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264B1 -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264B1
KR100595264B1 KR1020040092570A KR20040092570A KR100595264B1 KR 100595264 B1 KR100595264 B1 KR 100595264B1 KR 1020040092570 A KR1020040092570 A KR 1020040092570A KR 20040092570 A KR20040092570 A KR 20040092570A KR 100595264 B1 KR100595264 B1 KR 100595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modem
uart
irda
cd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003A (ko
Inventor
유정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2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264B1/ko
Publication of KR2006004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모드일때 CPLD를 통하여 UART인터페이스의 디폴트와 UART인터페이스의 더미에 각각 신호를 제공하여 UART인터페이스에 발생되는 로드(load)를 줄일수 있는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WCDMA용 제1모뎀, CDMA용 제2모뎀,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의 모드상태에 따른 상기 제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제어에 의하여 WCDMA용 제1모뎀 및 CDMA용 제2모뎀으로부터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에 CDMA용 신호 또는 WCDMA용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논리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CDMA모드에서 UART인터페이스의 디폴트와 UART인터페이스의 더미에 각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디버깅시에 CDMA용 모뎀 및 WCDMA용 모뎀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된다.
CDMA, WCDMA, 인터페이스, IrDA, UART, CPLD, 모뎀

Description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Control device of IrDA interface and UART interface of mobile phone for dual mode ty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듀얼폴더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UART인터페이스 및 IrDA 인터페이스의 출력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UART인터페이스 및 IrDA 인터페이스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UART인터페이스 및 IrDA 인터페이스의 출력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모뎀 20 : 제2모뎀
30 : CPLD 40 : IrDA인터페이스
50 : UART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DMA모드일때 CPLD를 통하여 UART인터페이스의 디폴트와 UART인터페이스의 더미에 각각 신호를 제공하여 UART인터페이스에 발생되는 로드(load)를 줄일수 있는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이동통신 방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동기식 CDMA방식(흔히 얘기되는 "CDMA"는 동기식 CDMA를 의미함)과 비동기식 CDMA방식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동기식은 기지국에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시간,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이동통신 방식이고, 비동기식은 기지국에서 GPS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이러한 동기식 CDMA는 북미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무선구간 프로토콜인 IS-95를 포함한 시스템으로서 CDMA-One방식(2세대 방식)과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을 위한 무선구간 프로토콜인 IS-2000을 근간으로하는 시스템인 CDMA-2000방식(3세대 방식)이 사용된다.
유럽지역에서는 GSM(Global Ser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방식(2세대 방식)과, GSM을 기반으로 한 비동기식 CDMA방식인 WCDMA(Wideband CDMA, 3세대 방식)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북미지역과 유럽지역으로 나뉘어져 서로 다른 방식을 사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서로 다른 지역을 방문했을때 이동통신 단 말기를 교체하거나 새로 가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기식과 비동기식 방식 모두에서 작동가능한 듀얼모드(Dual Mode)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UATR 및 IrDA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UART인터페이스 및 IrDA 인터페이스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UART인터페이스 및 IrDA 인터페이스의 출력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SM6250(Mobile Station Modem, 110)은 WCDMA용 모뎀이고, MSM6500(Mobile Station Modem, 120)은 CDMA용 모뎀의 일예를 나타낸다.
제1 스위치(SW1)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인터페이스(140)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인터페이스(150)가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도록 하여 MSM6250(110)에 연결되도록 하고, 제2 스위치(SW2)는 WCDMA용 모뎀(110)에 구비된 제1 UART핀(112)과 CDMA용 모뎀(120)에 구비된 제2 UART핀(122)으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선택적으로 UART인터페이스(150)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듀얼모드용 단말기가 CDMA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WCDMA용 모뎀(110)이 DSP(Digital Signal Process) 기능을 수행하고, CDMA용 모뎀(120)은 모뎀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모뎀들(110, 120)에 대해 UART인터페이스(150)가 사용된다.
이때, 제2 스위치(SW2)를 통해 제2 UART핀(122)으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UART인터페이스(150)의 디폴트(default)에 제공되도록 하고, 제1 UART핀(112)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UART인터페이스(150)의 더미(dummy)에 제공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UART핀(112, 122)으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UART인터페이스(150)의 디폴터(default) 및 더미(dummy)에 제공되므로써 UART인터페이스에 로드(load)가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CDMA용 모뎀과 WCDMA용 모뎀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CPLD를 통해 선택적으로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에 제공함으로써 CDMA모드일때 UART인터페이스의 디폴트와 UART인터페이스의 더미에 각각 신호를 제공하여 UART인터페이스에 발생되는 로드(load)를 줄일수 있는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는 WCDMA용 제1모뎀, CDMA용 제2모뎀,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의 모드상태에 따른 상기 제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제어에 의하여 WCDMA용 제1모뎀 및 CDMA용 제2모뎀으로부터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에 CDMA용 신호 또는 WCDMA용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논리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IrDA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IrDA가 디스에이블(Disable)상태이면서 제2모뎀으로부터 논리칩에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에, 논리칩은 CDMA용 UART신호를 UART인터페이스의 디폴트(default)에 제공하고, WCDMA용 UART신호를 UART인터페이스의 더미(dummy)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논리칩은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듀얼폴더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듀얼폴더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UART인터페이스 및 IrDA 인터페이스의 출력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듀얼폴더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는 제1모뎀(10), 제2모뎀(20),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30), IrDA인터페이스(40) 및 UART인터페이스(50)를 포함한다.
제1모뎀(10)은 WCDMA모드에서 단말기가 구동되도록 하는 WCDMA용 모뎀이고, 제1 UART핀(12)을 할당하여 CPLD(50)에 신호(W_UART)가 전송되도록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MSM6250 모델형이 사용된다
제2모뎀(20)은 CDMA모드에서 단말기가 구동되도록 하는 CDMA용 모뎀이고, 제2 UART핀(22)을 할당하여 CPLD(50)에 신호(C_UART)가 전송되도록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MSM6500 모델형이 사용된다.
CPLD(30)는 단말기가 구동되는 모드상태에 따라 제1 모뎀(10) 또는 제 2 모뎀(20)의 제어신호(UART_SEL)에 의하여, 제1모뎀(10) 또는 제2모뎀(20)으로부터 IrDA인터페이스(40) 및 UART인터페이스(50)에 CDMA용 신호 또는 WCDMA용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IrDA제어신호(IrDA_EN)가 인에이블(Enable)상태이면서 제1모뎀(10)으로부터 CPLD(30)에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CPLD(30)는 IrDA인터페이스(40)로부터 WCDMA용 IrDA신호(W-IrDA)가 출력되도록 하고, IrDA제어신호(IrDA_EN)가 인에이블 (Enable)상태이면서 제2모뎀(10)으로부터 CPLD(30)에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CPLD(30)는 IrDA인터페이스(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없도록 한다.
IrDA제어신호(IrDA_EN)가 디스에이블(Disable)상태이면서 제1모뎀(10)으로부터 CPLD(30)에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CPLD(30)는 UART인터페이스(50)의 디폴트(default)에 WCDMA용 UART신호(W-UART)를 제공하도록 하고, IrDA제어신호 (IrDA_EN)가 디스에이블(Disable)상태이면서 제2모뎀(20)으로부터 CPLD(30)에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CPLD(30)는 UART인터페이스(50)의 디폴트(default)에 CDMA용 UART신호(C-UART)를 제공하도록 하고, UART인터페이스(50)의 더미(dummy)에는 WCDMA용 UART신호(W-UART)를 제공하도록 한다.
IrDA인터페이스(40)는 CPLD(30)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송된 신호가 IrDA송수신 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와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UART인터페이스(50)는 CPLD(30)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송된 신호가 UART리셉터클(미도시)을 통해 외부장치와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모뎀과 제2모뎀으로부터 CPLD를 통하여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에 신호가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로부터 CPLD를 통하여 제1모뎀과 제2모뎀으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는 CDMA용 모뎀과 WCDMA용 모뎀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CPLD를 통해 선택적으로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에 제공함으로써 CDMA모드일때 UART인터페이스의 디폴트와 UART인터페이스의 더미에 각각 신호를 제공하여 UART인터페이스에 발생되는 로드(load)를 줄일수 있게된다.
또한, CDMA모드에서 UART인터페이스의 디폴트와 UART인터페이스의 더미에 각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디버깅시에 CDMA용 모뎀 및 WCDMA용 모뎀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된다.

