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931B1 -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931B1
KR100596931B1 KR1020030038847A KR20030038847A KR100596931B1 KR 100596931 B1 KR100596931 B1 KR 100596931B1 KR 1020030038847 A KR1020030038847 A KR 1020030038847A KR 20030038847 A KR20030038847 A KR 20030038847A KR 100596931 B1 KR100596931 B1 KR 100596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ezoelectric element
opening
closed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103A (ko
Inventor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8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931B1/ko
Priority to CNB2003101244128A priority patent/CN1266975C/zh
Publication of KR2004010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에 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은, 상/하부 하우징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하우징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의 개폐시 상기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발생한 전류 신호의 레벨에 따라 단말기 열림/닫힘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대기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압전소자는 발광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류는 동시에 상기 발광수단을 작동시킨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개폐에 따른 압전소자의 발전전류를 이용하여 통화대기상태의 전원의 제어를 수행하여 소모전력의 절감과 추가기능의 수행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압전소자, 압전기, 통화대기, 단말기, 개폐

Description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A Control Module Being Operated At Opening or Closing Instance For Mobile Phone}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예시한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이동통신 단말기 101.......상부하우징
103.......하부하우징 105.......힌지부
107.......압전소자 107a......통전라인
109.......발광램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전소자에서 발생한 전류를 이용하여 전원의 제어나 단말기의 데커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 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상태와 통화를 하지 않는 대기상태로 나뉘어진다.
다음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개폐시 통화/대기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단말기의 예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메인 표시화면이 구비되는 상부하우징(20)과,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32)와 키입력장치등의 구비되는 하부하우징(30)과, 상부하우징(20) 및 하부하우징(3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40)를 포함한다.
상부하우징(20)의 일측에는 자석(22)이 장착되고, 하부하우징(30)에는 상부하우징(20)이 닫혀짐에 따라 자석(22)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34)가 PCB(32)의 일측에 장착된다.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 하우징의 개폐가 있게 되면, 하우징과 홀센서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라 홀센서에서 감지되는 자력의 세기가 달라지게 된다. 홀센서에서 감지되는 자력의 세기에 의해 단말기의 통화/대기 상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단말기(10)의 개폐가 있게되면, 자석(22)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센서(34)에서 감지하여 통화/대기 상태의 제어를 수행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는 경우는 통화/대기 상태의 전환만을 가능하게 하며, 별도의 추가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가능 하지 않게 된다.
또한, 자석(22)과 센서(3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는 제한이 따르며, 다양한 설계의 편리성 및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형 단말기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통화/대기 상태를 제어하는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대기 상태의 제어에 있어서 소모 전력의 절감을 도모하는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개폐시 발생압력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데커레이션 등의 추가기능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은, 상/하부 하우징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하우징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의 개폐시 상기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발생한 전류 신호의 레벨에 따라 단말기 열림/닫힘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대기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전소자는 발광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류는 동시에 상기 발광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제어수단은 단말기가 닫히는 경우에는 대기 상태로 제어하고, 폴더가 열리는 경우에는 통화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수단은, 압전소자에서 발생한 전류 신호를 감지하는 수단과; 상기 단말기가 통화/대기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수단; 그리고 상기 단말기의 통화/대기 상태를 전환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수단은 단말기의 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수단은 단말기의 제어부와 별도로 구성된 제어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광수단은 단말기의 장식용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광수단은 LED 소자를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단말기의 개폐시의 압력변화가 압전소자에 인가되어 압전소자에서 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압전소자에서 발생한 전류 신호의 레벨에 따라 단말기의 통화/대기 상태의 전환이나 단말기이 데커레이션 등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압전소자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하우징은 메인표시화면이 구비되는 상부하우징(101)과, 메인 PCB와 키입력장치가 구비되는 하부하우징(103)과,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105)를 포함한다.
상/하부하우징(101,103)의 어느 일측의 접촉면에는 압력이 가해지면 압전기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107)가 설치되고, 압전소자(107)는 통전라인(107a)에 의해 메인 PCB의 제어부나 통화/대기 상태를 제어하는 별도의 모듈을 구성하는 제어회로에 연결되어진다. 상기에서 압전소자(107)는 상부하우징(101) 또는 하부하우징(103)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므로써, 단말기의 닫힘시에는 닫혀지는 하우징의 소정 부위에 의해 타격되고, 단말기의 개방시에는 상기 닫혀지는 하우징의 눌림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내장된 하우징의 내측 면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상/하부하우징(101,103)의 어느 일측에는 발광수단인 발광램프(109)가 구비되어 있고, 압전소자에서 발생한 전류를 이용하여 발광이 가능하도록 발광램프(109)는 압전소자 및 통화대기 상태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램프는 LED소자를 채용하고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제어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단말기의 통화/대기 상태의 제어과정을 예시한 플로차트이다.
사용자가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와 통화를 하게 되는 경우는 단말기(100)를 열게 되며, 통화가 종료된 경우에는 단말기(100)를 닫게 된다(제 150 단계).
단말기(100)의 개폐가 있게 되면 압전소자(107)에 충격이 가해져 압전기를 발생시킨다. 즉, 상부하우징(101)을 닫으면 하부하우징(103)에 장착된 압전소자(107)에 상부하우징(101)이 접촉되며, 또한, 상부하우징(101)을 열면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하부하우징(103)에 압전소자(107)가 접촉되므로 압전소자(107)는 압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제 152 단계). 상기에서 압전소자(107)에서 발생된 압전기는 상부하우징(101)이 닫히거나 열릴 때 각각 다른 충격량을 가지므로 전압레벨이 서로 다르게 된다. 즉, 상부하우징(101)이 닫힐 때 열릴 때 보다 충격량이 크므로 전압레벨이 더 높다.
압전소자(107)에서 압전기가 발생하게 되면, 제어수단은 현재 상태가 통화상태인지 대기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제 153단계). 상기에서 제어수단은 압전소자(107)에서 발생된 압전기의 전압레벨이 높으면 현재 상태가 통화 상태이고, 낮으면 현재 상태가 대기 상태로 판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 판단 결과 현재상태가 통화상태인 경우에는, 압전소자(107)에서 발생된 압전기에 의한 신호를 스위칭수단으로 보내어 단말기(100)를 대기상태로 제어한다(제 154 단계).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00)를 대기상태로 제어함과 동시에 발광램프를 작동시켜 통화가 종료되었음을 알리고 단말기(100)의 데커레이션을 수행하게 된다(제 155 단계).
삭제
한편, 판단 결과 현재상태가 대기 상태인 경우에는, 압전소자(107)에서 발생된 압전기에 의한 신호를 스위칭수단으로 보내어 단말기(100)를 통화상태로 제어한다(제 156 단계).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00)를 통화상태로 제어함과 동시에 발광램프(109)를 작동시켜 통화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고 단말기(100)의 데커레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제 157 단계).
삭제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램프(109)의 작동은 단말기(100)의 통화/대기 상태로의 전환과 무관하게 단말기의 개폐가 일어나는 경우마다 작동되도록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100)가 통화/대기 상태로 제어된 경우에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압전소자(107)에 의해 발생한 압전기가 소모되기 때문에, 단말기의 데커레이션을 위한 발광램프의 작동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메인전원으로의 전원을 스위칭 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성 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폴더형 단말기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통화대기 상태를 제어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압전소자의 압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모전력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압전소자를 단말기 데커레이션을 수행하는 발광램프 등에 연결하여, 압전기를 이용하여 발광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단말기의 장식등의 추가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상/하부 하우징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하우징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의 개폐시 상기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발생한 전류 신호의 레벨에 따라 단말기 열림/닫힘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대기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발광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류는 동시에 상기 발광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LED 소자를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
  4. 청구항 1 내지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단말기가 닫히는 경우에는 대기 상태로 제어하고, 폴더가 열리는 경우에는 통화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
KR1020030038847A 2003-06-16 2003-06-16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 KR100596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847A KR100596931B1 (ko) 2003-06-16 2003-06-16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
CNB2003101244128A CN1266975C (zh) 2003-06-16 2003-12-24 在终端打开/关闭时启动的控制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847A KR100596931B1 (ko) 2003-06-16 2003-06-16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103A KR20040108103A (ko) 2004-12-23
KR100596931B1 true KR100596931B1 (ko) 2006-07-06

