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537B1 -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 Google Patents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537B1
KR100599537B1 KR1020040105438A KR20040105438A KR100599537B1 KR 100599537 B1 KR100599537 B1 KR 100599537B1 KR 1020040105438 A KR1020040105438 A KR 1020040105438A KR 20040105438 A KR20040105438 A KR 20040105438A KR 100599537 B1 KR100599537 B1 KR 10059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ireless network
physical layer
clock
acc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904A (ko
Inventor
이현석
조진웅
전선도
연규정
원윤재
권대길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537B1/ko
Publication of KR20060066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 매체접속제어및 물리계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매체접속제어 장치는 수면 모드에서 상기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마스터와 슈퍼 프레임 동기를 유지하는 제1 블록과; 활성 모드에서 상기 슈퍼 프레임의 경쟁 구간 및 할당 구간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블록과; 활성 모드에서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에 정상 클럭을 제공하며 수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정상 클럭보다 낮은 클럭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블록에는 클럭을 제공하지 않는 클럭 선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면 모드에서 MAC 하드웨어의 기능 블록별 동작 특성을 반영하여 전력 소모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며, 활성 모드에서 PHY 하드웨어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개인무선네트워크, 피코넷, 마스터, 슬레이브, 비콘, 슈퍼프레임, 할당구간, 경쟁구간, 전력, 수면 상태, 활성상태, 즉시수신확인프레임

Description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 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POWER EFFECTIVE MAC AND PHY IMPLEMENTATION F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DEVICE}
도 1은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슈퍼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3은 CSMA/CA 방식을 사용하는 경쟁구간의 구성도.
도 4는 할당구간에서 할당 슬롯의 구성도.
도 5는 활성모드에서 송수신 타이밍도.
도 6은 활성모드와 수면모드의 전환을 예시한 송수신 타이밍도.
도 7는 MAC과 PHY를 포함한 하드웨어의 전체적인 구조도.
도 8은 MAC 하드웨어의 구성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수면 모드에서 전력 소모를 저감하기 위한 MAC 하드웨어의 클럭 연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활성 모드에서 전력 소모를 저감하기 위한 할당 구간의 송수신 타이밍도.
본 발명은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 매체접속제어계층(MAC, 이하 "MAC"이라 함) 및 물리계층(PHY, 이하 "PHY"라 함)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5 워킹 그룹은 PAN과 같이 짧은 거리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 안에서 이동성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WPAN(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표준을 수립하고 있으며,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등에 이를 응용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특히, 최근에 규격이 완성된 802.15.3은 HR-WPAN(High Rate-WPAN)으로 불리며, 55Mb/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지향하고 있으며,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서 무선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해 5m 내지 55m 의 짧은 거리, 55 M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률, 네트워크 구성 디바이스들의 동적인 토폴로지 구성, 스트림의 QoS 보장을 위한 TDMA 지원, 피어-투-피어 접속성(Peer-to-Peer Connectivity) 등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특징)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는 독립적인 다수의 스테이션들이 서로 일반 데이터, 음성 및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애드 혹(Ad hoc) 데이터 통신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개인의 행동 반경, 즉 10m 내의 모든 방향을 그 통신 영역으로 정의하며, 음성 데이터나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거나 일반 데이 터를 전송하는 등 개인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통신 범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10m 내의 근거리 개인 운용 영역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도시 통신망(MAN), 광대역 통신망(W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와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선으로 연결된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에서 각 스테이션에 할당된 주소는 변하지 않지만,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주소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이터의 송수신 스테이션을 지칭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고정된 주소 없이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할당된다.
한편, 개인 무선 네트워크는 고정, 휴대용 그리고 이동형 기기들을 서비스할 수 있다. 휴대용 및 이동 기기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전원이 주로 전지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지의 제한된 전원 용량 때문에 효율적인 전력 관리 기술은 매우 중요하며,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부품, 회로 설계 뿐 아니라 물리계층이나 데이터 링크 계층의 프로토콜의 효과적인 설계 또한 중요하다.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도 1은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이 대략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스테이션이며, 피코넷(Piconet)은 개인 활동 영역 내에서 동일한 무선 주파수 채널 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두 개 이상의 스테이션이 존재할 때 구성된다. 스테이션은 그 역할에 따라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로 구별된다. 마스터는 피 코넷 전체를 관리하고 피코넷 내에서 오직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마스터는 비콘을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슬레이브를 제어한다. 슬레이브는 마스터의 통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기능)
1. 네트워크 동기
피코넷은 마스터가 비콘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시작된다. 비콘 패킷은 네트워크에 대한 기준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피코넷내의 모든 슬레이브들은 비콘 패킷내의 기준정보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맞춘다. 슈퍼프레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세 부분, 즉, 비콘 구간(Beacon), 경쟁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 및 할당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으로 구성되며, 각 구간의 길이는 가변적이다.
