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910B1 -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910B1
KR100603910B1 KR20040113489A KR20040113489A KR100603910B1 KR 100603910 B1 KR100603910 B1 KR 100603910B1 KR 20040113489 A KR20040113489 A KR 20040113489A KR 20040113489 A KR20040113489 A KR 20040113489A KR 100603910 B1 KR100603910 B1 KR 100603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rail
return
moving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11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4678A (ko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세창인터내쇼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창인터내쇼날(주) filed Critical 세창인터내쇼날(주)
Priority to KR2004011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91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컨베이어 시스템의 내구성, 경제성 및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체인이동레일과 플랜지, 팰릿이탈방지 가이드를 가지는 체인 이동부, 체인복귀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체인 복귀부, 그리고 체인 이동부 하부 및 체인 복귀부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일장치를 사용하면, 종래의 체인과 레일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발생, 장치의 파손 문제 등의 문제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다 빠른 속도로 컨베이어 시스템의 운전이 가능해져 단위시간당 제품 생산량 증대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는 국내생산이 가능하여 저렴한 가격에 안정적인 생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생산원가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Rail Apparatus of Conveyor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에 사용되는 체인이동레일 캡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에 사용되는 체인복귀레일 캡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에 롤러체인이 체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체인 이동부
110 : 제1 하부
115 : 체인이동레일 117 : 체인이동레일 캡
118 : 체인이동통로 120 : 제1 측벽
130 : 플랜지 140 :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
145 :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 캡 200 : 체인 복귀부
210 : 제2 하부 211 : 제2 그루브
212 : 제2 돌출부 215 : 체인복귀레일
217 : 체인복귀레일 캡 218 : 체인복귀통로
219 : 체인복귀가이드 220 : 제2 측벽
230 : 체인 복귀부 상부 300 : 연결부
310 : 연결부재 315 : 제1 그루브
320 : 제1 돌출부 330 : 에어라인
400 : 롤러체인
본 발명은 컨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에 사용되는 레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탁월한 내구성, 정숙성 및 경제성을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파일의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제품의 생산라인이나 제조라인에서 원자재, 기계부품, 화물 등을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하면 생산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은 구조나 구동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으며, 그 예로서 벨트컨베이어(belt conveyor), 체인컨베이어(chain conveyor), 롤러컨베이어(roller conveyor), 트롤리컨베이어(trolley conveyor)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자동차, 전자, 전기 제품의 부품생산라인, 조립라인, 검사라인 등에는 레일장치와 레일장치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며 부품 등을 이송해주는 롤러체인으로 이루어진, 내구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롤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롤러체인을 사용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은 롤러체인과 이를 수용하는 레일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종류의 롤러체인 및 레일장치를 사용하는 지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롤러체인이 레일장치를 따라 이송하고 레일장치의 끝에서는 다시 레일장치로 복귀하여 연속적으로 부품 등을 이송하는 작동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제성, 내구성, 정숙성 등의 요건을 만족하는 롤러체인을 사용할 수 있는 레일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의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레일장치는 도 1에 나타난 프로파일 단면을 가지고 롤러체인이 이동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레일장치는 롤러체인 이동부(10), 롤러체인 복귀부(20), 연결부(30)를 포함한다.
