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686A - 밀폐 각형 전지 - Google Patents

밀폐 각형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686A
KR20070030686A KR1020060088115A KR20060088115A KR20070030686A KR 20070030686 A KR20070030686 A KR 20070030686A KR 1020060088115 A KR1020060088115 A KR 1020060088115A KR 20060088115 A KR20060088115 A KR 20060088115A KR 20070030686 A KR20070030686 A KR 20070030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hickness
thin
lid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1179B1 (ko
Inventor
요시미 마츠모토
오사무 와타나베
요시키 소마토모
Original Assignee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8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179B1/ko
Publication of KR20070030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 각형 전지의 개열 벤트를 낮은 작동압으로 안정되게 작동시켜 전지 낙하시 등의 충격 내구성이 우수한 밀폐 각형 전지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지캔의 개구 상면을 막는 좌우 가로로 긴 덮개와, 상기 덮개에 배치하여 전지 내압이 이상 상승하였을 때에 개열하는 두께가 얇은 밸브체를 가지는 개열 벤트를 포함하는 밀폐 각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개열 벤트는, 상기 덮개의 바깥 면측으로서 상기 덮개의 좌우방향 중 어느 한쪽의 끝 근처에 타원형상의 코이닝부 내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둘레 홈과 이것 에 둘러 싸인 두께가 얇은 밸브체를 가지고, 상기 타원형상의 둘레 홈이 덮개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긴 변형상의 박막부와, 이들 긴 변부를 연결하는 원호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로 구성되고, 한쪽의 긴 변부의 두께가 얇은 부, 다른쪽의 긴 변부의 두께가 얇은 부, 개열 벤트의 두께가 얇은 밸브체의 순으로 그 두께를 두껍게 한다.

Description

밀폐 각형 전지{SEALED AND SQUARE TYPE BATTERY}
도 1은 실시예 1의 밀폐 각형 전지의 덮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전지의 종단 정면도,
도 4는 전지의 팽창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밀폐 각형 전지의 덮개의 평면도,
도 6은 낙하 시험에 의한 덮개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지캔 2 : 전극체
3 : 덮개 16 : 개열 벤트
17 : 가장 바깥 코이닝부 19 : 둘레 홈
20, 21 : 긴 변부 22, 23 : 원호형상 홈부
25 : 두께가 얇은 밸브체
본 발명은 전지 내압이 이상 상승하였을 때에 개열하는 개열 벤트를 구비한 밀폐 각형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나 휴대형 정보단말 등의 소형 경량의 전자기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들 전원으로서 소형 경량으로 고용량인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기기의 고기능화에 따라 전지의 고용량화의 요구가 더욱 높다. 특히 리튬(lithium)금속을 활성물질로 사용한 1차 전지나, 리튬 이온(lithium ion)을 사용하여 충방전을 행하는 2차 전지 등이, 경량이고 고용량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그 고용량화의 개발도 활발하다.
