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149B1 -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149B1
KR100603149B1 KR1020050024033A KR20050024033A KR100603149B1 KR 100603149 B1 KR100603149 B1 KR 100603149B1 KR 1020050024033 A KR1020050024033 A KR 1020050024033A KR 20050024033 A KR20050024033 A KR 20050024033A KR 100603149 B1 KR100603149 B1 KR 100603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lower body
frame
fixed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619A (ko
Inventor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최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석 filed Critical 최윤석
Priority to PCT/KR2006/00059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101311A1/en
Publication of KR20060044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58Step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9Rotational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하체 다리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시, 어깨받이를 중심으로 상하운동이 안출하는 3차원 궤적에 의해 발판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내 또는 회외운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하체의 주요근육인 대퇴사두근군, 둔근군 및 슬곡근군에 고르게 자극을 가할 수 있어 운동능률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수직프레임을 수직 교차되게 입설하여 수직 교차된 부위에 제2고정축을 형성하여 안내레버가 축고정되게 형성하되, 상기 안내레버의 일측과 연결된 안내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된 제1고정축에 축고정되어 어깨받이에 의한 상·하 운동시, 상·하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안내레버의 타측과 두 개의 링크와 연결되어 안내레버의 회전운동을 전·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발판이 회내 또는 회외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발판동작수단;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하 운동시 일정한 저항을 제공하는 저항제공수단;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연결되게 "ㄱ"자형의 보조프레임을 형성하되, 수직 교차되는 부위에 형성된 제3고정축에 걸림대가 축고정되게 형성하여 지지프레임이 지지되게 구성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하체, 무산소, 3차원, 회내운동, 회외운동, 발판, 링크

Description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3 Dimensional sporting equipment for anaerobic exercise}
도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례의 작동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례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수평프레임 2. 수직프레임
2a. 연결 프레임 2b. 지지대
2c. 고정대 2d. 저항수단 고정대
10. 안내 레버 11. 제2고정축
20. 지지프레임 21. 제1고정축
22ab. 보조대AB 23. 저항제공대
24. 안내링크 고정대 25. 보조 지지프레임
25a. 연결대 26. 완충부재
30. 어깨받이 31. 길이조절부
31a. 조임부재 32. 어깨 받침부
33. 손잡이 34. 보조프레임
35. 제3고정축 36. 걸림대
37. 걸림봉 38. 걸림대 고정부재
40. 저항체 지지대 40a. 고정봉
41ab. 저항체AB 42. 저항수단
50. 발판 51. 발판 고정축
52. 발판 레버 53ab. 링크
본 발명은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하체 운동시, 인체 움직임의 상호 유기적 현상을 기구학적 작용으로 이용하여 발판의 움직임을 3차원적인 궤적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운동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한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면서 운동부족으로 인한 만성질환 및 기형적인 몸 체형으로 인해 부위별로 전문화된 운동처방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현대인들은 남녀노소 누구나 할 것 없이 복부 비만으로 인해 복부 비만 체질개선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은 느끼고 있지만, 단순히 런닝 등과 같이 전신운동을 하거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윗몸 일으키기, 하체 근력 단련운동 등과 같이 부위별 운동으로 비만을 해결하려고 하고 있지만 별다른 실효성은 없는 실정이다.