롤러체인 이동부(10)는 상부가 개방된 홈통 형태를 하고 있으며 이 홈통을 통하여 롤러체인이 장착된다. 롤러체인 이동부(10)에 장착된 롤러체인이 이동하면서 부품 등을 실어 나른다. 롤러체인 복귀부(20)는 관 내지 파이프 형태이다. 부품 등을 이송하던 롤러체인이 롤러체인 이동부(10)의 단부에서 다시 역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롤러체인 복귀부(20)로 복귀한다. 또한, 연결부(30)는 롤러체인 이동부(10)와 롤러체인 복귀부(20)를 연결하여 일체로 만들어 주며 동시에 그루브(groove) 등이 형성되어 있어 다른 장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특정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레일장치는 체인과 합성수지가 조합된 특정한 구조의 체인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이러한 체인과 합성수지가 조합된 특정한 구조의 체인이나 이에 적합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레일장치는 주로 독일이나 일본 등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실수나, 설계 실수로 인한 절단가공에 있어 문제가 발생한 경우 확보된 물품이 없으면 소재를 추가로 수입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소재를 확보할 때까지 장기간이 소요되고 납기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레일장치는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국내 생산품보다 가격이 고가이다. 따라서 작업자의 실수나, 설계 실수로 인한 절단가공에 있어 문제가 발생하여 추가로 레일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 경제적 부담이 크게 증가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원가상승요인으로 작용하여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완성품의 가격경쟁력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기존의 레일장치에 사용되는 체인 역시 주로 수입에 의존하는데, 체인을 합성수지가 덮고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열악하고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합성수지와 체인의 마찰 등이 심하기 때문에 고속으로 컨베이어 시스템을 작동시키기에는 부적당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 시스템의 내구성, 경제성 및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인이동레일을 가지는 제1 하부, 상기 제1 하부에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벽,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하부와 대향하는 한 쌍의 플랜지, 그리고 상기 플랜지 상에 형성된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를 포함하고, 외주면의 일부가 개방된 롤러체인이 이동하기 위한 관 형상을 가지는 체인 이동부; 체인복귀레일을 가지는 제2 하부, 상기 제2 하부에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하부와 대향하는 체인복귀레일 상부를 포함하고 롤러체인이 이동하기 위한 관 형상의 체인 복귀부; 및 상기 체인 이동부 하부 및 체인 복귀부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일장치를 사용하면, 종래의 체인과 레일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문제가 되는 소음발생, 장치의 파손 문제 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다 빠른 속도로 컨베이어 시스템의 운전이 가능해져 단위시간당 제품 생산량 증대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는 국내생산이 가능하여 저렴한 가격에 안정적인 생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생산원가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도면에서 원칙적으로 각 도면에 사용된 같은 도면부호는 같은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장치는 체인 이동부(100), 체인 복귀부(200)와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체인 이동부(100)는 제1 하부(110), 한 쌍의 제1 측벽(120), 그리고 한 쌍의 플랜지(130)가 일체화되어 연장된 홈통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30) 상에는 팰릿(pallet) 이탈 방지가이드(140)가 형성된다.
상기 체인 복귀부(200)는 제2 하부(210), 한 쌍의 제2 측벽(220), 그리고 체인복귀레일 상부(230)를 포함하는 관 내지 파이프 형상이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체인 이동부(100)의 제1 하부(110)와 체인 복귀레일 상부(230)를 연결하여 일체화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장치는 체인 이동부(100)를 가진다.
체인 이동부(100)의 제1 하부(110)에는 체인이동레일(115)이 형성되어 있다. 체인 이동레일(115)은 제1 하부(110) 상에 한 쌍이 형성되며,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T 자 형상을 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후술하는 도 5에서는 상기 체인 이동레일(115)의 형상과 뒤에 설명하는 체인복귀레일(215)의 형상이 상이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체인 이동레일(115)과 체인복귀레일(215)과 모두 기본적으로 롤러체인이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선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같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체인 이동레일(115)에 의하여 롤러체인이 이동하는 체인 이동통로(118)가 제1 하부(110)에 정의되며, 체인구동 롤러의 선로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일장치에는 기존의 도 1에 도시된 레일장치와 달리 체인이동레일(11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이고 고속으로 롤러체인의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하부(110)의 양측에는 제1 하부에서 연장된 한 쌍의 제1 측벽(120)이 존재한다. 상기 제1 측벽(120)은 제1하부(110) 및 플랜지(130)와 함께 롤러체인이 이동할 수 있는 홈통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 하부(110)와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플랜지(130)가 상기 제1 측벽에서 연장되어 위치한다. 상기 플랜지(13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장치의 경량화 및 비용 측면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120)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장치의 체인 이동부(100)는 상기 플랜지(130)상에 형성된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140)를 포함한다. 상기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140)는 한 쌍의 플랜지(130) 중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롤러체인 상에 위치하여 부품 등을 운반하는 판 모양의 팰릿(도시되지 않음)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체인 이동부(100)는 전체적으로 제1 하부(110), 제1 측벽(120), 플랜지(130)를 포함하는 홈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체인 이동부(100)를 따라 롤러체인이 이동하며, 부품 등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장치는 체인 복귀부(200)를 가진다.