이와 같은 전지에서는 과대한 전기부하가 가해지거나 과도한 열부하가 가해지거나 하면 전지 내부에서 단락상태가 발생하여 가스(gas)를 발생하여 전지 내압이 이상 상승한다. 또 전지가 과충전상태가 된 경우에도 전해액의 분해에 의하여 전지 내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 내압이 이상 상승한다. 전지가 내압의 이상 상승에 견딜 수 없게 되면 파열되어 내용물이 비산한다. 이 때문에 전지에는 소정의 내압 이상이 되면 개열 작동하여 전지 내압을 해방함으로써 전지의 파열을 미연에 방지하는 개열 벤트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이들 전지에는 밀폐 각형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그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개열 벤트의 면적이 작아져 특허문헌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지 내압이 소정값 이상이 되었을 때에 전지의 내압만으로 상기 둘레 홈의 바닥벽을 개열시켜 전지 내압을 해방시키는 것은 곤란하게 되어 있다. 개열성을 올리기 위하여 덮개에 설치한 개열 벤트를 크게 하거나, 그 박막부나 두께가 얇은 부의 두께를 얇게 하면 전지낙하 등의 충격시에 벤트 의 파손이나, 덮개의 변형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통상의 전지 저장시에서도 벤트가 개열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3, 4,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내의 내압 상승에 의한 전지의 팽창에 의한 변형을 이용하여 전지 내의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개열하는 벤트구조가 사용되도록 되었으나, 내충격성 개선과의 양립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256944호 공보(2 ~ 4 페이지, 도 1 ~ 12)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11-273640호 공보(3 ~ 5 페이지, 도 4 ~ 8)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평10-261391호 공보(2 ~ 3 페이지, 도 2 ~ 4)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2000-260410호 공보(2 ~ 3 페이지, 도 1, 2)
[특허문헌 5]
일본국 특개2002-008615호 공보(2 ~ 4 페이지, 도 1, 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 개열 벤트를 비교적 낮은 작동압으로 안정되게 개열시킬 수 있고, 또한 전지 낙하시 등의 충격에 대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밀폐 각형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밀폐 각형 전지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지캔(1)의 개구 상면을 막는 좌우 가로로 긴 덮개(3)와, 덮개(3)에 배치되어 전지 내압이 이상 상승하였을 때에 개열되는 개열 벤트(16)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밀폐 각형 전지에서, 본 발명의 개열 벤트(1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3)의 바깥 면측으로서 덮개(3)의 좌우방향 중 어느 한쪽의 끝 근처의 타원형상의 가장 바깥 코이닝부(17) 내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둘레 홈(19)과 그것에 둘러 싸이는 두께가 얇은 밸브체(25)를 가진다. 둘레 홈(19)은 덮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직선형상의 긴 변부(20, 21)와 상기 긴 변부를 연결하는 원호형상부(22, 23)로 형성되어 있고, 본원에서는 상기 긴 변부(20), 두께가 얇은 밸브체(25), 긴 변부(21)의 두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긴 변부(20), 긴 변부(21), 두께가 얇은 밸브체(25)의 두께가 이 순서대로 두꺼워지도록 치수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긴 변부(20)의 두께를 1이라 하였을 때에, 긴 변부(21)의 두께는 1.5∼3.0으로, 두께가 얇은 밸브체(25)의 두께를 2.0∼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원의 박형 밀폐 각형 전지에 있어서, 안정되고 확실하게 벤트의 개열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긴 변부(20)의 두께는 2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40㎛가 더욱 바람직하다. 긴 변부(20)의 두께가 20㎛보다 얇으면 전지 낙하 등의 충격시에 벤트의 파손이 일어나기 쉬울 뿐만 아니라, 통상의 전지 저장시에서 벤트가 개열되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또, 50㎛보다 두꺼우면 개열압이 높아져 벤트의 개열전에 전지가 파열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둘레 홈의 폭 치수는 커지면 벤트의 작동압이 높아져 개열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0.15∼0.3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지 내압이 이상 상승하면 전지가 팽창 변형되나, 그 거동을 구체적으로 관찰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캔(1)의 면적이 큰 전후 벽의 중앙부분이 전후방향으로 팽창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3)는 그 중앙부분이 전지의 안쪽으로 만곡하고, 좌우방향의 끝부측이 솟아오른 굴곡형상으로 변형된다.
이 전지의 변형에 의하여 각각의 부위에 인장력이 작용하나, 개열 벤트(16)에 서 2개의 긴 변부(20, 21)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두께가 얇은 긴 변부(20)에 균열이 생겨 그곳으로부터 가스가 빠져 나오려고 한다. 그러나 이 가스가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변형되기 어렵고, 면적이 큰 두께가 얇은 밸브체(25)를 전지 바깥쪽으로 미는 힘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긴 변부(20)의 홈부가 완전히 개열되어 가스의 분출하는 힘과 전지변형에 의한 힘으로 두께가 얇은 밸브체부(25)가, 긴 변부(21)의 부분에서 구부러져 크게 개구하여 신속하게 전지 내의 가스가 빠져 나가게 되어 전지의 파열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타원형의 개열 벤트(16)의 짧은 쪽의 폭(W2)이, 상기 전지캔의 개구 상면을 막는 좌우 가로로 긴 덮개(3)의 짧은 쪽의 폭(W1)의 60% 이상이면 전지 내압에 의한 개열이 일어나기 쉽게 되어 바람직하다.
