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470B1 -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470B1
KR100726470B1 KR1020060022604A KR20060022604A KR100726470B1 KR 100726470 B1 KR100726470 B1 KR 100726470B1 KR 1020060022604 A KR1020060022604 A KR 1020060022604A KR 20060022604 A KR20060022604 A KR 20060022604A KR 100726470 B1 KR100726470 B1 KR 10072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voice sig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찬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6002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뎀이 마이크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내부 통신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모뎀이 내부 통신 경로에 접속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를 독출한 후 제2 데이터 포맷의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여 제2 이동통신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마이크는 제1 모뎀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오버 시에 먹스의 스위칭에 의한 전기적인 잡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먹스 , MB-MM 이동통신 단말기, WCDMA, CDMA

Description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voice data input/output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도 1은 CDMA 이동통신망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마스터 모뎀
220 : 슬레이브 모뎀
230 : 마스터 코덱부
235 : 슬레이브 코덱부
240 : 마스터 변환부
245 : 슬레이브 변환부
250 : 내부 통신 경로
260 : 마이크
270 : 스피커
280 : 마스터 고주파 처리부
285 :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
본 발명은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도 원격지에 위치한 상대방과 음성 통화가 가능한 휴대형 장치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에는 음성 통신만이 가능하였으나, 점차 문자와 기호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방식,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음성과 문자 통신 방식은 비교적 데이터의 용량이 작아 코드분할다중접속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CDMA'라 칭함)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적합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영상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에서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 데이터 출력 속도가 빠른 이동통신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적합한 시스템이 3세대(3GPP) 이동통신 시스템이며, 일 예로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 라 칭한다)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도 이동통신망 접속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즉, 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하는 휴대형 단말기, W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하는 휴대형 단말기, CDMA 방식과 WCDMA 방식을 모두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CDMA 이동통신망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CDMA 이동통신망(100)은 광범위한 영역에서 제공되고 있으나 WCDMA 이동통신망은 CDMA 이동통신망(100) 내의 일부의 지역에서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CDMA 이동통신망(100) 내의 일부 지역은 WCDMA 이동통신망과 중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영역을 오버레이 지역(110)이라 할 수 있다. 물론, CDMA 이동통신망(100) 이외의 영역에 WCDMA 이동통신망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오버레이 지역(110)은 기존의 2세대 이동통신망인 CDMA 이동통신망(100)과 3세대 이동통신망인 WCDMA 이동통신망이 공존하는 영역이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한 WCDMA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오버레이 지역(110)에서는 WCDMA 이동통신망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버레이 지역(이하, 'WCDMA 이동통신망'으로 통칭함)(110) 내외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와 CDMA 방식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CDMA 모뎀과 WCDMA 모뎀을 모두 구비하고 있고, 각 모뎀 간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1, 120-2, 이하 '120'으로 통칭함)를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WCDMA 이동통신망과 CDMA 이동통신망을 상호 이동하는 경우 연속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단말기의 각 방식의 모뎀 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각 모뎀의 음성 데이터 입출력 단자와 먹스(MUX, multiplexer, 즉 입력되는 복수의 신호 중에서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선택 논리회로)로 연결된 하나의 스피커 및/또는 마이크를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에 따라 스위칭하여 음성 데이터를 입출력하였다.