먼저, 비콘 구간에서는 마스터가 슬레이브들에게 네트워크 기준 정보를 가지고 있는 비콘 패킷을 전송한다.
경쟁 구간에서는 슬레이브와 마스터가 네트워크 합류요청/분리요청/허용, 자원할당 요청/허용, 연결 요청/허용 등의 명령 패킷을 임의 접근 방식으로 전송한다. 경쟁 구간동안에는 마스터에 의한 시간의 배타적 할당을 통한 매체에 대한 독점적 접근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각 스테이션들은 경쟁방식의 CSMA/CA를 사용하여 매체에 접근한다. 이에 따라, 스테이션들은 보내려는 패킷이 있고 백오프(backoff) 시간 동안 매체가 비워져 있는 경우,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도 3은 전술한 경쟁 구간에서 패킷 송/수신시 타이밍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경쟁 구간(CAP)은 프레임간 이격(IFS; inter-frame spacing)의 하나인 SIFS(short inter-frame space)에서 시작하며, 각 데이터 프레임 및 ACK 프레임 사이에도 SIFS(short inter-frame space)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프레임 전송 간에 충분한 턴어라운드 시간을 보장할 수 있다. 백오프 구간은 BIFS(backoff inter-frame space)에서 시작하며, 백오프 구간 동안 매체가 비워져 있는 경우에 프레임이 전송된다. 한편, 인접 CTA 간에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구간(Guard Time)이 존재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할당 구간(CFP)에서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의하여 시간슬롯을 할당받은 스테이션이 해당 슬롯 동안에, 동기/비동기 데이터와 명령 패킷을 전송한다. 예컨대, 도 2에서, m번째 슈퍼프레임(SF m)의 할당 구간(CFP)에는 n개의 시간 슬롯(CAT1, CTA2, ..., CTA n-1, CTA n)이 시분할 할당되어 있으며, 각 시간 슬롯 간에는 보호 구간(Guard Time)이 삽입되어 있다.
할당 구간동안에는, 각 스테이션이 자신에게 배분된 시간 슬롯동안 매체에 대해 독점적으로 접근하게 된다. 마스터는 할당구간의 시간 슬롯을 각 스테이션에게 분배한다. 분배된 시간 슬롯 동안은 각 스테이션은 매체에 독점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할당된 슬롯 동안은 각 스테이션이 마스터의 개입없이 데이터를 주고받고자 하는 스테이션과 1:1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마스터는 비콘 패킷에 각 시간 슬롯의 시작시간과 슬롯 길이, 송/수신 스테이션을 지정함으로써, 각 스테이션이 패킷을 전송하기 위하여 매체에 독점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를 통하여 각 스테이션은 자신이 패킷을 보내거나 받아야 하는 시간을 알 수 있다.
도 4는 할당구간에서 여러 개의 프레임을 보낼 때의 타이밍 및 프레임 간격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번째 시간 슬롯(CTA n)에서, 각 데이터 프레임(Frame 1, Frame 2, Frame 3) 및 이에 대한 ACK 프레임 사이에는 전술한 SIFS가 존재하며, 시간 슬롯(CTA n)과 시간 슬롯(CTA n+1) 사이에는 전술한 보호 구간(Guard Time)이 존재한다.