단, 전지 낙하시에 개열 벤트(16)의 파손이나,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덮개(3)의 변형이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하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덮개(3)의 바깥 면측으로서 덮개(3)의 좌우방향 중 어느 한쪽의 끝 근처의 가장 바깥 코이닝부(17)를 직사각형상으로부터 타원형상으로 함으로써 그 원호형상의 형상에 의하여 전지 낙하시에 대표되는 외력에 의한 덮개(3)의 변형에 대한 강도를 올릴 수 있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박형 밀폐 각형 전지로서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실시예 1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에 좌우 가로로 긴 개구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각진 통형상의 전지캔(1)과, 전지캔(1) 내에 수용된 전극체(2) 및 비수전해액과, 전지캔(1)의 개구 상면을 막는 좌우 가로로 긴 덮개(3)와, 덮개(3)의 안쪽에 배치되는 플라스틱제의 절연체(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전지캔(1)은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판재를 딥드로잉 가공하여 상하 세로로 긴 박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좌우 폭 치수를 34 mm, 상하 높이 치수를 50 mm, 전후 두께 치수를 3.8 mm로 하였다.
전극체(2)는 시트(sheet)형상의 양극과 음극을 미세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를 사이로 하여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겨져 이루어진다. 양극의 전극으로부터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박판형상의 양극집전 리드(6)가 상향으로 도출되어 있다. 음극의 전극으로부터는 니켈이나 구 리, 또는 이것들의 클래드(clad)체 등의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박판형상의 음극 집전 리드(7)가 상향으로 도출되어 있다.
덮개(3)는 알루미늄합금 등의 판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덮개(3)의 중앙에는 윗쪽의 절연 패킹(9) 및 아래쪽의 절연판(10)을 거쳐 음극단자(11)가 관통형상으로 설치된다. 덮개(3)의 좌우방향의 우단 근처에는 전해액을 전지캔(1) 내에 주입하기 위한 원형의 주액구멍(12)이 상하 관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액구멍(12)은 전해액의 주입후에 마개(13)로 막아 입구를 봉한다.
음극단자(11)의 하단에는 덮개(3)의 내면에서 좌우 가로로 긴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리드체(15)가 접속되어 있다. 리드체(15)는 상기 주액구멍(12)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아래쪽의 절연판(10)으로 덮개(3)와 절연되어 있다. 이 리드체(15)의 하면에 음극 집전 리드(7)를 용접한다. 양극 집전 리드(6)는 덮개(3)의 이면에서 절연판(10)과 주액구멍(12) 사이의 스페이스에 용접한다. 이것으로 양극 집전 리드(6)가 덮개(3) 및 전지캔(1)에 도통하여 덮개(3) 및 전지캔(1)이 양극 전위로 대전한다.
전지의 조립시에는 덮개(3)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음극단자(11), 상하의 절연패킹(9, 10) 및 리드체(15)를 설치하여 봉구체(封口體)를 형성하고, 전극체(2)를 전지캔(1) 내에 수용한 후에 음극 집전 리드를 봉입체의 리드체(15)에, 양극 집전 리드(6)를 봉구체의 덮개(3)에 각각 상기한 요령으로 용접한다. 다음에 봉구체를 전지캔(1)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레이저로 시일용접한 후, 전해액을 주액구멍(12)에 주입하여 주액구멍(12)을 봉구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지가 완성된다.
