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410B1 -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 및 이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 및 이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410B1
KR100604410B1 KR1020050101436A KR20050101436A KR100604410B1 KR 100604410 B1 KR100604410 B1 KR 100604410B1 KR 1020050101436 A KR1020050101436 A KR 1020050101436A KR 20050101436 A KR20050101436 A KR 20050101436A KR 100604410 B1 KR100604410 B1 KR 100604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late
coil
resin
unit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식
Original Assignee
(주)뉴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스틸 filed Critical (주)뉴스틸
Priority to KR102005010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2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 B29C66/0224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with removal of material
    • B29C66/02241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s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4Thermal pre-treatments
    • B29C66/0242Heating, or preheating, e.g.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2Mechanical after-treatments
    • B29C66/0326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2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metals or their alloys
    • B29C66/7428Transition metals or their alloys
    • B29C66/74283Iron or alloys of iron, e.g.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29C66/83413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cooperating rollers, cylinder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철판에 수지를 접착시키고 이를 코일형태로 감아서 완제품으로 제공해주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는 길다란 철판이 감기어 일정한 장력을 가지면서 풀려지는 코일부; 코일부에서 풀려지는 철판을 온풍에 의해 가열시키고 가열된 철판의 상부에 수지를 겹쳐서 접합롤러에 의해 가압시키는 가열부 및 접합부; 수지가 접합된 복합철판을 코일형태로 감아주는 권양부; 코일부의 후위에서부터 권양부의 전위까지는 철판 및 복합철판이 미끄럼이동되도록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부; 및 모든 공정을 자동으로 제어해주는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코일부와 가열부의 사이에는 코일부의 철판을 접합부측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해 서로 상반되게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권양부의 전위에는 권양부에 감기는 복합철판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서로 상반되게 회전하는 한 쌍의 브라들롤러를 구비하여 이동되는 복합철판이 "S"자 형태로 돌아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텐션조절부가 더 포함된다.

Description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 및 이의 제조장치{An iron plate coil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열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가열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접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냉각부의 수냉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텐션조절부의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권양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9는 복합철판을 권양부측으롱 안내해주는 권양안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 110 : 롤몸체
120 : 복합철판 121 : 철판
122 : 수지
200 : 수지가 접착된 철판코일의 제조장치
201 : 코일부 202 : 구동부
203 : 구동롤러 206 : 제 1 절단부
210 : 가열부 211 : 오븐
212 : 분사덕트 213 : 송풍관
214 : 탱크 215 : 히터
216 : 기름 217 : 가열공기
218 : 송풍기 220 : 접합부
221 : 수지코일 222 : 접합롤러
230 : 냉각부 240 : 제 2 절단부
250 : 텐션조절부 260 : 권양안내부
270 : 권양부
본 발명은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판에 수지를 접착시키고 이를 코일형태로 감아서 완제품으로 제공해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판은 다방면에서 많이 사용되는 제품이다. 이러한 철판은 철판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철판의 앞면 또는 뒷면에 수지를 부착하여 이를 절곡 및 절단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철판에 수지를 접착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오븐수단이 필요하고 오븐에 의해서 수지가 접착된 철판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소기업에서는 철판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기는 필요에 의해서 구비하고 있지만 오븐장치는 구비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오븐수단을 구비하는데 들어가는 막대한 시설비용을 감안하여야 하고 이러한 오븐수단을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는 오븐수단을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수동으로 작업해야하기 때문에 그 작업성을 신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판에 수지를 접착시킨 후 이를 코일형태로 감아서 제공해줄 수 있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삭제
