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233B1 -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 Google Patents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233B1
KR100602233B1 KR1020050026642A KR20050026642A KR100602233B1 KR 100602233 B1 KR100602233 B1 KR 100602233B1 KR 1020050026642 A KR1020050026642 A KR 1020050026642A KR 20050026642 A KR20050026642 A KR 20050026642A KR 100602233 B1 KR100602233 B1 KR 100602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variable
circumferential surface
compression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웅
유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회베인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구동부에 의해 회전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됨에 따라 압축기의 압축용량이 가변되도록 하는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이격되고 상호 대칭된 한 쌍의 가변편심부가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가변편심부에 압축용량이 서로 다른 제1압축부와 제2압축부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이 구동부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압축부와 제2압축부가 압축 또는 아이들링되어 압축용량이 가변되는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가변편심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의 외주면에 편심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편심부시와; 상기 편심캠과 편심부시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시의 편심반경을 연장 또는 단축시키는 상태로 상기 편심부시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가변고정부를; 포함한다.
선회베인, 압축기, 용량, 가변

Description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Variable capacity type orbiting vane compressor}
도 1은 종래의 선회베인 압축기를 보인 전체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선회베인 압축기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선회베인 압축기의 요부를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회베인 압축기의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압축부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압축부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정회전 운전 시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평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역회전 운전 시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요부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변편심부
11 : 편심캠 12 : 편심부시
13 : 가변고정부
131 : 외측홈 132 : 외측턱 133 : 스토퍼
134 : 내측홈 135 : 내측턱 136 : 정지면
10a : 회전축
20 : 제1압축부
21 : 제1실린더
211 : 제1환형공간 212 : 제1흡입구 213 : 제1내측링
214 : 제1토출구
22 : 제1선회베인
30 : 제2압축부
31 : 제2실린더
311 : 제2환형공간 312 : 제2흡입구 313 : 제2내측링
314 : 제2토출구
32 : 제2선회베인
40 : 중간판
본 발명은 선회베인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구동부에 의해 회전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됨에 따라 압축기의 압축용량이 가변되도록 하는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회베인 압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 흡입튜브(101)를 통해 냉매가 흡입되어 상부측 토출튜브(10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나의 쉘(100)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메인프레임(700) 및 서브프레임(700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하부측에 편심부(600a)를 포함하는 회전축(600)과;
상기 회전축(6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600)을 구동시키는 로터(300)와 스테이터(200)로 구성되는 구동부(D)와;
상기 회전축(600)의 편심부(600a)에 선회베인(400)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600)에 의해 하부측에 있는 실린더(500)와 그 내측링(502)의 사이에 형성된 환형공간(501)에서 상기 선회베인(400)의 원형베인(401)이 삽입되어 선회운동을 하고, 이 선회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500)의 일측 흡입구(503)를 통해 흡입된 냉매가스가 압축되어 쉘(100)의 내부로 토출되는 압축부(P)로 구성된다.
상기 선회베인(400)의 선회운동에 의해 실린더(500)의 환형공간(501)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는 상기 실린더(500)와 서브프레임(700a)을 통과하면서 상기 서브프레임(700a)의 하면을 둘러싸는 머플러(800)로 토출되고, 상기 머플러(800)에 구비 된 토출파이프(900)를 통해 쉘(100)의 내부로 토출된다.
