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504B1 - 밀폐형 전지 및 밀봉체 - Google Patents

밀폐형 전지 및 밀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504B1
KR100602504B1 KR1020007007753A KR20007007753A KR100602504B1 KR 100602504 B1 KR100602504 B1 KR 100602504B1 KR 1020007007753 A KR1020007007753 A KR 1020007007753A KR 20007007753 A KR20007007753 A KR 20007007753A KR 100602504 B1 KR100602504 B1 KR 10060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les
foil
valve body
meta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4136A (ko
Inventor
수기모토요시유키
사이조긴지
가와무라히로아키
오카모토히로아키
이소베요시히코
Original Assignee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단락, 과충전, 역충전 등에 의해 전지내압이 상승한 경우, 전지의 온도상승이나 폭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전지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전류를 차단함과 동시에 전지내압을 빠르게 방출할 수 있는 밀폐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전지는 좁은 간격으로 무한 둘레 상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3)이 있는 금속기판(1)으로 이루어진 밸브체(5)와, 관통구멍(3)을 폐쇄하도록 금속기판(1)의 내면에 적층된 금속박(2)으로 이루어지며, 전지내압이 상승한 경우에 작은 힘으로 변형가능한 금속판의 관통구멍 사이의 좁은 간격부분이 연장되어, 무한 둘레 상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3)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돌출되는 구조를 보유하는 밀봉체를, 양극(32a), 음극(32c) 및 세퍼레이터(32b)로 구성되는 전극체(32)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 외장용기(30) 내에 수납하여 이루어진 외장용기(30) 개구부의 내부에 삽입지지하여 외장용기(30)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구성을 보유한다.

Description

밀폐형 전지 및 밀봉체{ENCLOSED CELL AND SEALER}
본 발명은 전지온도나 전지내압이 상승한 경우에, 특히 저압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파열되어 내압을 재빨리 방출시키는 것과 동시에 전류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밀폐형 전지 및 밀봉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고성능화의 요구에 기초하여, 경량이고 또 고에너지 밀도를 보유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등의 비수계(非水系)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음극 활성물질로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을 사용하는 비수계 전지에서는 이 같은 알칼리 금속이 물과 쉽게 반응해서 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전지 용기에 완전 밀폐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완전 밀폐구조의 전지는 저장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에 밀폐성이 높기 때문에 고온에 노출되거나, 전지내부나 외부에서 단락되어 큰 전류가 흐르게 되거나, 제조과정 중에 혼입된 수분에 의해 발생되는 수소가스 등에 의해서 전지 내부압력이 이상적으로 상승하여 전지가 파열되어 기기가 손상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게 되는 일도 있다. 그래서, 내압이 높아지기기 전에 내압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기구가 필요하다.
내압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구로는 종래 몇 개의 방법이 제안되어 그 일부는 실용화되어 왔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2-304861호 공보의 구성은 전지용기 일부에 전지내부로 통하는 밸브구멍과 외부로 통하는 배기구멍이 있는 밸브실이 구성되고, 이 밸브실 내에 적어도 밸브구멍을 향하는 면이 고무로 되어 있는 밸브본체와 이 본체의 고무면을 밸브구멍쪽으로 압압하는 탄성체가 장착된 안전밸브로 이루어진 것으로, 고무가 밸브구멍을 폐쇄하여 밀폐성을 유지하고, 내압 상승시에는 내압이 미리 탄성체에 설정되어 있는 방출압에 도달하면 밸브구멍이 개방되어 설정값 이상으로 내압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구조의 안전밸브는 Ni-Cd계의 전지에서는 이미 폭넓게 채용되어 있지만, 탄성체가 밸브체를 밸브구멍쪽으로 압압하여 밀폐된 상태에서도 비수계 전지에 요구되는 높은 밀폐성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알칼리 금속을 음극 활성물질로 사용하는 비수전지에 채용되지 못하였다.
높은 밀폐성이 요구되는 전지의 내압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구로서는 일본특허공개 소63-28585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지용기의 일부에 박육부가 형성되고, 이 박육부는 용기벽을 적당한 프레스장치로 냉간압축하여, 압축된 부분이 처음 두께의 절반 정도가 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벽의 형상이 변경되었을 뿐, 개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밀폐성이 양호하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방출기구로는 일본특허공개 평6-21576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방출기구는 저부가 있는 원통형태의 용기 내의 전극체 상부의 개구부에 밸브막이 형성되어 있고, 밸브막 상방으로 전류차단 리드가 설치되어 있다. 전지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때는 밸브막이 팽팽해져서 전류차단 리드를 파괴시킴으로써 전류를 차단한다.