삭제
길다란 철판이 감기어 일정한 장력을 가지면서 풀려지는 코일부;
코일부에서 풀려지는 철판을 오븐속으로 통과시키면서 온풍에 의해 가열시키 는 가열부;
가열된 철판의 상부에 수지를 겹쳐서 접합롤러에 의해 가압시키는 접합부;
수지가 접합된 복합철판을 코일형태로 감아주는 권양부;
권양부의 전위에는 권양부에 감기는 복합철판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서로 상반되게 회전하는 한 쌍의 브라들롤러를 구비하여 이동되는 복합철판이 "S"자 형태로 돌아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텐션조절부;
코일부의 후위에서부터 권양부의 전위까지는 철판 및 복합철판이 미끄럼이동되도록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부; 및
모든 공정을 자동으로 제어해주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코일부와 가열부의 사이에는 코일부의 철판을 가열부측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해 서로 상반되게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열부에서 철판에 가열하는 온도는 270±5℃로 하여 배출되는 철판에 수지를 라미네이팅방법으로 접합시킬 수 있고, 또는 가열부에서 철판에 가열하는 온도를 80 ~ 100℃로 하고 배출되는 철판에 수지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을 더 구비하여 수지와 철판을 본딩으로 접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접합부의 후위에는 배출되는 복합철판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파이프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구멍으로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수냉식과, 다시 상, 하의 냉각팬에 의한 공랭식으로 이루어지는 냉각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텐션조절부와 권양부의 사이에는 복합철판이 권양부측으로 올라가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다수의 안내바아가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상된 권양안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 및 이의 제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1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몸체(110)와, 롤몸체(110)의 외측에 감기는 복합철판(1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롤몸체(110)는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이다. 그리고 복합철판(120)은 철판(121)과 수지(122)로 이루어지는데, 철판(121)과 수지(122)의 결합은 라미네이팅 또는 본딩에 의해 접합된다.
하기에는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열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가열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접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냉각부의 수냉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텐션조절부의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권양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9는 복합철판을 권양부측으로 안내해주는 권양안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2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구분하여 원재료인 철판(121)이 코일 형태로 감긴 코일부(201)와, 코일부(201)에서 풀려지는 철판(121)을 이동시키면서 가열하는 가열부(210)와, 가열부(210)에서 배출되는 철판(121)에 수지(122)를 접착시키는 접합부(220)와, 접합부(220)에서 이동되는 복합철판(120)을 코일형태로 감는 권양부(270)와, 모든 시스템을 제어하는 컨트롤부(29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코일부(201)와 가열부(210)의 사이에는 철판(121)을 가열부(210)측으로 이동시켜주는 구동부(202)가 구비되고, 접합부(220)와 권양부(270)의 사이에는 냉각부(230), 텐션조절부(250) 및 권양안내부(260)가 추가로 구비된다. 그리고 구동부(202)에서부터 권양안내부(260)까지에는 철판(121) 및 복합철판(120)이 미끄럼이동되도록 여러 개의 가이드롤러(281)가 구비된 슬라이딩부(280)가 구비된다.
또한, 구동부(202)와 가열부(210)의 사이와 냉각부(230)와 텐션조절부(250)의 사이에는 철판(121) 및 복합철판(120)을 절단시킬 수 있는 제 1 절단부(206) 및 제 2 절단부(240)가 더 구비된다.
코일부(20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재료인 철판(121)이 감겨진 후 천천히 풀려지는 구조를 갖는데, 코일부(201)에도 자체의 동력모터가 구비되어 콘트롤부(290)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속도로 철판(121)을 풀어준다. 이처럼 풀려지는 철판(121)은 구동부(202)로 안내되고 구동부(202)와 슬라이딩부(280)에 의해서 철판(121)이 가열부(210)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에서 코일부(201)에는 풀려지는 철판(121)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처짐센서는 코일부(201)의 하측에 형성되어 구동부(202)측으로 주사되는데, 철판(121)이 일정한 처짐곡선이하로 떨어졌을 때, 코일부(201)에 있는 구동모터를 멈추게하여 철판(121)의 처짐을 완화시키고 철판(121)의 처짐곡선이 올라가면 다시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철판을 풀어주게 된다. 따라서 코일부(201)는 처짐센서에 의해 풀림과 정지가 반복되면서 일정한 처짐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처짐센서는 콘트롤부(290)와 별도로 작동되는 것으로 콘트롤부(290)의 제어보다 우선된다.
