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877B1 - 곡물 건조 저장고의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건조 저장고의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877B1
KR100599877B1 KR1020040062551A KR20040062551A KR100599877B1 KR 100599877 B1 KR100599877 B1 KR 100599877B1 KR 1020040062551 A KR1020040062551 A KR 1020040062551A KR 20040062551 A KR20040062551 A KR 20040062551A KR 100599877 B1 KR100599877 B1 KR 100599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dust collector
dust
cyclone
dr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928A (ko
Inventor
최준
최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일기계
최종진
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일기계, 최종진, 최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일기계
Priority to KR102004006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87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3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04Stacks, ricks or the like
    • A01F25/08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의 건조 및 저장시에 투입되는 곡물에 포함된 먼지와 흙 검불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배출시에 이물질을 분리하여 포집할 수 있게하고 곡물의 건조시간을 조정할 수 있게 한 곡물건조저장고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조저장고본체(1)의 하측 바닥 및 바닥하측에 곡물배출장치 및 열풍공급장치(103)를 형성하고 건조저장고본체(1)의 내측에 자전과 공전하는 교반스크류를 가진 곡물교반장치(102) 및 상부 천정에 곡물공급장치(101)를 구비하며 곡물공급장치(101)의 외측에 건조저장고본체(1)의 내부와 연통되는 캡(105)을 형성하여 닥트(106)로 집진장치(2)와 연결되는 종래의 곡물건조저장고에 있어서:
내측에 회전바(302)와 결합된 풍량조절판(303)을 방사상으로 다수 장치하고 회전바(302)는 풍량조절장치(3)의 외측으로 단부를 돌출시켜 작동링(305)과 작동바(304)를 개입시켜 그 연결부가 회동되게 형성되는 원통형의 풍량조절장치(3)의 상부에 집진통(201)을 장치하며 집진통(201)의 상부에는 편심을 가지는 싸이클론(205)을 형성하여 그 출구에 보조싸이클론(206)을 장치하고 보조싸이클론(206)의 상부와 집진통(201)의 하부를 관체로 연결하며 집진통(201)의 내측 하단에는 모타(203)에 의해 회전하는 흡입펜(202)을 장치하고 싸이클론(205)의 하부에 다수의 유도판(204)을 형성하며 싸이클론(205)의 상부에 배출구(207)를 형성하여 집진장치(2)를 건조저장고본체(1)의 상부에 장치된 캡(105)과 연결된 닥트(106)와 결합한 구성으로 되어 집진장치(2)의 풍량조절장치(3)를 이용하여 건조저장고본체(1)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배출시간을 조정함으로써 곡물의 건조온도와 시간을 조정할 수 있고 건조저장고본체(1)내측의 공기 및 이물질을 강재로 흡입하여 이물질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음으로 대기오염을 방지하며 먼지와 흙등의 이물질이 집진통의 내부에 쌓여지지 않고 포집통으로 배출됨으로 이물질의 수거와 곡물건조저장고의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한 잇점이 있다.
저장고, 건조기, 집진통, 곡물, 풍량조절장치