그러나, 일본특허공개 소63-285859호 공보의 방식에서는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박육부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지만, 박육부가 너무 얇아지면 프레스 가공 시에 박육부에 미세한 크랙(crack)이 생겨 밀폐성이 손상된다. 또한, 금속을 냉간가공하면 반드시 가공경화가 발생하지만, 그 경화의 방식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작동압력이 불균일하다는 결점도 있다. 박육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하프 에칭(half-etching)법도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제조상 에칭후 잔류두께의 관리가 곤란하고, 수율도 악화되며, 또 하나의 문제로서 하프 에칭부에 핀홀이 발생하여 모든 제품을 검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평6-215760호 공보의 방식에서는, 소정의 압력으로 전류차단 리드를 파괴시키기 위해서는, 그 리드에 형성된 절제부의 깊이를 정확하게 해야 하는 가공상의 문제가 있어, 소정의 압력에서 안정되게 전류가 차단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고, 특히 저압에서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소정의 압력에서 파괴되어 내압을 빠르게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그 제조가 용이한 밸브체 칩을 구비한 밀폐형 전지 및 그것에 이용되는 밀봉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밀봉체를 제조할 경우에, 취급이 용이하고, 또 제품으로 채용될 수 없는 불량부분이 발생되기 어려운 구조를 보유하는 밀봉체 및 그것을 이용한 밀폐형 전지를 제공하는 것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로 구성된 전극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외장용기 내에 수납되고, 상기 외장용기 개구부의 내주에 삽입되어 지지된 밀봉체에 의해 상기 외장용기 개구부가 폐쇄되어 이루어진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가 좁은 간격으로 무한 둘레 상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이 있는 금속기판으로 이루어진 밸브체와, 상기 관통구멍을 폐쇄하도록 상기 금속기판의 내면에 적층된 금속박으로 이루어져서, 전지내압이 상승한 경우에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상기 금속판의 관통구멍 사이의 상기 좁은 간격 부분이 연장되어, 상기 무한 둘레 상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으로 둘러싸인 밸브체 부분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금속기판과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밸브체 칩은 상기 전극체부터 전류를 인도하기 위한 리드덮개와 접속되어 있어, 전지내압이 상승할 경우에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리드덮개가 상기 금속박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전기접속을 차단한다. 전지내압이 더욱 상승하면 상기 관통구멍이 있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밸브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적층된 금속박이 파괴되어 전지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어 전지캔의 폭발이 방지된다.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형 구멍이고, 각 원형 구멍은 상기 무한 둘레의 일례인 상기 밸브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반경의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에 의하여 상기 무한 둘레 상에 형성된 구멍부분의 총 연장이 상기 무한 둘레의 전체 길이의 30~8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기판은 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동판 또는 알루미늄판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금속박은 강박(鋼箔), 스테인레스강박, 동박(銅箔), 알루미늄박, 니켈박 또는 니켈-철 합금 등의 니켈 합금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밀봉체는 전지내압에 있어서, 밀봉체의 일부가 일정한 압력에서 변형되어 재빨리 전류를 차단하고, 또 밀봉체가 일정한 압력에서 파괴되어 내압을 방출시키는 기구를 보유하고 있고, 상기 전류차단 압력은 밸브체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 개구부의 형상 및 배치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내압방출 압력은 금속박의 재질 및 두께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1은 본 발명의 완전 밀폐형 전지의 일례의 상부 종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완전 밀폐형 전지의 다른 일례의 상부 종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밸브체를 포함하는 밀봉체의 평면도이다.
도4는 상기 밀봉체의 종단면도이다.
도5는 전지내압이 이상적으로 상승한 경우의 밀봉체의 동작설명도이다.
도6은 전지내압이 이상적으로 상승한 경우의 밀봉체의 동작설명도이다.
