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578B1 - 리니어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리니어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578B1
KR100596578B1 KR1020040116381A KR20040116381A KR100596578B1 KR 100596578 B1 KR100596578 B1 KR 100596578B1 KR 1020040116381 A KR1020040116381 A KR 1020040116381A KR 20040116381 A KR20040116381 A KR 20040116381A KR 100596578 B1 KR100596578 B1 KR 10059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eturn time
dangerous
risk
linea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모
김남수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6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2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the DC motors being of the line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02Piston parameters
    • F04B2201/0201Position of the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60Control system actuates through
    • F05B2270/602Control system actuates through electrical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80Devices generating input signals, e.g. transducers, sensors, cameras or strain gau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는 리니어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 이전의 소정의 위험위치 또는 상기 위험위치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하위위험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피스톤위치감지부와; 상기 피스톤위치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리턴하는데 소요되는 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하는 리턴시간산출부와; 상기 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위험리턴시간과 일치되도록 상기 리니어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니어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LINEAR COMPRES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의 코어 및 코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코어위치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에 마련된 피스톤의 왕복운동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종래의 리니어압축기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의 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한 실험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스톤 20 : 리니어모터
30 : 제어부 40 : 리턴시간산출부
50 : 피스톤위치감지부 55 : 코어위치센서
60 : 코어 65 : 코어지지대
본 발명은 리니어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스톤위치검출방법을 개선한 리니어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니어압축기는 냉동사이클의 냉매 압축장치, 자기부상열차의 추진장치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리니어 압축기는 피스톤의 스트로크 크기를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리니어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피스톤 운동을 제어한다. 리니어압축기는 피스톤과 연동하는 코어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서 간접적으로 피스톤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종래의 리니어압축기는 피스톤이 압축/팽창 행정을 하는 동안 소정의 하위 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다시 하위 위험위치로 리턴하는데 소요되는 소정의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한다. 이 때, 리니어압축기는 피스톤이 소정의 위험위치까지 진행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피스톤이 위험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순차적으로 리니어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피스톤이 위험위치를 초과하여 진행했다고 판단되면, 피스톤이 위험위치를 초과하여 진행한 시간을 산출하여, 피스톤이 위험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리니어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리니어압축기는 300μm를 위험위치로 설정하여 피스톤이 300μm를 초과하면 초과한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초과한 시간에해당하는 양 만큼 리니어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줄인다. 반면, 종래의 리니어압축기는 피스톤이 300μm에 도달하지 않으면 도달할 때까지 리니어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킨다.
이 때, 종래의 리니어압축기는 제어 목표값을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으로 설정하고, 피스톤이 위험위치 초과여부에 따라 목표값인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을 조정하여 리니어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였다. 즉, 피스톤이 위험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목표값인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을 길게, 위험위치에 도달하면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을 짧게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목표값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종래의 리니어압축기의 피스톤의 압축/팽창 행정 정도는 불안정하였다.
또한, 종래의 리니어압축기는 피스톤이 위험위치를 초과한 정도는 산출할 수 있으나, 위험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정도는 산출할 수 없어서 정확하게 리니어모터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리니어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는 리니어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 이전의 소정의 위험위치 또는 상기 위험위치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하위위험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피스톤위치감지부와; 상기 피스톤위치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리턴하는데 소요되는 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하는 리턴시간산출부와; 상기 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위험리턴시간과 일치되도록 상기 리니어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압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는 리니어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 이전의 소정의 위험위치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하위위험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피스톤위치감지부와; 피스톤위치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피스톤이 상기 하위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리턴하는데 소요되는 하위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하는 리턴시간산출부와; 상기 피스톤위치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위험위치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하위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과 일치하도록 일치되도록 상기 리니어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위치감지부는 상기 코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는 리니어압축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소정의 위험위치 또는 상기 위험위치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하위위험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리턴하는데 소요되는 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위험리턴시간과 일치되도록, 상기 리니어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압축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는 리니어압축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소정의 위험위치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하위위험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피스톤이 상기 하위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리턴하는데 소요되는 위험리턴시간 또는 하위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피스톤위치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위험위치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하위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과 일치하도록 리니어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압축기는 피스톤(10), 피스톤(10)을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20), 리니어모터(20)를 제어하는 제어부(30), 피스톤(10)의 위치를 감지하는 피스톤위치감지부(50) 및 피스톤위치감지부(50)에서 감지된 피스톤(10)의 위치를 기초로 피스톤(10)이 소정의 위치를 통과하여 다시 동일한 위치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리턴시간을 산출하는 리턴시간산출부(40)를 갖는다.
피스톤(10)은 리니어모터(20)의 상하 왕복운동과 연동되어 냉매를 압축 및 팽창시킬 수 있다.