Description

곡물 건조 저장고의 집진장치{Dust collector of cereal dry storehouse}
도 1은 종래 곡물저장고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곡물저장고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 집진장치의 풍량조절구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건조저장고본체 101 : 곡물공급장치
102 :곡물교반장치 103 : 곡물배출 및 열풍공급장치
2 : 집진장치
201 : 집진통 202 : 흡입펜
203 : 모타 204 : 유도판
205 : 싸이클론 206 : 보조싸이클론
207 : 배출구 3 : 풍량조절장치
301 : 고정판 302 : 회전바
303 : 풍량조절판 304 : 작동바
305 : 작동링
본 발명은 곡물건조저장고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곡물의 건조 및 저장시에 투입되는 곡물에 포함된 먼지와 흙 검불등의 이물질의 분리하여 배출시에 이물질을 분리하여 포집할 수 있게하고 곡물의 건조시간을 조정할 수 있게 하여 곡물의 건조효율이 우수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건조저장고는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곡물을 투입하여 건조 및 저장하는 장치로서 투입되는 곡물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수분에 의해 먼지나 흙등의 이물질이 곡물에 부착되어 곡물저장고로 함께 투입되고 이는 저장고의 모서리부등에 응착되어 석화됨으로 곡물건조저장고의 내측에 투입되는 이물질은 가능한 빠른시간 내에 곡물건조저장고의 외측으로 배출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곡물건조저장고는 하단에서 가열된 공기 즉 열풍을 곡물건조저장고의 내측으로 공급하여 곡물을 건조시킴으로서 곡물 및 이물질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켜 곡물에서 흙이나 먼지등이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분리된 이물질 및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공기는 곡물건조저장고의 외측으로 배출하여야 하며 이때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집진하여 포집하고 공기는 대기중으로 방출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단순히 곡물건조저장고의 상부에 에어밴트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흙과 먼지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곡물건조저장고의 외측으로 배출하였음으로 대기오염을 심화시키는 결점이 있었고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물건조저장고(1')의 상부에 에어밴트(1a')와 함께 캡(105')을 형성하고 경사판(104')과 집진필터(105')를 가진 집진장치(2')와 닥트(106')를 연결하여 내측의 공기 및 이물질을 집진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곡물건조저장고(1')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되는 종래의 곡물건조저장고(1')는 곡물건조저장고에 공급되는 열풍에 의한 내부압력에 의해 공기 및 이물질이 곡물건조저장고(1')의 외부로 배출되고 이물질을 분리하는 집진장치(2')가 경사판(104') 및 집진필터(105')를 내장하고 있어 공기의 흐름이 원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집진필터(105')가 막히게 되면 곡물건조저장고의 내부공기가 배출되지 않음으로써 곡물건조저장고(1')가 건조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곡물건조저장고(1')의 상부에는 집진장치(2')와 연결되는 캡(105')과 함께 에어밴트(1a')를 동시에 장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곡물건조저장고는 오염된 공기 및 이물질이 캡(105')을 통하여 집진장치(2')로 공급됨과 동시에 에어밴트(1a')를 통하여서도 함께 배출됨으로 이물질이 분리되지 않은 오염된 공기가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그 효과가 저하되고 집진장치의 필터를 자주 청소하여야 하는등 관리하기가 번거롭고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여 곡물건조저장고 내의 공기 및 이물질을 강재로 흡입하여 이물질을 포집하고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곡물건조저장고(1)의 상부에 형성되는 에어밴트(1a')를 생략하여 오염된 공기 및 이물질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 곡물건조저장고(1)의 집진장치(2)를 제안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는 본 발명 곡물건조저장고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 집진장치의 풍량조절구를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건조저장고본체(1)의 하측 바닥 및 바닥하측에 곡물배출장치 및 열풍공급장치(103)를 형성하고 건조저장고본체(1)의 내측에 자전과 공전하는 교반스크류를 가진 곡물교반장치(102) 및 상부 천정에 곡물공급장치(101)를 구비하며 곡물공급장치(101)의 외측에 건조저장고본체(1)의 내부와 연통되는 캡(105)을 형성하여 닥트(106)로 집진장치(2)와 연결되는 종래의 곡물건조저장고에 있어서:
닥트(106)의 끝에 집진장치(2)를 연결하되 본 발명의 집진장치(2)는 하측에 원통형의 풍량조절장치(3)의 내측에 회전바(302)와 결합된 풍량조절판(303)을 방사상으로 다수 장치하고 회전바(302)는 풍량조절장치(3)의 외측으로 단부를 돌출시켜 작동링(305)과 작동바(304)를 개입시켜 그 연결부가 회동되게 결합하고 풍량조절장치(3)의 상부에 집진통(201)을 장치하되 집진통(201)의 상부에는 편심을 가지는 싸이클론(205)을 형성하여 그 출구에 보조싸이클론(206)을 장치하고 보조싸이클론(206)의 상부와 집진통(201)의 하부를 관체로 연결하며 집진통(201)의 내측 하단에는 모타(203)에 의해 회전하는 흡입펜(202)을 장치하고 싸이클론(205)의 하부에 다수의 유도판(204)을 형성하며 싸이클론(205)의 상부에 배출구(207)를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건조저장고본체(1)의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고 집진장치(2)의 흡입펜(202)을 구동하면 건조저장고본체(1)의 내측의 흙과 먼지 검불등의 이물질 및 수분을 함유한 오염된 공기가 캡(105)과 연결된 탁트(106)를 통하여 집진장치(2)로 공급되게 되는데 이때 풍량조절장치(3)의 작동링(305)을 회전함으로써 회전바(302)를 회동시켜 풍량조절판(303)의 각도를 조정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정함으로써 고온의 열풍이 곡물건조저장고에 머무는 시간을 조절하여 곡물의 건조시간을 조정하고 흡입펜(202)을 통하여 집진장치(2)의 내측으로 공급된 공기 및 이물질은 유도판(204) 사이를 통과하며 회전하여 공기의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중량이 무거운 흙과 먼지등의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해 싸이클론(205)의 내측을 통하여 보조싸이클론(206)으로 투입되고 공기는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보조싸이클론의 내측으로 투입된 이물질은 보조싸이클론(206)의 하측을 통하여 포집통에 포집되고 오염된 공기는 다시 집진통(201)의 하측으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집진장치(2)의 풍량조절장치(3)를 이용하여 건조저장고본체(1)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배출시간을 조정함으로써 곡물의 건조온도와 시간을 조정할 수 있고 건조저장고본체(1) 내측의 공기 및 이물질을 강제로 흡입하여 이물질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음으로 대기오염을 방지하며 먼지와 흙등의 이물질이 집진통(201)의 내부에 쌓여지지 않고 포집통으로 배출됨으로 이물질의 수거와 곡물건조저장고의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한 잇점이 있다.