덮개(3)의 좌우방향의 한쪽 끝 근처(도면의 좌측 끝 근처)에는 전지 내압이 이상 상승하였을 때에 개열하는 개열 벤트(16)가 형성되어 있다. 개열 벤트(16)는 제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3)의 바깥 면측에 타원형상의 가장 바깥 코이닝부(17) 내에 형성한 좌우 가로로 길고, 타원형상의 둘레 홈(19)과 게다가 둘러싸이는 두께가 얇은 밸브체(25)로 이루어진다.
둘레 홈(19)은 전지의 전후의 긴 변부(20, 21) 및 이 긴 변부를 연결하는 원호형상의 홈부(22, 23)로 이루어지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 내압 상승에 의한 전지 변형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측면의 중앙부분이 전지의 안쪽으로 만곡하고, 폭방향에서의 좌우 끝부측이 솟아오른 굴곡형상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덮개(3)의 변형은 폭방향에서의 (좌우)끝부측의 쪽이 커지기 때문에 개열 벤트(16)가 개열을 일으키기 쉬우나, 전지 낙하시와 같은 외부로부터의 충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개열 벤트(16)가] 파손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개열 벤트(16)는 덮개(3)의 폭방향에서의 끝부보다 약간 안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레 홈(19)으로 둘러 싸인 부분이 좌우 가로로 긴 두께가 얇은 밸브체(25)로 이루어져 있다. 둘레 홈의 홈 폭치수는, 모두 0.2 mm로 설정하였다. 또한 둘레 홈(19)은 프레스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홈(19)의 긴 변부(21)의 두께는, 그것 이외의 홈부(20·21·23)보다도 두껍게 치수 설정하였다. 즉, 긴 변부(21)의 홈부의 두께치수(T2)는 0.07 mm에 대하여, 긴 변부(20), 원호부(22 및 23)의 각 홈부의 두 께치수(T1)는 각각 0.031 mm로 설정을 행하였다. 즉 T2/T1는 2.3 이다. 두께가 얇은 밸브체(25)의 두께(T3)는 0.135 mm로 설정을 행하였다. 즉 T3/T1은 4.4 이다. 덮개(3)는 좌우 폭치수를 33.26 mm, 전후 폭치수를 3.62 mm, 상하 두께 치수를 0.8 mm로 하였다. 개열 벤트(16)는 전지 내압이 이상 상승하여 전지에 팽창 변형이 생겼을 때에 덮개(3)가 굴곡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개열 벤트(16)의 좌우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덮개(3)의 좌단까지의 길이 치수(L1)를 5.8 mm로 설정하였다. 개열 벤트(16)는 좌우 폭치수를 4.9 mm, 전후 폭치수를 2.3 mm로 하였다. 즉 덮개(3)의 전후 폭치수에 대한 개열 벤트(16)의 전후 폭치수의 비율은 63.5% 이다.
개열 벤트(16)의 좌우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덮개(3)의 좌단까지의 길이 치수(L1)와, 덮개(3)의 좌우 폭치수(L2)와의 비율(L1/L2)은 0.1∼0.25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실시예 1에서는 0.18이다. 상기 비율이 0.1보다 작으면 개열 벤트(16)가 덮개(3)의 좌단에 너무 근접하여 전지 내압의 상승시에 개열 벤트(16)가 좌우방향으로 압축되어 개열되기 어렵워진다. 상기 비율이 0.25보다 커지면 개열 벤트(16)가 전지의 중앙측에 너무 근접하여 개열 벤트(16)의 하면에 리드체(15)가 겹쳐 전지 내부로부터의 가스분출이 방해되어 전지가 파열될 염려가 있다.