2. 데이터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개인 무선 네트워크는 동기와 비동기 두 가지 형태의 연결을 제공한다. 비동기 연결은 연결 생성시의 부하는 적으나 대역폭이 보장되지 않으며, 시간 지연에 비교적 민감하지 않는 일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반면에, 동기 연결은 연결 생성시의 부하는 크나 대역폭이 보장되며, 예컨대, 오디오, 비디오 등의 실시간 서비스에 가까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3. 전력관리
이동형 기기를 지원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슬레이브들은 비콘 패킷으로부터 자신이 송수신할 시간들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만 물리계층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피코넷에 합류한 슬레이브는 송신할 패킷이 없는 경우에는 비콘 구간동안만 물리계층을 활성화하여 비콘 패킷을 듣는다. 비콘 패킷을 듣고 자신에게 향해지는 명령이나 데이터 패킷이 있는 경우에는 각각 경쟁구간이나 할당구간의 자신에게 할당된 슬롯에서 물리계층을 활성화하여 패킷을 수신한다. 명령 패킷을 송신할 스테이션은 경쟁구간동안 물리계층을 활성화하여 패킷을 전송한다.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스테이션은 자신에게 할당된 구간에서 물리계층을 활성화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마스터는 송/수신할 패킷이 없는 경우에는 비콘구간과 경쟁구간동안 물리계층을 활성화하여 패킷을 송수신하며, 할당구간에는 자신에게 할당된 슬롯에서 물리계층을 활성화하여 패킷을 송/수신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자신에게 할당되지 않은 슬롯에서도 물리계층을 활성화하여 해당슬롯에서 실제로 패킷이 전송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도 5는 활성상태에서의 송수신 타이밍도이며, 도 5에서 마스터(Master) 및 슬레이브(Slave 1 내지 Slave 3)는 활성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마스터(Master)는 비컨 구간(Beacon) 및 할당구간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슬롯(M->S1)에서 물리계층(PHY)을 활성화하여 패킷을 송신하고(TX_ON=1, RX_ON=0), 경쟁 구간(CAP)과 할당구간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슬롯(S2->M)에서 물리계층을 활성화하여 패킷을 수신하고 있다(RX_ON=1, TX_ON=0). 그리고, 슬레이브(Slave 1)는 비컨 구간(Beacon), 경쟁 구간(CAP), 및 자신에게 할당된 할당 구간의 슬롯(M->S1)에서 물리계층을 활성화하여 패킷을 수신하고, 할당구간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슬롯(S1->S2)에서 물리계층을 활성화하여 패킷을 송신하고 있다. 슬레이브(Slave 2)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하다. 반면에, 슬레이브(Slave 3)는 할당 구간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슬롯이 없기 때문에, 비컨 구간(Beacon) 및 경쟁 구간(CAP)에서만 물리계층을 활성화하여 패킷을 수신하고 있다.
한편, 송수신할 데이터가 없는 슬레이브의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수면모드를 사용하며, 802.15.3 표준에 따르면 HIBERNATE, PSPS, SPS 모드 등이 규정되어 있다.
도 6은 활성 모드(Active) 및 수면 모드(Sleep)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송수신 타이밍도이다.
송수신할 데이터가 없는 슬레이브는 마스터에 수면모드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수락을 받음으로써 수면모드에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수면모드를 요청하고 응답하면서 수면모드에 관련된 주기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슬레이브가 수면모드를 승인받으면, 그 슬레이브는 수면 상태(Sleep State)에 들어가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상태에 있는 동안은 패킷을 송수신할 수 없다. 그리고, 마스터와 약속된 주기마다 일어나 비콘을 수신하여, 자신이 수신할 데이터 패킷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할 데이터가 있다면, 할당된 구간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없다면 다시 수면 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수면 상태에 들어가 있지 않은 스테이션들은 비콘을 통해 수면 상태에 들어가 있는 스테이션들의 ID와 그 깨어나는 구간을 파악하게 된다.