도7은 상기 밀봉체의 다른 일례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8은 상기 밀봉체의 다른 일례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금속기판
(2):금속박
(3):관통구멍
(5):밸브체 부분
(6):리드선
(8):납땜부
(20):오목부
(30):외장용기
(32):전극체
(34):개스킷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완전 밀폐형 전지의 일례에 있어서의 상부 종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완전 밀폐형 전지의 다른 일례에 있어서의 상부 종단면도이다. 도3은 밸브체가 있는 밀봉체의 평면도이다. 도4는 상기 밀봉체의 종단면도이고, 도5 및 도6은 전지내압이 이상적으로 상승한 경우의 밀봉체의 동작설명도이다. 또한, 도7 및 도8은 상기 밀봉체의 다른 예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에서, 음극단자를 겸비한 저부가 있는 원통형의 외장용기(30) 내에는, 전해액내에서 외부와 차단된 전극체(32)가 수납되어 있다. 전극체(32)는 양극(32a)과 세터레이터(32b), 세퍼레이터(32b)를 통하여 상기 양극(32a)으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양극(32a)과 대향하여 형성된 음극(32c)의 적층물을 코일형태로 권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방염기구 및 양극단자의 기능을 겸비한 가스배출 구멍(O, O)이 있는 밀봉덮개(33)가 외장용기(30)의 상부 개구부에 절연개스킷(34)을 통하여 코킹(calking)고정되어 있다. 전극체(32)의 상방으로는 가스배출 구멍(37b)이 있는 리드덮개(3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드덮개(37)와,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값이 증가하여 전지전류를 적정값으로 제어하는 정온특성소자(38) 사이에는 전극체(32) 등을 봉입하기 위한 밀봉체를 이루는 밸브체 칩(V)이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 칩(V) 둘레 가장자리(36)가 정온특성소자(38)와 접촉하고, 정온특성소자(38)는 밀봉덮개(33)의 둘레 가장자리(33a)와 접촉하고 있고, 이들 양 둘레 가장자리(36, 33a) 및 정온특성소자 (38)는 절연 개스킷(40)을 통하여 리드덮개(37)의 주위(37a)에 코킹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지의 상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밀봉체를 이루는 밸브체 칩(V)의 내면에는 리드선(6)이 적당한 수단에 의해서 부착되고, 상기 리드선(6)은 전극체(32)의 양극(32a)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지 내의 전류경로가 구성된다.
상기 전류경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도 좋다. 즉, 리드덮개(37)는 절연개스킷(40)를 통하여 밸브체 칩(V)과 대향하여 있고, 밸브체 칩(V)의 중앙부에 오목부(20)가 형성되어, 리드덮개(37)의 중앙부에 형성된 돌기부(24)와 접촉한다. 그리고, 리드덮개(37)의 내면에는 리드선(6)이 적당한 수단으로 부착되고, 상기 리드선(6)은 전극체(32)의 양극(32a)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지 내의 전류경로가 구성된다.
밸브체 칩(V)은 도3 및 도4에 표시하듯이, 평면도에서 거의 원형을 이루고, 상기 밸브체 칩(V)은 원형의 금속기판(1)과 그 금속기판(1)의 내면에 적층부착된 금속박(2)으로 이루어지며, 금속기판(1)의 재료로는 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동판 또는 알루미늄판 중 1종이 사용되고, 금속박(2)으로는 강박, 스테인레스강박, 동박, 알루미늄박, 니켈박 또는 니켈-철 합금과 같은 니켈 합금박 중 1종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례를 표시하는 도3에서, 상기 금속기판(1) 내에는 관통구멍( 3)(도3에서는 원형)이 등간격(w)으로 복수개(n개, 도3에서는 8개), 그들 중심이 무한 둘레(ℓ)(도3에서는 밸브체 칩(V)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r)의 원주(ℓ)) 상에 존재하고, 무한하게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4에 표시하듯이, 금속박(2)에는 리드선(6)이, 예를 들면 납땜부(8)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전지내압이 상승하면 변형되기 쉬운 금속기판(1)의 등간격(w) 부분(변형되기 쉬운 부분)이 신장되고, 복수의 관통구멍(3)으로 둘러싸인 밸브체 부분(5)이 돌출되어, 리드선(6)이 납땜부(8)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단선되어 전류를 차단한다.
