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390B1 - 광 전송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광 전송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390B1
KR100596390B1 KR1020030097758A KR20030097758A KR100596390B1 KR 100596390 B1 KR100596390 B1 KR 100596390B1 KR 1020030097758 A KR1020030097758 A KR 1020030097758A KR 20030097758 A KR20030097758 A KR 20030097758A KR 100596390 B1 KR100596390 B1 KR 100596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etour
sharing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468A (ko
Inventor
박현
양선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7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3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6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은 망내 노드들로부터 소정의 망 정책에 따른 링크 정보를 수신하여 요구되는 주 LSP를 설정하는 (a)단계, 설정된 주 LSP에 따른 우회로들을 상기 주 LSP의 링크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b)단계 및 설정된 우회로의 공유 정도를 최소화하도록 제어하면서 우회로를 결정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원 공유(resource share)가 절실히 요구되는 이중 장애의 경우 링크를 공유 하는 루트(route)가 많을 수 있으며, 그 링크를 공유하는 복구경로가 많은 링크를 제거 하여 공유 정도를 분산시킴으로써 장애에 대한 파급 효과를 줄일 수 있으며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각 링크의 공유 정도가 분산됨으로써 임의의 이중 장애(dual failures)에 대한 복구율 증가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 전송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Detour path decision method for dual failures restoration on optical transport network system}
도 1은 트래픽 매핑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망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망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복구 스킴들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홉 거리를 고려한 2 레벨(two-level) SRLG로 구성된 망 토폴로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중 장애 발생시 우회로(detour) 자원 공유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운용자의 망 정책에 따른 각 링크에 대한 상위 SRLG 번호 및 하위 SRLG 번호의 형상 정보 입력 및 라우팅에 의한 정보의 플루딩(flooding)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망의 생존성(Network Survivability)은 고속의 광 기반의 망에서 결정적인 요구 사항이다. 이는 광 링크(optical link), 패스, 노드의 장애는 전기적인 그것에 비해 훨씬 많은 정보의 손실을 의미 하므로 SONET 링(rings) 성능에 대적 할 수 있는 빠른 복구 능력이다.
최근 인터넷(Internet) 서비스로 인한 망의 폭발적인 성장을 수용하기위해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을 기반한 전송 망(transport networks)이 점차 캐리어 망(carrier networks)에서 전개되고 있다. 광 전송 망에서 WDM 기술은 수백개의 광 채널을 다중화 하므로써 광섬유(fiber)의 거대한 대역을 수용할 수 있다. 현재는 수십 개의 광 채널을 다중화 하는 점대점(Point-to-Point :P-T-P) WDM 링크(link)들을 캐리어 망에서 수용하여 실행 하고 있다.
망의 생존성 제공을 위한 전형적인 접근 방법은 한 순간에 하나의 링크(link)나 노드(node)와 같이 하나의 요소(single component)만을 고려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망에서의 장애는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경향이 많으며, 최근 이를 위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제 연구 결과, 다중 복구를 위한 메커니즘중 완전 이중 장애(dual-failure) 복구(restorability)를 위해서는 세배(triple)의 여유 용량(spare capacity)을 필요로 한다. 즉, 링크나 노드의 이중 장애시 자원 활용이 매우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망에는, 장애 복구를 위해 작업 경로와 함께, 경로나 노드의 에러로 인해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이를 우회 시킬 수 있는 복구 경로가 있다. 이러한 복구 경로의 설정에는, 장애 발생 전에 미리 대체 경로를 준비해 두는 보호 스위칭(Protection Switching) 모델과 장애 발생 후에 새로운 대체 경로를 찾는 경로 재설정(rerouting) 모델이 있다.
보호 스위칭 모델은 망의 라우팅 정책에 의해 복구 경로를 장애 발생 전에 설정한다. 복구 경로 설정 시에는 현재 작업 경로의 트래픽 요구 사항이 고려된다. 작업 경로 상에서 장애가 감지되면 복구 경로의 시작 노드는 즉시 복구 경로로 트래픽을 대체하게 되므로 빠른 복구가 가능하다. 한편, 보호 스위칭 모델에서는 복구 작업을 시작하고 복구 경로로 스위칭을 수행하는 복구 경로의 시작 노드로 장애 신호가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장애 통보 기능이 필요하다.
