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450B1 -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450B1
KR100604450B1 KR1020060033533A KR20060033533A KR100604450B1 KR 100604450 B1 KR100604450 B1 KR 100604450B1 KR 1020060033533 A KR1020060033533 A KR 1020060033533A KR 20060033533 A KR20060033533 A KR 20060033533A KR 100604450 B1 KR100604450 B1 KR 100604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water
sludge
convex surface
depos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경
정광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6003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관의 내주면에 퇴적되는 미세한 슬러지가 적절히 배출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거장치는 원통형의 상하수관 내부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재치되도록 하면으로 곡면이 형성되고, 상면에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한 상향볼록면이 형성되며, 후단으로 연장되어 진입받이가 형성되는 라운드진 형상의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으로 결합되어 내측 중앙부위에서 점차 좁아지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향볼록면에 대응되어 하면에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한 하향볼록면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상기 상하수관의 내주면을 따라 굽혀진 다수의 고정턱이 형성되는 판형의 상부부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하수관의 내부로 슬러지가 퇴적되어 적층되는 것이 방지되고 퇴적된 슬러지의 고착으로 인한 상하수관의 수명 단축이 적절히 해소되며 퇴적 슬러지로 인한 유수의 방해와 상하수관의 막힘이 적절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상수관, 하수관, 상하수관, 슬러지, 퇴적

Description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edimentary sludge in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부재
11 : 곡면 12 : 상향볼록면 13 : 진입받이
20 : 상부부재
21 : 유로 22 : 하향볼록면 23 : 고정턱
30 : 여과망
40 : 협로형성구
본 발명은 상하수관의 내주면에 퇴적되는 미세한 슬러지가 적절히 배출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관은 그 내부로 흐르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부식으로 발생되는 녹 등이 미세한 슬러지화되어 그 내부면에 침전되면서 퇴적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상하수관의 내부 하면에 퇴적되는 미세한 슬러지는 장기간동안 퇴적된 상태로 있으면 자연스럽게 고화되어 층을 이루게 되고, 이 슬러지가 퇴적되어 형성된 층에 의해 상하수관을 통해 배수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종국에는 상하수관이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세한 슬러지의 퇴적으로 상하수관이 막히게 되면, 이를 교체해야 하는 등 미세한 슬러지는 부식과 함께 상하수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한 원인이다.
또한, 상하수관의 내부로 고착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상대적으로 그 내경이 작은 상하수관은 슬러지의 제거를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수관의 내주면에 퇴적되는 미세한 슬러지가 적절히 배출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한 슬러지 이외에 다소 덩어리가 큰 슬러지가 유로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로를 수평으로 좁혀 유속이 보다 빨라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원통형의 상하수관 내부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재치되도록 하면으로 곡면이 형성되고, 상면에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한 상향볼록면이 형성되며, 후단으로 연장되어 진입받이가 형성되는 라운드진 형상의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으로 결합되어 내측 중앙부위에서 점차 좁아지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향볼록면에 대응되어 하면에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한 하향볼록면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상기 상하수관의 내주면을 따라 굽혀진 다수의 고정턱이 형성되는 판형의 상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입받이의 외측 둘레와 상기 하부부재의 후단의 사이에 여과망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향볼록면과 하향볼록면에 의해 상하로 좁아진 상기 유로를 수평방향으로 좁아지도록 상기 하향볼록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상향볼록면의 중앙부위에 수평으로 이격된 다수의 협로형성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종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거장치는 상하수관의 내부 하면에 재치되는 하부부재(10)와,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에 유로(21)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부재(20)와, 상기 유로(21)의 유입구측에 설치되는 여과망(30)과, 상기 유로(21)를 다수개로 좁히는 협로형성구(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부재(10)는 원통형의 상하수관 내부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재치되도록 하면으로 곡면(11)이 형성되고, 상면에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한 상향볼록면(12)이 형성되며, 후단으로 연장되어 진입받이(13)가 형성되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20)는 하부부재(10)의 상면으로 결합되어 내측 중앙부위에서 점차 좁아지는 유로(21)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향볼록면(12)에 대응되어 하면에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한 하향볼록면(22)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상기 상하수관의 내주면을 따라 굽혀진 다수의 고정턱(23)이 형성되는 판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로(21)는 하부부재(10)의 상향볼록면(12)과 상부부재(20)의 하향볼록면(22)에 의해 그 사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유입구측에서부터 점차 좁아지다가 중앙부위에서 가장 좁아지고 유출구측에서 다시 점차 넓어져 벤튜리 현상 즉 좁혀진 관에서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유로(21)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면서 유입구측의 미세한 슬러지가 빨려들어 유출구측으로 빠르게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진입받이(13)는 상하수관의 내부 하면에 퇴적되는 슬러지가 유 로(21)로 적절히 진입되도록 그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고정턱(23)은 하부부재(10)를 결합한 상부부재(20)가 상하수관의 내주면에 적절히 고정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본 제거장치가 상하수관에 손쉽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망(30)은 진입받이(13)의 외측 둘레와 하부부재(10)의 후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로(21)로 진입되는 다소 덩어리가 큰 슬러지를 걸러내어 미세한 슬러지만이 상기 유로(21)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다소 덩어리가 큰 슬러지를 상부부재(20)의 상면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협로형성구(40)는 상향볼록면(12)과 하향볼록면(22)에 의해 상하로 좁아진 유로(21)를 수평방향으로 한번 더 좁아지도록 상기 하향볼록면(22)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상향볼록면(12)의 중앙부위에 수평으로 이격되게 다수개로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협로형성구(40)는 유입측과 유출측이 날카롭게 형성되고 중앙부위가 볼록하여 상하로 좁아지게 형성된 유로(21)의 좁아진 부위를 다시 수평으로 다수번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로(21)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이 보다 빨라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제거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점차 좁아지는 유로(21)를 상하수관의 하면에 형성하여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여 이 빨라진 유속에 의해 미세한 슬러지가 적절히 배출되어 그 퇴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수관(2)의 내부 하면에 하부부재(10)와 상부부재(20)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턱(23)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수관(2)의 내부로 물이 유동되면, 이 유동되는 물에 따라 슬러지가 함께 이동되면서 미세한 슬러지가 상기 상하구관의 하면으로 침전되어 퇴적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하부관의 하면에서 진입받이(13)와 이의 주변으로 퇴적된 미세한 슬러지는 여과망(30)을 통과한 후에 유로(21)를 통해 빠른 속도로 유동되는 물에 빨려들어 상기 유로(21)를 통해 이동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유로(21)에 구비된 협로형성구(40)에 의해 상기 유로(21)를 통해 유동되는 물의 유속이 보다 빨라져 진입받이(13)의 주변에 퇴적된 미세한 슬러지까지 상기 유로(21)로 빨려 들어가 유출구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제거장치가 상하수관(2)의 하면에 다수개로 연이어 설치되면 유로(21)를 통한 미세한 슬러지의 유입과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하수관(2)의 하면에 퇴적되는 미세한 슬러지가 완전히 배출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수관의 내주면에 퇴적되는 미세한 슬러지가 적절히 배출되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상하수관의 내부로 슬러지가 퇴적되어 적층되는 것이 방지되고 퇴적된 슬러지의 고착으로 인한 상하수관의 수명 단축이 적절히 해소되며 퇴적 슬러지로 인한 유수의 방해와 상하수관의 막힘이 적절히 방지되 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한 슬러지 이외에 다소 덩어리가 큰 슬러지가 유로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세한 슬러지의 배출이 보다 원활해지고 유로의 막힘이 방지되며 덩어리가 큰 슬러지가 유로의 입구에 걸리는 것이 적절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로를 수평으로 좁혀 유속이 보다 빨라지도록 함으로써, 미세한 슬러지의 배출이 보다 원활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원통형의 상하수관 내부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재치되도록 하면으로 곡면(11)이 형성되고, 상면에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한 상향볼록면(12)이 형성되며, 후단으로 연장되어 진입받이(13)가 형성되는 라운드진 형상의 하부부재(10)와;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으로 결합되어 내측 중앙부위에서 점차 좁아지는 유로(21)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향볼록면(12)에 대응되어 하면에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한 하향볼록면(22)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상기 상하수관의 내주면을 따라 굽혀진 다수의 고정턱(23)이 형성되는 판형의 상부부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받이(13)의 외측 둘레와 상기 하부부재(10)의 후단의 사이에 여과망(3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볼록면(12)과 하향볼록면(22)에 의해 상하로 좁아진 상기 유로(21)를 수평방향으로 좁아지도록 상기 하향볼록면(22)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상향볼록면(12)의 중앙부위에 수평으로 이격된 다수의 협로형성구(4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
KR1020060033533A 2006-04-13 2006-04-13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 KR100604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33A KR100604450B1 (ko) 2006-04-13 2006-04-13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33A KR100604450B1 (ko) 2006-04-13 2006-04-13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4450B1 true KR100604450B1 (ko) 2006-07-28