체인 복귀부(200)의 제2 하부(210)에는 체인복귀레일(215)이 형성되어 있다. 체인복귀레일(215)은 제2 하부(210) 상에 한 쌍이 형성되며,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T 자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체인복귀레일(215)에 의하여 상기 체인 이동부(100)에서 복귀한 롤러체인이 이동하는 체인복귀통로(218)가 제2 하부(110)에 정의되며, 체인구동 롤러의 선로역할을 한다. 상기 한 쌍의 체인복귀레일(215) 사이의 상기 체인복귀통로(218) 상에는 한 쌍의 체인복귀가이드(219)가 형성되어 이동하는 롤러체인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를 잡아준다. 상기 제2 하부(210)에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레일장치를 다른 주변기기에 부착하기 위한 제1 그루브(groove; 2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견고한 부착을 위하여 그루브의 형태는 응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루브(211)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하부(210)의 양측에는 제2 하부에서 연장된 한 쌍의 제2 측벽(220)이 존재한다. 상기 제2 측벽(220)은 제2 하부(210) 및 체인복귀레일상부(230))와 함께 롤러체인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2 하부(210)와 대향하는 위치에 체인복귀레일상부(230)가 상기 제2 측벽(220)에서 연장되어 위치한다.
체인 복귀부(200)는 전체적으로 제2 하부(210), 제2 측벽(220), 체인복귀레일상부(230)가 일체로 하여 이루어진 관 내지 파이프 형상을 하고 있으며, 롤러체인이 상기 체인이동레일(115) 사이에 형성된 체인이동통로(118)를 따라 이동한 후 연속적으로 상기 체인복귀레일(215)사이에 형성된 체인복귀통로(218)로 복귀하여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장치는 연결부(300)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300)의 연결부재(310)는 상기 체인 이동부(100)의 제1 하부(110) 및 체인 복귀부(200)의 체인복귀레일 상부(230)를 연결하여 상기 체인 이동부(100)와 체인 복귀부(200)를 일체화한다.
상기 연결부(300)는 그 밖에 상기 연결부재(31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주변기기 작동용 보조 에어라인(330) 및 상기 연결부재(310)의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그루브(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라인(330)은 동력원이 되는 공기(air)의 이동통로 역할을 한다. 공기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호스나 배관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 등 레일장치를 구성하는 소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그루브(315)는 전술한 제1 그루브와 유사하게 컨베이어 시스템의 레일장치를 다른 주변기기에 부착하기 위한 부분이며, 안정적이고 견고한 부착을 위하여 그루브의 형태는 응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측벽(120) 및 상기 제2 측벽(220)에서 각각 상기 연결부(300)의 제2 그루브(315)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돌출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 장치는 주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상기 레일장치는 사용하면,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구나 국내에서 널리 제조시판되는 롤러체인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 및 완성품의 제조시간 단축에도 월등히 유리하다. 더구나 복수의 롤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롤러체인을 사용하는 경우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동속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에 사용되는 체인이동레일 캡(117)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체인복귀레일 캡(217)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앞서 상술한 레일장치에는 레일장치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조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인이동레일(115)에 결착되는 체인이동레일 캡(117), 상기 체인복귀레일(215)에 결착되는 체인복귀레일 캡(217), 및 상기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140)에 결착되는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 캡(145)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4a에는 체인이동레일(115)에 결착되는 체인이동레일 캡(117)이 도시되어 있는데, 롤러체인과 접하는 체인이동레일(115)에 견고하게 결착되어 체인이동레일(115)을 보호할 수 있는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140)에도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 캡(145)이 결착될 수 있다. 상기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 캡(145)의 형상은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140)의 형상이 상기 체인이동레일(115)과 동일하다면, 상기 체인이동레일 캡(117)과 동일한 형상의 것, 즉 도4a에 도시된 캡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 캡(145)의 형상은 팰릿이탈방지가이드(140)의 형상이 상기 체인이동레일(115)과 상이하다면,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 캡(145)의 형상은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140)의 형상에 맞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는 체인복귀레일(215)에 결착되는 체인복귀레일 캡(217)이 도시되어 있는데, 롤러체인과 접하는 체인복귀레일(215)에 견고하게 결착되어 체인복귀 레일(115)을 보호하고 금속간의 마찰에 의한 소음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형상이다.