경로 재설정 모델에서는 장애가 발생한 후에 트래픽 복구를 위한 요구에 의해 새로운 경로나 경로 세그먼트를 설정하게 된다. 새로운 경로는 장애 정보, 망의 라우팅 정책, 기 설정된 형상 정보 및 망 토폴로지 정보에 의해 설정된다. 장애가 발생되면 복구 시작 노드로 장애 신호가 전달된다. 이 때, 복구 시작 노드는 작업 경로의 시작 노드가 될 수 도 있으며 망 장애가 발생 한 후 장애를 감지한 노드가 될 수도 있다.
경로 재설정 모델은 현재 망의 상태 및 망 정책 등을 기반으로 복구 경로가 설정되므로 때로는 망의 최적화에는 더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장애 발생 후에 많은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며, 노드의 장애나 작업 경로상의 여러 링크에 장애 가 나는 경우에는 보호 스위칭 모델보다 복구 경로 설정이 어렵고 속도 또한 느리다.
한편, 보호 스위칭 모델과 경로 재설정 모델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재설정 모델에 의해 새로운 경로를 형성하는 동안 보호 스위칭 모델에 의해 기 설정된 복구 경로가 일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장애가 발생한 작업 경로에서 복구 경로로 트래픽을 매핑 시키는 방법으로, 1+1 보호, 1:1 보호, 1:n 보호, m:n 보호 등이 있다. 1+1 보호는 동일 트래픽을 양쪽으로 흘려 보냄으로 두 배의 자원이 소모되며, 1:1 또한 트래픽만 복구 경로로 흘려 보내지 않을 뿐 복구 경로의 자원이 낭비된다. 1:n 역시 m:n의 특수한 경우로써 역시 여러 개의 작업경로가 하나의 복구 경로를 이용함으로써 자원 낭비를 어느 정도 줄이긴 하였으나 각각의 작업 경로에 대한 트래픽에 대한 자원을 모두 예약한다면 복구 경로상에서 자원의 낭비가 발생한다.
도 1은 트래픽 매핑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망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A-B-C-D-E를 지나는 LSP를 LSP1이라하고 A-I-J-K-E를 지나는 LSP를 LSP2라 하자. 이 때 망 장애에 대비하여 각각의 복구 경로에 대한 매핑 방법을 1:n 방법을 사용하여 LSP1과 LSP2가 복구 경로를 둘 다 A-F-G-H-E로 선택했다면, 두 개의 작업 경로가 하나의 복구 경로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망에 오직 하나의 장애만 발생한다면 LSP1과 LSP2가 동시에 복구경로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A-F-G-H-E상의 LSP1과 LSP2의 복구 경로에 대한 자원 할당은 LSP1과 LSP2 트래픽 둘 중 큰 값을 선택하여 잡으면 된다. 따라서 망에서 하나의 장애만을 가정하고 작업 경로가 서로 겹치지 않는다면 복구 경로상에서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광 전달 망으로 가정을 하여 복구 경로 상에서 서로 파장을 공유한다면 사용 할 수 있는 파장의 수가 제한 받는 광 전달 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장도 절약함과 동시에 복구할 수 있는 파장 수도 늘릴 수 있다.
경로 재설정 방식을 중심으로, 일반적인 망에서 이용할 수 있는 많은 복구 스킴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기반(link-based) 방식과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스기반(path-based)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링크 기반에서 경로 재 설정은 장애가 발행한 트래픽을 장애가 발생한 곳 주위로 돌리는 것을 말한다. 반면, 패스기반은 장애가 발생한 두 단사이에 모든 경로를 바꾸는 것이다. 링크 기반은 장애가 발생한 링크의 양 끝에서 장애가 발생한 링크를 확인 할 수 있어야 하며 노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복구가 어렵고, 복구 경로의 선택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용량(capacity)를 차지할 수도 있다.
한편, Per-Path-reserved Backup Sharing 방식은 우선경로를 설정하는 초기단계에 복구 경로도 동시에 설정하며, 그에 따른 자원을 함께 예약하는 proactive restoration 방식으로, 복구 경로의 루트가 결정됨과 동시에 그 복구경로를 위한 각 OLG(Optical Line Group)의 RC(Restoration Channels)를 예약하는 방식이다. 이때 2개 혹은 그 이상의 복구경로가 동일한 RC를 예약하게 되는데, 실제로는 이 RC들 중 장애가 하나에만 발생될 때 사용된다. 이와 같이 링크상의 OLG(Optical Line Group)가 하나의 복구경로로 사용될 때, 다음과 같은 고려사항이 발생한다. 우선경로가 주어진 경우, 복구경로의 라우트안에 특정 OLG들을 RC로 예약하여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RC들을 공유하기 위해 재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OLG의 백업경로산출 알고리즘의 가격에 영향을 주며, 복구경로가 선택된 후 어떻게 자원이 분배되는가에 영향을 준다. Per-path-reserved 방식에서는 하나의 OLG에 예약된 RC들은 실제 트래픽을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RC들의 수는 복구에 요구되는 망 오버헤드로 계산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에는 장애 정보를 신호에 의해 망에 전파함으로써 망 전체의 부하를 유발 시킨다.
