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406B1 -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406B1
KR100600406B1 KR1020020043030A KR20020043030A KR100600406B1 KR 100600406 B1 KR100600406 B1 KR 100600406B1 KR 1020020043030 A KR1020020043030 A KR 1020020043030A KR 20020043030 A KR20020043030 A KR 20020043030A KR 100600406 B1 KR100600406 B1 KR 100600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vermectin
injection
composition
group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9184A (ko
Inventor
강명수
김남중
장병선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020043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40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및 글라이코퓨롤(Glycofurol), 생체적합성 오일, 특히 식물유와 계면활성제로서 솔비탄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 혹은 폴록사머(Poloxamer)를 사용함으로써 이버멕틴의 안정성이 우수한 제형을 제공함과 동시에 피하나 근육투여가 가능한 주사용 제형을 제공함으로써 간편한 방법으로 구충제를 적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기생충, 이버멕틴(25-시클로헥실-아버멕틴),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솔비탄 트리올레이트, 폴록사머, 생체적합성 오일

Description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Ivermectin Composition for Injec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충효과를 지니는 이버멕틴에 주용매, 무통화제제, 계면활성제와 오일을 첨가하여 이버멕틴의 산화 등의 변성을 상당히 감소시킴으로써 장기간의 보존과 동시에 피하와 근육투여가 가능한 주사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서 간편한 적용을 통해 광범위 구충제이면서 체내부 및 체외부 기생충 제제로서의 우수한 구충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럽특허공보 제0214731호에는 아버멕틴(Avermectin)계열 화합물 중의 한가지인 이버멕틴을 게재하고 있으며, 상기 이버멕틴은 벤지미다졸(Benzimidazole)계 구충제 이후 가장 좋은 약제로 평가되고 있으며(Campbell 과 Benz, J Vet Pharmacol Ther, 1984), 포유동물에 기생하는 체외부 및 체내부 기생충 뿐만 아니라 농작물과 토양에 기생하는 광범위한 기생충에 대해서 강력한 효력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또한 우수한 안전성으로 인하여 국내에서도 현재 대동물 및 중소동물 임상에 널리 쓰이고 있다.
아버맥틴은 선충류, 진드기, 곤충등의 구제에 효능을 보이는 신규한 거대 환상 락톤(Lactone)계 물질의 집합명칭으로서, 이 물질을 생산하는 토양방선균류인 스트랩토마이세스 에버미틸리스(Streptomyces avermitilis)는 토양샘플에서 처음 분리되었다(Campbell, Vet. Res. Commun., 1982). 아버맥틴의 구충능이 처음 확인된 이래 소, 돼지, 양 등을 포함한 여러 동물에서, 아버멕틴계열 화합물 중의 한가지인 이버멕틴은 장결절충, 란솜간충, 폐충, 회충, 위충 등 체내부 기생충과 이, 개선충, 진드기 등의 체외부 기생충에 효력이 있음이 알려졌다(Williams 등, Am. J. Vet. Res. , 1981; Courtney 등, Am. J. Vet. Res., 1983; Becker, Am. J. Vet. Res., 1986).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구충효과를 갖는 이버멕틴은 대한민국 특허 제1207호, 1478호 및 2905호에 게재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용해도가 낮은 비수성 물질의 용해를 높임과 동시에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공용매로서 글리콜, 글리세라이드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에틸올레이트등과 같은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고 있으나, 여러 공용매들은 투여부위에 자극과 조직손상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과량의 물과 접촉 시, 용해되어 있는 약물의 침전을 일으킴으로써 조직손상에 더 큰 영향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또한 용매의 선택에 따라 주사제로서 적절하지 못한 주사능을 나타낼 수 있다.