구동부(202)는 콘트롤부(290)에 의해 제어되면서 전기적으로 회전되는 모터(204)와, 모터(204)의 회전에 의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203)와, 모터(204)와 구동롤러(203)를 연결시키는 체인(20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코일부(201)에서 풀려진 철판(121)이 한 쌍의 구동롤러(203)의 사이로 진입하여 구동롤러(203)의 회전력에 의해 철판(121)이 이동된다.
제 1 절단부(206)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콘트롤부(29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며, 이동되는 철판(121)을 커팅하기 위한 기구이다.
가열부(210)는 이동되는 철판(121)을 가열하여 수지가 접합될 수 있는 온도로 맞추어주는 곳으로 커다란 오븐(211)속을 철판(121)이 이동되면서 온풍으로 가열된다. 이러한 가열부(21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름(216)이 충진된 별도의 탱크(214)를 구비하고 탱크(214)내에 히터(215)를 설치한다. 히터(215)에 의해서 가열된 기름(216)에 의해 주위의 공기(217)가 뜨거워지면 송풍기(218)에 의해서 뜨거운 공기(217)가 송풍관(213)을 타고 오븐(211)으로 이동되어 분사덕트(212)에 의해 이동되는 철판(121)으로 분사된다. 이러한 가열부(210)의 온도는 두 가지로 설정되는데, 첫 번째, 하기에 설명될 접합부(220)에서 수지(122)가 라미네이팅방법으로 접합될 때에는 270±5℃이고, 본딩방법으로 접합될 때에는 80 ~ 100℃로 가열된다.
접합부(220)는 수지(122)가 감긴 수지코일(221)에서 수지(122)가 풀어지면서 가열부(210)를 통과한 철판(121)의 상부에 맞대어 이를 한 쌍의 접합롤러(222)가 가압하면서 철판(121)과 수지(122)를 접합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접합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첫 번째 라미네이팅에 의한 접합은 가열부(210)에서 270±5℃로 가열된 철판(121)의 상부에 동일한 폭을 갖는 수지(122)가 안착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222)에 의해 가압되어 접합된다. 이때, 접합롤러(222)는 그 하부에 콘트롤부(29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회전된다. 두 번째 본딩에 의한 접합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열부(210)에서 80 ~ 100℃로 가열된 철판(121)의 상부에 수지접착제(224)가 분사되고 수지접착제(224)가 도포된 철판(121)의 상부에 동일한 폭을 갖는 수지(122)가 안착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222)에 의해 가압되어 접합된다. 이때, 수지접착제(224)를 도포하기 위하여 접착제(224)가 충진된 별도의 탱크(도시되지 않음)와, 탱크내의 접착제(224)를 철판(121)위로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223)이 구비된다.
냉각부(230)는 접합부(220)에서 이동되는 복합철판(120)을 수냉과 공냉으로 냉각시킨다. 먼저 일차적으로 다수개의 구멍(232)이 천공된 파이프(231)에 냉각수(234)를 공급하여 파이프(231)위를 지나가는 복합철판(120)의 하부면에 냉각수 (234)를 분사시킨다(도 6 참조). 그리고 이차적으로 상측과 하측에 냉각팬(235)을 구비하여 이동되는 복합철판(120)의 상부 및 하부에 차가운 바람을 송풍해준다.
제 2 절단부(240)는 제 1 절단부(206)와 마찬가지로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콘트롤부(29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고, 냉각을 마친 복합철판(120)을 커팅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제 1 절단부(206) 및 제 2 절단부(240)는 서로 의미가 다른 것으로 제 1 절단부(206)는 수지(122)가 접합되지 않은 철판(121)을 절단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절단부(240)는 수지(122)가 접합된 복합철판(120)을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 2 절단부(240)는 하기에 설명될 권양부(270)에 복합철판(120)이 감기는 것을 고려하여 작동된다.