Family

ID=3718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533A KR100604450B1 (ko) 2006-04-13 2006-04-13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141B1 (ko) 2006-08-30 2008-01-02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토사침전 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3994U (ko) * 1983-01-15 1984-08-25 이광호 하수도관 준설용 수거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3994U (ko) * 1983-01-15 1984-08-25 이광호 하수도관 준설용 수거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141B1 (ko) 2006-08-30 2008-01-02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토사침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160B2 (ja) セパレータータンク
KR101188143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구조
US6951619B2 (en) Apparatus for trapp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matter
US7790023B1 (en) Adjustable floating weir apparatus
KR101436281B1 (ko) 우수 처리 장치
JP2019529100A (ja) バイパス水を逆洗で使用されることから防止するバイパス水制御器を備えるフレーム型ディスクフィルタ
KR101268864B1 (ko) 이물질 배출장치
JP2009507150A5 (ko)
JP2010534288A5 (ko)
JP2011092835A (ja) 散気装置の運転方法
KR100906453B1 (ko)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JP6316156B2 (ja) 沈殿池
JP5871184B2 (ja) 散気装置の運転方法
CN106563298A (zh) 一种污水沉淀池
KR100604450B1 (ko) 상하수관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
KR200424846Y1 (ko)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ES2261599T3 (es) Conector para tuberias de aguas residuales para evitar los malos olores.
JP6967298B2 (ja) 沈砂槽及び洗車機用排水設備
KR101730463B1 (ko) 교량 집수장치
KR102022187B1 (ko) 스트레이너 장치
JP5423059B2 (ja) 浴室排水装置
KR101529143B1 (ko) 협작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JP7317153B1 (ja) 異物除去装置
JP2012228634A (ja) 再生水製造装置
KR100962546B1 (ko)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