주사제의 용매로서 물은 조직에 투여시 가장 용이하면서 안전한 액체이지만, 이버멕틴에 있어서 극히 낮은 용해도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버멕틴의 산화를 통한 변질이 쉽게 되어 적합하지 않다. 또한 일반적으로 널리 공용매로서 사용되 고 있는 프로필렌글리콜은 이버멕틴에 대해 높은 용해도를 갖고 있으나 조직에 자극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과량의 수분과 혼합시, 이버멕틴은 입자가 응집체를 형성하게 되어 생체 내에서 충분한 활성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이러한 공용매를 사용 시 이버멕틴에 대한 불안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ash, Pharmaceutical Dosage Forms:Disperse Systems, vol.1)인 폴리소르베이트 80(Tween 80)과 물(PCT/WO98/25621호, 미국특허 제 5736151호)을 첨가하는 방법이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첨가물질들은 입자가 응집체를 형성하게 되어 케이킹(caking) 되는 것을 억제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버멕틴의 분자를 둘러싸면서 미셀(micelle)을 형성하여 과량의 물과 혼합되었을 때도 맑은 용액을 형성하지만,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딱딱한 고형상의 침전물을 형성하는 불안정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이버멕틴의 산화를 통한 변질을 초래할 수 있다.
현재, 이버멕틴 만을 함유한 단일 구충제형의 경우는 공용매로서 에탄올이나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자극성 용제가 포함되어 있어 근육내 투여시 자극을 나타냄으로써 피하 내 투여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근육투여 가능 담체(carrier)로 알려진 생체적합성 오일, 특히 식물유로서는 참기름, 옥수수기름, 면실유, 콩기름 등이 공지되어 있다. 영국 특허공보 제 2166436호에 기술된 이버멕틴의 주사용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오일로서는 땅콩유, 면실유, 에틸올레이트가 기술되어 있으나 냉조건에서의 안정성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 92-6913호에서 이버멕틴 B1의 용매 로 참기름 50용적% 내지 95용적%와 에틸올레이트를 사용함으로서 순수한 참기름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높은 점도와 주사능으로 인한 주사제로서의 부적합성을 개선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이버멕틴이 물과 접촉 시 충분한 안정성을 갖는 것과 동시에 근육 또는 피하 주사제로서 적합하면서 조직에 자극이 없는 이버멕틴 구충제와 관련되는 연구 성과가 이루어진 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버멕틴이 물과 접촉 시 충분한 안정성을 갖는 것과 동시에 근육 또는 피하 주사제로서 적합하면서 조직에 자극이 없는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버멕틴에 공용매와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잔량으로서 참기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버멕틴 조성물을 제공하여, 이버멕틴이 물과 접촉 시 충분한 안정성을 갖는 것과 동시에 근육 또는 피하 주사제로서 적합하면서 조직에 자극이 없는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은 이버멕틴 0.5%중량w/v 내지 5중량%w/v, 공용매 0.5중량%w/v 내지 20중량%w/v, 계면활성제 2중량%w/v 내지 5중량%w/v 및 잔량으로서 오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버멕틴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02023369942-pat00001
상기 공용매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글라이코퓨롤, 에틸알코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솔비탄트리올레이트 또는 폴록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오일은 참기름을 사용한다.
한편,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상온에서 이버멕틴을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또는 글라이코퓨롤의 용매로 용해하는 단계; (2) 무통화제제로서 벤질 알코올을 첨가하는 단계; (3) 계면활성제는 솔비탄 트리올레이트, 폴록사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 및 (4) 오일을 첨가하여 용적을 100%로 조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첫째, 이버멕틴의 단일제형의 용매로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또는 글라이코퓨롤(Glycofurol)을 사용해서 용해 시키고 담체(carrier)로서 생체적합성 오일, 특히 식물유를 사용함으로써 주사제로서의 점도와 주사능을 개선 할 뿐 아니라 피하나 근육투여가 가능한 주사용 제형을 제공 할 수 있으며, 오일제재의 사용에 의해 실온에서의 이버멕틴의 안정성 높이는 것이라고 하겠다.