피스톤위치감지부(50)는 피스톤(10)이 소정의 위험위치를 지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리턴시간산출부에 전송한다. 여기서 위험위치는 충돌위치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진 위치로 선택한다. 피스톤위치감지부(50)는 피스톤(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저, 탄성체, 전기력, 자기력, 유도전자기력 등을 이용한 광코어지지대, 코어 센싱구조 등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피스톤위치감지부는(50)가 유도전자기력을 사용하여 피스톤(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경우, 피스톤(10)과 연결되어 있는 코어(60)의 위치에 의해 피스톤(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피스톤위치감지부(50)는 코어(6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코어위치센서(55)와, 코어위치센서(55)에서 발생하는 감지신호를 리턴시간산출부(40)에 출력하는 감지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리턴시간산출부(40)는 피스톤위치감지부(50)에서 발생한 감지신호를 기초로 피스톤(10)의 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리턴시간산출부(40)는 피스톤(10) 이 위험위치를 통과하여 팽창 및 압축행정을 거친 후 다시 동일 위치인 위험위치로 되돌아오는데 소요되는 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한다.
제어부(30)는 기설정된 기준 위험리턴시간을 갖고 산출된 위험리턴시간과 비교하여 리니어모터(20)를 제어한다. 제어부(30)는 PID(Propo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 퍼지제어 등의 제어알고리즘으로 리니어모터(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하에서는 PID 제어를 일 예로 설명하겠다.
여기서, 기준 위험리턴시간이란 피스톤(10)이 위험위치를 지나 오버슈팅을 하고 위험위치로 리턴하는데 걸리는 표준 시간이다.
제어부(30)는 목표값을 기설정된 기준 위험리턴시간으로 하여, PID 제어를 한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위험리턴시간이 목표값인 기준 위험리턴시간과 일치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목표값은 고정된 값이다.
이 때, 기준 위험리턴시간은 소정의 범위를 갖는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니어압축기가 소정의 시간마다 카운트를 하는 경우, 기준 위험리턴시간은 소정의 카운트로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30)는 리턴시간산출부(40)에서 산출된 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위험리턴시간보다 큰 경우, 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위험리턴시간과 일치하도록 리니어모터(20)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피스톤(10)과 충돌위치 간의 간격이 멀어져 충돌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리턴시간산출부(40)에서 산출된 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위험리턴시간보다 작은 경우, 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위험리턴시간과 일치하도록 리니어모터(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킨다. 제어부 (30)는 AC 전원에 의한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트라이액(triac) 및 구동 컨트롤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피스톤위치감지부(50)는 피스톤(10)이 소정의 하위 위험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하위 위험위치는 충돌위치를 기준으로 충돌감지위치보다 멀리 위치하는 지점으로 선택한다.
리턴시간산출부(40)는 하위 위험위치를 기초로 피스톤(10)의 하위 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턴시간산출부(40)는 피스톤(10)이 하위 위험위치를 통과하여 팽창 및 압축행정을 거친 후 다시 동일 위치인 하위 위험위치로 되돌아오는데 소요되는 하위 위험리턴시간을 측정한다.
제어부(30)는 기설정된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을 갖고, 하위 위험리턴시간과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이 일치하도록 리니어모터(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0)는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을 목표값으로 하여 리니어모터(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피스톤(10)이 전술한 위험위치에 도달하지 않고 다시 하위 위험위치에 리턴한다고 판단되면 산출된 하위 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과 일치되도록 리니어모터(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하위 위험위치를 기초로 산출된 하위 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보다 작은 경우 리니어모터(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키고, 기설정된 하위 위험리턴시간이 하위 기준리턴시간보다 큰 경우 리니어모터(20)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켜 하위 리턴시간이 기설정된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과 같아지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의 코어 및 코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코어위 치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에 마련된 피스톤(10)은 코어(60)와 연결되어 있다.
코어위치센서(55)는 코어(60)가 왕복운동을 하기 위해 내부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코어(60)는 코어지지대(65)를 통해 피스톤(10)과 연결되어 피스톤(10)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코어(60)는 비자성 금속체인 코어지지대(65)에 자성체를 강제 압입하는 방법이나 플라스틱을 인서트 사출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코어위치센서(55)는 상부코일(L1)과 하부코일(L2)을 가진다. 이 각각의 코일(L1, L2)은 코어위치센서(55) 내부의 코어(60) 운동 공간을 감싸고 있으며, 상부코일(L1)과 하부코일(L2)은 코어(60)가 이동할 때 인덕턴스가 유도된다. 피스톤위치감지부(50)는 코어위치센서(55)에 유도된 인턱턴스의 값을 이용하여 피스톤(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피스톤(10)이 전술한 위험위치를 지날 때, 코어(60)는 상부코일(L1)과 하부코일(L2)의 상호 이격거리의 중간지점을 통과하도록 코어(60)와 코일(L1, L2)의 위치를 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의 피스톤 왕복운동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는 피스톤의 하위 위험위치를 충돌위치로부터 1000μm지점으로, 위험위치를 충돌위치로부터 400μm로 설정 할 수 있다.