이들 복수개(n개)의 관통구멍(3)에 의한 구멍부분의 총 연장:n ×Δℓ(Δℓ은 원주(ℓ) 상에 있어서 관통구멍(3)이 차지하는 길이)은 원주(ℓ)의 전체 길이의 30~85%인 것이 바람직하다. 30% 미만에서는 금속기판(1)의 강성(剛性)이 높아져서, 전지내압이 상승되어도 밸브체 부분(5)이 충분하게 돌출되지 않아, 리드선(6)이 납땜부(8)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전류가 차단되지 않는다. 한편 85%를 초과하면, 전지를 떨어뜨리는 경우와 같이 전지에 외부로부터 큰 압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밸브체 부분(5)이 변형되어 리드선(6)이 납땜부(8)로부터 분리, 단선되어 전류가 차단되는 경우가 있다.
그 다음, 전지내압이 상승하는 이상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지내압이 상승하면, 도5에 표시하듯이 금속기판(1) 상의 무한 둘레 상에 연속하여 등간격(w)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3)의 등간격부분(변형이 용이한 부분)이 균등하게 늘어나서 밸브체 부분(5)이 돌출된다. 상기 밸브체 부분(5)이 돌출함으로써 금속박(2)에 부착된 리드선(6)이 납땜부(8)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단선됨으로써, 확실하게 전류가 차단된다. 전지내압이 더욱 상승하면 도6에 표시하듯이 관통구멍(3)을 폐쇄하고 있는 금속박(2)의 부분이 파열되어 밸브입구가 개구되어, 전지내압을 방출한다. 방출된 가스는 밸브구멍(7)을 통하여 밀봉덮개(33)의 가스배출구멍(O)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관통구멍(3)이 금속기판(1) 상에 무한 둘레 상에 연속하여 등간격(w)으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관통구멍(3)이 말굽형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전지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 w의 간격을 갖는 기판의 연속적인 하나의 부분이 지점이 되어, 지점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말굽형태의 관통구멍(3)으로 둘러싸인 혀모양 기판의 부분이 크게 변형되어, 그 부위의 금속박(2)이 파괴되어 가스가 방출되어 전지내압이 방출된다. 그러나, 밸브체 칩(V)의 중앙부에 리드선(6)이 접속되어 있는 부분이 변형지점에 가까워서 변형이 작아지고, 리드선(6)의 접속부분이 파괴되지 않아, 전지 내압상승의 원인이 되는 과대한 전류가 계속해서 흐르게 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금속기판(1) 상에 무한 둘레 상에 연속한 등간격(w)으로 관통구멍(3)이 존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밸브체 부분(5)의 형상은 도3에 표시하듯이, 원형의 관통구멍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원주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 예를 들면 도7 및 도8에 표시하듯이 2개 또는 4개의 무한 원형상의 관통구멍(3)이 밸브체 칩(V)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는 타원(ℓ) 상에 등간격(w)으로 존재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완전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단락, 과충전, 역충전 등의 이상에 의해 전지내압이 상승한 경우에, 금속기판(1)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구멍군 사이의 등간격 부분(변형용이부분)이 특히 저압에서 안정적으로 정확하게신장되어, 밸브체 부분(5)이 돌출하여 리드선(6)을 절단하여 전기접속을 차단한다. 또한, 전지내압이 더욱 상승하면 금속박(2)의 관통구멍(3)을 폐쇄하고 있는 부분이 소정의 압력에서 파열되어 밸브구멍(7)이 개방되어 전지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전지의 급격한 온도상승이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밸브체 칩의 밸브체 부분(5)을 돌출하도록 작동시키는 압력은, 금속기판(1)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3) 사이의 등간격부분(변형이 용이한 부분)의 크기를 적정한 범위로 조정하고, 또 금속기판(1)의 재질조성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안정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3)을 폐쇄하는 금속박(2)은 마이크론 단위의 높은 정밀도로 제조가능하기 때문에, 금속박(2)의 재질조성을 선택함으로써 안정된 작동압력에서 파열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밸브체는 1개의 밸브체 칩(V)에 필요한 관통구멍(3)군을 길이가 긴 띠형상의 금속기판(1)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펀칭가공 등으로 천공가공을 행하고, 계속하여 그것의 편면에 금속박(2)을 적층한 후, 거의 원형인 각각의 밸브체 칩(V)에 구멍을 뚫어 형성된다. 길이가 긴 띠형상의 금속기판(1)은 한 쌍의 롤군에 의해서 반송되거나, 한 쌍의 롤에 의해 금속박(2)에 연속적으로 적층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말굽형태의 구멍과 같이 원형의 일부만이 비관통된 구조로 한 경우에는, 반송시나 적층시에 롤에 관통구멍의 가장자리가 걸리게 되거나, 비관통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감기게 되어, 불량부분으로 폐기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연속적인 반송작업이나 적층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밸브체에서는, 관통구멍(3)의 형성에 있어서, 비관통부분이 복수개로 존재하고 있고, 또 비관통부분이 길이가 긴 띠형상의 금속기판(1)의 길이방향(반송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존재하도록 관통구멍을 천공함으로써, 반송시나 적층시에 롤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가장자리가 걸리게 되거나, 비관통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하듯이, 본 발명의 안전밸브 칩에 의하면, 단락, 과충전, 역충전 등에 의해 전지내압이 상승하게 되어도, 전지내압이 비교적 저압인 소정의 값에 이르렀을 때에 금속기판에 형성된 변형용이부분이 안정된 작동력으로 변형되어 전지내부의 전류경로를 차단하고, 또 전지내압이 더욱 상승하면 금속기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폐쇄하고 있는 금속박이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파열되어 전지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하여, 전지의 급격한 온도상승이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7)