그런데,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음성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경우, 핸드오버 시에 먹스의 스위칭에 의한 전기적인 잡음(noise)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WCDMA 모뎀에서 CDMA 모뎀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면 먹스의 출력 단자는 WCDMA 모뎀의 음성 데이터 입출력 단자에서 CDMA 모뎀의 음성 데이터 입출력 단자로 스위칭되는데, 이때 전기적인 잡음이 발생된다. 이는 트래픽 핸드오버(traffic handover, 즉 전화 통화 도중에 수행하는 핸드오버) 시에 특히 문제된다. 즉, 전화 통화 도중에 발생하는 (먹스의 스위칭에 의한) 전기적인 잡음이 먹스에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 및/또는 마이크로 입력되어 사용자 및/또는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오버레이 지역에서 이동하지 아니하여 각 모뎀 간에 핸드오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상태(일명 '핑퐁(ping-pong)'상태)에서는 전화 통화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오버 시에 먹스의 스위칭에 의한 전기적인 잡음이 발생하지 않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뎀을 구비하고, 각 모뎀이 선택적으로 상응하는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구비된 각 모뎀 간의 데이터 송수신 경 로인 내부 통신 경로;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고, 마이크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내부 통신 경로로 전송하는 제1 모뎀; 및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내부 통신 경로에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독출한 후 제2 데이터 포맷의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여 상기 제2 이동통신망으로 출력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제1 모뎀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데이터일 수 있고, 상기 제2 데이터 포맷은 EVRC(Enhanced Variable Rate Speech Codec) 방식의 데이터 포맷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은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핸드오버 수행 명령을 수신하면 구동 종료 상태인 상기 제2 모뎀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구동 개시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2 모뎀은 상기 구동 개시 명령을 수신하면 구동 개시되어 상기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뎀을 구비하고, 각 모뎀이 선택적으로 상응하는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구비된 각 모뎀 간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인 내부 통신 경 로;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 데이터 포맷의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내부 통신 경로로 전송하는 제2 모뎀; 및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내부 통신 경로에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독출한 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1 모뎀를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모뎀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데이터일 수 있고, 상기 제2 데이터 포맷은 EVRC(Enhanced Variable Rate Speech Codec) 방식의 데이터 포맷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은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핸드오버 수행 명령을 수신하면 구동 종료 상태인 상기 제2 모뎀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구동 개시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2 모뎀은 상기 구동 개시 명령을 수신하면 구동 개시되어 상기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뎀이 마이크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내부 통신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모뎀이 상기 내부 통신 경로에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 음 성 신호를 독출한 후 제2 데이터 포맷의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여 제2 이동통신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제1 모뎀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데이터일 수 있고, 상기 제2 데이터 포맷은 EVRC(Enhanced Variable Rate Speech Codec) 방식의 데이터 포맷일 수 있다.
상기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은 상기 제1 모뎀이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핸드오버 수행 명령을 수신하면 구동 종료 상태인 상기 제2 모뎀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구동 개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제2 모뎀은 상기 구동 개시 명령을 수신하면 구동 개시되어 상기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있어서, 제2 모뎀이 제2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입력되는 제2 데이터 포맷의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내부 통신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모뎀이 상기 내부 통신 경로에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독출한 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모뎀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데이터일 수 있고, 상기 제2 데이터 포맷은 EVRC(Enhanced Variable Rate Speech Codec) 방식의 데이터 포맷일 수 있다.
상기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은 상기 제1 모뎀이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핸드오버 수행 명령을 수신하면 구동 종료 상태인 상기 제2 모뎀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구동 개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구동 개시 명령을 수신하면 구동 개시되어 상기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부가되는 서수(예를 들어, 제1, 제2)는 각 구성 요소가 각 단락 또는 명세서 전반적인 설명을 위해 기재되는 순서에 따라 부가한 것에 불과하며, 이는 각 구성 요소의 명칭을 특정하거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임 아님을 유념하여야 한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를 발명할 수 있 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을 하나씩 구비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레이브 모뎀을 2개 이상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하기의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제1 모뎀을 마스터 모뎀으로 하고 제2 모뎀을 슬레이브 모뎀이라고 편의상 정의하나 그 용어(즉, 제1, 제2, 마스터 및 슬레이브)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여기에서 마스터 모뎀은 WCDMA 모뎀, 슬레이브 모뎀은 CDMA 모뎀으로 가정한다. 물론, WCDMA, CDMA 외에 TDMA 및 GSM 등 다른 통신 방식에 의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마스터 모뎀(210), 슬레이브 모뎀(220), 내부 통신 경로(250), 마이크(260), 스피커(270), 마스터 고주파 처리부(280) 및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마스터 코덱부(230) 및 마스터 변환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슬레이브 모뎀(220)은 슬레이브 코덱부(235) 및 슬레이브 변환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입력부, 표시부, 안테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마스터 모뎀(21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마스터 모드(즉, 마스터 모뎀(210)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기저대역(Base Band)의 각종 신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마스터 이동통신망(즉, 마스터 모뎀(210)과 통신을 수행하는 WCDMA 이동통신망)과 미리 설정된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데, 미리 설정된 방식이란 AMR(Adaptive Multi-Rate) 방식의 데이터 포맷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모뎀(210)에 포함되는 마스터 코덱부(230)는 수신하는 신호들을 AMR 방식의 데이터 포맷으로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할 수 있고, 마스터 모뎀(210)은 AMR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스터 이동통신망과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음성 신호들을 AMR 방식으로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핸드오버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구동 개시 명령을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핸드오버 수행 명령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던 MB-MM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약전계(즉, 마 스터 모드에서 사용되는 신호의 세기가 통신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작아지는 지역)에 진입하면 마스터 이동통신망이 마스터 모뎀(210)으로 전송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정상적으로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를 수행하면 통신 수행을 종료한다. 이때, 마스터 모뎀(210)은 통신 수행을 위한 기능만이 종료되고,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다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까지 종료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마이크(260)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내부 통신 경로(250)로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모뎀(210)에 포함되는 마스터 변환부(240)는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방식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마스터 모뎀(210)은 디지털 음성 신호를 내부 통신 경로(250)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의 디지털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신호일 수 있다.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PCM 방식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내부 통신 경로(250)에 접속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이 내부 통신 경로(250)로 전송한 디지털 음성 신호(예를 들어, PCM 형식의 데이터)를 독출하고, 이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70)를 통해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모뎀(210)에 포함되는 마스터 변환부(240)는 입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마스터 모뎀(210)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스피커(270)로 출력한다.