도 2는 종래의 선회베인 압축기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선회베인 압축기의 요부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선회베인 압축기는 내측링(502)의 사이에 환형공간(501)을 가지고,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링(502)에 오일이 채워지는 실린더(500)와; 상기 환형공간(501)과 내측링(502)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는 원형베인(401)과 보스부(402)를 경판(403)의 하면에 갖고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베인(400)과; 상기 원형베인(401)에 형성된 단부(401a)에 일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환형공간(501)에 삽입된 상태로 습동되는 슬라이더(S)를 갖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회베인 압축기는 원형베인(401)이 환형공간(501)의 내부에서 선회운동을 하면서 실린더(500)의 흡입구(503)를 통해 흡입된 냉매가스를 상기 원형베인(401)의 내외측에서 압축하여 한 쌍의 압축실을 형성하고, 이렇게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스는 상기 실린더(500)에 형성된 한 쌍의 토출구(504)를 통해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S)는 원형베인(401)의 단부(401a)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원형베인(401)의 내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압축실 사이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압축부를 갖는 선회베인 압축기는 그 압축용량을 가변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선회베인 압축기는 압축용량의 가변이 어려움으로 사용 및 적용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구동부에 의해 회전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됨에 따라 압축기의 압축용량이 가변되도록 하는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가변고정부를 통해 회전축의 정,역회전에 따라 편심반경이 가변된 상태로 편심부시가 회전축에 원활히 고정되도록 하는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는 상하로 이격되고 상호 대칭된 한 쌍의 가변편심부가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가변편심부에 압축용량이 서로 다른 제1압축부와 제2압축부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이 구동부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압축부와 제2압축부가 압축 또는 아이들링되어 압축용량이 가변되는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가변편심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의 외주면에 편심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편심부시와; 상기 편심캠과 편심부시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시의 편심반경을 연장 또는 단축시키는 상태로 상 기 편심부시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가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고정부는, 상기 편심캠의 최대 편심부위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양단에 외측턱을 갖는 원호형의 외측홈과, 상기 외측턱에 맞닿아 걸리도록 상기 외측홈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편심부시의 최대 편심부위에서 벗어난 위치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고정부는, 상기 편심부시의 최대 편심부위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형성되고 양단에 내측턱을 갖는 원호형의 내측홈과, 상기 내측턱에 맞닿아 걸리도록 상기 내측홈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편심캠의 최대 편심부위에서 벗어난 위치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고정부는, 상기 편심캠의 최대 편심부위에 대응되는 외주면이 수직 단면을 갖도록 절단되어 형성되는 정지면과, 상기 정지면의 일측에 맞닿고 상기 편심부시의 최대 편심부위에서 벗어난 위치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지면과 맞닿는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회베인 압축기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는 구동부에 의해 회 전되고 한 쌍의 가변편심부(10)를 갖는 회전축(10a)과, 하나의 가변편심부(1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0a)의 정회전에 따라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제1압축부(20)와, 다른 하나의 가변편심부(1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0a)의 역회전에 따라 냉매가스를 압축하고 상기 제1압축부(20)와 압축용량의 차이를 갖는 제2압축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0a)은 쉘의 내부에 상하로 설치된 메인프레임(2)과 서브프레임(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로터와 스테이터로 구성되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하부측에 상하로 이격되면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가변편심부(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편심부(10)는 회전축(10a)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편심캠(11)과, 상기 편심캠(11)의 외주면에 편심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편심부시(12)와, 상기 편심캠(11)과 편심부시(1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0a)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시(12)의 편심반경을 연장 또는 단축시키는 상태로 상기 편심부시(12)를 상기 회전축(10a)에 고정시키는 가변고정부(13)로 구성된다.
