값(예컨대, 최대시구간(max-window)), 그리고 해당 단말이 깨어서 자신에게 전송될 페이징 메시지를 확인하는 시구간인 감시구간(listening interval)값을 보낸다. 이 값들의 단위는 프레임(frame) 이다.
그러면, 상기 SLP-REQ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20)은 기 설정된 슬립 제어 정보(예컨대, 허용 가능한 최소시구간, 최대시구간 및 감시구간 등)를 참조하여 슬립 시간 스케줄링을 수행한 후(S32) 가입자 단말(10)에게 슬립 응답 메시지(SLP-RSP message)를 보낸다(S33). 이 때, 가입자 단말(10)이 슬립 모드로 진입할 시간까지 남은 프레임 수(start-time, 이하 '시작시점'이라 함), 기지국에서 승인된 최소시구간(min-window), 최대시구간(max-window) 및 감시 구간(listening interval)값을 보낸다. 이 값들의 단위는 프레임(frame)이다.
한편, 상기 SLP-RSP 메시지를 수신한 가입자 단말(10)은 SLP-RSP 메시지에 포함된 시작시점(start time)에 슬립 모드로 진입한다(S34). 그리고 가입자 단말(10)은 슬립 인터벌(sleep interval)이 지난 후에 깨어나 기지국(20)으로부터 자신이 받아야 할 PDU 데이터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즉, 슬립 인터벌(sleep interval)이 경과하면 가입자 단말(10)은 어웨이크 모드(awake mode)로 진입하여(S35) 감시구간(listening interval)동안 기지국(20)에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트래픽 지시 메시지(TRF-IND 메시지: TRaFfic-INDmessage, 일명 페이징 메시지)를 확인한다(S36). TRF-IND 메시지는 기지국(20)이 가입자 단말(10)에게 브로드캐스팅하는 정보로서 TRF-IND 메시지에는 PDU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단말의 기본(basic) CID들이 포함되어 있다.
가입자 단말(10)은 TRF-IND 메시지 내에 자신의 기본(basic) CID가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깨어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즉, 가입자 단말(10)은 자신이 수신한 TRF-IND 메시지 내에 자신의 BCID가 포함되어 있으면 자신이 받아야 할 PDU가 있음을 인식하고 깨어난다. 즉, 가입자 단말(10)이 수신한 TRF-IND 메시지가 포지티브 트래픽 인디케이션(positive traffic indication)이면(S37) 가입자 단말(10)의 상태를 액티브 모드로 천이한다(S38).
한편, 가입자 단말(10)은 자신이 수신한 TRF-IND 메시지 내에 자신의 BCID가 포함되지 않으면 자신에게 전송될 PDU 데이터가 없다고 판단하고 다시 슬립 모드로 진입한다. 즉, 가입자 단말(10)이 수신한 TRF-IND 메시지가 네가티브 트래픽 인디케이션(negative traffic indication)이면 가입자 단말(10)의 상태를 슬립 모드로 천이한 후(S34) 슬립 인터벌 동안 해당 가입자 단말(10)이 깨어나기를 기다린다.
이 때 가입자 단말(10)은 슬립 인터벌을 이전 슬립 인터벌의 2배로 증가시킨 후(S39) 그 슬립 인터벌 동안 슬립모드(S34)를 유지한다. 가입자 단말(10)은 가입자 단말의 상태가 액티브 모드가 될 때까지 슬립 모드와 어웨이크 모드를 반복 수행하는데 그 반복 주기마다 슬립 인터벌을 이전 슬립 인터벌의 2배로 증가시키되 기지국(20)이 가입자 단말(10)에게 허용한 최대 시구간이 될 때까지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는 슬립 업데이트 알고리즘에 의해 슬립 인터벌을 이전 슬립 인터벌의 2배로 연장하면서 슬립 모드를 구동한다. 따라서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슬립 인터벌(sleep interval)이 2의 지수승으로(exponentially)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지국이 다수의 가입자 단말들 각각의 슬립 구간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한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단말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가입자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정의된 메시지(message)는 세 가지가 있다. 즉, 슬립 요청 메시지(SLP-REQ message: SLeeP REQuest message)와, 슬립 응답 메시지(SLP-RSP message: SLeeP ReSPonse message)와, 트래픽 지시 메시지(TRF-IND message: TRaFfic INDication message)가 그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이와 같이 슬립 모드를 제어하기 위해 기지국 및 단말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 포맷이다. 도 2a는 슬립 요청 메시지(40)의 포맷을 나타내고, 도 2b는 슬립을 거부할 때의 슬립 응답 메시지(50a)의 포맷을 나타내고, 도 2c는 슬립을 승인할 때의 슬립 응답 메시지(50b)의 포맷을 나타내고, 도 2d는 트래픽 지시 메시지(60)의 포맷을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SLP-REQ 메시지(40)는 SLP-REQ 메시지(40)는 관리 메시지 타입(MENAGEMENT MESSAGE TYPE)(8bits)(41), 최소 윈도우(MIN-WINDOW)(6bits) (42), 최대 윈도우(MAX-WINDOW)(10bits)(43) 및 감시구간(LISTENING INTERVAL) (8bits)(44)을 포함한다. SLP-REQ 메시지(40)는 가입자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CID: Connection ID)를 기준으로 전송되는 전용 메시지(dedicated mesasge)로서, 가입자 단말이 슬립(sleep) 하겠다고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이 때, 관리 메시지 타입(MANAGEMENT MESSAGE TYPE)(41)은 현재 전송되는 메시지가 어떤 메시지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관리 메시지 타입이 '45'일 경우(MANAGEMENT MESSAGE TYPE = 45) 해당 메시지가 SLP-REQ 메시지임을 나타낸다. 관리 메시지 타입(41)은 8비트(bits)로 구현된다.