한편, 수면 상태에 들어있는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면, 마스터에게 자원할당요청을 하고, 자원할당요청이 성공할 경우에 마스터는 수면 상태의 스테이션이 깨어나서 청취하는 비콘을 통해 자원을 할당해준다. 그러면, 수면 상태에 있는 스테이션은 그 할당된 구간에서 깨어있게 되고(Active State), 송신하 려는 스테이션은 그 구간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이는 자동으로 수면 상태에 있던 해당 스테이션이 수면 상태에서 깨어났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802.15.3 표준은 전술한 수면 모드/활성 모드에서 각 스테이션의 동작에 관해서만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구현함에 있어서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저감하기 위한 하드웨어 설계 및 동작 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개인 무선 네트워크 통신 장치의 PHY 및 MAC 하드웨어를 구현함에 있어서, 수면 모드에서의 기능 블록별 동작 특성에 따라 전력 소모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하드웨어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수면 모드를 지원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의 매체접속제어계층(MAC)을 구현하는 매체접속제어 장치가 제공되며, 수면 모드에서 상기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마스터와 슈퍼 프레임 동기를 유지하는 제1 블록과; 활성 모드에서 상기 슈퍼 프레임의 경쟁 구간 및 할당 구간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블록과; 활성 모드에서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에 정상 클럭을 제공하며 수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정상 클럭보다 낮은 클럭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블록에는 클럭을 제공하지 않는 클럭 선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수면 모드를 지원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의 매체접속제어계층(MAC) 및 물리계층(PHY)을 구현하며, 상위 계층 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가 제공되며, 물리계층 처리를 수행하는 물리계층 블록과, 상기 물리계층 블록에 연결되어 매체접속제어계층 처리를 수행하는 매체접속제어 블록과, 상기 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의 레지스터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블록과, 상기 상위 계층과 상기 매체접속제어 블록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직접 메모리액세스(DMA) 블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매체접속제어 블록은 수면 모드에서 상기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마스터와 슈퍼 프레임 동기를 유지하는 제1 블록과, 활성 모드에서 상기 슈퍼 프레임의 경쟁 구간 및 할당 구간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블록과, 활성 모드에서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에 정상 클럭을 제공하며 수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정상 클럭보다 낮은 클럭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블록에는 클럭을 제공하지 않는 클럭 선택부를 포함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접메모리액세스 블록과 상기 매체접속제어 블록의 데이터 교환을 인터페이스하는 직접메모리액세스 인터페이스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지스터 블록은 상기 활성 모드 및 수면 모드에 관한 레지스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클럭 선택부는 상기 레지스터 블록에 저장된 상기 활성 모드 및 수면 모드에 관한 레지스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슈퍼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 디바이스에서 물리계층(PHY)을 구현하는 물리계층 장치가 제공되며, 슈퍼 프레임에서 당해 디바이스에 송신 할당된 구간의 잔여 시간과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을 비교하며, 상기 잔여 시간이 상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보다 적으면, 물리계층을 송신 비활성화한다.
이 때, 상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은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응하는 즉시수신확인프레임의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슈퍼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 디바이스에서 물리계층(PHY)을 구현하는 물리계층 장치가 제공되며, 슈퍼 프레임에서 당해 디바이스에 수신 할당된 구간의 잔여 시간과 최소 크기의 프레임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비교하며, 상기 잔여 시간이 상기 최소 크기의 프레임 수신에 필요한 시간보다 적으면 물리계층을 수신 비활성화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면, 슈퍼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모를 저감하기 위한 물리계층(PHY) 동작 방법이 제공되며, 슈퍼 프레임에서 당해 디바이스에 송신 할당된 구간의 잔여 시간과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잔여 시간이 상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보다 적으면 물리계층을 송신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따르면, 슈퍼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모를 저감하기 위한 물리계층(PHY) 동작 방법이 제공되며, 슈퍼 프레임에서 당해 디바이스에 수신 할당된 구간의 잔여 시간과 최소 크기의 프레임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잔여 시간이 상기 최소 크기의 프레임 수신에 필요한 시간보다 적으면 물리계층을 수신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토록 하며,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있다.
도 7은 개인 무선 네트워크 통신 장치의 PHY 및 MAC 하드웨어(200)의 구성을 블록별로 도시한 것이며, 레지스터 블록(wpan_reg)(210), DMA 블록(220), MAC 상위블록(mac_top)(230), PHY 블록(phy_top)(240), DMA 인터페이스 블록(dma_if)(25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HB 버스(AHB BUS; Advanced High-performance bus)(100)와 무선부(RF)(300)에 연결되어 있다.
레지스터 블록(wpan_reg)(210)은 MAC 및 PHY 하드웨어 블록을 제어하기 위한 레지스터를 관리하며, AHB 버스(100)를 통해 레지스터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DMA 블록(220)은 전술한 AHB 버스(100)를 통해 임베디드 CPU(MAC 계층보다 상위 계층의 프로세싱을 담당함)(도시되지 않음)와 MAC 하드웨어간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블록으로서, 임베디드 CPU의 간섭없이 동작하며 고속의 대역폭을 제공한다.