상기 가변편심부(10)는 가변고정부(13)를 통해 회전축(10a)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편심캠(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편심부시(12)의 편심반경을 연장 또는 단축시켜 선회베인(22)(32)의 선회반경이 자연스럽게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함으로써, 압축부(20)(30)가 압축을 수행하거나 아이들링 즉 공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변고정부(13)는 회전축(10a)의 정,역회전에 따라 편심캠(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편심부시(12)를 고정시켜 상기 편심부시(12)의 선회반경이 연장 또는 단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가변편심부(10)는 하부측에 설치된 제1압축부(20)와 상기 제1압축부(2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2압축부(30)에 각각 상하로 대칭되게 설치됨으로써, 회전축(10a)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제1압축부(20)가 압축을 수행하면 그에 반하여 상기 제2압축부(30)가 아이들링되고, 상기 제1압축부(20)가 아이들링되면 그에 반하여 상기 제2압축부(30)가 압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호 압축용량의 차이를 갖는 상기 압축부(20)(30)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전되어 압축용량이 원활히 가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압축부(20)는 서브프레임(3)의 상면으로 설치되는 제1실린더(21)와, 상기 제1실린더(21)에 삽입되고 하부에 위치된 가변편심부(10)에 결합되는 제1선회베인(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압축부(20)는 회전축(10a)의 정회전 시에 가변편심부(10)에 결합된 제1선회베인(22)의 선회반경이 길어져 제1실린더(21)의 내부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압축하고, 상기 회전축(10a)의 역회전 시에는 상기 제1선회베인(22)의 선회반경이 짧아져 상기 제1실린더(21)의 내부에서 아이들링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압축부(20)는 회전축(10a)의 정회전 시에 압축을 수행하면서 상기 회전축(10a)의 역회전 시에는 아이들링 즉 공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2압축부(30)는 메인프레임(2)의 하면으로 형성되는 제2실린더(31)와, 상기 제2실린더(31)에 삽입되고 상부에 위치된 가변편심부(10)에 결합되는 제2선회베인(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압축부(30)는 회전축(10a)의 정회전 시에 가변편심부(10)에 결합된 제2선회베인(32)의 선회반경이 짧아져 제2실린더(31)의 내부에서 아이들링되고, 상기 회전축(10a)의 역회전 시에는 상기 제2선회베인(32)의 선회반경이 길어져 상기 제2실린더(31)의 내부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압축부(30)는 회전축(10a)의 정회전 시에 아이들링되면서 상기 회전축(10a)의 역회전 시에는 압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압축부(20) 및 제2압축부(30)는 상호 압축용량의 차이를 가지고 있고, 이 압축용량의 차이는 제1실린더(21)에 형성되는 제1환형공간(211)의 수직길이와 제2실린더(31)에 형성되는 제2환형공간(311)의 수직길이의 차이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환형공간(211)의 수직길이가 제2환형공간(311)의 수직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제1압축부(20)의 압축용량이 제2압축부(30)의 압축용량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압축부(20)와 제2압축부(30)의 사이에는 중간판(40)이 구비되는데, 상기 중간판(40)은 제1선회베인(22)의 제1경판(222) 상면과 제2선회베인(32)의 제2경판(322) 하면의 사이에 밀착되면서 제1실린더(21)의 상면과 제2실린더(31)의 하면 사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1실린더(21)와 제2실린더(31)를 구획하고 상 기 선회베인(22)(32)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선회베인(22)(32)의 자전을 방지하는 자전방지기구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압축부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축부(20)는 내부면과 제1내측링(213)의 사이에 제1환형공간(211)을 갖는 제1실린더(21)와, 가변편심부(1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환형공간(211)에 삽입되고 제1원형베인(221)을 갖는 제1선회베인(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압축부(20)는 회전축(10a)의 정회전으로 가변편심부(10)에 의해 제1원형베인(221)의 선회반경이 길어진 경우에 제1실린더(21)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흡입구(212)를 통해 제1환형공간(211)으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상기 제1원형베인(221)의 선회운동으로 압축하여 슬라이더(S)에 의해 밀봉되는 한 쌍의 압축실을 형성하고, 이 압축실에 압축된 냉매가스는 한 쌍의 제1토출구(214)를 통해 하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0a)의 역회전 시에는 가변편심부(10)에 의해 제1원형베인(221)의 선회반경이 짧아져 상기 제1원형베인(221)이 제1환형공간(211)에서 아이들링 즉 공회전되어 압축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가변편심부(10)는 회전축(10a)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편심캠(11)과, 상기 편심캠(11)의 외주면에 편심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 는 편심부시(12)와, 상기 편심캠(11)과 편심부시(1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편심부시(12)를 상기 회전축(10a)에 고정시키는 가변고정부(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고정부(13)는 편심캠(11)의 최대 편심부위(m)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양단에 외측턱(132)을 갖는 원호형의 외측홈(131)과, 상기 외측턱(132)에 맞닿아 걸리도록 상기 외측홈(131)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편심부시(12)의 최대 편심부위(M)에서 벗어난 위치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스토퍼(133)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홈(131)은 회전축(10a)의 중심(C)을 기준으로 편심캠(11)의 최대 편심부위(m)의 근처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형성된 상태로 양단에 외측턱(132)을 갖고, 상기 외측턱(132)에 맞닿도록 스토퍼(133)가 상기 회전축(10a)의 중심(C)을 기준으로 최대 편심부위(M)에서 벗어난 위치에 대응되는 편심부시(12)의 내주면에 부착됨으로써, 회전축(10a)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외측턱(132)이 상기 스토퍼(133)에 맞닿으면서 상기 편심부시(12)의 선회반경이 연장되거나 단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시(12)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고정부(13)에 의해 편심부시(12)의 편심반경이 연장 또는 단축됨으로써, 상기 편심부시(12)에 결합되는 제1선회베인(22)의 선회반경이 길어지거나 짧아져 상기 제1선회베인(22)의 제1원형베인(221)이 제1환형공간(211)의 내부면에 밀착되거나 이탈되고, 그에 따라 제1압축부(20)가 회전축(10a)의 정,역회전에 따라 압축을 수행하거나 또는 아이들링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압축부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압축부(30)는 내부면과 제2내측링(313)의 사이에 제2환형공간(311)을 갖는 제2실린더(31)와, 