둘째, 식물오일은 이버멕틴이 녹아 있는 용매와 혼합 시, 용해되어 있던 약물이 용출되어 약물의 침전이 생기거나 약물이 녹아 있는 용매와 층분리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줄이면서 원하는 기간 동안 안정화 시킬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것이 계면활성제의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들 중에서 솔비탄 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 SPAN 85), 폴록사머(poloxamer, Pluronic L61)를 첨가함으로써 장기간 저장 시에도 이상적인 주사제형으로서 필요한 특성인 점도와 주사능과 동시에 층분리 현상을 개선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가장 큰 이점은 이상적인 계면활성제의 역할에 의해서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안정되고, 주사부위의 어떠한 자극 또는 조직 손상을 나타내지 않았을 뿐 아니라 주사제로서의 점도와 주사능이 아주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2배 이상의 물을 추가로 가했을 때도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혹은 글라이퓨롤에 녹아있는 이버벡틴은 오일층에 둘러싸여 O/W의 유화(emulsion)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실온에서 아주 안정함을 보인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버멕틴 조성물은 장기간 저장 시, 오일층에 의한 O/W의 유화(emulsion) 상태를 유지하여 공기 혹은 물과의 접촉 시 발생하는 이버멕틴의 산화에 의한 조성물의 변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장기간의 보존과 함께 피하와 근육투여가 가능한 주사용 제형을 제공하여 간편한 적용을 통해 광범위 구충제이면서 내부 및 외부 기생충 제제로서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주사용 이버멕틴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버멕틴 1중량%w/v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3중량%w/v에 용해하고, 벤질 알코올 2중량%w/v를 첨가하고, 솔비탄 트리올레이트 3중량%w/v를 첨가하고, 그리고 잔량으로서 참기름을 첨가하여 10mg/ml 농도의 주사형 이버멕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이버멕틴이 1중량%w/v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3중량%w/v에 용해하고, 벤질 알코올 2중량%w/v를 첨가하고, 폴록사머 3중량%w/v를 첨가하고, 그리고 잔량으로서 참기름을 첨가하여 10mg/ml 농도의 주사형 이버멕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이버멕틴이 1중량%w/v를 글라이코퓨롤 3중량%w/v에 용해하고, 벤질 알코올 2중량%w/v를 첨가하고, 솔비탄 트리올레이트 3중량%w/v를 첨가하고, 그리고 잔량으로서 참기름을 첨가하여 10mg/ml 농도의 주사형 이버멕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이버멕틴이 1중량%w/v를 글라이코퓨롤 3중량%w/v에 용해하고, 벤질 알코올 2중량%w/v를 첨가하고, 폴록사머 3중량%w/v를 첨가하고, 그리고 잔량으로서 참기름을 첨가하여 10mg/ml 농도의 주사형 이버멕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이버멕틴 조성물과 엘지씨아이(LGCI)에서 제조된 유벡틴과 메리얼사에서 제조된 이보멕에 대하여 근육투여 자극시험, 근육내 주사 후 분변내 장내충류 충란 개수와 감소율 측정, 체외부 기생충 감소율 등을 시험한 결과를 하기 시험예 1 내지 7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이버멕틴 제형을 토끼의 대퇴 근육내로 주사하여 제형의 자극성을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근육내 투여 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본 후생성의 "주사제의 국소장해성에 관한 시험법(The Journal of Toxicological Sciences Vol. 13, Supplement III, 147-171, 1990)"에 따라 토끼의 근육내에 단회 투여 한 후 7일 및 14일째 되는 날 안락사 시킨 후 투여부위를 육안적 부검소견(병변의 크기 모양, 성상 등)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을 따라 평가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국소조직 반응의 결과 판정
0 = 생리식염액 투여조직과 비교하여 같거나 약한 것
1 = 생리식염액 투여조직과 비교하여 강한 자극을 보이고, 0.75% 초산 투 여조직과 비교하여 약한 자극을 보인 경우
2 = 0.75% 초산 투여조직과 비교하여 강한 자극을 보이고, 6% 초산 투여조직과 비교하여 약한 자극을 보인 경우
3 = 6% 초산 투여조직과 비교하여 같거나 강한 자극을 보인 경우
대퇴 근육내 주사 부위 자극성 점수의 비교
처리 동물의 수(마리) 자극성 점수
투여 후 7일째 투여 후 14일 째 투여 후 7일째 투여 후 14일째
평균 점수 평균 점수
1 실시예 1 4 4 0 0
2 실시예 2 4 4 0 0
3 실시예 3 4 4 0.25 0
4 실시예 4 4 4 0 0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2, 3 및 4 제형을 투여한 군에 있어서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군과 유사하게 자극을 관찰할 수 없었다.