최소 윈도우(MIN-WINDOW)(일명, 최소시구간)(42)는 슬립 인터벌을 위해 요구된 시작 값(requested start value for the SLEEP INTERVAL(measured in frames))을 나타내며, 최대 윈도우(MAX-WINDOW)(일명, 최대시구간)(43)는 슬립 인터벌을 위해 요구된 종료 값(requested stop value for the SLEEP INTERVAL(measured in frames))을 나타낸다. 즉, 슬립 인터벌은 최소 윈도우(42) 값부터 상기 최대 윈도우(43) 값까지 최소 윈도우 값의 2배씩 증가하면서 업데이트 된다.
감시 구간(LISTENING INTERVAL)(44)은 요구된 LISTENING INTERVAL(requested LISTENING INTERVAL(measured in frames))을 나타낸다.
이 때, 최소 윈도우(42), 최대 윈도우(43) 및 감시 구간(44)은 모두 프레임 단위로 설정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슬립 요청을 거부할 때 사용되는 SLP-RSP 메시지(50a)는 관리 메시지 타입(8bits)(51a), 슬립 허락(SLEEP-APPROVED)(1bits) (52a), 예약영역(RESERVED)(7bits)(53a)을 포함한다. 이러한 SLP-RSP 메시지(50a)는 역시 가입자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기준으로 전송되는 전용 메시지로서, 기지국에서 가입자 단말의 슬립 시간을 스케줄링(scheduling)한 후에 가입자 단말의 슬립 타이밍(sleep timing)을 정해주는 메시지이다.
이 때, 관리 메시지 타입(51a)은 현재 전송되는 메시지가 어떤 메시지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관리 메시지 타입이 46일 경우(MANAGEMENT MESSAGE TYPE = 46) 상기 SLP-RSP 메시지임을 나타낸다.
슬립 허락(SLEEP-APPROVED)(52a)은 1비트로 표현되며, 상기 슬립 허락(52a)이 "0"일 경우 슬립 모드로의 천이가 불가능함(SLEEP-MODE REQUEST DENIED)을 나타낸다.
예약영역(RESERVED)(53a)은 예비영역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립 요청에 대하여 기지국이 승인(approve)할 경우 가입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SLP-RSP 메시지(50b)는 관리 메시지 타입(8bits)(51b), 슬립 허락(SLEEP-APPROVED) (1bits) (52b), 시작시점(START-TIME)(7bits)(53b), 최소윈도우(MIN-WINDOW)(54b), 최대윈도우(MAX-WINDOW)(55b) 및 감시구간(LISTENING INTERVAL)(56b)을 포함한다.
이 때, 관리 메시지 타입(51b)은 현재 전송되는 메시지가 어떤 메시지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관리 메시지 타입이 46일 경우(MANAGEMENT MESSAGE TYPE = 46) 상기 슬립 응답 메시지임을 나타낸다.
슬립 허락(SLEEP-APPROVED)(52b)은 1비트로 표현되며, 상기 슬립 허락(52a)이 "1"일 경우 슬립 모드로의 천이가 가능함(SLEEP-MODE REQUEST APPROVED)을 나타낸다.
시작시점(START TIME)(53b)은 가입자 단말기가 제1 SLEEP INTERVAL(the first SLEEP INTERVAL)로 진입하는 시점까지의 프레임들 값으로, 상기 슬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프레임은 포함되지 않는다. 즉, 상기 가입자 단말기는 상기 슬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프레임 이후의 바로 다음 프레임부터 상기 시작시점(START TIME)에 해당하는 프레임들이 경과한 후 슬립 모드로 상태 천이하게 된다.
최소 윈도우(54b)는 슬립 인터벌을 위한 시작 값(start value for the SLEEP INTERVAL(measured in frames))을 나타내며, 최대 윈도우(55b)는 슬립 인터벌을 위한 종료 값(stop value for the SLEEP INTERVAL(measured in frames))을 나타낸다. 상기 감시 구간(56b)은 감시 구간(LISTENING INTERVAL)을 위한 값(value for LISTENING INTERVAL(measured in frames))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TRF-IND 메시지(60)는 관리 메시지 타입(8bits)(61), 포지티브 가입자들의 개수(NUM-POSITIVE)(8bits)(62), 포지티브 가입자들 각각의 연결 식별자들(CID)(16bits)(63, 64)을 포함한다. 이러한 TRF-IND 메시지(60)는 SLP-REQ 메시지 및 SLP-RSP 메시지와는 달리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전송된다.
먼저, 관리 메시지 타입(61)은 현재 전송되는 메시지가 어떤 메시지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관리 메시지 타입(61)이 47일 경우(MANAGEMENT MESSAGE TYPE = 47) 상기 TRF-IND 메시지임을 나타낸다.