슬레이브 모뎀(22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슬레이브 모드(즉, 슬레이브 모뎀(220)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기저대역(Base Band)의 각종 신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마스터 모뎀(210)의 구동 개시 명령에 의하여 구동 개시되어 슬레이브 이동통신망(즉, 슬레이브 모뎀(220)과 통신을 수행하는 CDMA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트래픽 상태(즉, 슬레이브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내부 통신 경로(250)에 접속하여 마스터 모뎀(210)이 전송한 디지털 음성 신호(예를 들어, PCM 형식의 데이터)를 독출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이란 EVRC(Enhanced Variable Rate speech Codec)형식의 데이터 포맷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레이브 모뎀(220)에 포함되는 슬레이브 코덱부(235)는 수신하는 신호들을 EVRC 방식의 데이터 포맷으로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할 수 있고, 슬레이브 모뎀(220)은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슬레이브 이동통신망과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 즉, 슬레이브 모뎀(210)은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로 출력할 수 있고,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는 이를 고주파 처리하여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슬레이브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성 신호들을 EVRC 방식으로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슬레이브 모뎀(220)은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즉,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내부 통신 경로(25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방식이란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PCM 방식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레이브 모뎀(220)에 포함되는 슬레이브 코덱부(235)는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로부터 수신한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PCM 방식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슬레이브 모뎀(220)은 이를 내부 통신 경로(2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PCM 방식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부 통신 경로(250)는 슬레이브 모뎀(210)과 마스터 모뎀(220)에 각각 연결되어, 이들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내부 통신 경로(250)는 임의의 저장부 및/또는 버스(Bus)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각 모뎀은 내부 통신 경로(26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독출하는 방법에 의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마스터 모뎀(210)은 마이크(260)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예를 들어, PCM 방식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처리하여)를 내부 통신 경로(2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내부 통신 경로(250)에 접속하여 슬레이브 모뎀(22)이 내부 통신 경로(250)로 전송한 디지털 음성 신호(예를 들어, PCM 방식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모뎀(220)은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로부터 수신한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예를 들어, PCM 방식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처리하여) 내부 통신 경로(2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모뎀(220)은 내부 통신 경로(250)에 접속하여 마스터 모뎀(210)이 내부 통신 경로(250)로 전송한 디지털 음성 신호(예를 들어, PCM 방식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마이크(260)는 입력되는 음성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이때, 마이크(260)는 슬레이브 모뎀(220)에는 연결되지 않고 마스터 모뎀(210)에만 연결될 수 있다. 마이크(260)가 음성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피커(270)는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스피커(270)는 슬레이브 모뎀(220)에는 연결되지 않고 마스터 모뎀(210)에만 연결될 수 있다. 스피커(270)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마이크(260) 및/또는 스피커(270)는 슬레이브 모뎀(220)에만 연결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마스터 고주파 처리부(280)는 마스터 모뎀(210)이 마스터 이동통신망으로 출력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등 송수신되는 마스터 모드의 각종 고주파를 처리한다.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는 슬레이브 모뎀(220)이 슬레이브 이동통신망으로 출력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등 송수신되는 슬레이브 모드의 각종 고주파를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내부 통신 경로(250)가 임의의 저장부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즉, 각 모뎀이 내부 통신 경로(26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독출하는 방법에 의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물론, 내부 통신 경로(250)는 각 모뎀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버스(Bus)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트래픽 상태(즉, 마스터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이고, 슬레이브 모뎀(220)은 구동 종료 상태인 경우를 가정한다(단계 300). 또한, 마이크(260)는 마스터 모뎀(210)에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먼저, 마스터 모뎀(210)은 트래픽 상태에서 핸드오버 수행 명령을 수신하면(단계 310), 구동 개시 명령을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출력한다(단계 320). 이때, 핸드오버 수행 명령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던 MB-MM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약전계(즉, 마스터 모드에서 사용되는 신호의 세기가 통신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작아지는 지역)에 진입하면 마스터 이동통신망이 마스터 모뎀(210)으로 전송하는 신호일 수 있다.