MAC 상위블록(mac_top)(230)은 레지스터 블록(wpan_reg)(210) 및 DMA 인터페이스 블록(dma_if)(250)에 연결되며, DMA 인터페이스 블록(dma_if)(250)의 송수신 데이터에 대한 MAC 계층 처리 및 기타 MAC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한다.
PHY 블록(phy_top)(240)은 물리계층(PHY)을 처리하는 블록으로서, 이를 위해 레지스터 블록(wpan_reg)(210), MAC 상위블록(mac_top)(230)에 연결된다. 즉, PHY 블록(phy_top)(240)은 DMA 인터페이스 블록(dma_if)(250)과 송수신 데이터(TX, RX DATA)를 교환하고 물리계층(PHY)을 처리하여 무선부(RF)(300)로 전달하거나, 이와 반대로 무선부(RF)(3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물리계층(PHY) 처리를 수행하고 DMA 인터페이스 블록(dma_if)(250)으로 전달한다.
DMA 인터페이스 블록(dma_if)(250)은 MAC 상위블록(mac_top)(230)의 제어하에 DMA 블록(220) 및 PHY 블록(phy_top)(140)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고, MAC 상위블록(mac_top)(230)의 제어 하에 MAC 프레임을 생성한다. 예컨대, DMA 인터페이스 블록(dma_if)(250)은 수신확인(ACK) 프레임을 생성한다. MAC 상위블록(mac_top)(230)과 DMA 인터페이스 블록(dma_if)(250)은 하나의 MAC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다.
무선부(RF)(300)는 PHY 블록(phy_top)(14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전송하거나, 이와 반대로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PHY 블록(phy_top)(140)으로 전달한다. 무선부(RF)(300)는 PHY 및 MAC 하드웨어(200)의 일부로서 포함되거나,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MAC 하드웨어(40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FSM 블록(410), TC 블록(420), RXB 블록(430), TXB 블록(440), CSMAB 블록(450), TMB 블록(460), MSB 블록(470), IC 블록(48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8의 MAC 하드웨어(400)는 도 7의 MAC 상위블록(mac_top)(230) 및 DMA 인터페이스 블록(250)에 대응한다.
FSM(Finite State Machine) 블록(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MAC 하드웨어 (400) 내의 여타 블록들에 연결되어, MAC 하드웨어의 전체적인 상태 천이를 관리한다. TC 블록(420)은 MAC 하드웨어에서 필요한 여러 종류의 타이머와 카운터를 사용하여 슈퍼프레임 구조를 처리한다.
RXB 블록(430)은 주변 탐색(Scan), 동기화(Synchronization), 데이터 수신, 수신 데이터 필터링, 즉시수신확인프레임 송신을 처리한다. 그리고, TXB 블록(440)은 데이터 송신, 즉시수신확인프레임 수신을 처리한다. 예컨대, RXB 블록(430)은 PHY 블록(24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프레임을 처리하여 상기 수신 프레임에 대응하는 즉시수신확인프레임을 생성하여 PHY 하드웨어(240)로 전달한다. TXB 블록(440)은 DMA 블록(220)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생성하여 PHY 하드웨어(240)에 전달하고, PHY 블록(240)으로부터 수신된 즉시수신확인프레임을 처리한다.