(실시예 2)
긴 변부(21)의 바닥벽의 두께치수(T2)를 0.08 mm로 하고, 긴 변부(20), 원호부(22 및 23)의 각 홈부의 두께치수(T1)는 각각 0.034 mm로 치수 설정하였다. 즉 T 2/T1은 2.4이다. T3/T1은 4.0 이다. 그 밖의 점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긴 변부(21)의 바닥벽의 두께치수(T2)를 0.07 mm로 하고, 긴 변부(20), 원호부(22 및 23)의 각 홈부의 두께치수(T1)는 각각 0.028 mm로 치수 설정하였다. 즉 T2/T1은 2.5 이다. T3/T1은 4.8 이다. 그 밖의 점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4)
전지의 전후 두께 치수를 4.0 mm로 설정하고, 이것에 맞추어 개열 벤트(16)의 전후 폭치수를 2.5 mm로 치수 설정하였다. 긴 변부(21)의 바닥벽의 두께치수(T2)를 0.07 mm로 하고, 긴 변부(20), 원호부(22 및 23)의 각 홈부의 두께치수(T1)는 각각 0.037 mm로 치수 설정하였다. 즉 T2/T1은 1.9 이다. 또 두께가 얇은 밸브체의 두께 (T3)는 0.15 mm로 치수 설계하였다. 즉, T3/T1은 4.1 이다. 그 밖의 점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5)
긴 변부(21)의 바닥벽의 두께치수(T2)를 0.07 mm로 하고, 긴 변부(20), 원호부(22 및 23)의 각 홈부의 두께치수(T1)를 각각 0.034 mm로 치수 설정하였다. 즉 T2/T1은 2.1이다. 그 밖의 점은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6)
전지의 좌우 폭 치수를 30 mm, 상하 높이치수를 48 mm로 치수 설정하였다. 긴 변부(21)의 두께(T2)를 0.07 mm로 하고, 긴 변부(20), 원호부(22 및 23)의 각 홈부의 두께치수(T1)는 각각 0.033 mm로 치수 설정하였다. 즉 T2/T1은 2.1 이다. 또 개열 벤트(16)의 좌우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덮개(3)의 좌단까지의 길이 치수(L1)는 4.75 mm 이고, 덮개(3)의 좌우 폭 치수(L2)는 28.95 mm 이고, 비율(L1/L2)은 0.16 이다. 그 밖의 점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7)
긴 변부(21)의 바닥벽의 두께치수(T2)를 0.08 mm로 하고, 긴 변부(20), 원호부(22 및 23)의 각 홈부의 두께치수(T1)는 각각 0.033 mm로 치수 설정하였다. 즉 T2/T1은 2.4이다. 그 밖의 점은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1)
개열 벤트를 구성하는 홈부의 두께치수(T1)를 모두 0.032 mm로 치수 설정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즉 T2/T1은 1.0 이다.
(비교예 2)
개열 벤트를 구성하는 홈부의 두께치수(T1, T2)를 모두 0.04 mm 로 치수 설정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즉 T2/T1은 1.0 이다.
(비교예 3)
긴 변부(20), 원호부(22 및 23)의 각 홈부의 두께치수(T1)는 각각 0.35 mm로 치수 설정하고, 긴 변부(21)의 바닥벽의 두께치수(T2)와, 두께가 얇은 밸브체(25)의 두께(T3)를 동일한 0.065 mm로 치수 설정하고, 둘레 홈(19)에 있어서의 긴 변부(21)부분의 홈을 없앤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즉 T2/T1은 1.9이고, T3/T1은 1.0이다.
(비교예 4)
개열 벤트를 구성하는 홈부의 두께치수(T1)를 모두 0.033 mm로 치수 설정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였다. 즉 T2/T1은 1.0 이다.
(비교예5)
개열 벤트를 구성하는 홈부의 두께치수(T1, T2)를 모두 0.032 mm로 치수 설정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였다. 즉 T2/T1은 1.0 이다.