특히 헬스장 등과 같이 일반인들이 자주 찾는 체력단련장에 구비된 헬스기구 중 주로 많이 사용하는 기구는 런닝머신이나 상체 단련 헬스기구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체와 하체의 근육이 불균형하게 발달하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고, 하체의 근육을 단련시키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는 역기를 사용자의 어깨에 얹힌 후, 앉고 일어서기를 반복하는 운동 또는 누워서 일정 무게의 저항체를 다리로 들어올리는 레그프레스(leg press)운동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체 단련 운동기구들은 하체의 근육을 집중적으로 단련하여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지만, 운동시에 인체의 발부위 특히 발바닥이 고정된 상태에서 하체를 구부렸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발바닥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한 저항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하체의 주요 근육인 대퇴사두근군, 둔근군 및 슬곡근군의 협응이 원활하기 않게 되어 척추기립근에 부담을 가중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인체의 하체를 단련하기 위한 선출원된 실용신안 제1990-18547호인 "팔다리 근육단련기"를 살펴보면, 기틀체와 좌대로 구성되는 통상의 신체단련기 본체에 있어서, 기틀체의 상측부와 중간부 및 기틀체의 후방부 즉, 좌대의 후단부 하측에 각각 고정체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이 고정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착부에는 회동레버의 선단에 구성된 회동체의 고정부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회동레버는 손잡이부와 조절부로 구성하되, 조절부의 선단에는 회동레버의 선단부에 형성된 착설공에 중간의 플랜지를 기점으로 일단에는 고정부를 갖고, 타단에는 나선부를 일체로 형성한 고정보울트를 끼워서 설치한 후, 상기 나선부에 라쳇트기어, 기어커버, 라이닝, 브라켓트, 스프링을 차례로 삽입 설치한 다음 장력 조절용 캡너트를 체결하여 구성된 회동체가 구성되고, 후단에는 수개의 길이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의 후단이 손잡이부의 내부 결착공으로 삽입되어 손잡이부의 선단에 착설된 조절보울트에 의해 결합 고정되게 구성한다.
상기 팔다리 근육단련기는 앉은 자세 또는 누운 자세나 업드린 상태에서 팔 또는 다리를 좌, 우 또는 상, 하로 회동하여 팔 또는 다리의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한 장점은 있지만, 사용자가 하체를 단련시키기 위해 누운 자세에서 발을 고정시킨 채 일정 시간동안 다리에 저항체를 닿게 한 후, 구부리고 펴는 동작을 반복하여 운동을 하게 되면, 하체 근육의 피로도에 따라 다리는 점점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하체의 발부위가 고정이 된 상태에서 다리가 벌어진채로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게 되면, 근육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어 운동능률이 저하되고, 하체의 주요 근육인 대퇴사두근군, 둔근군 및 슬곡근군 사이에 협응이 발생하게 되어 근육 손상의 염려가 있으며, 또한 척추기립근에 부담을 가중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의 하체 다리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시, 어깨받이를 중심으로 상하운동이 안출되는 3차원 궤적에 의해 발판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내 또는 회외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체의 주요근육인 대퇴사두근군, 둔근군 및 슬곡근군에 고르게 자극을 가할 수 있어 운동능률이 향상되고, 지속적인 무산소 하체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체 운동기구에 있어서,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수직프레임을 수직 교차되게 입설하여 수직 교차된 부위에 제2고정축을 형성하여 안내레버가 축고정되게 형성하되, 상기 안내레버의 일측과 연결된 안내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된 제1고정축에 축고정되어 어깨받이에 의한 상·하 운동시, 상·하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안내레버의 타측과 두 개의 링크와 연결되어 안내레버의 회전운동을 전·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발판이 회내 또는 회외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발판동작수단;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하 운동시 일정한 저항을 제공하는 저항제공수단;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연결되게 "ㄱ"자형의 보조프레임을 형성하되, 수직 교차되는 부위에 형성된 제3고정축에 걸림대가 축고정되게 형성하여 지지프레임이 지지되게 구성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를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례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2)의 상부에 축고정된 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 어깨받이(30)를 형성하여 상·하 운동이 발생되게 하여 제2고정축(11)에 축고정된 안내 레버(10)에 의해 두 개의 링크(53ab)로 연결된 수평프레임(1)에 축고정된 발판(50)이 내측으로 회전하는 작용(이하 '회내작용'이라 한다) 또는 외측으로 회전하는 작용(이하 '회외작용'이라 한다)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소정의 부위에 저항체(41ab) 또는 쇽업 쇼버를 이용한 저항수단(42)을 형성하여 하체의 주요 근육인 대퇴사두근군, 둔근군 및 슬곡군을 단련하되, 척추기립근의 부담을 완화하여 지속적인 하체 무산소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수평프레임(1)의 일측에 수직프레임(2)을 수직 교차되게 고정 설치하되, 상기 수평프레임(1)과 수직프레임(2)이 수직 교차된 부위에 제2고정축(11)을 형성하여 안내 레버(10)를 