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720B1 - 배경 잡음 제거 회로 - Google Patents

배경 잡음 제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720B1
KR100602720B1 KR1020030085413A KR20030085413A KR100602720B1 KR 100602720 B1 KR100602720 B1 KR 100602720B1 KR 1020030085413 A KR1020030085413 A KR 1020030085413A KR 20030085413 A KR20030085413 A KR 20030085413A KR 100602720 B1 KR100602720 B1 KR 100602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ckground noise
amplifier
feedback signal
gen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778A (ko
Inventor
박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8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7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51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72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mplifier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경 잡음 제거 회로는, 정류 회로, 비교기 등의 간단한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배경 잡음을 완벽하게 제거하고, 이를 통하여 양질의 오디오 음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배경 잡음 제거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원에 대한 원음신호를 생성하는 음원 발생부; 피드백 신호 생성부로부터의 피드백신호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음원 발생부에서 생성한 원음신호에 이 피드백신호를 합성시키는 배경 잡음 제거부; 상기 배경 잡음 제거부에서 합성시킨 오디오신호를 반전시켜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서 반전/증폭한 오디오신호의 포락선검파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포락선검파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의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를 조정하여 피드백신호로서 생성하는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배경 잡음, 단말기, 반전 신호

Description

배경 잡음 제거 회로{CIRCUIT FOR REMOVING BACKGROUND NOISE}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오디오 재생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경 잡음 제거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도 3a는 도 4의 배경 잡음 제거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b는 도 4의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경 잡음 제거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음원 발생부 220 : 배경 잡음 제거부
230 : 증폭부 240 : 스피커부
250 : 피드백 신호 생성부
본 발명은 배경 잡음 제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단의 원하지 않는 배경 잡음(Background Noise)을 제거할 수 있는 배경 잡음 제거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오디오 재생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오디오 재생 장치는, 오디오의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 발생부(110); 음원 발생부(110)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전원 잡음과 같은 저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고역 필터(High Pass Filter ; HPF)(120); 고역 필터(120)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저역 필터(Low Pass filter ; LPF)(130); 고역 필터(120)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대역 통과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40); 잡음 제거 및 증폭된 신호를 스피커(160)로 출력하는 스피커 구동부(150); 및 스피커 구동부(1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60)를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오디오 재생 장치는, 고역 필터(HPF)(120)가 전원 잡음 등을 제거하고, 저역 필터(LPF)(130)가 고주파 잡음을 제거할 뿐 음향 배경 잡음을 제거하지 못하므로, 이러한 배경 잡음이 증폭기(140)로 더욱 증폭되어 오디오 음향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정류 회로, 비교기 등의 간단한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배경 잡음을 완벽하게 제거하고, 이를 통하여 양질의 오디오 음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배경 잡음 제거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경 잡음 제거 회로는, 음원에 대한 원음신호를 생성하는 음원 발생부; 피드백 신호 생성부로부터의 피드백신호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음원 발생부에서 생성한 원음신호에 이 피드백신호를 합성시키는 배경 잡음 제거부; 상기 배경 잡음 제거부에서 합성시킨 오디오신호를 반전시켜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서 반전/증폭한 오디오신호의 포락선검파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포락선검파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의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를 조정하여 피드백신호로서 생성하는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경 잡음 제거 회로는, 음원에 대한 원음신호를 생성하는 음원 발생부; 피드백 신호 생성부로부터의 피드백신호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음원 발생부에서 생성한 원음신호에 이 피드백신호를 합성시키는 배경 잡음 제거부; 상기 배경 잡음 제거부에서 합성시킨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한 오디오신호의 포락선검파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포락선검파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의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를 반전시켜 조정하여 피드백신호로서 생성하는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경 잡음 제거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배경 잡음 제거 회로는, 음원 발생부(210), 배경 잡음 제거부(220), 증폭부(230), 스피커부(240) 및 피드백 신호 생성부(250)를 포함한다.
음원 발생부(210)는, 오디오의 음원을 생성하고, 상기 음원을 후술하는 배경 잡음 제거부(2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배경 잡음 제거부(220)는, 상기 음원 발생부(210)로부터 상기 음원을 입력받아 배경 잡음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음원을 후술하는 증폭부(230)로 그대로 전달하고, 배경 잡음이 있는 경우에는 피드백 신호와 상기 음원을 합성시켜 후술하는 증폭부(23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배경 잡음이란 실생활에서 들을 수 있는 주위 소음 등을 말할 수도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특히 단말 내부에서 발생되는 잡음, 즉 음원 발생부(210)에서 생성한 원음신호가 증폭부(230)를 거쳐 스피커부(240)를 통해 출력되는데 있어 회로 접지 등에 의해 상기 원음신호에 섞이는 잡음을 말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잡음이 원음신호의 배경에 깔리는 점에 착안해 "배경 잡음"이라 호칭하는 것이다.