후술할 실시예에서 하위 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리턴하는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이 40cnt(count), 기준 위험리턴시간이 5cnt인 것을 일예로 설명하겠다. 이 때, 1cnt가 80μsec이면, 기준 위험리턴시간은 400μsec~480μsec이고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은 3200μsec ~ 3280μsec일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위험리턴시간 5cnt는 피스톤(10)이 충돌위치와 가장 근접한 지점인 상사점이 300μm가 되는 시간일 수 있다.
여기서, 위험리턴시간이 6cnt인 경우, 피스톤(10)이 충돌위치와 가장 근접한 지점은 300μm 보다 가까울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30)는 리니어모터(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줄여서 위험리턴시간이 5cnt가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위험리턴시간이 4cnt인 경우, 피스톤(10)이 충돌위치와 가장 근접한 지점은 300μm 보다 멀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30)는 리니어모터(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켜 위험리턴시간이 5cnt가 되도록 제어한다.
피스톤(10)이 위험위치에 도달하지 않고 하위 위험위치에 리턴하는 경우, 제어부(30)는 위험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니어모터(20)를 제어한다. 다만, 제어부(30)는 제어목표 값인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이 40cnt가 되도록 리니어모터(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목표 값은 고정된 값이다.
도 4는 종래의 리니어압축기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의 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한 실험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니어압축기는 0cnt를 기준으로 하여 5~6cnt까지 리턴시간이 산출되었다. 도시한 실험에 의한 위험리턴시간은 최대 6cnt까 지 에러가 나타났지만, 다른 실험데이터에서는 9~10cnt까지 에러가 발생한 경우가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는 5cnt를 기준으로 하여 ± 2~3cnt의 리턴시간이 산출되었다.
제어부(30)가 PID 제어로 리니어모터(20)를 제어하는 경우, 종래의 리니어압축기는 피스톤(10)이 위험위치에 도달하지 않고 하위 위험위치로 리턴한 경우 피스톤(10)이 위험위치에 어느 정도 미치지 못했는지 측정할 수 없어 정확하게 리니어모터(20)를 제어할 수 없었다. 따라서, 피스톤(10)의 위치가 불안정하게 변경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는 실험결과 에러의 절대값이 4cnt이다. 따라서, 목표값을 5cnt로 설정한 경우 에러의 최대 값은 1(5-4)cnt ~ 9(5+4)cnt 사이에서 위험리턴시간이 산출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에 마련된 피스톤(10)이 압축행정을 시작하면, 피스톤(10)은 우선 하위 위험위치에 도달한다(S11). 그리고, 피스톤(10)은 압축행정을 계속하여 위험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S13).
피스톤위치감지부(50)는 피스톤(10)이 위험위치를 통과한 후 다시 위험위치로 리턴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15). 리턴시간 산출부는 피스톤위치감지부(50)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한다(S17). 제어부(30)는 기설정된 기준 위험리턴시간과 산출된 위험리턴시간을 비교하여 각각의 기준 위험리턴시간과 위험리턴시간이 일치되도록 리니어모터(20)를 제어한다(S19). 즉, 제어부(30)는 산출된 위험리턴시간이 기준 위험리턴시간보다 짧은 경우 리니어모터(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켜서 각 시간이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0)는 산출된 위험리턴시간이 기준 위험리턴시간보다 긴 경우 리니어모터(20)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켜서 각 시간이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피스톤위치감지부(50)는 피스톤(10)이 하위 위험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와 하위 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다시 하위 위험위치로 리턴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리턴시간 산출부(40)는 피스톤위치감지부(50)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하위 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피스톤(10)이 위험위치에 도달하지 않고 하위 위험위치로 리턴했다고 판단되는 경우(S25), 리턴시간 산출부(40)는 하위 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한다(S7). 그리고, 제어부(30)는 하위 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과 일치하도록 리니어모터(20)를 제어한다(S29). 즉, 제어부(30)는 산출된 하위 위험리턴시간이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보다 짧은 경우 리니어모터(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켜서 각각의 하위 위험리턴시간과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이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0)는 산출된 하위 위험리턴시간이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보다 긴 경우 리니어모터(20)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켜서 하위 위험리턴시간과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이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는 피스톤이 위험위치 및/또는 하위 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리턴하는 시간을 산출하여 목표값인 기준리턴시간과 일치하도록 조절함으로서 안정적으로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압축기는 목표값인 기준리턴시간을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리니어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위험리턴시간이 기준 위험리턴시간을 초과한 시간 또는 부족한 시간을 산출하여 각각의 시간이 일치하도록 조정함으로서 보다 정밀하게 리니어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리니어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는 리니어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 이전의 소정의 위험위치 또는 상기 위험위치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하위위험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피스톤위치감지부와;
    피스톤위치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피스톤이 상기 위험위치 또는 상기 하위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리턴하는데 소요되는 위험리턴시간 또는 하위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하는 리턴시간산출부와;
    상기 위험리턴시간이 기준 위험리턴시간과 일치되도록 또는 상기 하위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과 일치하도록 리니어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니어압축기.