(비교예 6)
가장 바깥 코이닝부(17)의 형상을 도 5에 나타내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한 것 및 긴 변부(21)의 바닥벽의 두께치수(T2)를 0.07 mm, 긴 변부(20), 원호부(22 및 23)의 각 홈부의 두께치수(T1)는 각각 0.03 mm로, 또 두께가 얇은 밸브체(25)의 두께는 0.135 mm로 치수 설정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즉 T2/T1은 2.3이고, T3/T1은 4.5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에 관한 전지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전지를 각각 준비하여 개열 벤트(16)의 작동압을 측정함과 동시에 계열성을 확인하였다. 여기서는 각 전지캔(1) 내에 전극체(2) 및 전해액을 수용하는 것 대신에, 전지캔(1)의 바닥벽에 구멍을 뚫어 이 구멍으로부터 전지 내에 물을 주입하여 전지 내압(수압)을 서서히 상승시켜 개열 벤트(16)의 작동압의 측정 및 개열성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작동압의 측정에서는 개열 벤트(16)가 개방 또는 균열이 생겨 물이 새어 나갔을 때의 수압을 작동압으로서 측정하였다. 상기 개열성의 확인에서는 긴 변부(21) 이외의 홈부가 대략 완전하게 개열하였다고 육안으로 확인된 갯수를 세었다. 측정 시료수는 각 50개이다. 낙하시험은 전지의 6개의 각각의 면이 밑이 되도록 하여 1.5 m의 높이로부터 2회씩 철판 위로 낙하시키는 것을 1세트로 하여 5세트후의 개열 벤트(16)의 손상 및 덮개(3)의 변형을 볼 수 있었던 갯수를 확인하였다. 측정시료는 각 10개이다. 표 1은 그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65832150-PAT00001
상기 작동압의 측정에서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의 크기가 동일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을 비교하면 어느 것이나 긴 변부(21)를 긴 변부(20)의 막두께보다 두껍게 설정함으로써 작동압이 낮고, 개열성이 극단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효과는 전지의 크기를 바꾸어도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두께가 얇은 밸브체(25)와 긴 변부(21)의 두께를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개열시에 두께가 얇은 밸브체(25)의 변형도 일어나기 때문에, 긴 변부(21) 이 외의 홈부가 깨끗하게 개열하지 않게 되어 작동압의 상승, 개열성의 저하가 보였다.
또, 가장 바깥 코이닝부(17)의 형상을 타원형상으로 함으로써, 낙하시험에서의 개열 벤트(16) 및 덮개(3)의 변형이 개선되었다.
또, 가장 바깥 코이닝부(17)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부터 타원형상으로 함으로써 낙하 시험시의 덮개의 변형이 개선되었다.
즉, 본 발명의 개열 벤트(16)에서 긴 변부(20), 긴 변부(21), 두께가 얇은 밸브체(25)의 두께가 이 순서대로 두꺼워지도록 치수 설정한 것에 의하여 전지 내압의 이상 상승시에 개열 벤트(16)가 안정되고, 확실하게 작동한다.
둘레 홈(19)은, 개열 벤트(16)의 바닥벽의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개열 벤트(16)를 더욱 안정되고, 확실하게 개열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전지캔의 개구 상면을 막는 좌우 가로로 긴의 덮개와, 상기 덮개에 배치하여 전지 내압이 이상 상승하였을 때에 개열하는 두께가 얇은 밸브체를 가지는 개열 벤트(vent)를 포함하는 밀폐 각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개열 벤트는, 상기 덮개의 바깥 면측으로서 상기 덮개의 좌우방향 중 어느 한쪽의 끝 근처의 타원형상의 코이닝부 내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둘레 홈과 이것에 둘러 싸인 두께가 얇은 밸브체를 가지고, 상기 타원형상의 둘레 홈이 덮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긴 변형상의 박막부와, 이들 긴 변부를 연결하는 원호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로 구성되고, 한쪽의 긴 변형상부의 두께가 얇은 부, 다른쪽의 긴 변형상부의 두께가 얇은 부, 개열 벤트의 두께가 얇은 밸브체의 순서대로 두께가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각형 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홈의 다른쪽의 긴 변부의 두께가 얇은 부의 두께가 상기 둘레 홈의 한쪽의 긴 변부의 두께가 얇은 부의 두께의 1.5∼3.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각형 전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열 벤트의 두께가 얇은 밸브체의 두께가 상기 둘레 홈의 한쪽의 긴 변부의 두께가 얇은 부의 두께의 2.0∼5.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각형 전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상의 개열 벤트의 단축의 폭이, 상기 전지캔의 개구 상면을 막는 좌우 가로로 긴의 덮개의 짧은 쪽의 폭의 60∼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각형 전지.