텐션조절부(25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다란 두개의 브라들롤러(250a, 250b)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하부에 컨트롤부(29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별도의 직류모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직류모터에 의해서 브라들롤러(250a, 250b)가 서로 상반되게 회전된다. 여기에서 두개의 브라들롤러(250a, 250b)는 복합철판(120)이 브라들롤러(250a, 250b)를 통과할 때 "S"자 형상으로 돌아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롤러(250a)와 하부롤러(250b)의 접점은 상부롤러(250a)에 대한 가상의 Y축에 대하여 약 45°정도 이동되어 겹쳐진다. 따라서 복합철판(120)이 상부롤러(250a)의 상부면을 따라 시계방향인 하측으로 돌아서 이동되다가 브라들롤러(250a, 250b)의 사이로 입출되면서 다시 역으로 빠져나가고 다시 하부롤러(250b)를 따라 반시계방향인 하측으로 돌아서 이동되는 것이다. 복합철판(120)을 이렇게 "S"자 형태로 돌려서 배출시키는 이유는 하기에 설명될 권양부 (270)에 복합철판(120)이 감길 때 적당한 장력을 주어 원활히 감기게 하는 목적이 있다.
한편, 텐션조절부(250)의 출구측에는 또 하나의 센서가 구비되는데, 하기에 설명될 권양부(270)에 복합철판(120)이 원활히 감기기 위하여 텐션조절부(250)에서 배출되는 복합철판(120)의 위치에 따라 권양부(270)를 좌, 우로 자동이동시켜주는 EPC센서(251)다(도 8 참조). 이러한 EPC센서(251)는 텐션조절부(250)에서 배출되는 복합철판(120)의 일측 단부를 비추는 것으로 복합철판(120)이 EPC센서(251)의 중심을 벗어나서 이동되면 그 벗어난 거리만큼 권양부(27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주는 것이다.
권양부(27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텐션조절부(250)를 지나온 복합철판(120)을 감는 기구로 몸체(271)와, 몸체(271)의 내부에 안치되어 콘트롤부(29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권양축(27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271)의 하부에는 몸체(271)가 좌, 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레일(273)이 배치되어 있고, 몸체(271)의 하부면상에는 레일(273)을 따라 움직이는 바퀴(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된다. 그리고 몸체(271)의 내부에는 ECP센서(251)에 의해 작동되면서 바퀴를 회전시켜주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된다.
권양안내부(26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권양부(270)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권양부(270)의 권양축(272)이 텐션조절부(250)의 출구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배출되는 복합철판(120)을 상측으로 안내하여 권양축(272)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권양안내부(260)는 권양부(270)에서 연장되는 레일(273)을 따 라 좌, 우 이동되는 하우징(261)과, 하우징(261)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복합철판(120)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다수개의 안내바아(26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하우징(261)은 권양부(270)의 몸체(271)와 마주보게 배치되는데, 권양부(270)의 몸체(271)측에서 하우징(261)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바아(262)가 하우징(261)을 관통하면서 형성되고, 수평바아(262)의 사이에 다수개의 안내바아(263)가 좌, 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각각의 안내바아(263)는 서로 줄(265)로 연결되어 있고, 하우징(261)측 첫 번째 안내바아(261)는 마찬가지로 하우징(261)과 줄(265)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261)의 내부에는 레일(273)을 따라 하우징(261)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된다. 따라서 권양안내부(260)는 평상시에는 권양부(270)에 인접하게 있다가 작업할 때에는 콘트롤부(290)의 제어에 의해 모터가 구동되면서 하우징(261)이 측면으로 빠지는데, 각각의 안내바아(263)가 서로 줄(265)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261)이 측면으로 빠지는 동안 각각의 안내바아(263)들이 복합철판(120)이 지날 수 있도록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200)는 철판(121) 및 복합철판(120)이 이동되고 감길 때에 적당한 장력을 주어 원활한 감김작용을 할 수 있도록 각 구간에서 이동속도를 달리하여 적당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첫 번째 구동구간인 구동부(202)의 구동롤러(203)와, 두 번째 구동구간인 접합부(220)의 접합롤러(222)와, 세 번째 구동구간인 텐션조절부(250)의 브라들롤러(250a, 250b)와, 마지막 구동구간인 권양부(270)의 권양축(272)은 콘트롤부(290)의 제어에 의해 철판(121) 및 복합철판(12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점차 빠른 속도로 구동시켜 준다. 즉, 각부의 구동속도는 구동부 < 접합롤러 < 텐션조절부 < 권양부의 순서로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현장에서 성형기에 의해 성형될 철판에 방음이나 단열 등의 목적을 위해 수지를 접착한 후 성형가공해야 하는 공정을 생략해 주기 위하여 미리 철판에 수지를 접착하여 코일형태로 제공해 주어 제조업체의 설비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전문화된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의해서 양질의 복합철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삭제