Claims (3)

  1. WCDMA(Wide band CDMA)용 제1모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용 제2모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인터페이스 및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모드상태에 따른 상기 제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WCDMA용 제1모뎀 및 CDMA용 제2모뎀으로부터 상기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에 CDMA용 신호 또는 WCDMA용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논리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rDA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IrDA제어신호가 디스에이블(Disable)상태이면서 제2모뎀으로부터 상기 논리칩에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논리칩은 CDMA용 UART신호를 UART인터페이스의 디폴트(default)에 제공하고, WCDMA용 UART신호를 UART인터페이스의 더미(dummy)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칩은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 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
KR1020040092570A 2004-11-12 2004-11-12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 KR100595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570A KR100595264B1 (ko) 2004-11-12 2004-11-12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570A KR100595264B1 (ko) 2004-11-12 2004-11-12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003A KR20060047003A (ko) 2006-05-18
KR100595264B1 true KR100595264B1 (ko) 2006-07-03

Family

ID=3714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570A KR100595264B1 (ko) 2004-11-12 2004-11-12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51B1 (ko) * 2005-12-09 2007-07-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mbmm 단말기 및 통신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508A (ko) * 2004-02-19 2005-08-2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모드 변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508A (ko) * 2004-02-19 2005-08-2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모드 변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003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3506B2 (en) Technique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an application and a network
JP4818363B2 (ja) ベースバンドチップ及びベースバンドチップに基いた移動端末のマルチモード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
JP5992114B2 (ja) マルチモード端末及びマルチモード端末のハンドオーバ方法
JP5166092B2 (ja) 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高周波集積回路
KR101654062B1 (ko) 듀얼 모뎀 디바이스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JP4901828B2 (ja) トランシーバ、rfトランシーバ、通信システムおよび制御パケットの伝送方法
US7292557B2 (en) Master-slave processor for dual mode mobile telephone
EP3726924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video call with bluetooh-based headset and video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CN103488598B (zh) 一种多模终端及其实现usb共用的方法
KR100595264B1 (ko) 듀얼모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인터페이스 및UART인터페이스 제어장치
JP4308468B2 (ja) 接合回路と関連方法および回路を含むマルチモード無線電話機
US20110034162A1 (en) Technique for providing network access to different entities
US20100203919A1 (en) Arrangement of 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04201272A (ja) 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高周波集積回路
KR100397335B1 (ko) 이동단말기와 무선랜의 통합단말 장치
US2010021650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upporting Multiple Communications Protocols on a Mobile Phone Device
CN103533620A (zh) 为无线通信模块提供参考时钟的方法及装置
JP2001127874A5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KR100722880B1 (ko) 스위칭 모듈과 상기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의제어 방법
KR20050037251A (ko) 무선 유에스비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3163966A (ja) デュアルモード端末用チップセット
KR100726470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JP2013077893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TW475322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low power and high power wireless phones
TW200915831A (en) Dual-mod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sharing bluetooth module to perform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