포지티브 가입자들의 개수(62)는 패킷 데이터가 전송될 가입자 단말기들의 개수를 나타내고, 포지티브 가입자들 각각의 연결 식별자들(CID)(63, 64)은 상기 포지티브 가입자들의 개수에 해당되는 수의 연결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은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에서 제안하고 있는 슬립구간 업데이트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SS'는 가입자 단말을, 'BS'는 기지국을 나타내고, 'SS' 및 'BS'가 기재된 박스는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3에는 n번째 프레임에서 가입자 단말(SS)이 기지국(BS)에게 슬립 모드를 요청하고(S71) n+1번째 프레임에서 기지국(BS)이 슬립 모드 시작시점을 n+3번째 프레임으로 지정하여 그 슬립 모드 요청에 대하여 응답한 경우(S72) 가입자 단말(SS)이 슬립 인터벌과 감시 구간을 반복하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최초의 슬립 인터벌은 2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지만, 두 번째 슬립 인터벌은 최초 슬립 인터벌의 2배인 4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상적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들이 서로 다른 시점에서 슬립을 요청하고 가입자 단말들의 슬립 인터벌이 2의 지수승으로(exponentially) 증가하므로 가입자 단말들의 슬립 인터벌을 기지국에서 관리하기가 어렵고, 가입자 단말들을 그룹핑하여 관리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슬립 인터벌 설정을 위한 최소시구간 및 최대시구간 정보를 기지국과 가입자 단말이 프레임 단위로 송/수신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량이 많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단말들의 슬립 인터벌을 기지국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가입자 단말들을 그룹핑하여 관리함으로써 페이징 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양을 줄이는 슬립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슬립 인터벌 업데이트 정보인 최소시구간 및 최대시구간의 크기 지정을 위한 데이터 용량을 줄일 수 있는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기지국과 가입자 단말들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인터벌(sleep interval)과 리스닝 인터벌(listening interval)을 포함하는 슬립모드(sleep mode)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립 인터벌과 리스닝 인터벌(listening interval)을 포함하는 페이징 인터벌(paging interval)의 타입별로 가입자 단말을 그룹핑할 그룹들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슬립이 요청되면 상기 슬립 요청정보 및 상기 그룹들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에 상응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을 상기 그룹들 중 하나의 그룹에 등록하는 제2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기지국과 가입자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소정 크기로 고정된 리스닝 인터벌과 슬립 모드의 반복에 의해 가변하는 슬립 인터벌을 포함하는 페이징 인터벌을 최소 시구간으로부터 최대 시구간까지 최소 시구간의 2의 지수배로 증가시킨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기지국과 가입자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리스닝 인터벌과 슬립 인터벌을 포함하는 페이징 인터벌을 슬립 모드의 진입시마다 카운팅하면서 상기 슬립 인터벌을 가변시킨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인터벌(sleep interval)과 리스닝 인터벌(listening interval)을 포함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립 인터벌과 리스닝 인터벌을 포함하는 페이징 인터벌(paging interval)의 타입별로 가입자 단말을 그룹핑할 그룹들을 설정하는 그룹핑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들에 의한 슬립 모드로의 상태 천이를 요청하는 슬립 요청 메시지(SLP-REQ message)를 수신하고 상기 슬립 모드로의 상태 천이 요청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SLP-RSP message)를 대응되는 가입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에서 슬립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슬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슬립 요청 정보 및 상기 그룹들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에 상응하여 대응되는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페이징 인터벌 타입과 동일한 그룹을 선택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을 등록하는 그룹 선택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삭제
삭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은 그룹핑부(210)와, 송/수신부(220)와, 그룹 선택부(230)와, 그룹별 TRF-IND 관리부(240)와, 단말별 슬립구간 관리부(250)를 포함한다.
그룹핑부(210)는 슬립 인터벌과 리스닝 인터벌을 합친 페이징 인터벌(paging interval)의 타입별로 가입자 단말을 그룹핑할 그룹을 소정개 설정한다. 특히, 그룹핑부(210)는 페이징 인터벌이 최소시구간(min-window)부터 최대시구간(max-window)까지 2의 지수승으로 증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수증가그룹(exponentially group)과, 페이징 인터벌이 기 설정된 임의의 최대시구간만 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대시구간그룹(max group)을 설정하여 관리한다.
송/수신부(220)는 가입자 단말들에 의한 슬립 모드로의 상태 천이를 요청하는 슬립 요청 메시지(SLP-REQ message)를 수신하고, SLP-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SLP-RSP message)를 대응되는 가입자 단말에게 송신한다. 특히, 송/수신부(220)는 슬립 요청정보인 최소시구간 및 최대시구간의 크기를 2의 지수값(power)으로 지정하는 SLP-REQ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최소시구간 및 최대시구간의 크기를 2의 지수값(power)으로 지정하는 SLP-RSP 메시지를 대응되는 가입자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 때, 상기 SLP-REQ 메시지 및 SLP-RSP 메시지는 3비트의 최소시구간 지정정보와, 4비트의 최대시구간 지정정보를 포함한다.
그룹 선택부(230)는 송/수신부(220)에서 가입자 단말로부터 SLP-REQ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SLP-REQ 메시지에 포함된 슬립 요청 정보(예컨대, 최소시구간, 최대시구간, 리스닝 인터벌 등) 및 그룹핑부(210)에서 설정된 그룹들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에 의거하여 대응되는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을 결정하고 그 페이징 인터벌 타입과 동일한 그룹을 선택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을 등록한다.