한편, 증폭부(230)는, 상기 배경 잡음 제거부(220)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반전한 후, 후술하는 스피커부(240)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로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피커부(240)는, 상기 증폭부(230)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피드백 신호 생성부(250)는, 상기 증폭부(230)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포락선 검파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포락선 검파 신호의 레벨과 기준 전압의 레 벨을 비교하여 순수 배경 잡음 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순수 배경 잡음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는 도 4의 배경 잡음 제거부(220)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b는 도 4의 피드백 신호 생성부(250)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경 잡음 제거부(220) 내에 장착된 혼합기(221)는, 상기 음원 발생부(210)로부터 상기 음원을 입력받고, 상기 음원과 상기 피드백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250) 내에 장착된 정류 회로(251)는, 상기 증폭부(230)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포락선 검파 신호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250) 내에 장착된 비교부(252)는, 반전 단자로 상기 포락선 검파 신호를 입력받고, 비반전 단자로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인가받으며, 상기 포락선 검파 신호의 레벨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을 비교한 결과에 의하여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250) 내에 장착된 스위치(253)는, 상기 비교부(252)로부터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의 연결 제어에 따라 상기 증폭부(230)의 출력 신호의 일정 구간을 상기 순수 배경 잡음 신호로서 도통/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250) 내에 장착된 감쇄부(254)는, 상기 스위치(253)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감쇄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혼합기(221)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경 잡음 제거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경 잡음 제거 회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원 발생부(210)에서 오디오의 음원(A)을 생성한다. 여기서, 음원 발생부(210)는 MSM(Mobile Station Modem) 내의 코덱, 멜로디 IC,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그 후, 증폭부(230)에서 배경 잡음 제거부(220)를 통과한 출력 신호(A)를 입력받아 반전한 후, 스피커부(240)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C)로 증폭하게 된다. 이 때, 증폭부(230)는 반전 증폭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반전 증폭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경 잡음 제거부(220) 등에서 신호가 반전되어야 한다.
그 후, 피드백 신호 생성부(250) 내에 장착된 정류 회로(251)는, 증폭부(230)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포락선 검파 신호(D)를 검출하고, 피드백 신호 생성부(250) 내에 장착된 비교부(252)는, 반전 단자로 포락선 검파 신호를 입력받고, 비반전 단자로 기준 전압(VREF)을 인가받으며, 포락선 검파 신호의 레벨과 기준 전압(VREF)의 레벨을 비교한 결과, 포락선 검파 신호의 레벨이 높으면 스위치(253)를 턴오프시키는 스위치 제어 신호(E)를 생성하고, 기준 전압의 레벨이 높으면 스위치(253)를 턴온시키는 스위치 제어 신호(E)를 생성한다.
이 때, 포락선 검파 신호를 검출해보면 원하는 신호와 배경 잡음 간의 레벨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대개 원하는 신호의 레벨이 배경 잡음의 레벨에 비해 크다. 여기서, 기준 전압(VREF)은 증폭부(230)의 이득에 따라 조정되며, 일반적으로 증폭부(230)의 이득이 크게 되면 기준 전압(VREF)도 높게 설정되어야 한다.
그 후, 피드백 신호 생성부(250) 내에 장착된 스위치(253)는, 스위치 제어 신호(E)를 입력받고, 스위치 제어 신호의 연결 제어에 따라 증폭부(230)의 출력 신호의 일정 구간을 순수 배경 잡음 신호(F)로서 도통/차단한다.
그 후, 피드백 신호 생성부(250) 내에 장착된 감쇄부(254)는, 스위치(253)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F)를 감쇄하여 피드백 신호(G)를 생성한다. 여기서, 감쇄 정도는 증폭 전 배경 잡음의 크기에 맞도록 조정될 수 있다.
그 후, 배경 잡음 제거부(220)는, 피드백 신호와 음원을 합성하고, 증폭부(230)는, 이러한 배경 잡음 제거부(220)의 출력 신호(B)를 입력받아 반전한 후, 스피커부(240)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로 증폭한다.
최종적으로, 스피커부(240)는, 증폭부(230)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정류 회로, 비교기 등의 간단한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배경 잡음을 완벽하게 제거하고, 이를 통하여 양질의 오디오 음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 뿐만이 아니라, 음향 배경 잡음이 있는 모든 음향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음원에 대한 원음신호를 생성하는 음원 발생부;
    피드백 신호 생성부로부터의 피드백신호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음원 발생부에서 생성한 원음신호에 이 피드백신호를 합성시키는 배경 잡음 제거부;
    상기 배경 잡음 제거부에서 합성시킨 오디오신호를 반전시켜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서 반전/증폭한 오디오신호의 포락선검파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포락선검파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의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를 조정하여 피드백신호로서 생성하는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배경 잡음 제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잡음 제거부는,
    상기 음원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원음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 잡음 제거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는,
    상기 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포락선검파신호를 검출하는 정류 회로;
    반전 단자에 입력된 상기 포락선검파신호의 레벨과 비반전 단자에 입력된 상기 기준전압의 레벨을 비교하고서, 이 비교 결과로, 포락선검파신호의 레벨이 기준전압의 레벨보다 낮으면 스위칭온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포락선검파신호의 레벨이 기준전압의 레벨보다 높으면 스위칭오프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온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를 감쇄기로 전달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신호를 감쇄시켜 피드백신호로서 생성하여 상기 배경 잡음 제거부로 출력하는 감쇄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 잡음 제거 회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은 상기 증폭기의 이득에 비례하여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 잡음 제거 회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기는 상기 증폭기의 증폭 이득에 반비례하여 감쇄 정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 잡음 제거 회로.
KR1020030085413A 2003-11-28 2003-11-28 배경 잡음 제거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602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413A KR100602720B1 (ko) 2003-11-28 2003-11-28 배경 잡음 제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413A KR100602720B1 (ko) 2003-11-28 2003-11-28 배경 잡음 제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778A KR20050051778A (ko) 2005-06-02
KR100602720B1 true KR100602720B1 (ko) 2006-07-20