가변편심부(1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환형공간(311)에 삽입되고 제2원형베인(321)을 갖는 제2선회베인(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압축부(30)는 회전축(10a)의 역회전으로 가변편심부(10)에 의해 제2원형베인(321)의 선회반경이 길어진 경우에 제2실린더(31)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흡입구(312)를 통해 제2환형공간(311)으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상기 제2원형베인(321)의 선회운동으로 압축하여 슬라이더(S)에 의해 밀봉되는 한 쌍의 압축실을 형성하고, 이 압축실에 압축된 냉매가스는 상기 제2환형공간(311)과 연통되면서 메인프레임(2)에 형성된 한 쌍의 제2토출구(314)를 통해 상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0a)의 정회전 시에는 가변편심부(10)에 의해 제2원형베인(321)의 선회반경이 짧아져 상기 제2원형베인(321)이 제2환형공간(311)에서 아이들링 즉 공회전되어 압축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가변편심부(10)는 회전축(10a)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편심캠(11)과, 상기 편심캠(11)의 외주면에 편심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편심부시(12)와, 상기 편심캠(11)과 편심부시(1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편심부시(12)를 상기 회전축(10a)에 고정시키는 가변고정부(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고정부(13)는 편심캠(11)의 최대 편심부위(m)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양단에 외측턱(132)을 갖는 원호형의 외측홈(131)과, 상기 외측턱(132)에 맞닿아 걸리도록 상기 외측홈(131)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편심부시(12)의 최대 편심부위(M)에서 벗어난 위치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스토퍼(133)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외측홈(131)은 회전축(10a)의 중심(C)을 기준으로 편심캠(11)의 최대 편심부위(m)의 근처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형성된 상태로 양단에 외측턱(132)을 갖고, 상기 외측턱(132)에 맞닿도록 스토퍼(133)가 상기 회전축(10a)의 중심(C)을 기준으로 최대 편심부위(M)에서 벗어난 위치에 대응되는 편심부시(12)의 내주면에 부착됨으로써, 회전축(10a)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외측턱(132)이 상기 스토퍼(133)에 맞닿으면서 상기 편심부시(12)의 선회반경이 연장되거나 단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시(12)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고정부(13)에 의해 편심부시(12)의 편심반경이 연장 또는 단축됨으로써, 상기 편심부시(12)에 결합되는 제2선회베인(32)의 선회반경이 길어지거나 짧아져 상기 제2선회베인(32)의 제2원형베인(321)이 제2환형공간(311)의 내부면에 밀착되거나 이탈되고, 그에 따라 제2압축부(30)가 회전축(10a)의 정,역회전에 따라 아이들링되거나 또는 압축을 수행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정회전 운전 시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0a)이 시계방향으로 정회전되면, 상기 회 전축(10a)의 외주면에 장착된 편심캠(11)이 상기 회전축(10a)과 함께 정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편심캠(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홈(131)의 내부로 편심부시(12)의 내주면에 부착된 스토퍼(133)가 상기 외측홈(131)의 일측에 형성된 외측턱(132)에 걸리면서 상기 편심부시(12)의 편심반경이 연장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과 함께 정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편심부시(12)가 회전축(10a)에 고정되어 편심반경이 연장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에 의해 정회전되면, 상기 편심부시(12)에 결합된 제1선회베인(22)의 선회반경이 길어져 제1원형베인(221)이 제1환형공간(211)의 내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선회운동을 하면서 흡입된 냉매가스를 압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축(10a)의 정회전 시에 제1압축부(20)는 압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압축부(20)가 압축을 수행하는 중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0a)이 정회전되면 상기 회전축(10a)의 외주면에 장착된 편심캠(11)이 상기 회전축(10a)과 함께 정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편심캠(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홈(131)의 내부로 편심부시(12)의 내주면에 부착된 스토퍼(133)가 상기 외측홈(131)의 일측에 형성된 외측턱(132)에 걸리면서 상기 편심부시(12)의 편심반경이 단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과 함께 정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편심부시(12)가 회전축(10a)에 고정되어 편심반경이 단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에 의해 정회전되면, 상기 편심부시(12)에 결합된 제2선회베인(32)의 선회반경이 짧아져 제2원형베인(321)이 제2환형공간(311)의 내부면에서 이탈된 상태로 선회운동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축(10a)의 정회전 시에 제2압축부(30)는 압축을 수행하지 않고 아이들링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역회전 운전 시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0a)이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되면, 상기 회전축(10a)의 외주면에 장착된 편심캠(11)이 상기 회전축(10a)과 함께 역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편심캠(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홈(131)의 내부로 편심부시(12)의 내주면에 부착된 스토퍼(133)가 상기 외측홈(131)의 일측에 형성된 외측턱(132)에 걸리면서 상기 편심부시(12)의 편심반경이 단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과 함께 역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편심부시(12)가 회전축(10a)에 고정되어 편심반경이 연장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에 의해 역회전되면, 상기 편심부시(12)에 결합된 제1선회베인(22)의 선회반경이 짧아져 제1원형베인(221)이 제1환형공간(211)의 내부면에 이탈된 상태로 선회운동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축(10a)의 역회전 시에 제1압축부(20)는 압축을 수행하지 않고 아이들링된다.
