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535B1 -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535B1
KR100599535B1 KR1020060006849A KR20060006849A KR100599535B1 KR 100599535 B1 KR100599535 B1 KR 100599535B1 KR 1020060006849 A KR1020060006849 A KR 1020060006849A KR 20060006849 A KR20060006849 A KR 20060006849A KR 100599535 B1 KR100599535 B1 KR 100599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filtration tank
raw water
washing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광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티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티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티에프
Priority to KR1020060006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hydraulic classifiers, e.g. of launder, tank, spiral or helical chute concentrato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를 이용하여 폐수 처리를 위한 모래를 세정하는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리프트관에서 모래세정부로 이송되는 모래를 스크류를 이용하여 세정과 재이송이 이루어지도록 마련함으로써 모래 세정작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며 에어리프트관 및 모래세정부가 일체로 수평방향 이송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모래여과기 내의 모든 모래가 균일하게 세척될 수 있는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모래여과층이 형성된 여과탱크와, 상기 여과탱크 후면부에 위치하며 원수가 주입되는 원수유입부와, 상기 원수유입부에서 인입되는 원수가 여과탱크 내부로 배출되도록 여과탱크 하부에 설치되며 원수유입부와 연통되는 분배부와, 상기 분배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모래여과층을 이동하면서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도록 여과탱크 일측에 설치되는 처리수배출구와, 여과탱크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여과탱크 내의 모래를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입되는 모래를 세정하기 위해 세정수를 주입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세정수에 의해 세정된 모래가 경사 형성된 상부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스크류와, 모래세정부의 상측 하부에 형성되며 여과탱크와 연통되는 모래배출관을 포함하는 모래세정부와, 상기 모래세정부 내로 여과탱크 내의 모래를 이송시키기 위해 원수유입부 내에 위치하며 일단은 여과탱크와 연통되고 타측은 모래세정부와 연통되는 에어리프트관과, 상기 모래세정부를 상기 여과탱크 상부 상에서 수평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와, 상기 모터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이송바와, 내주면이 상기 이송바와 치형결합되어 상기 이송바의 회전 시 수평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면 상에 상기 가이드 롤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의 수평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동체의 상면과 상기 모래 세정부의 일측 간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모래세정부가 상기 이동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체의 일측과 모래세정부의 다른 일측을 연결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래여과기, 이동식 상향류, 스크류, 모래세정부

Description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Moving High flow sand filter}
도 1은 종래 상향류식 모래여과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여과탱크와 모래세정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이송바와 이동체의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여과탱크 11 : 모래여과층
20 : 원수유입부 30 : 분배부
40 : 처리수배출구 50 : 모래세정부
51 : 분사노즐 52 : 회전스크류
53 : 모래배출관 53a : 스크레퍼
60 : 에어리프트관 61 : 에어공급관
62 : 에어배출관 70 : 이송바
71 : 이동체 71a : 가이드롤러
72 : 가이드레일 73 : 고정브라켓
74 : 지지부재
본 발명은 스크류를 이용하여 폐수 처리를 위한 모래를 세정하는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리프트관에서 모래세정부로 이송되는 모래를 스크류를 이용하여 세정과 재이송이 이루어지도록 마련함으로써 모래 세정작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며 에어리프트관 및 모래세정부가 일체로 수평방향 이송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모래여과기 내의 모든 모래가 균일하게 세척될 수 있는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샹향류식 모래여과기는 설치면적이 작고, 여과여재(모래)의 세정에 상향류 세정방식을 채용하여 여과와 동시에 모래의 세정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하수처리를 비롯하여 산업폐수의 처리로부터 폐수의 재활용과 담수화 산업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상향류식 모래여과기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류식 모래여과기는 내부에 모래여과층(1a)이 형성되고, 상기 모래여과층(1a)을 통과한 원수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처리수둑(1b)에서 오버플로우 되어 배출되도록 처리수관(1c)이 상부에 