구동 개시 명령에 의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이 구동 개시되고 정상적으로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가 수행되면, 슬레이브 모뎀(220)은 슬레이브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고(단계 330), 마스터 모뎀(210)은 마스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수행을 중단한다(단계 340). 즉,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한다.
단계 350에서, 마이크(260)는 음성이 입력되면 이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단계 360). 마이크(260)가 음성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370에서,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응하는 방식의 음성 데이터(예를 들어,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마스터 모뎀(210)은 마이크(260)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내부 통신 경로(250)로 출력한다. 즉, 마스터 모뎀(210)은 디지털 음성 신호를 마스터 모드에 상응하는 방식의 음성 데이터(예를 들어, AMR 방식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지 않고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경로(250)로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모뎀(210)에 포함되는 마스터 변환부(240)는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방식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마스터 모뎀(210)은 디지털 음성 신호를 내부 통신 경로(250)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의 디지털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신호일 수 있다.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PCM 방식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380에서, 슬레이브 모뎀(220)은 내부 통신 경로(250)에 접속하여 마스 터 모뎀(210)이 전송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독출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단계 390)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로 전송한다(단계 395).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이란 EVRC(Enhanced Variable Rate speech Codec)형식의 데이터 포맷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레이브 모뎀(220)에 포함되는 슬레이브 코덱부(235)는 수신하는 신호들을 EVRC 방식의 데이터 포맷으로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할 수 있고, 슬레이브 모뎀(220)은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슬레이브 이동통신망과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 즉, 슬레이브 모뎀(210)은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로 출력할 수 있고,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는 이를 고주파 처리하여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슬레이브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성 신호들을 EVRC 방식으로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마이크(260)는 마스터 모뎀(210)에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마이크(260)가 슬레이브 모뎀(220)에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면, 상술한 슬레이브 모뎀(220)과 마스터 모뎀(210)의 역할을 상호 맞바꾸면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트래픽 핸드오버(traffic intersystem handover)가 수행되어도 마이크(260)의 연결 변경을 위한 먹스의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그에 따른 전기적인 잡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마이크(260)를 통한 음성 신호의 입력은 항상 마스터 모뎀(210)을 통하여 각 이동통신망으로 송출되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도 내부 통신 경로(250)가 임의의 저장부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즉, 각 모뎀이 내부 통신 경로(26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독출하는 방법에 의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물론, 내부 통신 경로(250)는 각 모뎀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버스(Bus)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통신을 중단한 상태이고, 슬레이브 모뎀(220)은 트래픽 상태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미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슬레이브 모뎀(220)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 경우, 즉, 상술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300 내지 단계 340을 이미 수행한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마이크(260)는 마스터 모뎀(210)에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먼저,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는 슬레이브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음성 데이터(예를 들어,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면(단계 410), 이를 고주파 처리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출력한다(420).
단계 430에서, 슬레이브 모뎀(220)은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즉,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내부 통신 경로(25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이란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PCM 방식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레이브 모뎀(220)에 포함되는 슬레이브 코덱부(235)는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85)로부터 수신한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PCM 방식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슬레이브 모뎀(220)은 이를 내부 통신 경로(2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EVRC 방식의 음성 데이터를 PCM 방식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440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내부 통신 경로(250)에 접속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이 전송한 디지털 음성 신호(즉, PCM 방식의 데이터)를 독출하고, 이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70)로 출력한다(단계 450).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모뎀(210)에 포함되는 마스터 변환부(240)는 입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즉, PCM 방식의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마스터 모뎀(210)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스피커(27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460에서, 스피커(270)는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스피커(270)는 마스터 모뎀(210)에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스피커(270)가 슬레이브 모뎀(220)에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면, 상술한 슬레이브 모뎀(220)과 마스터 모뎀(210)의 역할을 상호 맞바꾸면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트래픽 핸드오버(traffic handover)가 수행되어도 스피커(270)의 연결 변경을 위한 먹스의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그에 따른 전기적인 잡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스피커(270)를 통한 음성 신호의 출력은 항상 마스터 모뎀(210)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따르면 핸드오버 시에 먹스의 스위칭에 의한 전기적인 잡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각각 상이한 이통통신망과 결합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모뎀을 구비한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