축고정되게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2)의 상단에 일체로 형 성된 지지대(2b)에 제1고정축(21)을 구성하여 지지프레임(20)의 일측이 축고정되게 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타측에 길이조절부(31)가 형성된 어깨받이(30)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프레임(1)의 일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발판 고정축(51)에 발판 레버(52)와 발판(50)이 축고정되게 하되, 상기 발판 레버(52)는 링크(53ab)로 안내레버(10)와 연결되게 구성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은 대칭되게 2 개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연결 프레임(2a)에 의해 결합되게 하여 전체적으로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2)의 상단에 지지대(2b)를 일체로 형성하되, 수직 교차되게 일정 길이만큼 형성하여 제1고정축(21)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축(21)에 축고정된 샤프트에 지지프레임(20)의 일측이 결합되게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타측은 어깨받이(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31)의 일측에 결합되게 구성하고, 상기 길이조절부(31)는 조임부재(31a)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키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어깨받이(30)를 형성하되, 상기 어깨받이(30)는 사용자의 어깨가 맞닿는 부위에 완충부재인 어깨받침부(32)를 형성하고, 양측에 손잡이(33)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은 제1고정축(21)에 축고정되고, 타측은 어깨받이(3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체 운동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제1고정축(21)에 결합된 지지프레임(20)의 일측상에 좌우로 대칭된 형상의 보조대AB(22ab)를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프레임(20)과 동일하게 상·하로 작동되게 형성하고, 상기 보조대A(22a)에는 저항제공대(23)를 형성하여 지지대(2b) 상측에 형성된 저항수단 고정대(2d)에 고정 결합된 쇽업 쇼버로 이루어진 저항수단(42)이 결합 되게 하고, 상기 보조대B(22b)는 안내링크 고정대(24)를 형성하여 안내링크(27)의 일측이 볼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하부에 대칭된 형태의 보조 지지프레임(25)을 형성하되, 지지프레임(20)의 하측 소정의 부위에 연결대(25a)와 저항체 지지대(40)를 형성하여 상호 연결되게 구성하고, 상기 저항체 지지대(4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봉(40a)에 저항체(41a)가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조 지지프레임(25)의 일측에 완충부재(26)를 형성하여 지지프레임(20)의 상·하 운동시에 장치들간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수직프레임(2)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대(2b)의 소정의 부위에 형성된 고정대(2c)와 연결 프레임(2a)이 보조 지지프레임(25)과의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소정의 부위에 저항제공수단을 형성하되, 지지프레임(20)과 보조 지지프레임(25)을 연결되게 하는 저항체 지지대(4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봉(40a)에 저항체A(41a)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하체 운동시 일정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측 소정의 부위에 저항체B(41b)를형성하여 동일하게 일정 저항을 제공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 일측의 보조대A(41a)에 형성된 저항제공대(23)와 지지대(2b)에 형성된 저항수단 고정대(2d) 사이에 저항수단(42)을 형성하되, 상기 저항수단(42)은 쇽업 쇼버를 사용하여 상·하 운동시 동일하게 일정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과 수평프레임(1)이 연결되게 "ㄱ"자형의 보조프레임(34)을 형성하되, 상기 보조프레임(34)의 수직 교차되는 부위에 제3고정축(35)을 형성 하고, 상기 제3고정축(35)에 걸림대(36)의 일측이 축고정되게 형성하고, 상기 걸림대(36)의 타측은 걸림봉(37)을 형성하여 지지프레임(20)의 하측 소정의 부위와 맞닿아 지지프레임(20)의 자체 무게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운동시에는 걸림대(36)가 제3고정축(35)에 의해 지지프레임(20)의 상·하 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걸림대 고정부재(38)에 맞닿아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과 수평프레임(1)이 수직 교차하는 부위에 제2고정축(11)을 형성한 후, "ㄱ"자형의 안내 레버(10)를 축고정되게 형성하여 일측은 안내링크(27)의 타측과 연결되어 지지프레임(20)의 보조대B(22b)에 형성된 안내링크 고정대(24)와 안내링크(27)에 의해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안내 레버(10)의 타측은 두 개의 링크(53ab)의 일측과 볼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제1고정축(21)을 중심으로 어깨받이(30) 및 지지프레임(20)이 상·하로 작동할 때 안내링크(27)와 두개의 링크(53ab)가 동시에 상호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의 일측에 발판 고정축(51)을 대칭되게 형성한 후, 발판 레버(52)의 중심을 발판 고정축(51)에 축고정시켜 발판(50)을 발판 레버(52)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발판 레버(52)와 안내 레버(10)가 두 개의 링크(53ab)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두 개의 링크(53ab)는 발판 레버(52)의 일측에 볼조인트로 연결되게 하여 안내 레버(10)의 작동에 의해 발판(50)이 회내작용 