이 때, 그룹 선택부(230)는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이 증가하는 구간동안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과 동일한 간격으로 페이징 인터벌이 증가하는 지수증가그룹(exponentially group)에 상기 가입자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이 최대시구간에 도달하면 그 가입자 단말을 페이징 인터벌이 상기 가입자 단말의 최대시구간과 동일한 최대시구간그룹(max group)으로 변경 등록한다.
한편, 슬립 요청 정보에 의거한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이 상기 그룹핑부(210)에서 설정된 그룹들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그룹 선택부(230)는 상기 슬립 요청 정보에 의거한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과 유사한 페이징 인터벌 타입의 그룹에 상기 가입자 단말을 등록하고, 그 그룹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을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으로 결정하여 해당 가입자 단말에게 전송한다.
그룹별 TRF-IND 관리부(240)는 상기 그룹 선택부(230)의 그룹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각 그룹에 속한 가입자 단말들이 깨어서 TRF-IND 메시지를 확인하는 리스닝 구간을 확인하고, 그 그룹별 리스닝 구간에 그 그룹에 포함되는 가입자 단말의 연결식별자(BCID)를 포함하는 TRF-IND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단말별 페이징 인터벌 관리부(25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말별 페이징 인터벌을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며, 그 페이징 인터벌이 최대시구간에 도달한 가입자 단말 정보를 그룹선택부(230)로 전송하여 그 가입자 단말의 그룹을 변경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이러한 SLP-REQ 메시지 및 SLP-RSP 메시지의 구조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요청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포맷을 나타내고,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응답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포맷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요청 메시지(400)는 관리 메시지 타입(MANAGEMENT MESSAGE TYPE)(8bits)(410), 최소윈도우(MIN-WINDOW) (3bits)(420), 최대윈도우(MAX-WINDOS)(4bits)(430) 및 감시구간(LISTENING INTERVAL)(8bits)(440)을 포함한다. 도 5a에 예시된 각 엘리먼트들의 개념은 종래의 슬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의 개념과 동일하다. 다만, 도 5a에 예시된 슬립 요청 메시지(400)는 최소윈도우(MIN-WINDOW)(일명, 최소시구간) 및 최대윈도우(MAX-WINDOW)(일명, 최대시구간)를 프레임값으로 직접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2의 지수값으로 표현함으로써 최소 윈도우(420)의 크기 지정을 위한 데이터 용량을 이전의 6bits에서 3bits로 3bits 줄였고, 최대윈도우(430)의 크기 지정을 위한 데이터 용량을 이전의 10bits에서 4bits로 6bits 줄였다. 결과적으로 도 5a에 예시된 슬립 요청 메시지(400)의 경우 전체 크기가 이전의 32bits에서 23bits로 9bits 줄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최소시구간 및 최대시구간 크기지정을 위한 데이터 용량을 대폭 줄이고, 이로 인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요청에 대하여 거부(deny)할 경우에 대한 슬립 응답 메시지(500a)는 관리 메시지 타입(8bits)(510a), 슬립 허락(SLEEP-APPROVED)(1bits)(520a), 예약영역(RESERVED)(7bits)(530a)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슬립 요청에 대하여 거부(deny)할 경우의 슬립 응답 메시지(500a)는 종래의 경우와 유사하다. 이는 슬립 요청에 대하여 거부할 경우에 대한 슬립 응답 메시지(500a)는 슬립 인터벌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최소시구간 및 최대시구간 크기 정보를 메시지에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요청에 대하여 승인할 경우에 대한 슬립 응답 메시지(500b)는 관리 메시지 타입(8bits)(510b), 슬립 허락(SLEEP-APPROVED)(1bits)(520b), 시작 시점(START-TIME)(7bits)(530b), 최소윈도우(MIN-WINDOW)(3bits)(540b), 최대윈도우(MAX-WINDOW)(4bits)(550b) 및 감시 구간(LISTENING INTERVAL)(8bits)(560b)을 포함한다. 도 5c에 예시된 각 엘리먼트들의 개념은 종래의 슬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의 개념과 동일하다. 다만, 도 5c에 예시된 슬립 응답 메시지(500b)는 도 5a에 예시된 슬립 요청 메시지(400)의 경우와 유사하게 최소윈도우(MIN-WINDOW)(일명, 최소시구간) 및 최대윈도우(MAX-WINDOW)(일명, 최대시구간)를 프레임값으로 직접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2의 지수값으로 표현함으로써 최소 윈도우(540b)의 크기 지정을 위한 데이터 용량을 이전의 6bits에서 3bits로 3bits 줄였고, 최대윈도우(550b)의 크기 지정을 위한 데이터 용량을 이전의 10bits에서 4bits로 6bits 줄였다. 결과적으로 도 5c에 예시된 슬립 요청 메시지(400)의 경우 전체 크기가 이전의 40bits에서 31bits로 9bits 줄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최소시구간 및 최대시구간 크기지정을 위한 데이터 용량을 대폭 줄이고, 이로 인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모드 제어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모드 제어 방법은 먼저 페이징 인터벌(paging interval)에 의한 그룹핑을 수행한다(S305). 즉, 슬립 인터벌과 리스닝 인터벌(listening interval)을 합친 페이징 인터벌(paging interval)의 타입별로 가입자 단말을 그룹핑할 그룹을 소정개 설정한다. 이 때, 상기 그룹은 페이징 인터벌이 최소시구간(min-window)부터 최대시구간(max-window)까지 2의 지수승으로 증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수증가그룹(exponentially group)과, 상기 페이징 인터벌이 기 설정된 임의의 최대시구간(max-window)만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대시구간그룹(max-group)을 설정한다.