CSMAB 블록(450)은 개인무선네트워크에서 정의하는 경쟁구간 프로토콜인 CSMA/CA를 처리한다. TMB 블록(460)은 루프백 등의 테스트 모드를 처리한다. MSB 블록(470)은 마스터로서 동작할 때 필요한 기능을 처리한다. IC 블록(480)은 MAC 하드웨어에서 발생하는 모든 인터럽트를 처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수면 모드시에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MAC 하드웨어(400)의 클럭 연결을 도시한 것으로서, 클럭이 낮을수록 소비전력은 줄어드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도 8에서 MAC 하드웨어(400)의 각 블록별 기능을 설명한 바와 같이, 당해 MAC 하드웨어의 전체적인 상태 천이를 관리하는 FSM 블록(410), 타이머와 카운터를 사용하여 슈퍼프레임 구조를 처리하여 슈퍼 프레임 동기를 유지하는 TC 블록(420), MAC 하드웨어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IC 블록(480)은 수면 모드인 경우에도 마스터와의 슈퍼 프레임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 동작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들 블록은 동작 가능한 최소의 클럭으로 동작시킴으로써 MAC 하드웨어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하여, RXB 블록(430), TXB 블록(440), CSMAB 블록(450), TMB 블록(460), MSB 블록(470)은 활성 모드에서 상기 슈퍼 프레임의 경쟁 구간 및 할당 구간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수면 모드에서는 그 기능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수면 모드시에 클럭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MAC 하드웨어의 수면 모드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럭 선택부(490)는 두 개의 다중화기(490a 및 490b)로 구성되며, 개인 영역 통신 장치의 동작 모드, 즉 활성 모드 또는 수면 모드에 따라 MAC 하드웨어(400)의 각 기능 블록에 제공되는 클럭을 가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중화기(MUX)(490a 및 490b)는 활성 모드에서 MAC 하드웨어(400)에 정상 클럭(normal clock)을 제공한다. 수면 모드(sleep_mode)인 경우에, 다중화기(MUX)(490a)는 정상 클럭(normal clock)보다 주파수가 낮은 클럭(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1kHz)을 선택하여 FSM 블록(410), TC 블록(420), 및 IC 블록(480)에 인가한다. 이 때, 수면 모드에서 이들 블록에 인가되는 주파수는 이들 블록의 최소 동작 클럭과 정상 클럭(normal clock)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들 블록이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한 최소 클럭이 선택될 수 있 다.
한편, 다중화기(MUX)(490b)는 수면 모드에서 '0'을 선택함으로써, RXB 블록(430), TXB 블록(440), CSMAB 블록(450), TMB 블록(460), 및 MSB 블록(470)에 클럭을 인가하지 아니한다. 다중화기(MUX)(490a 및 490b)를 제어하는 신호(sleep_mode)는 레지스터 블록(wpan_reg)(210)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활성 모드에서 PHY 하드웨어의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는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며, 도 10에서 디바이스 2는 디바이스 1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 슬롯을 할당받은 상태이다.
수신측 디바이스의 물리계층(PHY) 동작과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신측인 디바이스 1은 즉시수신확인프레임을 송신하는 동안에 물리계층을 송신 활성화하고(RX_ON =0, TX_ON =1), 나머지 시간 슬롯 동안에는 디바이스 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물리계층(PHY)을 수신 활성화 상태로 유지한다(RX_ON =1, TX_ON =0). 그런데, 예컨대 t1인 시점에서 남은 할당구간이 가장 작은 프레임(12바이트)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적을 때에는 수신을 완료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할당된 시간 슬롯이 종료할 때까지 수신측인 디바이스 1이 수신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남은 할당구간이 가장 작은 프레임(12바이트)을 보내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적은 시점(예컨대, t1)에서, 수신 활성화된 물리계층을 비활성화한다(RX_ON =0, TX_ON =0). 이 때, 프레임을 보내는데 필요한 시간은 프리앰블, 헤더, 페이로드를 보내는데 필요한 시간의 합이다.