형성된 여과탱크(1)와, 유입관(2a)을 통해 상기 여과탱크(1) 내부로 유입된 원수를 모래여과층(1a)에 분사시키는 디스트리뷰터(2)와, 상기 여과탱크(1)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공기 압축기(미도시)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하측에 분사하여 오염된 모래를 상승시키도록 하는 이중관 형태의 에어리프트관(3)과, 상기 에어리프트관(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져 상기 에어리프관(3)을 통해 1차세정된 모래를 세정한 세정수가 모이게 되는 세정수챔버(4)와, 상기 세정수챔버(4)에 모인 처리수를 배출하도록 일단은 상기 세정수챔버(4)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결되어진 세정수관(5)과, 상기 세정수챔버(4)의 하방에 위치되어져 1차세정된 모래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면서 2차세정하도록 하는 지그재그형의 유로(6a)가 형성되어진 모래세정부(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래세정부(6)는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상하부의 유로면적이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향류식 모래 여과기는 유입관(2a)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가 모래여과층(1a) 내에 설치되어진 디스트리뷰터(3)에 의해 모래여과층(1a) 전역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상승하게 되며, 이때 오염물질(SS)은 모래여과층(1a)에 의해 포집되고, 여과수는 상부로 이동하여 처리수둑(1b)에서 오버플로우되어 처리수관(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원수를 여과해서 오탁한 물질을 포착한 오염된 모래는 에어리프트관(3)의 외통(3a)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내통(3b)을 통해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에서 내통(3b)을 통해 상승하는 오염된 모래와 물 그리고 공기가 서로 다른 속도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모래에서 오염물질이 분리되어져 세정수챔버(4)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챔버(4)에 모이게 된 모래는 다시 모래세정부(6)의 지그 재그형 유로(6a)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면서 상부콘(6b)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어 모래여과층(1a)의 상부에 적층되어진다.
또한, 상기 세정수챔버(4)에 모래와 함께 유입된 처리수는 세정수관(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에어리프트관(3)을 통해 세정수챔버(4)에서 세정되는 모래가 지그재그형의 유로(6a)를 통과하는 유동력은 순전히 자유낙하에 의하므로 큰이물이 지그재그형 유로(6a)에 걸리는 경우 모래하강의 저해요인이 되고, 고정형태로 설치되는 에어리프트관(3) 및 이와 고정 설치되는 세정수챔버(4), 지그재그형의 유로(6a)로 인해 상향류식 모래여과기 내의 모든 모래의 여과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리프트관에서 모래세정부로 이송되는 모래를 스크류를 이용하여 세정과 재이송이 이루어지도록 마련함으로써 모래 세정작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며 에어리프트관 및 모래세정부가 일체로 수평방향 이송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모래여과기 내의 모든 모래가 균일하게 세척될 수 있는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은 모래여과층이 형성된 여과탱크와, 상기 여과탱크 후면부에 위치하며 원수가 주입되는 원수유입부와, 상기 원수유입부에서 인입되는 원수가 여과탱크 내부로 배출되도록 여과탱크 하부에 설치되며 원수유입부와 연통되는 분배부와, 상기 분배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모래여과층을 이동하면서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도록 여과탱크 일측에 설치되는 처리수배출구와, 여과탱크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여과탱크 내의 모래를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입되는 모래를 세정하기 위해 세정수를 주입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세정수에 의해 세정된 모래가 경사 형성된 상부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스크류와, 모래세정부의 상측 하부에 형성되며 여과탱크와 연통되는 모래배출관을 포함하는 모래세정부와, 상기 모래세정부 내로 여과탱크 내의 모래를 이송시키기 위해 원수유입부 내에 위치하며 일단은 여과탱크와 연통되고 타측은 모래세정부와 연통되는 에어리프트관과, 상기 모래세정부를 상기 여과탱크 상부 상에서 수평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와, 상기 모터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이송바와, 내주면이 상기 이송바와 치형결합되어 상기 이송바의 회전 시 수평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면 상에 상기 가이드 롤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의 수평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동체의 상면과 상기 모래 세정부의 일측 간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모래세정부가 상기 이동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체의 일측과 모래세정부의 다른 일측을 연결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래여과기는 크게 모래여과층(11)이 형성된 여과탱크(10)와, 상기 여과탱크(10) 후면부에 위치하며 원수가 주입되는 원수유입부(20)와, 상기 원수유입부(20)에서 인입되는 원수가 여과탱크(10) 내부로 배출되도록 여과탱크 하부에 설치되며 원수유입부(20)와 연통되는 분배부(30)와, 상기 분배부(3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모래여과층(11)을 이동하면서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도록 여과탱크 일측에 