상기와 같이 제1압축부(20)가 아이들링되는 중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0a)이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되면, 상기 회전축(10a)의 외주면에 장착된 편심캠(11)이 상기 회전축(10a)과 함께 역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편심캠(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홈(131)의 내부로 편심부시(12)의 내주면에 부착된 스토퍼(133)가 상기 외측홈(131)의 일측에 형성된 외측턱(132)에 걸리면서 상기 편심부시(12)의 편심반경이 연장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과 함께 역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편심부시(12)가 회전축(10a)에 고정되어 편심반경이 연장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에 의해 역회전되면, 상기 편심부시(12)에 결합된 제2선회베인(32)의 선회반경이 길어져 제2원형베인(321)이 제2환형공간(311)의 내부면에서 밀착된 상태로 선회운동을 하면서 흡입된 냉매가스를 압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축(10a)의 역회전 시에 제2압축부(30)는 압축을 수행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의 가변편심부(10)는 회전축(10a)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편심캠(11)과, 상기 편심캠(11)의 외주면에 편심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편심부시(12)와, 상기 편심캠(11)과 편심부시(1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편심부시(12)를 상기 회전축(10a)에 고정시키는 가변고정부(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고정부(13)는 편심부시(12)의 최대 편심부위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형성되고 양단에 내측턱(135)을 갖는 원호형의 내측홈(134)과, 상기 내측턱(135)에 맞닿아 걸리도록 상기 내측홈(134)의 내부로 돌출되고 편심캠(11)의 최대 편심부위에서 벗어난 위치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스토퍼(133)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홈(134)은 회전축(10a)의 중심(C)을 기준으로 편심부시(12)의 최대 편심부위(M)의 근처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형성된 상태로 양단에 내측턱(135)을 갖고, 상기 내측턱(135)에 맞닿도록 스토퍼(133)가 상기 회전축(10a)의 중심(C)을 기준으로 최대 편심부위(m)에서 벗어난 위치에 대응되는 편심캠(11)의 외주면에 부착 됨으로써, 상기 회전축(10a)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기 스토퍼(133)가 한 쌍의 상기 내측턱(135)에 맞닿으면서 상기 편심부시(12)의 선회반경이 연장되거나 단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시(12)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고정부(13)에 의해 편심부시(12)의 편심반경이 연장 또는 단축됨으로써, 상기 편심부시(12)에 결합되는 제1선회베인(22)의 선회반경이 길어지거나 짧아져 상기 제1선회베인(22)의 제1원형베인(221)이 제1환형공간(211)의 내부면에 밀착되거나 이탈되고, 그에 따라 제1압축부(20)가 회전축(10a)의 정,역회전에 따라 압축을 수행하거나 또는 아이들링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의 가변편심부(10)는 회전축(10a)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편심캠(11)과, 상기 편심캠(11)의 외주면에 편심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편심부시(12)와, 상기 편심캠(11)과 편심부시(1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편심부시(12)를 상기 회전축(10a)에 고정시키는 가변고정부(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고정부(13)는 편심캠(11)의 최대 편심부위(m)에 대응되는 외주면이 수직 단면을 갖도록 절단되어 형성되는 정지면(136)과, 상기 정지면(136)의 일측에 맞닿고 편심부시(12)의 최대 편심부위(M)에서 벗어난 위치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스토퍼(133)로 구성된다.