이어서 송신측 디바이스의 물리계층(PHY) 동작과 관련하여, 디바이스 2(송신측)는 데이터를 송신할 시점(예컨대, 도 10의 t2)에서, 남은 할당구간 동안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 때, 데이터 송신에 필요한 시간은 시간 즉시수신확인프레임의 수신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남은 할당 구간이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보다 적어서 송신을 완료할 수 없는 경우에는 물리계층(PHY)을 활성화시키지 아니한다("TX_ON"을 0인 상태로 유지).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가 활성 모드에서 할당 받은 시간 슬롯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사용할 수 없는 경우 포함)에, 물리계층을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송신 디바이스 및 수신 디바이스 모두에서 소비전력 저감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여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 통신 장치의 PHY 및 MAC 하드웨어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모드에서 MAC 하드웨어의 기능 블록별 동작 특성을 반영하여 전력 소모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모드에서 PHY 하드웨어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6)

  1. 활성 모드 및 수면 모드를 지원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의 매체접속제어계층(MAC)을 구현하는 매체접속제어 장치로서,
    수면 모드에서 상기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마스터와 슈퍼 프레임 동기를 유지하는 제1 블록과,
    활성 모드에서 상기 슈퍼 프레임의 경쟁 구간 및 할당 구간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블록과,
    활성 모드에서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에 정상 클럭을 제공하며, 수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정상 클럭보다 낮은 클럭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블록에는 클럭을 제공하지 않는 클럭 선택부
    를 포함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매체접속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선택부는
    활성 모드에서 정상 클럭을 선택하고 수면 모드에서 상기 정상 클럭보다 낮은 클럭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블록에 클록을 제공하는 제1 다중화기(MUX)와,
    활성 모드에서 정상 클럭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블록에 클록을 제공하고, 수면 모드에서 클럭을 제공하지 않는 제2 다중화기(MUX)
    를 포함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매체접속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매체접속제어장치의 상태 천이를 관리하는 상태 천이부와,
    타이머와 카운터를 사용하여 상기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수신되는 슈퍼프레임 구조를 처리하여 상기 슈퍼프레임 동기를 유지하는 타이머/카운터부와,
    상기 매체접속제어장치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인터럽트부
    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매체접속제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수신 프레임을 처리하여 즉시수신확인프레임을 전송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즉시수신확인프레임을 처리하고, 송신 프레임을 생성하는 송신부와,
    상기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경쟁 구간 처리를 수행하는 경쟁구간처리부와,
    상기 매체접속제어장치의 테스트 모드를 처리하는 테스트부와,
    상기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마스터 동작을 수행하는 마스터기능부
    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매체접속제어 장치.
  5. 활성 모드 및 수면 모드를 지원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의 매체접속제어계층(MAC) 및 물리계층(PHY)을 구현하며, 상위 계층 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로서,
    물리계층 처리를 수행하는 물리계층 블록과,
    상기 물리계층 블록에 연결되어 매체접속제어계층 처리를 수행하는 매체접속 제어 블록과,
    상기 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의 레지스터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블록과,
    상기 상위 계층과 상기 매체접속제어 블록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직접 메모리액세스(DMA)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매체접속제어 블록은
    수면 모드에서 상기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마스터와 슈퍼 프레임 동기를 유지하는 제1 블록과,
    활성 모드에서 상기 슈퍼 프레임의 경쟁 구간 및 할당 구간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블록과,
    활성 모드에서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에 정상 클럭을 제공하며, 수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정상 클럭보다 낮은 클럭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블록에는 클럭을 제공하지 않는 클럭 선택부
    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메모리액세스 블록과 상기 매체접속제어 블록의 데이터 교환을 인터페이스하는 직접하는 직접메모리액세스 인터페이스 블록
    을 더 포함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블록은 상기 활성 모드 및 수면 모드에 관한 레지스터 정보를 저장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선택부는 상기 레지스터 블록에 저장된 상기 활성 모드 및 수면 모드에 관한 레지스터 정보를 제공받으며,
    활성 모드에서 정상 클럭을 선택하고 수면 모드에서 상기 정상 클럭보다 낮은 클럭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블록에 클록을 제공하는 제1 다중화기(MUX)와,
    활성 모드에서 정상 클럭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블록에 클록을 제공하고, 수면 모드에서 클럭을 제공하지 않는 제2 다중화기(MUX)
    를 포함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매체접속제어장치의 상태 천이를 관리하는 상태 천이부와,
    타이머와 카운터를 사용하여 상기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수신되는 슈퍼프레임 구조를 처리하여 상기 슈퍼프레임 동기를 유지하는 타이머/카운터부와,
    상기 매체접속제어장치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인터럽트부
    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수신 프레임을 처리하여 즉시수신확인프레임을 전송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즉시수신확인프레임을 처리하고, 송신 프레임을 생성하는 송신부와,
    상기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경쟁 구간 처리를 수행하는 경쟁구간처리부와,
    상기 매체접속제어장치의 테스트 모드를 처리하는 테스트부와,
    상기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마스터 동작을 수행하는 마스터기능부
    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의 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11. 슈퍼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 디바이스에서 물리계층(PHY)을 구현하는 물리계층 장치로서,
    슈퍼 프레임에서 당해 디바이스에 송신 할당된 구간의 잔여 시간과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을 비교하며,
    상기 잔여 시간이 상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보다 적으면, 물리계층을 송신 비활성화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물리계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은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응하는 즉시수신확인프레임의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포함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물리계층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슈퍼 프레임에서 당해 디바이스에 수신 할당된 구간의 잔여 시간과 최소 크기의 프레임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비교하며,
    상기 잔여 시간이 상기 최소 크기의 프레임 수신에 필요한 시간보다 적으면, 물리계층을 수신 비활성화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물리계층 장치.