또는 회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어깨받이(30)의 어깨 받침부(32)에 어깨 부위를 맞닿게 하여 손잡이(33)를 손으로 잡고, 발바닥 부위를 발판(50) 위에 올려 놓은 후, 보조프레임(34)의 수직 교차된 부위의 제3고정축(35)에 축고정된 걸림대(36)를 걸림대 고정부재(37)로 젖혀 고정되게 하여 하체의 다리를 구부리고 펴는 동작을 통해 상·하로 구동을 하면, 제1고정축(21)에 축고정된 지지프레임(20)이 어깨받이(30)에 의해 상·하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어깨받이(30)에 의해 지지프레임(20)이 상·하 운동하는 과정 및 발판(50)이 회내 또는 회외작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어깨받이(30)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발판(50)은 회내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제1고정축(21)에 축고정된 지지프레임(20)이 제1고정축(21)을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하면서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이 때 안내링크 고정대(24)에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안내링크(27)의 일측이 동시에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안내링크(27) 타측에 볼조인트로 연결된 안내 레버(10)의 일측은 제2고정축(1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안내 레버(10)의 타측에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링크(53ab)는 안내레버(10)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운동에 의해 후진하는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링크(53ab)의 타측에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발판 레버(52)는 발판 고정축(51)을 중심으로 회내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다리를 편 상태에서 구부리는 동작인 앉는 동작을 하면서 다리가 오므라지게 되는데, 이 때 하체의 대퇴사두 외측광근과 외전근을 중심으로 단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의 다리가 오므라진 상태의 앉은 자세에서 펴는 동작인 일어서게 되면, 발판(50)은 회외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상기의 작동이 반대로 움직이게 되면서 어깨받이(30)는 위로 상승하게 되고, 제1고정축(21)에 축고정된 안내링크 고정대(24)도 위로 상승하게 되면서 안내링크(27) 또한 위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고정축(11)에 축고정된 안내 레버(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안내 레버(10)에 볼조인트로 연결된 두 개의 링크(53ab)는 직선으로 전진운동을 하게 되어 발판 레버(52)는 발판 고정축(51)을 중심으로 회외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는 오므라진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는 동작을 하면서 다리가 일정각도로 벌어지게 되는데, 이 때 하체의 외측근육인 대퇴사두 외측광근과 외전근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단련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인체의 하체 근육 중 외측근육인 대퇴사두 외측광근과 외전근을 단련하기 위해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레버(10)와 발판 레버(52)를 형성하고, 또한 인체의 하체 근육 중 내측근육인 대퇴사두 내측광근과 내전근을 집중적으로 단련하거나 인체의 하체 근육 중 골반 부위의 근육인 둔근군과 슬곡근군을 집중적으로 단련하기 위해 안내 레버(10)와 발판 레버(52)의 위치 및 형상을 변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인체의 하체 근육 중 내측근육인 대퇴사두 내측광근과 내전근을 집중적으로 단련하는 경우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축(11)에 축고정된 안내 레버(10) 중 안내링크(27)의 타측과 연결되는 부위의 형상이 도1에 도시된 안내 레버(10)의 형상과 반대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20)이 하강하게 될 때 시계방향으로 제2고정축 (1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발판(50)이 회외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축(21)에 축고정된 지지프레임(20)이 제1고정축(21)을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하면서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이 때 안내링크 고정대(24)에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안내링크(27)의 일측이 동시에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안내링크(27)의 타측에 볼조인트로 연결된 안내 레버(10)의 일측은 제2고정축(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안내 레버(10)의 타측에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링크(53ab)는 안내 레버(10)의 시계방향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진하는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링크(53ab)의 타측에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발판 레버(52)는 발판 고정축(51)을 중심으로 회외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다리를 편 상태에서 구부리는 동작인 앉는 동작을 하면서 다리가 벌어지게 되는데, 이 때 하체의 내측근육인 대최사두 내측광근과 내전근에 일정한 저항이 가해지게 되어 집중적으로 단련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다리가 벌어진 상태의 앉은 자세에서 펴는 동작인 일어서게 되면, 발판(50)은 회내운동을 하게 되어 사용자의 다리는 오므라진 상태로 일어서게 된다.