그리고 가입자 단말로부터 슬립이 요청되면(S310) 그 슬립 요청정보 및 상기 그룹들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에 의거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을 상기 그룹들 중 상기 가입자 단말이 포함될 그룹을 선택한다(S315). 그리고 그 선택된 그룹에 해당 가입자 단말을 등록한다(S320). 이 때, 가입자 단말은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과 동일한 간격으로 페이징 인터벌이 증가하는 지수증가그룹(exponentially group)에 등록된다. 만약, 슬립 요청 정보에 의거한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이 상기 과정(S305)에서 설정된 그룹들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슬립 요청 정보에 의거한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과 유사한 페이징 인터벌 타입의 그룹에 상기 가입자 단말을 등록한다.
이와 같이 가입자 단말을 대응되는 지수증가그룹에 등록하였으면, 그 가입자 단말들의 페이징 인터벌을 업데이트하면서 그룹별 TRF-IND 메시지를 관리한다(S325). 그리고 상기 과정(S325) 수행 중 페이징 인터벌이 최대에 도달한 가입자 단말이 존재하면(S330) 상기 페이징 인터벌이 최대에 도달한 가입자 단말의 그룹을 변경한다(S335). 즉, 해당 가입자 단말의 최대시구간과 동일한 페이징 인터벌을 반복하는 최대시구간 그룹(max group)으로 그 가입자 단말의 그룹을 변경한다.
상기 과정들(S325 내지 S335 과정)은 슬립 상태인 단말이 존재하는 동안 반복 수행하며, 슬립 상태인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S340) 상기 과정들(S325 내지 S335 과정)의 반복 수행을 마친다. 그리고 신규로 슬립을 요청한 단말이 있는지를 확인(S345)하여 신규로 슬립을 요청한 단말이 있으면 다시 상기 과정(S315) 이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징 인터벌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입자 단말(SS)의 SLP-REQ 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BS)이 SLP-RSP를 전송한 경우 가입자 단말(SS)은 상기 슬립 요청과정에서 지정된 슬립 모드 시작시점(t0)에 슬립 모드로 들어가고, 상기 슬립 요청과정에서 설정한 최소시구간(△t1) 동안 슬립한 다음 리스닝 인터벌(△ti) 동안 TRF-IND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때, 최소시구간(△t1)이 최초 페이징 인터벌이다. 그리고, 가입자 단말은 상기 리스닝 인터벌(△ti)을 포함하는 페이징 인터벌(△t2) 후에 다시 TRF-IND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 페이징 인터벌은 슬립 모드 시작 시점(t0)부터 카운트되며, 최초의 페이징 인터벌(△t1)을 제외한 모든 페이징 인터벌들(△t2, △t3, …)은 동일한 리스닝 인터벌(△ti)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 페 이징 인터벌들(△t2, △t3, …)은 2의 지수승으로 증가한다. 예를 들어, 페이징 인터벌(△t2)은 페이징 인터벌(△t1)의 21이고, 페이징 인터벌(△t3)은 페이징 인터벌(△t1)의 22 또는 페이징 인터벌(△t2)의 21이다. 이 때, 페이징 인터벌(△t1)의 22 와 페이징 인터벌(△t2)의 21 은 같은 값이다.
도 8은 슬립 모드 시작 시점에 의한 가입자 단말들의 그룹핑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각 가입자 단말들(SS#1 내지 SS#4)이 동일한 페이징 인터벌 타입을 가지지만 그 시작시점이 모두 다른 경우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가입자 단말들은 시작 시점이 모두 다르지만 그 페이징 인터벌 타입이 모두 동일하므로 상기 가입자 단말(SS#1, SS#2, SS#3)의 슬립 시작시점을 가입자 단말(SS#4)에 맞출 경우 기지국에서 TRF-IND 메시지를 한꺼번에 보낼 수가 있으므로 효율적이다. 하지만, 가입자 단말(SS#4) 이후에 슬립을 요청하는 단말들은 그 그룹에 진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시작 시점이 비슷한 단말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운영할 경우, 시간이 지날 수로 계속 새로운 그룹이 생성되어야 하고, 기존의 그룹에 속해 있던 단말들이 모두 액티브(active) 상태로 가기 전까지는 기존의 그룹도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슬립 오퍼레이션(sleep operation)을 하는 단말의 수보다는 적지만, 그래도 엄청 많은 수의 그룹을 유지 관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들의 그룹 등록 및 그룹 이 동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9는 페이징 인터벌이 최소시구간부터 최대시구간까지 2의 지수승으로 증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지수증가그룹(exponentially group)과 페이징 인터벌이 기 설정된 임의의 최대시구간만을 반복하는 최대시구간그룹(max group)을 설정하여 관리하는 경우 가입자 단말의 그룹 등록 및 그룹 이동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9에서 Gexp는 페이징 인터벌이 '2', '4', '8'로 증가하는 지수증가그룹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을 나타내고, Gmax는 페이징 인터벌이 '16'으로 고정된 최대시구간그룹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을 나타낸다.