  2. 길다란 철판(121)이 감기어 일정한 장력을 가지면서 풀려지는 코일부(201);
    상기 코일부(201)에서 풀려지는 상기 철판(121)을 오븐(211)속으로 통과시키면서 온풍에 의해 가열시키는 가열부(210);
    상기 가열된 철판(121)의 상부에 수지(122)를 겹쳐서 접합롤러(222)에 의해 가압시키는 접합부(220);
    상기 수지(122)가 접합된 복합철판(120)을 코일형태로 감아주는 권양부(270);
    상기 권양부(270)의 전위에는 상기 권양부(270)에 감기는 상기 복합철판(120)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서로 상반되게 회전하는 한 쌍의 브라들롤러(250a, 250b)를 구비하여 이동되는 상기 복합철판(120)이 "S"자 형태로 돌아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텐션조절부(250);
    상기 코일부(201)의 후위에서부터 상기 권양부(270)의 전위까지는 상기 철판(121) 및 상기 복합철판(120)이 미끄럼이동되도록 다수의 가이드롤러(281)가 구비된 슬라이딩부(280); 및
    모든 공정을 자동으로 제어해주는 컨트롤부(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201)와 상기 가열부(210)의 사이에는 상기 코일부(201)의 철판(121)을 상기 가열부(210)측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해 서로 상반되게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203)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202)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2)와 상기 가열부(210)의 사이에는 상기 철판(121)을 절단하기 위한 제 1 절단부(20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201)에는 상기 철판(121)이 일정한 장력을 가지면서 풀려지게 하기 위해 상기 철판(121)의 처짐을 인지하는 처짐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처짐센서에 의해 상기 코일부(201)가 선택적으로 풀림 및 정지작동을 반복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10)는 별도의 탱크(214)내에 히터(215)를 내장함과 동시에 기름(216)을 충진하여 상기 기름(216)을 가열하고, 상기 기름(216)에 의해 주위의 공기(217)가 데워지면 상기 공기(217)를 송풍기(218)에 의해 송풍관(213)을 타고 이송시켜 상기 오븐(211)에 형성된 분사덕트(212)로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10)에서 상기 철판(121)에 가열하는 온도는 270±5℃로 하여 배출되는 상기 철판(121)에 상기 수지(122)를 라미네이팅방법으로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10)에서 상기 철판(121)에 가열하는 온도는 80 ~ 100℃로 하고 배출되는 철판(121)에 수지접착제(224)를 도포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223)을 더 구비하여 상기 수지(122)와 상기 철판(121)을 본딩으로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220)의 후위에는 배출되는 상기 복합철판(120)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파이프(231)에 다수의 구멍(232)을 천공하여 상기 구멍(232)으로 냉각수(234)를 분사시키는 수냉식과, 다시 상, 하의 냉각팬(235)에 의한 공랭식으로 이루어지는 냉각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230)의 후위에는 상기 복합철판(120)을 절단해 주는 제 2 절단부(2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 일의 제조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양부(270)는 레일(273)이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좌, 우 이동되며, 상기 텐션조절부(250)의 출구측에는 상기 권양부(270)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복합철판(120)이 일정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원활한 권양작업을 유도하도록 상기 권양부(270)를 움직여주는 EPC센서(25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부(250)와 상기 권양부(270)의 사이에는 상기 복합철판(120)이 상기 권양부(270)측으로 올라가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다수의 안내바아(263)가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권양안내부(2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양안내부(260)는 바닥에 레일(273)이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좌, 우 이동되는 하우징(261)과, 상기 권양부(270)에서 돌출된 한 쌍의 수평바아(262)가 상기 하우징(261)을 관통하면서 연장되고, 상기 수평바아(262)에는 다수의 안내바아(26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안내바아(263)들은 서로 줄(265)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261)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안내바아(263)들이 펼쳐지기도 하고 오므라들기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의 제조장치.