Claims (1)

  1. 건조저장고본체(1)의 하측 바닥 및 바닥하측에 곡물배출장치 및 열풍공급장치(103)를 형성하고 건조저장고본체(1)의 내측에 자전과 공전하는 교반스크류를 가진 곡물교반장치(102) 및 상부 천정에 곡물공급장치(101)를 구비하며 곡물공급장치(101)의 외측에 건조저장고본체(1)의 내부와 연통되는 캡(105)을 형성하여 닥트(106)로 집진장치(2)와 연결되는 종래의 곡물건조저장고에 있어서:
    원통형의 풍량조절장치(3)의 내측에 회전바(302)와 결합된 풍량조절판(303)을 방사상으로 다수 장치하고 회전바(302)는 풍량조절장치(3)의 외측으로 단부를 돌출시켜 작동링(305)과 작동바(304)를 개입시켜 그 연결부가 회동되게 형성하며 풍량조절장치(3)의 상부에 집진통(201)을 장치하고 집진통(201)의 상부에는 편심을 가지는 싸이클론(205)을 형성하여 그 출구에 보조싸이클론(206)을 장치하며 보조싸이클론(206)의 상부와 집진통의 하부를 관체로 연결하여 집진통(201)의 내측 하단에는 모타(203)에 의해 회전하는 흡입펜(202)을 장치하고 싸이클론(205)의 하부에 다수의 유도판(204)을 형성하며 싸이클론(205)의 상부에 배출구(20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 저장고의 집진장치
KR1020040062551A 2004-08-09 2004-08-09 곡물 건조 저장고의 집진장치 KR100599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551A KR100599877B1 (ko) 2004-08-09 2004-08-09 곡물 건조 저장고의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551A KR100599877B1 (ko) 2004-08-09 2004-08-09 곡물 건조 저장고의 집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668U Division KR200367000Y1 (ko) 2004-08-09 2004-08-09 곡물 건조 저장고의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928A KR20060013928A (ko) 2006-02-14
KR100599877B1 true KR100599877B1 (ko) 2006-07-28

Family

ID=3712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551A KR100599877B1 (ko) 2004-08-09 2004-08-09 곡물 건조 저장고의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790B1 (ko) 2019-07-26 2021-08-23 최보규 곡물용 이물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928A (ko) 200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8961C1 (ru)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KR101170939B1 (ko) 합성수지 원료의 분진제거장치
US9687767B2 (en) Filter apparatus for extracting fine dust from air
CN110480869A (zh) 一种再生塑料颗粒干燥装置及进料结构
EP1733671B1 (en) Vacuum cleaner
CN216492122U (zh) 一种用于大米储存的新型钢板仓
KR100599877B1 (ko) 곡물 건조 저장고의 집진장치
CN113203276B (zh) 一种制药用高效沸腾干燥设备的使用方法
WO2007061352A1 (en) An apparatus for drying of material in particle form
JP6489498B2 (ja) 穀類乾燥調製施設の乾式集塵装置
SE508515C2 (sv) Anordning vid en cyklondammsugare
KR102247189B1 (ko) 원심 분리식 페인트 미스트 및 오일 미스트 집진기
KR200367000Y1 (ko) 곡물 건조 저장고의 집진장치
JP6693273B2 (ja) 穀物乾燥機
JP3498774B2 (ja) 穀粒乾燥貯留装置における乾式集塵装置
CN213253023U (zh) 一种分散剂快速烘干装置
CN220808104U (zh) 一种塑料颗粒分离装置
CN220576383U (zh) 一种塑料颗粒的干燥除湿设备
JPH06335611A (ja) ダスト補集フィルタ装置
CN210861944U (zh) 一种闪蒸干燥设备
CN216236641U (zh) 一种种蛋鸭粒状配合饲料烘干装置
CN215027137U (zh) 一种全自动气流输送挤压装置
CN214199514U (zh) 一种高效单筒烘干机
CN209726763U (zh) 一种用于粮食烘干机的排风装置
JPH05172463A (ja) ペレット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