KR1020060088115A 2005-09-13 2006-09-12 밀폐 각형 전지 KR101011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115A KR101011179B1 (ko) 2005-09-13 2006-09-12 밀폐 각형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64745 2005-09-13
KR1020060088115A KR101011179B1 (ko) 2005-09-13 2006-09-12 밀폐 각형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686A true KR20070030686A (ko) 2007-03-16
KR101011179B1 KR101011179B1 (ko) 2011-01-26

Family

ID=4365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115A KR101011179B1 (ko) 2005-09-13 2006-09-12 밀폐 각형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1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592B1 (ko) * 2012-05-22 2015-02-05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전지 케이스 덮개 및 전지 케이스 덮개의 방폭 밸브의 형성 방법
US8974931B2 (en) 2012-08-08 2015-03-10 Samsung Sdi Co., Ltd. Cylindric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20160123787A (ko) * 2015-04-17 2016-10-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559341B2 (en) 2013-07-16 2017-01-3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vent unit at a joint in a cap plate
US10135058B2 (en) 2014-08-11 2018-11-20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multi-layer v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9972B2 (en) 2011-09-28 2016-03-2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separating member between current collector and battery case
CN107123774B (zh) * 2016-02-25 2019-10-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5734B2 (ja) * 2001-12-20 2008-09-2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の安全弁
JP2004111155A (ja) * 2002-09-17 2004-04-08 Alps Electric Co Ltd 電池の安全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219661B2 (ja) * 2002-11-22 2009-0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用封口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592B1 (ko) * 2012-05-22 2015-02-05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전지 케이스 덮개 및 전지 케이스 덮개의 방폭 밸브의 형성 방법
US8974931B2 (en) 2012-08-08 2015-03-10 Samsung Sdi Co., Ltd. Cylindric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9559341B2 (en) 2013-07-16 2017-01-3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vent unit at a joint in a cap plate
US10135058B2 (en) 2014-08-11 2018-11-20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multi-layer vent
KR20160123787A (ko) * 2015-04-17 2016-10-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179B1 (ko)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6671B2 (ja) 密閉角形電池
KR100945067B1 (ko) 밀폐 각형 전지
KR101111073B1 (ko) 이차전지용 캡 어셈블리
US8277970B2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n non-sealing residue portion
KR100551885B1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KR101165066B1 (ko) 미실링 잉여부를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011179B1 (ko) 밀폐 각형 전지
KR20090099241A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20060118959A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JP2006012831A (ja) 二次電池,二次電池のキャップ組立体,及び二次電池の安全バルブの取り付け方法
CN101567431A (zh) 电池组
KR100995764B1 (ko) 용량이 증가된 원통형 전지
EP2264811A1 (en) Secondary battery
CN106887539B (zh) 密封型电池、封口体以及电动汽车
KR100914115B1 (ko) 이차전지
KR100965718B1 (ko) 이차 전지
KR100795680B1 (ko) 이차전지
KR100601508B1 (ko) 종압축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
KR20060102752A (ko) 리튬 이차전지
JP3734210B2 (ja) 密閉型電池
JP2004178820A (ja) 電池用封口板
JP2007188711A (ja) 密閉型電池
US20120208075A1 (en) Secondary Battery
KR100601552B1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0238937B1 (ko) 박형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