KR1020050101436A 2005-10-26 2005-10-26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 및 이의 제조장치 KR100604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436A KR100604410B1 (ko) 2005-10-26 2005-10-26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 및 이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436A KR100604410B1 (ko) 2005-10-26 2005-10-26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 및 이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4410B1 true KR100604410B1 (ko) 2006-07-25

Family

ID=3718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436A KR100604410B1 (ko) 2005-10-26 2005-10-26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 및 이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4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47B1 (ko) 2007-06-27 2009-01-07 주식회사 한웅 수축비닐 포장팩 제조장치의 냉각구조
KR100915548B1 (ko) * 2008-10-29 2009-09-07 (주)뉴스틸 부직포나 벽지나 수지 또는 각종 코팅지와 같은 기능성 소재가 부착된 스틸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11559074A (zh) * 2020-06-11 2020-08-21 台州椒江云瑞机械设备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调节功能的金属板覆膜装置
KR102618999B1 (ko) * 2023-09-14 2023-12-28 (주)은혜철강 강판지붕 제조용 단열재 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47B1 (ko) 2007-06-27 2009-01-07 주식회사 한웅 수축비닐 포장팩 제조장치의 냉각구조
KR100915548B1 (ko) * 2008-10-29 2009-09-07 (주)뉴스틸 부직포나 벽지나 수지 또는 각종 코팅지와 같은 기능성 소재가 부착된 스틸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11559074A (zh) * 2020-06-11 2020-08-21 台州椒江云瑞机械设备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调节功能的金属板覆膜装置
KR102618999B1 (ko) * 2023-09-14 2023-12-28 (주)은혜철강 강판지붕 제조용 단열재 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410B1 (ko) 수지가 접착된 철판 코일 및 이의 제조장치
JP3628965B2 (ja) ロール形成機械
TWI623415B (zh) 製造用於生產一轉子葉片之預形物的方法及裝置
US5700495A (en) Continuous 3-D forming machine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products from thermoplastic materials
KR19980032869A (ko) 차체에 접착성 보호필름을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
EP18206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carbon fiber using infrared radiation in a fiber placement machine
CN105178537A (zh) 装饰保温板全自动连续生产设备
CN1906116B (zh) 乘客运送装置的移动扶手修理装置和移动扶手修理方法
US6470544B1 (en) Hot Peeling device for a blade leading edge cap
KR102260842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부착 자동화 장치
JP4647423B2 (ja) 乗客コンベア用移動手摺の加熱加圧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CN204899098U (zh) 装饰保温板全自动连续生产设备
KR20130106573A (ko) 열풍노즐 회전작동구조를 갖는 합성수지용 열풍용착기
CN107234035A (zh) 一种多功能钢板表面自动化喷胶机
JP2007331110A (ja) 長繊維強化樹脂ストランドの製造装置
CN2933862Y (zh) 复合装置移动型双幅壁纸拼缝复合机
KR20110002623A (ko) 라미네이트 장치
KR101123682B1 (ko) 새시용 래핑장치
CN207273861U (zh) 纤维管道缠绕成型装置
KR20130032975A (ko) 단열파이프 제조용 롤링장치
CN114228134A (zh) 一种3d打印机
CN107487653A (zh) 劳保服生产用布匹间歇传送装置
KR101015578B1 (ko) 패널제조장치
KR20180017545A (ko) 계단 논슬립 표면의 마감재 코팅장치
CN107471620A (zh) 纤维管道缠绕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