상기 정지면(136)의 일측에 맞닿도록 스토퍼(133)가 회전축(10a)의 중심(C) 을 기준으로 최대 편심부위(M)에서 벗어난 위치에 대응되는 편심부시(12)의 내주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회전축(10a)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기 스토퍼(133)가 상기 정지면(136)의 양측에 밀착된 상태로 맞닿으면서 정지하여 상기 편심부시(12)의 선회반경이 연장되거나 단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0a)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시(12)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고정부(13)에 의해 편심부시(12)의 편심반경이 연장 또는 단축됨으로써, 상기 편심부시(12)에 결합되는 제1선회베인(22)의 선회반경이 길어지거나 짧아져 상기 제1선회베인(22)의 제1원형베인(221)이 제1환형공간(211)의 내부면에 밀착되거나 이탈되고, 그에 따라 제1압축부(20)가 회전축(10a)의 정,역회전에 따라 압축을 수행하거나 또는 아이들링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33)의 외주면이 정지면(136)에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딩된 후에 상기 정지면(136)의 측단부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133)는 상기 정지면(136)과 맞닿는 외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구동부에 의해 회전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됨에 따라 압축기의 압축용량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희망하는 압축비를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진되고 압축기의 사용 및 적용범위가 현저히 넓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가변고정부를 통해 회전축의 정,역회전에 따라 편심반경이 가변된 상태로 편심부시가 회전축에 원활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가변고정부의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가변편심부의 작동이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상하로 이격되고 상호 대칭된 한 쌍의 가변편심부가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가변편심부에 압축용량이 서로 다른 제1압축부와 제2압축부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이 구동부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압축부와 제2압축부가 압축 또는 아이들링되어 압축용량이 가변되는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가변편심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의 외주면에 편심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편심부시와;
    상기 편심캠과 편심부시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시의 편심반경을 연장 또는 단축시키는 상태로 상기 편심부시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가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고정부는, 상기 편심캠의 최대 편심부위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양단에 외측턱을 갖는 원호형의 외측홈과, 상기 외측턱에 맞닿아 걸리도록 상기 외측홈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편심부시의 최대 편심부위에서 벗어난 위치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고정부는, 상기 편심부시의 최대 편심부위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형성되고 양단에 내측턱을 갖는 원호형의 내측홈과, 상기 내측턱에 맞닿아 걸리도록 상기 내측홈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편심캠의 최대 편심부위에서 벗어난 위치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고정부는, 상기 편심캠의 최대 편심부위에서 대응되는 외주면이 수직 단면을 갖도록 절단되어 형성되는 정지면과, 상기 정지면의 일측에 맞닿고 상기 편심부시의 최대 편심부위에서 벗어난 위치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면과 맞닿는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KR1020050026642A 2005-03-30 2005-03-30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KR100602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642A KR100602233B1 (ko) 2005-03-30 2005-03-30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642A KR100602233B1 (ko) 2005-03-30 2005-03-30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233B1 true KR100602233B1 (ko) 2006-07-19

Family

ID=3718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642A KR100602233B1 (ko) 2005-03-30 2005-03-30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2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4447A (en) 1982-11-02 1985-01-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Self-latching eccentric cam for dual stroke compressor or pump
US5377559A (en) 1990-06-29 1995-01-03 Whitemoss, Inc. Radial piston fluid machine and/or adjustable rotor
KR20040032358A (ko) * 2002-10-09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20050060761A (ko) * 2003-12-17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용량 로터리 압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4447A (en) 1982-11-02 1985-01-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Self-latching eccentric cam for dual stroke compressor or pump
US5377559A (en) 1990-06-29 1995-01-03 Whitemoss, Inc. Radial piston fluid machine and/or adjustable rotor
KR20040032358A (ko) * 2002-10-09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20050060761A (ko) * 2003-12-17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용량 로터리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9489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WO2005108795A1 (ja) 回転式流体機械
EP1486677A1 (en) Rotary compressor
JP2888936B2 (ja) 流体圧縮機
JPH051882U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102409675B1 (ko) 토출 구조를 개선한 압축기
JP2003065261A (ja) 可変半径式スクロール圧縮機の可変量調節装置
JPH02201086A (ja) 流体圧縮機
US11078908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communication groove
KR100602233B1 (ko)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KR100417421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자전 방지 장치
JP5685939B2 (ja) 圧縮機
KR100635820B1 (ko) 용량 가변형 선회베인 압축기
JP5703752B2 (ja) 圧縮機
KR100602232B1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JP3742849B2 (ja) ロータリー圧縮機
WO2008007612A1 (fr) compresseur à spirales
JP2010071145A (ja) 流体ポンプ
KR100343733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반경 방향 실링장치
JP4949796B2 (ja) 圧縮機用スクロール及びスクロール圧縮機
JP4796891B2 (ja) 流体ポンプ
JP2888935B2 (ja) 流体圧縮機
JPH1113657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KR100187278B1 (ko) 모터펌프형 로터리 압축기
KR100498370B1 (ko) 횡형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