[시험예 2]
이버멕틴 제형을 토끼의 대퇴 근육내로 주사하여 제형의 자극성을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근육내 투여 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본 후생성의 "주사제의 국소장해성에 관한 시험법(The Journal of Toxicological Sciences Vol. 13, Supplement III, 147-171, 1990)"에 따라 토끼의 근육 내에 단회 투여 한 후 7일째 되는 날 안락사 시킨 후 투여부위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기 준을 따라 평가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조직학적 반응의 결과 판정
- ; 관찰이 안됨
+; 미약하게관찰
++; 약하게 관찰
+++; 적당히 관찰
++++; 뚜렷히 관찰
대퇴 근육내 주사 부위 병리조직학적 성상비교
처리 개체 병리조직학적 성상
부종 출혈 대식세포 염증 근섬유변성 광물질화 괴사 재생 다핵거세포
1 실시예 1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2 실시예 2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3 실시예 3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4 실시예 4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5 6% 초산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6 생리 식염수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2, 3 및 4의 경우는 생리식염수 투여군과 유사하거나 미약한 조직학적 소견을 나타낸 반면에 6% 초산을 투여한 군에 있어서는 뚜렷한 조직학적 소견이 관찰이 되었다.
[시험예 3]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을 근육투여의 안전성 시험을 위해 근육주사로 투여실시 후, 1 주일 동안 신경증상, 설사정도, 외모의 상태 및 기타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시험에 공시된 모든 돼지와 소들은 약물의 투약에 따른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예 4]
돼지회충(A suum)을 인공감염 돼지에 대한 실시예 2의 구충효능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충란검사에서 투약시 무감염 대조군에서는 충란이 검출되지 않았고 감염대조군에서는 분변 g당 512.5개의 충란이 검출되었으며, 실시예 2의 조성물 투약군은 475.0개이고, 유벡틴제제 투약군은 분변 g당 512,5개이며, 이보멕제제 투약군은 분변 g당 450.0개이었다. 투약 1주일 후에 감염대조군에서는 분변 g당 462.5개의 충란이 검출되었으며, 실험약제 투약구 전체에서 충란이 음전되었다. 이후 8주일까지 투약군에서는 충란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감염 대조군은 8주일까지 분변 g당 450.0개 내지 600.0개의 충란이 검출되었다(표 4). 표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투약 후에도 지속적으로 매주 돼지 두당 함자충란 50개씩을 감염시켰다. 그 결과 모든 투약군에서 9주일 째에 충란의 배설을 관찰하였다.
그룹 마리 투여량(ml) 충란수(투여후)
0 1 2 3 4 5 6 7 8
실시예 2 4 1.3 475 0 0 0 0 0 0 0 0
유벡틴 4 1.3 512.5 0 0 0 0 0 0 0 0
이보멕 4 1.3 450.0 0 0 0 0 0 0 0 0
인공감염군 4 - 512.5 462.5 575.0 450.0 600.0 487.5 437.5 562.5 462.5
대조군 5 - 0 0 0 0 0 0 0 0 0
[시험예 5]
돼지편충(T suis)을 인공감염 돼지에 대한 실시예 2의 구충효능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충란검사에서 투약시 무감염 대조군에서는 충란이 검출되지 않았고 감염대조군에서는 분변 g당 487.5개의 충란이 검출되었으며, 실시예 2의 조성물은 675.0개이고, 유벡틴제제 투약군은 512.5개이며, 이보멕제제 투약군은 587.5개이었다. 투약 1주일 후에 감염대조군에서는 분변 g당 500.0개의 충란이 검출되었으며, 실험약제 투약군 전체에서 충란이 음전되었으며, 이후 8주일까지 감염대조군에서는 분변 g당 425.0개 내지 612.5개의 충란이 검출되었으며, 투약군에서는 충란이 검출되지 않았다(표 5). 표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투약 후에도 지속적으로 매주 돼지 두당 함자충란 50개씩을 감염시켰다. 그 결과 모든 투약군에서 9주일 째에 충란의 배설을 관찰하였다.