인체의 하체 근육 중 골반부위의 엉덩이 근육인 둔근군과 슬곡근군을 집중적으로 단련하는 경우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축(11)에 축고정된 안내 레버(10)는 도3에 도시된 안내 레버(10)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여 지지프레임(20)이 하강하게 될 때 시계방향으로 제2고정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 록 하여 발판(50)이 회외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수평프레임(1)상에 대칭되게 형성된 발판(50)의 간격을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하여 발판(50)의 회외운동시 다리의 벌어지는 각도가 최대화하여 엉덩이 근육에 일정한 저항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축(21)에 축고정된 지지프레임(20)이 제1고정축(21)을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하면서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이 때 안내링크 고정대(24)에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안내링크(27)의 일측이 동시에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안내링크(27)의 타측에 볼조인트로 연결된 안내 레버(10)의 일측은 제2고정축(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안내 레버(10)의 타측에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링크(53ab)는 안내 레버(10)의 시계방향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진하는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링크(53ab)의 타측에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발판 레버(52)는 발판 고정축(51)을 중심으로 회외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다리를 편 상태에서 구부리는 동작인 앉는 동작을 하면서 다리가 최대한 벌어지게 되면서 골반부위가 후방으로 빠지게 되는데, 이 때 하체의 골반부위의 근육인 둔근군과 슬곡근군에 일정한 저항이 가해지게 되어 집중적으로 단련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다리가 최대한 벌어지고, 골반부위가 후방으로 빠진 상태의 앉은 자세에서 펴는 동작인 일어서게 되면, 발판(50)은 회내운동을 하게 되어 사용자의 다리는 오므라진 상태로 일어서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인체의 하체 근육 중 부위별 근육, 즉 하체의 외측근육인 대퇴사두 외측광근과 외전근, 하체의 내측근육인 대퇴사두 내측광근과 내전근, 하체의 골반부위의 엉덩이 근육인 둔근군과 슬곡근군에 대한 집중적인 운동이 종료하게 되면, 보조프레임(34)의 제3고정축(35)에 축고정된 걸림대(36)를 걸림대 고정부재(38)에서 다시 안쪽으로 젖혀서 걸림대(36)의 걸림봉(37)이 지지프레임(20)의 하측부위에 맞닿아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고정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인체의 하체를 단련하기 위해 인체의 어깨를 맞닿게 한 후, 발판에 서서 상하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발판이 회내 또는 회외운동을 하면서 일정 무게의 저항을 이용한 하체 운동이 이루어지게 하되, 인체의 하체 근육 중 외측근육, 내측근육 또는 골반부위의 엉덩이 근육을 부위별로 집중적으로 단련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최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하체 운동기구에 있어서,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수직프레임을 수직 교차되게 입설하여 수직 교차된 부위에 제2고정축을 형성하여 안내레버가 축고정되게 형성하되, 상기 안내레버의 일측과 연결된 안내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된 제1고정축에 축고정되어 어깨받이에 의한 상·하 운동시, 상·하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안내레버의 타측과 두 개의 링크와 연결되어 안내레버의 회전운동을 전·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발판이 회내 또는 회외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발판동작수단;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하 운동시 일정한 저항을 제공하는 저항제공수단;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연결되게 "ㄱ"자형의 보조프레임을 형성하되, 수직 교차되는 부위에 형성된 제3고정축에 걸림대가 축고정되게 형성하여 지지프레임이 지지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하로 대칭되게 보조 지지프레임을 형성하여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된 제1고정축에 축고정되게 형성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두 개의 보조대를 형성하여 양측에 저항제공대와 안내링크 고정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보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완충부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동작수단은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발판 고정축을 