Family

ID=3724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4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2720B1 (ko) 2003-11-28 2003-11-28 배경 잡음 제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44752B (en) * 2004-10-18 2011-07-01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Method for high efficiency audio amplifier
CN116264657A (zh) * 2021-12-15 2023-06-16 华润微集成电路(无锡)有限公司 基于音频功放电路实现本底噪声优化控制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778A (ko)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1404B2 (ja) 携帯電話装置
US9633646B2 (en) Oversight control of an adaptive noise canceler in a personal audio device
WO2009047968A1 (ja) ノイズキャンセルヘッドホン
EP0803860A3 (en) A noise reduction circuit, a noise reduction apparatus and a noise reduction method
JP2008158254A (ja) 音響装置
JPH09331377A (ja) ノイズキャンセル回路
KR100602720B1 (ko) 배경 잡음 제거 회로
US6205217B1 (en) Portable telephone set
JPH0786857A (ja) 自動車用再生装置の音量を周囲ノイズに適合調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Hayasaka et al. Audibility of added ultrasonic modulation signal for speech jamming
JP4942555B2 (ja) ノイズキャンセルヘッドホン
JP4289274B2 (ja) ハウリング防止装置
JPH02143700A (ja) ハウリング防止装置
KR100263715B1 (ko) 전화기 일체형 음향기기 및 이를 이용한 음성 통화 구현 방법
JP2001094479A (ja) 反響消去装置
US9686613B2 (en) Method for audio signal processing and system thereof
JPH11232075A (ja) 拡張ステーションのサウンド装置
JP6781380B2 (ja) Fm受信機およびそれを備える無線通信機
JP3099302B2 (ja) 音響装置及び磁気情報再生装置
JP3623579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20000002403A (ko) 파워 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오디오신호의뮤트 제어장치
JPH06209378A (ja) 音声回路
KR19990031765A (ko)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잡음 제거 장치
JPH09130182A (ja) 音声処理回路
JPH0621919A (ja) 音声秘話装置の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