그룹 마리 투여량(ml) 충란수(투여후)
0 1 2 3 4 5 6 7 8
실시예 2 4 1.3 675.0 0 0 0 0 0 0 0 0
유벡틴 4 1.3 512.5 0 0 0 0 0 0 0 0
이보멕 4 1.3 587.5 0 0 0 0 0 0 0 0
인공감염군 4 - 487.5 500.0 550.0 425.0 600.0 562.5 612.5 537.5 487.5
대조군 5 - 0 0 0 0 0 0 0 0 0
[시험예 6]
실시예 2의 소에서의 외부기생충에 대한 구충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투약 전과 투약 1 및 3주일 후 외부 기생충이 잘 부착하는 경부에 동일한 부위에 동일한 면적(10cm x 10cm)을 정하여 외부기생충의 부착 수와 병변도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투약 1주일 후 대조군에서는 부착 파리의 수가 거의 변함이 없는 반면, 투약군에서는 모두 76.5% 내지 81.6%의 감소율을 보였으나 시험군 간의 유의차는 발견되지 않았다. 투약 3주일 후에는 부착 파리의 수가 증가하여 대조군이 19.6%의 감소율을 보인 반면 투약군에서는 39.0% 내지 44.6%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병변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표 6).
파리수(투여후)
0 1 3
마리 감소율(%) 마리 감소율(%)
실시예 2 평균 15.80 2.90 81.6 8.75 44.6
표준편차 3.27 1.37 1.92
유벡틴 평균 15.45 3.50 77.3 8.75 43.4
표준편차 3.28 1.50 1.92
이보멕 평균 15.80 3.50 77.8 9.05 42.7
표준편차 3.27 1.50 1.93
대조군 평균 14.80 14.70 0.7 11.90 19.6
표준편차 2.80 3.34 2.53
[시험예 7]
모돈에서 돼지회충(A suum)이 자연감염된 돼지에 대한 실시예 2의 구충효능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충란검사에서 투약시 대조 군에서는 분변 g당 300개의 충란이 검출되었으며, 실시예 2의 조성물 투약군에서는 367개이었다. 유벡틴제제 투약군은 367개이며, 이보멕 제제 투약군은 316개이었다. 투약 1주일 후에 대조군에서는 233개의 충란이 검출되었으며, 유벡틴제제와 이보멕제제 투약군에서는 각각 3두 중 1두에서 50개의 충란이 검출되었다. 투약 2주일 후부터는 대조군에서는 333개 내지 400개의 충란이 검출된 반면 실험약제 투약군 전체에서 충란이 음전되었다. 돼지편충(T suis)이 자연감염된 돼지에 대한 실시예 2의 구충효능 실험 결과, 충란검사에서 투약시 대조군에서는 분변 g당 333개의 충란이 검출되었으며, 실시예 2의 조성물에서는 333개였다. 유벡틴제제 투약군은 267개이며, 이보멕 제제 투약군은 367개이었다. 투약 1주일 후에 대조군에서는 250개의 충란이 검출되었으며, 유벡틴제제와 이보멕 제제 투약군에서는 각각 3두 중 1두에서 50개와 100개의 충란이 검출되었다. 투약 2주일 후부터는 대조군에서는 267개 내지 350개의 충란이 검출된 반면 실험약제 투약군 전체에서 충란이 음전되었다. 한편 동일한 돼지에서 피부의 병변도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은 2.3이었으며, 실시예 2의 조성물 투약군은 2.3이었다. 유벡틴제제 투약군은 2.7이며, 이보멕제제 투약군은 2.7이었다. 투약 1주일 후 대조군에서는 1.3 내지 2.0의 병변도를 유지한 반면 모든 실험약제 투약군은 피부의 병변이 보이지 않았다(표 7).