설치되는 처리수배출구(40)와, 여과탱크(10)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여과탱크(10) 내의 모래를 세정하기 위한 모래세정부(50)와, 상기 모래세정부(50) 내로 여과탱크(10) 내의 모래를 이송시키기 위해 원수유입부(20) 내에 위치하며 일단은 여과탱크(10)와 연통되고 타단은 모래세정부(50)와 연통되는 에어리프트관(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탱크(10)는 일정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에 모래여과층(11)을 가지며 상기 모래여과층(11)을 통과하는 원수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처리수배출구(40)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하단부는 모래가 골고루 에어리프트관(60)을 통해 모래세정부(5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호퍼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여과탱크(10)는 물에 항상 노출되므로 내부식성을 우수한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여과탱크(10) 후면부에는 정수하여야 할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유입부(20)가 마련되는데, 상기 원수유입부(20)는 여과탱크(10) 내에 원수를 배출하는 분배부(30)와 연통되어 원수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원수유입부(20)에는 유입되는 원수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수위측정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입되는 원수의 공급양을 확인하여 밸브의 개폐 등을 통해 원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유입부(20)에 인입된 원수는 여과탱크(10) 내로 분배부(30)를 통해 골고루 배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분배부(30)는 원수가 충분히 모래여과층(11)을 이동하여 정수될 수 있도록 여과탱크(10) 하부측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원수 처리를 위한 모래를 세정하기 위해 여과탱크(10) 상부상에 모래세정부(50)가 이격 설치되는데, 상기 모래세정부(50)는 여과탱크(10) 내의 모래를 이송하는 에어리프트관(60)과 연통되어 세정할 모래를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공급된 모래는 모래세정부(50)의 하부측에 이송배출되고, 배출된 모래는 모래세정부(50) 내에 설치된 회전스크류(52)에 의해 상부측으로 이송되며 모래세정부(50) 내에 설치된 분사노즐(51)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어 이송되는 모래가 세척되게 된다.
상기 세척된 모래는 모래세정부(50) 상측 하부에 형성된 모래배출관(53)을 통해 여과탱크(10) 내로 재이송되는데, 여과탱크(10) 내에 위치하는 모래배출관(53)의 단부에는 배출되는 모래가 평탄하게 적층되도록 스크레퍼(53a)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래세정부(50)의 하부측에는 모래를 세척하는 세정수가 배출되는 세정수배출관(54)이 형성됨은 물론이며, 분사노즐(51)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량과 세정수배출관(54)에서 배출되는 세정수량이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모래세정부(50) 내에는 세정수가 일정 수위로 유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리프트관(60)은 여과탱크(10) 내의 모래를 모래세정부(50)로 이송시키기 위해 원수유입부(20) 내측에 마련되는데, 이를 위해 에어리프트관(60)는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에어공급관(61)과 압축공기가 배출되며 단부가 모래세정부(50)에 위치되는 에어배출관(6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여과탱크(10) 내의 모래는 에어배출관(62)의 단부를 통하여 압축공기의 배출력에 의해 동반 상승하여 모래세정부(50) 이송하게 된다.
또한 에어공급관(61)과 에어배출관(62)이 연통되는 지점은 부상력을 최대로 증대시키기 위해 하부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여과탱크와 모래세정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이송바와 이동체의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리프트관(60)과 모래세정부(50)는 여과탱크(10) 내 모든 모래를 골고루 인양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좌/우로 수평이송되며 작동되는데, 이를 위해 여과탱크(10) 외측 상부상에는 모터(M)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이송바(70)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이송바(70)와 치형결합되어 수평이동하는 이동체(71)가 모래세정부(50)와 고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체(71)가 여과탱크(10) 상부상에 이송지지될 수 있도록 여과탱크(10) 상부 외측에는 가이드레일(72)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 가이드레일(72)을 따라 이동체(71)의 단부에는 가이드롤러(7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체(71)와 모래세정부(50)는 고정브라켓(73)으로 고정결합되며 모래세정부(50)와의 안정적인 고정지지를 위해 이동체(71) 상부에 지지부재(74)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에어리프트관(60)과 모래세정부(50)는 원활한 모래 세척을 위해 다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이격간격은 2m 인 것이 바람직하며, 좌/우 이송되는 모래세정부(50)의 이송거리도 2m 내외가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리프트관에서 모래세정부로 이송되는 모래를 스크류를 이용하여 세정과 재이송이 이루어지도록 마련함으로써 모래 세정작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에어리프트관 및 모래세정부가 일체로 수평방향 이송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모래여과기 내의 모든 모래가 균일하게 세척된다.