Family

ID=3451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847A KR100596931B1 (ko) 2003-06-16 2003-06-16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6931B1 (ko)
CN (1) CN126697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2136A (zh) * 2014-09-24 2015-01-14 华中科技大学 一种自驱动遥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6975C (zh) 2006-07-26
CN1574993A (zh) 2005-02-02
KR20040108103A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560B1 (ko)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JP2007068173A (ja) タッチ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KR100596931B1 (ko) 단말기의 개폐시에 작동되는 제어모듈
JP2003161926A (ja) 液晶照明方法および装置
KR101320258B1 (ko) 조도 검출 방법, 플립형 전자 디바이스 및 프로그램
KR100797673B1 (ko)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원격조정기
JP4387357B2 (ja) 折畳型携帯通信端末装置
KR100575781B1 (ko) 사이드키 오작동 방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WO2010140284A1 (ja) 通信システム
KR1006981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87100Y1 (ko) 탄소접점방식을 이용한 전화기의 후크스위치
KR10081020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TWI795771B (zh) 開關及操作裝置
JPH10269884A (ja) キー操作部バックライト制御装置
KR100584364B1 (ko) 백라이트구동장치
KR200400532Y1 (ko) 난반사 인쇄부가 형성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KR100346215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94390A (ko) 빛을 점멸하는 키 패드부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및 그조명 제어방법
JP4929959B2 (ja) 電子機器
KR200239544Y1 (ko) 이동단말기의 온/오프 감지장치
JP3834286B2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KR20030024767A (ko) 조명램프를 갖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
KR20000011122U (ko) 휴대폰의 발광소자 작동구조
KR101326646B1 (ko) 조명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0318245Y1 (ko) 착신 램프를 구비한 이어 마이크로폰 목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