그룹 시험수 충란수(투여후)
돼지 회충 돼지 편충
0 1 2 3 4 0 1 2 3 4
실시예 2 3 평균 367 0 0 0 0 333 0 0 0 0
표준편차 293 0 0 0 0 176 0 0 0 0
유벡틴 3 평균 367 17(1) 0 0 0 267 17(1) 0 0 0
표준편차 126 29 0 0 0 76 29 0 0 0
이보멕 3 평균 316 17(1) 0 0 0 367 33(1) 0 0 0
표준편차 225 29 0 0 0 161 58 0 0 0
대조군 3 평균 300 233 350 400 367 333 250 350 300 267
표준편차 132 144 150 265 236 202 150 132 100 176
본 발명은 광범위 구충제이면서 체내부 및 체외부 기생충에 대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비수성 이버멕틴의 안정성을 극대화 시킴과 동시에 비경구 투여가 가능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이버멕틴 단일제제의 장기간의 보존과 함께 피하와 근육투여가 가능한 주사용 제형을 제공함으로서 간편한 적용을 통해 구충제의 효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이버멕틴 0.5중량%w/v 내지 5중량%w/v;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글라이코퓨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매 0.5중량%w/v 내지 20중량%w/v;
    솔비탄트리올레이트 또는 폴록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 2중량%w/v 내지 5중량%w/v; 및
    잔량으로서 오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사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충용 이버멕틴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참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충용 이버멕틴 조성물.
  5. 주사제로 사용되는 구충용 이버멕틴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1) 상온에서 이버멕틴을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또는 글라이콜퓨롤의 용매로 용해하는 단계;
    (2) 무통화제제로서 벤질 알코올을 첨가하는 단계;
    (3) 계면활성제는 솔비탄트리올레이트, 폴록사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 및
    (4) 오일을 첨가하여 용적을 100%로 조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제로 사용되는 구충용 이버멕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20043030A 2002-07-22 2002-07-22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00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030A KR100600406B1 (ko) 2002-07-22 2002-07-22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030A KR100600406B1 (ko) 2002-07-22 2002-07-22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184A KR20040009184A (ko) 2004-01-31
KR100600406B1 true KR100600406B1 (ko) 2006-07-14

Family

ID=3731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030A KR100600406B1 (ko) 2002-07-22 2002-07-22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4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6204A2 (en) * 1996-06-05 1997-12-11 Ashmont Holdings Limited Injectable compositions
US6013636A (en) * 1995-09-25 2000-01-11 Ashmont Holdings Limited Anthelmintic macrocyclic lactone compositions
KR20000025762A (ko) * 1998-10-14 2000-05-06 유충식 이버멕틴류의 가용화 조성물
KR20020067781A (ko) *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구충용 이버멕틴 주사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3636A (en) * 1995-09-25 2000-01-11 Ashmont Holdings Limited Anthelmintic macrocyclic lactone compositions
WO1997046204A2 (en) * 1996-06-05 1997-12-11 Ashmont Holdings Limited Injectable compositions
KR20000025762A (ko) * 1998-10-14 2000-05-06 유충식 이버멕틴류의 가용화 조성물
KR20020067781A (ko) *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구충용 이버멕틴 주사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184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4108B2 (en) Topical ivermectin composition
US6552002B2 (en) Sustained-release composi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XPA04007996A (es) Composicion parasiticida de accion prolongada.
MXPA03008905A (es) Composicion antihelmintica e inyectable mejoradora de crecimiento.
JP2010535231A (ja) 内部寄生虫駆除局所組成物
JPH05246893A (ja) 水素化ひまし油を含む長期持続性注射製剤
SK281301B6 (sk) Prostriedok na miestne podanie proti ektoparazitom a endoparazitom
CA2211949A1 (en) Nonaqueous composi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EP0976328B1 (en) Ectoparasite controlling agent for animals
KR101318603B1 (ko) 벤즈이미다졸 구충제 조성물
US6699847B2 (en) Antiparasitic formulation
EA009602B1 (ru) Антипаразита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US6193989B1 (en) Long acting injectable parasiticidal composition and the process for its preparation
US9198430B2 (en) Anti-parasitic composition comprising a macrocyclic lactone and levamisole and method of treatment of parasitic infestation
KR100600406B1 (ko) 주사용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10039794A1 (en) Long Acting Injectable Formulations
JPH02290820A (ja) 抗寄生虫剤
KR20020067781A (ko) 구충용 이버멕틴 주사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HU206037B (en) Process for producing nonaqueou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external use
KR920006913B1 (ko) 구충제 제형
KR100600402B1 (ko) 피부 도포용 이버멕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HU208252B (en) Process for producing solution against parasites and comprising avermectin derivative
MXPA01006175A (en) Doramectin for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