또한, 종래에는 이중 장애 복구시 패스(path) 계산에 있어서 홉 길이(hop length)를 고려 하지않는다.(이로인해 어떠한 문제가 발생되는가?) 홉 계산시 단순한 홉을 통한 패스 계산은 실제 홉 간의 복구 평균 홉 거리(restoration average packet hop distance) 이다.
또한, 완전한 이중 장애(complete dual-failure) 복구(restorability) 를 위해서 3배의 유휴 용량(spare capacity)을 요구 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우회로 설정 방법이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은 망내 노드들로부터 소정의 망 정책에 따른 링크 정보를 수신하여 요구되는 주 LSP를 설정하는 (a)단계, 설정된 주 LSP에 따른 우회로들을 상기 주 LSP의 링크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b)단계 및 설정된 우회로의 공유 정도를 최소화하도록 제어하면서 우회로를 결정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유휴 자원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홉 거리를 고려한 2 레벨(two-level) SRLG로 구성된 망 토폴로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하위 계층 SRLG는 각 노드의 물리 링크 (Physical Link) 의 SRLG(PSR)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위 계층 SRLG는 망 토폴로지의 홉 제한(hop limit)을 제어 하기위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중 장애 발생시 우회로(detour) 자원 공유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는 두개의 주 LSP 에 대하여 각각의 우회로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어느 순간 두개의 링크 장애(link failure)가 발생될 때, 이를 위한 우회로의 자원 공유를 나타낸다.
메인 LSP A는 a1 ~e1 의 패스를 통해 각 스팽(span) 구간에 우회로(detour path)를 가정하고 예로써,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크 b1-c1의 장애를 대비한 Detour 1이 이용 가능하다. Main LSP B 역시 a2 ~e2 의 path를 통해 각 스팽(span) 구간에 우회로(detour path)를 가정하고 예로써,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크 b2-c2의 장애를 대비한 detour 2또는 detour 2'가 이용 가능하다. 만약에 링크 b1-c1 과 링크 b2-c2 가 동시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노드 b2 의 입장에서는 detour 2나 detour 2' 중 하나를 선택 하여 링크 b2-c2 를 복구 하려고 할 것이다. 그러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크 f, g 사이에 공유 정도를 나타내는 T1(한 경로에 2개의 detour를 공유)과 링크 i,j 사이에 공유 정도를 나타내는 T2 (한 경로에 1 개의 detour를 할당)를 고려하려 할 때, b2는 Detour 2를 선택 하는 것 보다 Detour 2'를 선택 하는 것이다. 즉, Detour 1, Detour2 를 동시에 사용 하려고 하는 경우, 둘 중 하나는 장애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공유(share)의 정도가 좀 더 낮은 T2의 우회로인 Detour 2'를 선택 하는 경우, 장애의 가능성이 축소 될 것이다. 이처럼, 특정 Detour에 집중되지 않도록 유휴자원공유를 골고루 함으로써 장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다음 수학식 1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유휴자원공유를 수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3049931496-pat00001
Figure 112003049931496-pat00002
,
여기서,
Figure 112003049931496-pat00003
: 망 내에서 우회로들의 셋(set)
Figure 112003049931496-pat00004
: 링크 i에서의 우회로들의 셋
Figure 112003049931496-pat00005
: 링크 i의 길이
Figure 112003049931496-pat00006
: 상위 SRLG j에 속하는 링크 i에서 하나의 우회로의 길이
Figure 112003049931496-pat00007
: 상위 SRLG j의 길이
Figure 112003049931496-pat00008
: 망내 최대 공유 정도
Figure 112003049931496-pat00009
: 링크 i의 constant
Figure 112003049931496-pat00010
: 링크 i에서 우회로로 사용된 λ를 각각 나타낸다.
수학식 1에서 목적 함수(Object function)는 망 전체에 링크 장애시 우회로를 위한 유휴의 자원(spare capacity)을 고루 사용 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링크의 공유 정도를 최소화(minimize) 하도록 한다. 즉, F 는 링크 i에서 최대로 우회로들이 λ를 공유 하는 정도가 가장 큰 링크를 나타낸다.