Claims (2)

  1. 모래여과층이 형성된 여과탱크와;
    상기 여과탱크 후면부에 위치하며 원수가 주입되는 원수유입부와;
    상기 원수유입부에서 인입되는 원수가 여과탱크 내부로 배출되도록 여과탱크 하부에 설치되며 원수유입부와 연통되는 분배부와;
    상기 분배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모래여과층을 이동하면서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도록 여과탱크 일측에 설치되는 처리수배출구와;
    여과탱크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여과탱크 내의 모래를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입되는 모래를 세정하기 위해 세정수를 주입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세정수에 의해 세정된 모래가 경사 형성된 상부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스크류와, 모래세정부의 상측 하부에 형성되며 여과탱크와 연통되는 모래배출관을 포함하는 모래세정부와;
    상기 모래세정부 내로 여과탱크 내의 모래를 이송시키기 위해 원수유입부 내에 위치하며 일단은 여과탱크와 연통되고 타측은 모래세정부와 연통되는 에어리프트관과;
    상기 모래세정부를 상기 여과탱크 상부 상에서 수평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와, 상기 모터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이송바와, 내주면이 상기 이송바와 치형결합되어 상기 이송바의 회전 시 수평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면 상에 상기 가이드 롤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의 수평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동체의 상면과 상기 모래 세정부의 일측 간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모래세정부가 상기 이동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체의 일측과 모래세정부의 다른 일측을 연결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
  2. 삭제
KR1020060006849A 2006-01-23 2006-01-23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 KR100599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849A KR100599535B1 (ko) 2006-01-23 2006-01-23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849A KR100599535B1 (ko) 2006-01-23 2006-01-23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535B1 true KR100599535B1 (ko) 2006-07-13

Family

ID=3718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849A KR100599535B1 (ko) 2006-01-23 2006-01-23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5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8818A1 (en) 1989-12-08 1991-06-27 Haakanson Sven Anders Samuel Apparatus for filtration of liquid
US5277829A (en) 1992-07-14 1994-01-11 Andritz Sprout-Bauer, Inc. Deep bed sand filter
JP2000218104A (ja) * 1999-02-01 2000-08-08 Japan Organo Co Ltd 連続式砂濾過装置
KR100429422B1 (ko) 1996-03-29 2004-07-12 이병수 원심 혼합 모래 여과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8818A1 (en) 1989-12-08 1991-06-27 Haakanson Sven Anders Samuel Apparatus for filtration of liquid
US5277829A (en) 1992-07-14 1994-01-11 Andritz Sprout-Bauer, Inc. Deep bed sand filter
KR100429422B1 (ko) 1996-03-29 2004-07-12 이병수 원심 혼합 모래 여과기
JP2000218104A (ja) * 1999-02-01 2000-08-08 Japan Organo Co Ltd 連続式砂濾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281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0969933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CN201275920Y (zh) 节水型导带水洗装置
FI90500B (fi) Ennaltamäärättyä suurikokoisemman hienojakoisen aineen poistoon tarkoitettu vedenselkeytyslaitteisto
CN203735419U (zh) 三段式水果清洗机
KR101158765B1 (ko) 상향류식 모래 여과기
KR101759931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KR101798710B1 (ko) 재생형 필터 자동 세척장치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101207999B1 (ko) 세척수 재활용 장치를 구비한 벨트 크리너 세척 시스템
KR20010065255A (ko) 폐수처리여과기의 여과재 표면세척장치
JP4716204B2 (ja) 汚砂・し渣洗浄処理方法ならびに汚砂・し渣洗浄処理装置
KR100599535B1 (ko) 이동식 상향류 모래여과기
KR100940829B1 (ko) 상향류식 인제거용 모래 여과기
CN205965209U (zh) 工件清洗水过滤净化循环系统
KR101784886B1 (ko) 분배챔버를 이용한 연속여과장치
KR0169762B1 (ko) 액체의 이동베드 연속여과장치
KR101854670B1 (ko) 평판 필터 세정장치
CN202096798U (zh) 自清洁式流砂过滤器
KR100759985B1 (ko) 사여과장치 및 그 세정방법
JPH0327242B2 (ko)
KR100953399B1 (ko) 연립식 수평여과 수처리장치
KR100501522B1 (ko) 상향류식 모래 여과기
KR20040058088A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
CN2640571Y (zh) 一种连续运行式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