  1. 외장용기,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로 구성되고 전해액과 함께 상기 외장용기 내에 수납되는 전극체, 상기 외장용기의 개구부의 내주에 삽입지지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밀봉체로 이루어지는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는 밸브체와 적층된 금속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체는 좁은 간격으로 무한 둘레 상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이 있는 금속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기판의 내면은 상기 관통구멍을 폐쇄하도록 적층된 상기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기판의 관통구멍 사이의 상기 좁은 간격 부분은 작은 힘에도 변형가능하여, 전지내압이 상승되었을 경우에 연장되어 상기 무한 둘레상에 설치된 복수의 관통구멍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적층된 금속박은 상기 양극으로부터 음극으로 전류를 인도하는 리드덮개와 접속되어 있어,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전지내압에 의해서 돌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리드덮개가 상기 금속박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고, 전지내압이 더욱 상승하면 금속박은 밀폐형 전지의 증가된 내압에 의해 파괴되고, 밀폐형 전지 내부의 가스가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형구멍이고, 각 원형구멍은 상기 무한 둘레의 일례인 상기 밸브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반경의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에 의해서 상기 무한 둘레 상에 형성된 구멍부분의 총 연장이 상기 무한 둘레의 전체길이의 30~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기판이 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동판 또는 알루미늄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이 강박, 스테인레스강박, 동박, 알루미늄박, 니켈박 또는 니켈-철 합금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
  7. 제1항에 기재된 전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체.
KR1020007007753A 1998-01-16 1999-01-14 밀폐형 전지 및 밀봉체 KR100602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18292 1998-01-16
JP1829298 1998-01-16
PCT/JP1999/000095 WO1999036975A1 (en) 1998-01-16 1999-01-14 Enclosed cell and sea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136A KR20010034136A (ko) 2001-04-25
KR100602504B1 true KR100602504B1 (ko) 2006-07-19

Family

ID=1196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753A KR100602504B1 (ko) 1998-01-16 1999-01-14 밀폐형 전지 및 밀봉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31242B1 (ko)
EP (1) EP1049181A4 (ko)
KR (1) KR100602504B1 (ko)
CN (1) CN1142601C (ko)
AU (1) AU1889899A (ko)
CA (1) CA2318183C (ko)
MY (1) MY120789A (ko)
TW (1) TW408511B (ko)
WO (1) WO1999036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3240A1 (de) * 1999-11-04 2001-05-10 Basf Ag Verbundelemente
JP2001229903A (ja) * 2000-02-15 2001-08-24 Sony Corp 非水電解液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6926992B2 (en) * 2001-06-29 2005-08-09 Kabushiki Kaisha Toshib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039657B2 (ja) * 2001-10-16 2008-01-30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7833647B2 (en) * 2004-04-28 2010-11-1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losure vent seal and assembly
US7687189B2 (en) * 2004-04-28 2010-03-30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Housing for a sealed electrochemical battery cell
JP2010504892A (ja) * 2006-09-26 2010-02-18 キャドバリー アダムス ユーエスエー エルエルシー 破裂可能なブリスター包装
US9216850B2 (en) 2006-09-26 2015-12-22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Rupturable substrate
CN101257098B (zh) 2007-03-02 2012-01-25 深圳市比克电池有限公司 便于装配的电池封口组件及电池
CN101257097B (zh) 2007-03-02 2012-03-14 深圳市比克电池有限公司 一种改进的电池封口组件及电池