이 목적 함수를 위한 제한 함수(Constraints)는 다음 수학식 2 및 3과 같다.
Figure 112003049931496-pat00011
Figure 112003049931496-pat00012
여기서, 수학식 2는 첫번째 fail 보존을 위한 것으로, 링크 i에 공유된 우회로들의 합은 LA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수학식 3은 두번째 fail 보존을 위한 것으로, 링크 i의 복구 링크(restoration link)는 j임을 나타낸다.
이처럼, 두 링크에 장애가 발생 됐을 때 detour1이 detour2 과 공유 하지 않게 제한 함수(constraint)를 정의한다.
다음 수학식 4는 목적 함수에 대한 제한 사항(constraints) 중에 하나인 홉 제한(hop limit) 함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3049931496-pat00013
수학식 4를 참조하여, 홉 제한인 경우 경우 1 link의 공유 정도가 상위 SRLG의 작업 경로 수를 넘기지 않도록 한다.
다음 수학식 5는 목적 함수에 대한 제한 사항(constraints) 중에 이중 장애에 대한 공유 정도 제한(constraints)을 나타낸다.
Figure 112003049931496-pat00014
수학식 5에는, 이중 장애에 대한 공유 정도 제한(constraints)인 경우 link i와 link j가 동시에 fail된 경우, d에 할당된 λ에 대한 변수 f와 링크i를 위한 detour를 link j로 사용 했다면1, 그렇지 않다면 0 으로 나타내는 변수 δ 그리고, link i, j 가 동일한 하위 SRLG 그룹이면 1, 그렇치 않으면 0을 나타내는 변수 R 의 상관 관계식을 나타낸다. 수학식 5에서, 메인 LSP에 1개의 detour를 가정하는 경우 C=1, 2개의 detour를 가정하는 경우 C=2이다.
즉, 링크 i, j가 동시에 장애가 발생된다고 가정 할 때,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들은 서로 중첩 되지 않도록 하며, 이는 링크 k 에서의 detour 보다 적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 5는 운용자의 망 정책에 따른 각 링크에 대한 상위 SRLG 번호 및 하위 SRLG 번호의 형상 정보 입력 및 라우팅에 의한 정보의 플루딩(flooding)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운용자는 망의 계획이나 망의 상황 및 정책에 따라 홉 제한을 제어 할 수 있는 링크 i를 위한 상위의 SRLG를 할당한다(제501단계). 또한, 실제 물리 링크 i의 배선 상황에 따른 하위 SRLG의 번호를 할당 한다(제502단계). 할당된 각각의 정보는 라우팅 프로토콜의 주기적인 정보 플루딩시 링크 정보에 SRLG 정보를 추가한다(제503단계). 라우팅 정보의 플루딩을 위하여 링크 정보들은 인코딩(encoding)되고(제504단계), 인코딩된 정보는 망 내 노드들에게 전달 된다 (제505단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의 유용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회로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망내 노드들로부터 도 5의 망 정책에 따른 링크 정보를수신하면(제601단계), 요구되는 주 LSP를 설정한다(제602단계). 주 LSP에 따른 우회로들은 주 LSP의 각 링크를 고려하여 계산된다(제603단계). 각 우회로의 공유 정도 및 최적의 자원 유용성을 위하여 상기 수학식 1, 4 및 5를 계산한다(제604단계). 제604단계에서의 계산 결과를 통해 자원이 유용하게 사용 되도록 우회로 설정을 제어하면서(제605단계) 우회로를 결정한다 (제606단계).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우회로 설정시 수학식 1의 목적함수를 이용하여 망 전체의 유휴자원을 골고루 사용하여 장애를 극복하고, 한 링크의 공유정도를 최소화하며, 수학식 4 및 5의 제한 함수를 이용하여 두 링크에 장애가 발생되었을 때 detour1 및 detour2가 공유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서 장애 복구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에 따르면 자원 공유(resource share)가 절실히 요구되는 이중 장애의 경우 링크를 공유 하는 루트(route)가 많을 수 있으며, 그 링크를 공유하는 복구경로가 많은 링크를 제거 하여 공유 정도를 분산시킴으로써 장애에 대한 파급 효과를 줄일 수 있으며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각 링크의 공유 정도가 분산됨으로써 임의의 이중 장애(dual failures)에 대한 복구율 증가 시킬 수 있다.