이 경우 시점(trq1)에 가입자 단말(SS#1)이 슬립을 요청하고, 시점(trsp1)에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가입자 단말(SS#1)은 시점(tst1)부터 시점(tmax1)까지 Gexp에 등록되어 슬립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다가 시점(tmax1)에 Gmax로 그룹 이동되어 슬립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한편, 가입자 단말(SS#2)의 경우 시점(trq2)에 슬립을 요청하고, 시점(trsp2)에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시점(tst2)부터 시점(tmax2)까지 Gexp 에 등록되어 슬립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다가 시점(tmax2)에 Gmax로 그룹 이동되어 슬립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입자 단말들을 그룹핑하기 위한 페이징 인터벌 그룹의 운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하나의 지수증가 그룹(Gexp)과 3개의 최대시구간그룹(Gmax1, Gmax2, Gmax3)을 운용하는 경우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도 11은 4개의 지수증가그룹(Gexp1, Gexp2, Gexp3, Gexp4 )과 3개의 최대시구간그룹(Gmax1, Gmax2, Gmax3)을 운용하는 경우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인터벌 스케줄링 정보인 최소시구간 및 최대시구간의 크기를 2의 지수값으로 지정함으로써 상기 최소시구간 및 최대시구간의 크기 지정을 위한 데이터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가입자 단말들을 그룹핑하여 관리함으로써 페이징 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양을 줄일 수 있고 슬립 모드 제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기지국과 가입자 단말들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인터벌(sleep interval)과 리스닝 인터벌(listening interval)을 포함하는 슬립모드(sleep mode)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립 인터벌과 리스닝 인터벌(listening interval)을 포함하는 페이징 인터벌(paging interval)의 타입별로 가입자 단말을 그룹핑할 그룹들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슬립이 요청되면 상기 슬립 요청정보 및 상기 그룹들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에 상응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을 상기 그룹들 중 하나의 그룹에 등록하는 제2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상기 페이징 인터벌이 최소 시구간부터 최대 시구간까지 2의 지수승으로 증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수증가 그룹과, 상기 페이징 인터벌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최대 시구간만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대 시구간 그룹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이 증가하는 구간동안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과 동일한 간격으로 페이징 인터벌이 증가하는 지수증가 그룹에 상기 가입자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이 최대 시구간에 도달하면, 상기 가입자 단말을 페이징 인터벌이 상기 가입자 단말의 최대 시구간과 동일한 최대 시구간 그룹으로 변경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슬립 요청정보인 최소 시구간 및 최대 시구간의 크기를 2의 지수값(power)으로 지정하는 슬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슬립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이 상기 제1과정에서 설정된 그룹들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슬립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과 유사한 페이징 인터벌 타입의 그룹에 상기 가입자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등록한 그룹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을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으로 결정하여 해당 가입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방법.
  6.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인터벌(sleep interval)과 리스닝 인터벌(listening interval)을 포함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립 인터벌과 리스닝 인터벌을 포함하는 페이징 인터벌(paging interval)의 타입별로 가입자 단말을 그룹핑할 그룹들을 설정하는 그룹핑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들에 의한 슬립 모드로의 상태 천이를 요청하는 슬립 요청 메시지(SLP-REQ message)를 수신하고 상기 슬립 모드로의 상태 천이 요청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SLP-RSP message)를 대응되는 가입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에서 슬립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슬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슬립 요청 정보 및 상기 그룹들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에 상응하여 대응되는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페이징 인터벌 타입과 동일한 그룹을 선택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을 등록하는 그룹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부는, 상기 페이징 인터벌이 최소 시구간부터 최대 시구간까지 2의 지수승으로 증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수증가 그룹과, 상기 페이징 인터벌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최대 시구간만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대 시구간 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슬립 요청정보 인 최소 시구간 및 최대 시구간의 크기를 2의 지수값(power)으로 지정하는 슬립 요청메시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요청 메시지는, 3비트의 최소 시구간 지정 정보와, 4비트의 최대 시구간 지정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슬립 요청 정보인 최소 시구간 및 최대 시구간의 크기를 2의 지수값(power)으로 지정하는 응답 메시지를 대응되는 가입자 단말에게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3비트의 최소 시구간 지정 정보와, 4비트의 최대 시구간 지정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모드 제어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선택부는,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이 증가하는 구간동안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과 동일한 간격으로 페이징 인터벌이 증가하는 지수 증가 그룹에 상기 가입자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이 최대 시구간에 도달하면, 상기 가입자 단말을 페이징 인터벌이 상기 가입자 단말의 최대 시구간과 동일한 최대 시구간그룹으로 변경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선택부는, 상기 슬립 요청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이 상기 그룹핑부에 설정된 그룹들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슬립 요청 정보에 의거한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과 유사한 페이징 인터벌 타입의 그룹에 상기 가입자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등록한 그룹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을 상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 인터벌 타입으로 결정하여 해당 가입자 단말에게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14. 기지국과 가입자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소정 크기로 고정된 리스닝 인터벌과 슬립 모드의 반복에 의해 가변하는 슬립 인터벌을 포함하는 페이징 인터벌을 최소 시구간으로부터 최대 시구간까지 최소 시구간의 2의 지수배로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방법.