  14. 슈퍼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 디바이스에서 물리계층(PHY)을 구현하는 물리계층 장치로서,
    슈퍼 프레임에서 당해 디바이스에 수신 할당된 구간의 잔여 시간과 최소 크기의 프레임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비교하며,
    상기 잔여 시간이 상기 최소 크기의 프레임 수신에 필요한 시간보다 적으면, 물리계층을 수신 비활성화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물리계층 장치.
  15. 슈퍼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모를 저감하기 위한 물리계층(PHY) 동작 방법으로서,
    슈퍼 프레임에서 당해 디바이스에 송신 할당된 구간의 잔여 시간과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잔여 시간이 상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보다 적으면, 물리계층을 송신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물리계층 동작 방법.
  16. 슈퍼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모를 저감하기 위한 물리계층(PHY) 동작 방법으로서,
    슈퍼 프레임에서 당해 디바이스에 수신 할당된 구간의 잔여 시간과 최소 크기의 프레임 수신에 필요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잔여 시간이 상기 최소 크기의 프레임 수신에 필요한 시간보다 적으면, 물리계층을 수신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물리계층 동작 방법.
KR1020040105438A 2004-12-14 2004-12-14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KR100599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438A KR100599537B1 (ko) 2004-12-14 2004-12-14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438A KR100599537B1 (ko) 2004-12-14 2004-12-14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904A KR20060066904A (ko) 2006-06-19
KR100599537B1 true KR100599537B1 (ko) 2006-07-13

Family

ID=3716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438A KR100599537B1 (ko) 2004-12-14 2004-12-14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9448B2 (en) 2006-12-22 2014-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WiMedia media acc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932264B1 (ko) * 2007-10-04 2009-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드백 메시지 기반의 상향 트래픽 전송 스케줄링 방법 및장치
KR101008473B1 (ko) 2008-10-30 2011-01-14 삼성전기주식회사 수면모드와 활성모드를 포함하는 지그비 디바이스 및 수면모드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방법
US10372657B2 (en) * 2016-12-26 2019-08-06 Intel Corporation Bimodal PHY for low latency in high speed interconn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904A (ko) 200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7965B2 (ja) チャネル効率の高い分散方式のピアステーション間のデータ伝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710620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주파수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US7193986B2 (en) Wireless network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US7653017B2 (en) Bluetooth sniff mode power saving
JP415870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008149B2 (en) Synchronous access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in frequency hopping radio communication
US10891248B2 (en) Configuring wireless communications according to multiple communication protocols
TWI468047B (zh) 多頻道無線網路之媒介存取控制協定
JP2004350168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32687B1 (ko) Ioe 통신들의 매체 예약 및 우선순위화를 위한 분산된 메커니즘
EP3537767B1 (en) Station association method and device
CN103327579A (zh) 休眠方法及装置
US20170353365A1 (en) Configuring wireless communications and an advertising event according to multiple communication protocols
JP200510175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178660B2 (en) Determining access slot for communications on radio interface
KR20230053699A (ko) 비동기식 채널 호핑 네트워크들에서의 슬리피 디바이스 동작
JP2004040373A (ja) 無線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0177097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KR102545669B1 (ko) Ioe 디바이스 송신 시그널링 및 스케줄링
KR100862490B1 (ko) 데이터 대기 여부를 알리는 지그비 네트워크의 데이터전송방법
KR100599537B1 (ko)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매체접속제어 및 물리계층 장치
Li et al. A novel delayed wakeup scheme for efficient power management in infrastructure-based IEEE 802.11 WLANs
KR20170137078A (ko) Ioe 디바이스 어웨이크 스케줄링 및 디스커버리
JP4692055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umberg et al.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cross-layer wake-up routing protocol T-R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