US8147999B2 (en) * 2008-06-11 2012-04-03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losure assembly with low vapor transmission for electrochemical cell
US20100216014A1 (en) * 2009-02-24 2010-08-2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losure Assembly for Electrochemical Cells
US8383255B2 (en) * 2009-02-24 2013-02-2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losure assembly for electrochemical cells
US8597809B2 (en) * 2010-02-18 2013-12-0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JP6569735B2 (ja) * 2015-09-09 2019-09-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池、電池缶、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動車両、蓄電装置および電力システム
EP3297053B1 (de) * 2016-09-19 2018-11-07 VARTA Microbattery GmbH Gaserzeugerzelle mit aussenliegender widerstandsfolie
CN107093698B (zh) * 2017-05-05 2024-03-26 深圳市科达利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热变形件的电池盖板结构及电池
CN107093697B (zh) * 2017-05-05 2023-08-29 深圳市科达利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多重断路保护和释放压力的电池盖板结构及电池
KR20230047955A (ko) 2021-09-28 2023-04-10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배기 장치, 배터리 셀, 배터리 및 전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933A (ja) * 1993-10-06 1995-04-21 Hitachi Maxell Ltd 防爆形密閉電池
JPH08180848A (ja) * 1994-12-21 1996-07-12 Toray Ind Inc 電池用封口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1304A (en) * 1984-11-14 1986-04-08 Union Carbide Corporation Thermoformed film member vent for galvanic cells
US5248568A (en) * 1991-10-29 1993-09-28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lowout multilayer film seal assembly for galvanic cells
JP3233679B2 (ja) 1992-05-14 2001-11-26 旭化成株式会社 電池の安全弁装置の製造方法
JPH07254402A (ja) * 1994-03-15 1995-10-03 Toshiba Battery Co Ltd 密閉形電池
JPH07253302A (ja) 1994-03-16 1995-10-03 Yokogawa Electric Corp シート状物質の厚さ測定装置
JP3555240B2 (ja) * 1995-05-12 2004-08-18 ソニー株式会社 密閉型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933A (ja) * 1993-10-06 1995-04-21 Hitachi Maxell Ltd 防爆形密閉電池
JPH08180848A (ja) * 1994-12-21 1996-07-12 Toray Ind Inc 電池用封口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49181A4 (en) 2004-07-14
CA2318183C (en) 2007-05-15
MY120789A (en) 2005-11-30
CA2318183A1 (en) 1999-07-22
CN1142601C (zh) 2004-03-17
AU1889899A (en) 1999-08-02
TW408511B (en) 2000-10-11
WO1999036975A1 (en) 1999-07-22
EP1049181A1 (en) 2000-11-02
CN1288596A (zh) 2001-03-21
KR20010034136A (ko) 2001-04-25
US6531242B1 (en) 200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504B1 (ko) 밀폐형 전지 및 밀봉체
KR100515354B1 (ko) 이차 전지
KR101094039B1 (ko) 전류차단소자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1111073B1 (ko) 이차전지용 캡 어셈블리
KR19990067165A (ko) 밀폐형전지용방폭실링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25533B1 (ko) 방폭밸브군 및 그것을 이용한 밀폐형 이차전지
KR100637434B1 (ko)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안전밸브
KR100914115B1 (ko) 이차전지
KR20080050642A (ko) 용량이 증가된 원통형 전지
KR20070030686A (ko) 밀폐 각형 전지
KR100517371B1 (ko) 밀폐형 전지
KR100416096B1 (ko) 안전변 장치와 이를 채용한 이차 전지
KR100502787B1 (ko) 밀폐형 전지 및 밀봉체
KR100579400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0501846B1 (ko) 밀폐형 전지 및 밀봉체
KR100874402B1 (ko) 압력스위치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100624968B1 (ko)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542186B1 (ko) 이차 전지
JP2001291502A (ja) 密閉型電池、封口体及び外装缶
KR20230026899A (ko) 벤트 구조를 갖는 이차 전지용 캡 플레이트 및 캡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20170053394A (ko) 절연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가스켓을 구비한 캡조립체
KR20020025632A (ko) 이차전지의 안전판
KR20040081521A (ko) 전지 케이스에 안전판이 구비된 리튬 2차 전지 및 그제조방법
KR20040021800A (ko) 전지
JP2000003700A (ja) 密閉型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