  15. 기지국과 가입자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리스닝 인터벌과 슬립 인터벌을 포함하는 페이징 인터벌을 슬립 모드의 진입시마다 카운팅하면서 상기 슬립 인터벌을 가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인터벌이 초기에 미리 설정된 최소 시구간 또는 이전 페이징 인터벌 길이의 'K'배가 되도록 상기 슬립 인터벌을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시킨 페이징 인터벌이 상기 미리 설정된 최대 시구간과 같아질 때까지 상기 슬립 인터벌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K'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닝 인터벌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 제어 방법.
KR1020030060931A 2003-09-01 2003-09-01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6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931A KR100606065B1 (ko) 2003-09-01 2003-09-01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79,786 US7450926B2 (en) 2003-09-01 2004-06-2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04748390.4A EP1661269B1 (en) 2003-09-01 2004-07-0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N200480024994A CN100576777C (zh) 2003-09-01 2004-07-05 在无线接入通信系统中控制休眠模式的设备和方法
PCT/KR2004/001656 WO2005022781A1 (en) 2003-09-01 2004-07-0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931A KR100606065B1 (ko) 2003-09-01 2003-09-01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479A KR20050022479A (ko) 2005-03-08
KR100606065B1 true KR100606065B1 (ko) 2006-07-26

Family

ID=3620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931A KR100606065B1 (ko) 2003-09-01 2003-09-01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50926B2 (ko)
EP (1) EP1661269B1 (ko)
KR (1) KR100606065B1 (ko)
CN (1) CN100576777C (ko)
WO (1) WO20050227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61A2 (ko) * 2009-08-28 2011-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펨토셀 기지국에서 로우-듀티 모드 운용 방법
US9185679B2 (en) 2009-08-28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low-duty mode operation of femtocell base s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0163B2 (en) 2002-08-08 2012-05-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of enhanced coding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US7363039B2 (en) 2002-08-08 2008-04-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creating and utilizing diversity in multipl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6961595B2 (en) 2002-08-08 2005-11-01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nodes in multiple states
WO2004075442A2 (en) 2003-02-19 2004-09-02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of enhanced coding in multi-user communications systems
US8593932B2 (en) 2003-05-16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ignal transmission methods and apparatus using a shared transmission resource
US7769414B2 (en) * 2003-07-18 2010-08-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mode in wireless portable network system
US7925291B2 (en) 2003-08-13 2011-04-12 Qualcomm Incorporated User specific downlink power control channel Q-bit
KR100657507B1 (ko) * 2003-12-16 2006-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전력절약모드 제어 방법 및장치
KR100886285B1 (ko) * 2004-06-10 2009-03-0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페이징
JP4498045B2 (ja) * 2004-07-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42163B1 (ko) * 2004-07-30 2011-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주기 할당방법
KR100885158B1 (ko) * 2004-08-09 2009-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수면모드 단말의 주기적인레인징방법
EP1810536B1 (en) 2004-09-30 2015-05-06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supporting operation of sleep mode in a wideband radio access system
US7898954B2 (en) * 2004-10-20 2011-03-01 Qualcomm Incorporated Power-efficient data recep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variable delay
KR101084129B1 (ko) * 2005-03-24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슬립모드 지원 방법
CN100450287C (zh) * 2005-06-15 2009-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睡眠请求消息或响应消息的处理方法
US7394782B2 (en) * 2005-07-14 2008-07-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duced power time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07024095A2 (en) * 2005-08-26 2007-03-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leep mod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in cellular system
KR20070024302A (ko) * 2005-08-26 2007-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시스템의 수면 모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7693555B2 (en) * 2005-10-21 2010-04-06 Intel Corporation Sleep-mode wireless cell reselec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W200723797A (en) * 2005-12-02 2007-06-16 Benq Corp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web browser using the apparatus
KR100650398B1 (ko) * 2005-12-30 2006-11-30 주식회사 팬택 프리앰블을 측정하여 효과적인 슬립 주기를 결정하는와이브로 단말기 및 방법
MY163396A (en) 2006-03-24 2017-09-15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uplink synchronization and reduc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US7577449B2 (en) * 2006-06-29 2009-08-18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a sleep mode wake-up time
US7924756B2 (en) * 2006-09-25 2011-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sleep-mode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PL2515587T3 (pl) * 2007-01-11 2021-04-19 Qualcomm Incorporated Stosowanie DTX i DRX w systemie łączności bezprzewodowej
KR100925712B1 (ko) * 2007-01-22 2009-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진입을 제어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US7853274B2 (en) * 2007-03-05 2010-12-14 Intel Corporation Wake-on-WLAN for stationary wireless stations
KR101434268B1 (ko) * 2007-03-26 201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불연속 수신 방법 및 장치
US8160618B2 (en) * 2007-05-14 2012-04-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for increasing system capacity and wireless device battery life by selection of delay gap between QPC message and page message
KR101340177B1 (ko) * 2007-10-19 2014-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모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94431B1 (ko) * 2008-02-28 2011-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절약 동작 관리 방법
US8767598B2 (en) * 2008-04-01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energy-saving indicator in frames
US9237523B2 (en) * 2008-07-07 2016-01-12 Mediatek Inc. Method of establishing sleep mode operation for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KR101718496B1 (ko) * 2008-10-30 2017-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반송파 관리 장치 및 방법과 단말의 수면 모드 동작 방법
US9332498B2 (en) 2009-06-24 2016-05-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ergy efficient base station entering sleep mode
US8885530B2 (en) * 2009-12-24 2014-11-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management in an ad hoc network