대칭되게 형성하되, 상기 발판 고정축에 발판레버의 중심이 축고정되게 형성하고, 상기 발판레버와 안내레버가 두 개의 대칭된 링크로 연결되게 하되, 상기 두 개의 링크는 각각 발판레버의 일측에 연결되게 하여 안내레버의 작동에 의해 발판이 회내 또는 회외운동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제공수단은 일정 무게의 저항체를 지지프레임의 소정의 부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제공수단은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된 저항수단 고정대와 지지프레임 일측에 형성된 저항제공대 사이에 쇽업 쇼바를 형성하여 지지프레임의 상·하 운동시 일정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축에 축고정된 안내레버가 지지프레임의 하강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하여 두 개의 링크로 연결된 발판의 회내운동으로 인해 인체 하체의 대퇴사두 외측광근과 외전근에 저항을 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축에 축고정된 안내레버가 지지프레임의 하강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하여 두 개의 링크로 연결된 발판의 회외운동으로 인해 인체 하체의 대퇴사두 내측광근과 내전근에 저항을 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축에 축고정된 안내레버가 지지프레임의 하강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하고,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발판의 간격을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성하여 두 개의 링크로 연결된 발판의 회외운동으로 인해 인체 하체의 둔근군과 슬곡근군에 저항을 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KR1020050024033A 2004-03-24 2005-03-23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KR100603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0595 WO2006101311A1 (en) 2005-03-23 2006-02-22 3 dimensional sporting equipment for anaerobic exerc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9865 2004-03-24
KR1020040019865 2004-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619A KR20060044619A (ko) 2006-05-16
KR100603149B1 true KR100603149B1 (ko) 2006-07-25

Family

ID=3714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033A KR100603149B1 (ko) 2004-03-24 2005-03-23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1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648U (ko) 1978-07-05 1980-01-23
US4313603A (en) 1980-10-14 1982-02-02 Simjian Luther G Exercise apparatus
JPH0331705U (ko) * 1989-08-02 1991-03-27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648U (ko) 1978-07-05 1980-01-23
US4313603A (en) 1980-10-14 1982-02-02 Simjian Luther G Exercise apparatus
JPH0331705U (ko) * 1989-08-02 1991-03-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619A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926B1 (en) Seated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7601106B2 (en) Multi-axis resistance exercise device
CN103533992B (zh) 改进的运动器械
US201201651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 back exercise
WO2016154565A1 (en) Exercise device
US8177695B2 (en) Abdominal training machine and method
US20090176633A1 (en) Gluteus training device
WO2020163293A1 (en) Exercise equipment
JP2004527338A (ja) 全身運動用逆立ち運動装置
EP2907548B1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US20020098953A1 (en) Exercise apparatus for performing squats
US8425381B2 (en) Exerciser and rehabilitative device
KR101525225B1 (ko)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JP2016168337A (ja) 足圧連動トレーニング器具
KR100603149B1 (ko) 3차원 하체 무산소 운동기구
KR100583650B1 (ko) 3차원 하체 운동기구
CN205412070U (zh) 蹲立健身器
CN201052377Y (zh) 弹跳健身器
RU61143U1 (ru) Скамья тренажера для ягодичной мышцы
KR102475150B1 (ko) 접이식 운동기구
CN109731277B (zh) 一种健美操臂力练习装置
JP3229118U (ja) 運動器具
KR102533017B1 (ko) 스트레칭 및 근력 운동 기구
KR100603148B1 (ko) 몸통단련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