  2.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는 리니어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 이전의 소정의 위험위치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하위위험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피스톤위치감지부와;
    피스톤위치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피스톤이 상기 하위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리턴하는데 소요되는 하위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하는 리턴시간산출부와;
    상기 피스톤위치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위험위치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하위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과 일치하도록 리니어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위치감지부는 상기 코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압축기.
  4.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는 리니어압축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소정의 위험위치 또는 상기 위험위치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하위위험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위험위치 또는 상기 하위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리턴하는데 소요되는 위험리턴시간 또는 하위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위험리턴시간과 일치되도록 또는 상기 하위위험리터시간이 기설정된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과 일치되도록 상기 리니어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압축기의 제어방법.
  5.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는 리니어압축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소정의 위험위치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하위위험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피스톤이 상기 하위위험위치를 통과하여 리턴하는데 소요되는 위험리턴시간 또는 하위위험리턴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피스톤위치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위험위치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하위위험리턴시간이 기설정된 하위 기준위험리턴시간과 일치하도록 리니어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압축기의 제어방법.
KR1020040116381A 2004-12-30 2004-12-30 리니어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96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381A KR100596578B1 (ko) 2004-12-30 2004-12-30 리니어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381A KR100596578B1 (ko) 2004-12-30 2004-12-30 리니어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6578B1 true KR100596578B1 (ko) 2006-07-04

Family

ID=3718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381A KR100596578B1 (ko) 2004-12-30 2004-12-30 리니어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5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0449A (ja) * 1996-03-14 1997-09-22 Matsushita Refrig Co Ltd 振動型圧縮機
JPH11303763A (ja) 1998-04-20 1999-11-02 Matsushita Refrig Co Ltd 振動式圧縮機
KR20040101767A (ko) * 2003-05-26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073204A (ko) * 2004-01-09 200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0449A (ja) * 1996-03-14 1997-09-22 Matsushita Refrig Co Ltd 振動型圧縮機
JPH11303763A (ja) 1998-04-20 1999-11-02 Matsushita Refrig Co Ltd 振動式圧縮機
KR20040101767A (ko) * 2003-05-26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073204A (ko) * 2004-01-09 200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371B1 (ko) 선형 컴프레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65275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linear compressor using a suction/discharge pressure difference storing unit
US200301801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iprocating compressor
KR20170006283A (ko) 공진 리니어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SG192988A1 (en) Actuation system for a resonant linear compressor, method for actuating a resonant linear compressor, and resonant linear compressor
US7372221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armature stroke in a reversible linear drive unit
KR20130041119A (ko) 공진 선형 압축기를 위한 제어 방법 및 냉각 시스템에 적용된 공진 선형 압축기를 위한 전자 제어 시스템
JP2006506571A (ja) 流体ポンプ装置のピストンの動作制御システムと方法及び流体ポンプ装置
KR100596578B1 (ko) 리니어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US7429839B2 (en) Linear compres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583909A1 (en) A linear-compressor control system a method of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a linear compressor and cooling system
JP3869632B2 (ja) リニアコンプレッサの駆動制御装置
JP4125693B2 (ja) リニア圧縮機及びその制御方法
CN111836961B (zh) 线性压缩机以及线性压缩机控制系统
CN107664120B (zh) 基于行程判断的线性压缩机上死点检测方法
JP2005030383A (ja) リニア圧縮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311417B1 (ko) Lvdt를 이용한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 위치 검출회로
JP2001090661A (ja) リニアコンプレッサの駆動制御装置および駆動制御方法
KR100314057B1 (ko) 선형압축기의 최적운전점 자동검출장치 및 방법
KR100742041B1 (ko) 압축기제어방법과 피스톤위치감시시스템 및 압축기
KR100311418B1 (ko)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 위치 감지장치
KR100500528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11058A (ko) 리니어 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74569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방법
KR100480116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