JPWO2011129086A1 (ja) * 2010-04-14 2013-07-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端末および通信方法
CN101841911A (zh) * 2010-05-18 2010-09-22 华为技术有限公司 寻呼终端的方法及装置
US8934781B2 (en) 2010-08-19 2015-01-13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Optical subscriber network
EP2475127A1 (en) 2011-01-10 2012-07-11 Panasonic Corporatio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for component carriers for which no channel state information was calculated
EP2509345A1 (en) 2011-04-05 2012-10-10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small data transmissions for machine-type-communication (MTC) devices
EP2683183A1 (en) * 2011-04-05 2014-01-08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short message transmission
US9115908B2 (en) 2011-07-27 2015-08-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programmable thermostat
US9157764B2 (en) 2011-07-27 2015-10-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occupancy detection
US9386526B2 (en) 2011-10-31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entering power saving mode in a wireless network
CN103249120B (zh) * 2012-02-03 2017-08-1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无线保真WiFi接入点设备省电的方法及装置
CN103309429A (zh) * 2012-03-12 2013-09-18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US9247526B2 (en) 2012-05-08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aging message enhancement
US9621371B2 (en) 2012-07-24 2017-04-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ireless sensor device with wireless remote programming
US9237524B2 (en) * 2012-08-09 2016-01-12 Computime, Ltd. Sleep mode operation for networked end devices
CN103686615B (zh) 2012-09-21 2017-12-01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集群终端睡眠唤醒的方法
CN103914295B (zh) * 2013-01-09 2017-07-2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唤醒事件管理方法、唤醒事件管理装置
WO2015131368A1 (en) * 2014-03-06 2015-09-1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im multi-standby communications
KR20160121057A (ko) * 2015-04-09 201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5759935B (zh) * 2016-01-29 2019-0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及终端
DE102017204186A1 (de) * 2017-03-14 2018-09-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ffizientes Mehrbenutzer-Adressieren
US20180279357A1 (en) * 2017-03-21 2018-09-2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temporary modification of periodic grants
CN109151960A (zh) * 2017-06-28 2019-01-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站控制方法、装置及设备
JP2019193077A (ja) * 2018-04-24 2019-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4679766B (zh) * 2020-12-24 2023-11-03 中国移动通信集团终端有限公司 降低终端功耗的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9084A1 (en) * 1994-12-16 1996-06-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mobile station with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806B1 (ko) * 1994-10-19 1999-06-15 윤종용 무선호출수신기의전원 절약장치 및 방법
US5924017A (en) * 1996-09-04 1999-07-13 Skytel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ly setting wake-up intervals in paging devices
US6463307B1 (en) * 1998-08-14 2002-10-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a mobile terminal with established connections
US6438375B1 (en) * 1999-03-04 2002-08-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ordinating different types of messages sent to mobile radios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DE19912547A1 (de) * 1999-03-19 2000-09-2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entrale und Endgerät zur Übertragung von Mitteilungen an Endgeräte in einem Telekommunikatiossystem
US6937578B1 (en) * 2000-02-02 2005-08-30 Denso Corporation Fast-sleep configuration for CDMA slotted mode
US6829493B1 (en) * 2000-04-24 2004-12-07 Denso Corporation Adaptive adjustment of sleep duration to increase standby time in wireless mobile stations
US6968219B2 (en) * 2001-08-15 2005-11-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bluetooth and CDMA modes of operation
KR20030062524A (ko) * 2002-01-17 200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롯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 감소방법 및 장치
US6980823B2 (en) * 2002-01-31 2005-12-27 Qualcomm Inc. Intermediate wake mode to track sleep clock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40236829A1 (en) * 2003-05-13 2004-11-25 Yikang Xu Reliable delivery of multi-cast conferencing da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9084A1 (en) * 1994-12-16 1996-06-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mobile station with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802.16e Sleep Mode; IEEE C802.16e-03/15rl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61A2 (ko) * 2009-08-28 2011-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펨토셀 기지국에서 로우-듀티 모드 운용 방법
WO2011025161A3 (ko) * 2009-08-28 2011-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펨토셀 기지국에서 로우-듀티 모드 운용 방법
US9185679B2 (en) 2009-08-28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low-duty mode operation of femtocell base station
KR101623182B1 (ko) 2009-08-28 2016-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펨토셀 기지국에서 로우-듀티 모드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1269B1 (en) 2013-09-11
CN1846373A (zh) 2006-10-11
CN100576777C (zh) 2009-12-30
US20050049012A1 (en) 2005-03-03
EP1661269A1 (en) 2006-05-31
WO2005022781A1 (en) 2005-03-10
EP1661269A4 (en) 2011-03-16
KR20050022479A (ko) 2005-03-08
US7450926B2 (en) 200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065B1 (ko)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4446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방법
EP15113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1773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통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4064386B2 (ja) 無線接続通信システムのスリープモード制御方法
KR102211930B1 (ko)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0418115C (zh) 在信标网络内传送信标的方法和设备
KR1009617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885452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정보 갱신방법
JP2007525927A (ja) 広帯域無線接続通信システムのスリープモードにおける周期的レンジ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60016718A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슬립식별자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79471A (ko)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54920B1 (ko)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레인징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50025039A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678140B1 (ko)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95739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동작 제어 방법
CN111800775B (zh) 一种信标消息的发送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JP200322981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