Claims (8)

  1. (a)광 전송 망내 노드들로부터 소정의 광 전송 망 정책에 따른 링크 정보를 수신하여 요구되는 주 LSP를 설정하는 단계;
    (b)설정된 주 LSP에 따른 우회로들을 상기 주 LSP의 링크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단계; 및
    (c)설정된 우회로의 공유 정도를 최소화하도록 제어하면서 우회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광 전송 망의 계획이나 관 전송 망의 상황 및 정책에 따라 홉 제한을 제어 할 수 있는 링크 i를 위한 상위의 SRLG를 할당하는 단계;
    (a2)실제 물리 링크 i의 배선 상황에 따른 하위 SRLG의 번호를 할당하는 단계;
    (a3)할당된 각각의 정보는 라우팅 프로토콜의 주기적인 정보 플루딩시 링크 정보에 SRLG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및
    (a4)라우팅 정보의 플루딩을 위하여 링크 정보들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정보를 망 내 노드들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각 링크 i 에서 우회로의 공유하는 정도가 가장 큰 링크를 구하는 단계; 광 전송 망내 최대공유정도가 가장 작은 링크를 구하는 단계;를 이용하여 한 링크의 공유 정도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두 링크에 장애가 발생 됐을 때 우회로들을 공유 하지 않도록 상기 제한 함수를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링크 i에 공유된 우회로들의 합이 LA가 되도록 하는 단계; 및
    링크 i의 복구 링크는 다른 링크 j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홉제한인 경우, 한 링크의 공유 정도가 상위 SRLG의 작업 경로 수를 넘기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이중 장애에 대한 공유 정도의 제한을 위해 상기 링크 i, j에 동시에 장애가 발생한다고 가정할 때, 장애복구를 위한 우회로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아야하며 이는 링크 k 에서의 우회로보다 적어야 한다는 것을 만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망 시스템 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030097758A 2003-12-26 2003-12-26 광 전송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KR100596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758A KR100596390B1 (ko) 2003-12-26 2003-12-26 광 전송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758A KR100596390B1 (ko) 2003-12-26 2003-12-26 광 전송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468A KR20050066468A (ko) 2005-06-30
KR100596390B1 true KR100596390B1 (ko) 2006-07-03

Family

ID=3725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758A KR100596390B1 (ko) 2003-12-26 2003-12-26 광 전송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3660B2 (en) 2007-04-18 2012-07-17 Rockstar Bidco Lp Failure notification in a network having serially connected nodes
CA2684623A1 (en) * 2007-04-18 2008-10-30 Nortel Networks Limited Failure notification in a network having serially connected nod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605A (ko) * 1996-12-07 1998-09-05 양승택 전송망 장애 자동복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605A (ko) * 1996-12-07 1998-09-05 양승택 전송망 장애 자동복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468A (ko)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5222B2 (ja) パス設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通信ネットワーク並びにノード装置
US7411964B2 (en) Communication network, path set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ath setting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03006581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working and protection bandwidth in a network
JP4700738B2 (ja) 通信ノード装置、通信システム、パス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プログラム
Choi et al. Loopback recovery from double-link failures in optical mesh networks
JP3744362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リング形成方法及び障害回復方法並びにリング形成時のノードアドレス付与方法
JP3905402B2 (ja) パスルーティング方法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20050188100A1 (en) Method for local protection of label-switching paths with resource sharing
WO2021083364A1 (zh) 一种路径保护方法和网络节点
US20100080119A1 (en) Method for restoring connections in a network
CN101753427B (zh) 网络生存性路径计算方法及系统和路径计算服务器
US20170353244A1 (en) Multi-layer network system and path setting method in multi-layer network
WO2004068892A1 (en) Methods for co-modelling and analyzing packet networks operating over optical networks
US7646706B2 (en) Restoration time in mesh networks
Li et al. Fiber span failure protection in mesh optical networks
EP1768281B1 (en) A method for service connection setup and service resume protection in optical network
Hasan et al. Development of FRR mechanism by adopting SDN notion
KR100596390B1 (ko) 광 전송망 시스템에서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우회로 설정 방법
EP14532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rovisioning of reliable connections in the presence of multiple failures
CN115632702A (zh) 一种光网络的多层保护恢复及资源分配方法
WO2021249478A1 (zh) 资源部署方法、设备、管控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JP2007274249A (ja) 光パス経路選択方法、及び光パス経路選択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223522A (ja) 経路計算方法、経路計算制御装置および経路計算プログラム。
EP1289208A2 (en) A method of controlling data routing on a network
JP4456570B2 (ja) 境界ノード装置、冗長パス設定方法及び冗長パス設定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