상기 체인이동레일 캡(117), 체인복귀레일 캡(217),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 캡(145)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데, 예를 들면 나일론-66등을 주원료로 하여 내구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제조한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에 롤러체인이 체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롤러체인(400)이 상기 체인이동레일(115) 사이에 형성된 체인이동통로(118)를 따라 이동한 후 연속적으로 상기 체인복귀레일(215)사이에 형성된 체인복귀통로(218)로 복귀하여 이동하게 된다. 다만, 도 5에서는 롤러체인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장치의 체결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체인 이동부(100)를 이동하는 롤러체인과 체인 복귀부(200)에 결합된 롤러체인을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체인 이동부(100)를 이동한 후, 롤러체인은 체인 복귀부(200)로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일장치를 사용하면, 종래의 체인과 레일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문제가 되는 소음발생, 장치의 파손 문제 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다 빠른 속도로 컨베이어 시스템의 운전이 가능해져 단위시간당 제품 생산량 증대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는 국내생산이 가능하여 저렴한 가격에 안정적인 생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생산원가도 대폭 절감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장치는 자동차, 전자전기의 부품생산라인, 조립라인, 검사라인 등에 널리 사용되어 제품을 경제적으로 생산제조할 수 있는 우수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위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체인이동레일을 가지는 제1 하부, 상기 제1 하부에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벽,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하부와 대향하는 한 쌍의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 상에 형성된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를 포함하고, 외주면의 일부가 개방된 롤러체인이 이동하기 위한 홈통 형상의 체인 이동부;
    체인복귀레일을 가지는 제2 하부, 상기 제2 하부에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하부와 대향하는 체인복귀레일 상부를 포함하고 롤러체인이 이동하기 위한 관 형상의 체인 복귀부; 및
    상기 체인 이동부의 제1 하부 및 체인 복귀부의 체인복귀레일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가 상기 한 쌍의 체인 복귀레일 사이의 상기 체인복귀 통로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체인복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가 상기 제1 그루브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체인 이동부의 제1 하부 및 체인 복귀부의 체인복귀레일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체인 이동부 및 상기 체인 복귀부를 일체화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에어라인, 및
    상기 연결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제2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서 각각 상기 제2 그루브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 장치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체인이 상기 체인이동레일 사이에 형성된 체인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한 후 연속적으로 상기 체인복귀레일사이에 형성된 체인복귀통로로 복귀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이동레일을 덮는 체인이동레일 캡, 상기 체인 복귀레일을 덮는 체인복귀레일 캡, 및 상기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를 덮는 팰릿 이탈방지 가이드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 장치.
KR20040113489A 2004-12-28 2004-12-28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 KR100603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13489A KR100603910B1 (ko) 2004-12-28 2004-12-28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13489A KR100603910B1 (ko) 2004-12-28 2004-12-28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005U Division KR200379756Y1 (ko) 2004-12-28 2004-12-28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678A KR20060074678A (ko) 2006-07-03
KR100603910B1 true KR100603910B1 (ko) 2006-07-31

Family

ID=3716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113489A KR100603910B1 (ko) 2004-12-28 2004-12-28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345Y1 (ko) * 2008-12-19 2011-08-31 주식회사 에이원마이크로 컨베이어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2039A (zh) * 2015-02-12 2015-06-10 佛山市新鹏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化链条输送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4322U (ko) * 1988-05-31 1989-12-12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4322U (ko) * 1988-05-31 1989-12-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345Y1 (ko) * 2008-12-19 2011-08-31 주식회사 에이원마이크로 컨베이어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678A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555B2 (en) Extendable conveyor
EP1834906B1 (en) Conveying apparatus
US5137144A (en) Conveyor system
JP2007537113A (ja) コンベアマット用モジュールと組み立てコンベアマット
EP2914534A2 (en) Offset pallet guidance for passenger conveyor
ATE465106T1 (de) Verbindungsbandförderer
JP2006298648A (ja) コンベアー装置
EP2828181B1 (en) Conveyor chain link, conveyor chain, drive wheel for a conveyor chain and a system comprising such a drive wheel
KR100603910B1 (ko)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
WO2003055774A8 (en) Integrated conveyor system for moving loads, in particular vehicles, along a production line
KR200379756Y1 (ko) 컨베이어 시스템용 레일장치
CN208716074U (zh) 吊挂出库变轨机构
US6102194A (en) Pallet type transfer device
US20130125777A1 (en) Truck-type conveyance system
KR101477756B1 (ko)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가이드 프레임
US20110226591A1 (en) Vertical pipe conveyor
CN101190745A (zh) 重型积放输送设备
JP2003104530A (ja) 物品、特に印刷物を搬送する搬送装置
JP2007246200A (ja) 転換設備
JP2005001878A (ja) 搬送システム
JP4274141B2 (ja) 転換設備
CN2795121Y (zh) 自行小车下坡机构
FI72697B (fi) Anordning vid transportbanor.
CN103738658B (zh) 固定输送滚床
JP3905532B2 (ja) 自動車ボディ搬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17

Effective date: 20080509

EXTG Extinguishme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