    상기 마이크와 결합되고,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핸드오버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구동 개시 명령을 출력하는 제1 모뎀;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상이한 이동통신망인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구동 개시 명령에 의해 구동 개시되는 제2 모뎀; 및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간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인 내부 통신 경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2 모뎀이 구동 개시된 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내부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제2 모뎀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2 모뎀은 입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미리 지정된 데이터 포맷의 음성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제2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데이터이고, 상기 미리 지정된 데이터 포맷은 EVRC(Enhanced Variable Rate Speech Codec) 방식의 데이터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개시 명령에 의해 상기 제2 모뎀이 구동 개시되면,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수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4. 각각 상이한 이통통신망과 결합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모뎀을 구비한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스피커;
    상기 스피커와 결합되고,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핸드오버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구동 개시 명령을 출력하는 제1 모뎀;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상이한 이동통신망인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구동 개시 명령에 의해 구동 개시되는 제2 모뎀; 및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간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인 내부 통신 경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뎀은 상기 제2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미리 지정된 포맷의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내부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모뎀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데이터이고, 상기 미리 지정된 데이터 포맷은 EVRC(Enhanced Variable Rate Speech Codec) 방식의 데이터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개시 명령에 의해 상기 제2 모뎀이 구동 개시되면,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수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7.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이 마이크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내부 통신 경로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상이한 이동통신망인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뎀이 상기 내부 통신 경로를 통해 입력된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미리 지정된 데이터 포맷의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여 제2 이동통신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제1 모뎀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데이터이고, 상기 미리 지정된 데이터 포맷은 EVRC(Enhanced Variable Rate Speech Codec) 방식의 데이터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이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핸드오버 수행 명령을 수신하면 구동 종료 상태인 상기 제2 모뎀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구동 개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제2 모뎀은 상기 구동 개시 명령을 수신하면 구동 개시되어 상기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1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이 구동 개시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상이한 이동통신망인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구동 개시 명령에 의해 구동 개시된 제2 모뎀이 상기 제2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입력되는 미리 지정된 데이터 포맷의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처리하여 내부 통신 경로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내부 통신 경로를 통해 입력된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모뎀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데이터이고, 상기 미리 지정된 데이터 포맷은 EVRC(Enhanced Variable Rate Speech Codec) 방식의 데이터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은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핸드오버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구동 종료 상태인 상기 제2 모뎀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구동 개시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제2 모뎀이 구동 개시되면,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KR1020060022604A 2006-03-10 2006-03-1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KR100726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604A KR100726470B1 (ko) 2006-03-10 2006-03-1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604A KR100726470B1 (ko) 2006-03-10 2006-03-1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470B1 true KR100726470B1 (ko) 2007-06-11

Family

ID=3835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604A KR100726470B1 (ko) 2006-03-10 2006-03-1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4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823A (ko) * 1999-09-27 2001-04-06 윤종용 다중밴드 단말기에서 음성 출력을 위한 스위치 회로
KR20040035969A (ko) * 2002-10-14 2004-04-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 우선방식의 다중모드 단말기에서의 호 단절방지방법
KR20050024091A (ko) * 2003-09-0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시스템과 동기시스템간의 핸드오버를 위한이동단말의 셀 탐색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823A (ko) * 1999-09-27 2001-04-06 윤종용 다중밴드 단말기에서 음성 출력을 위한 스위치 회로
KR20040035969A (ko) * 2002-10-14 2004-04-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 우선방식의 다중모드 단말기에서의 호 단절방지방법
KR20050024091A (ko) * 2003-09-0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시스템과 동기시스템간의 핸드오버를 위한이동단말의 셀 탐색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851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mbmm 단말기 및 통신방법
JP2001501415A (ja) Amps及びcdmaデータ・サービス用のセルラ電話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KR20010012618A (ko) 인터넷 전화에 이용되는 개량된 무선 전화기
US8073389B2 (en) Dual-mod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sharing bluetooth module to perform communication
CN102573129A (zh) 一种多模双待终端以及运行该终端的方法
KR20090079379A (ko) 컨퍼런스 콜 멀티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방법
JPH11298405A (ja) 携帯電話装置
US9924303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SCO) pass-through links
KR100726470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데이터 입출력 방법
WO2011038584A1 (zh) 多模多待移动终端中的信号处理方法及相关装置
US6836668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voice/character conversion direction switch
KR100557161B1 (ko)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JP200020964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マルチ―セクタ基地局装置
US2008011922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Group Communication betwee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a VoIP System
CN104053220A (zh) 基于pcm的多卡多待3g功能模组
KR100690749B1 (ko) 휴대단말기의 다자간 통화수행 장치
KR100625660B1 (ko)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의 착신음 송출 방법
KR100703515B1 (ko) 단방향 스피커폰 통화용 코덱을 이용한 양방향 스피커폰통화 장치 및 방법
KR200179159Y1 (ko)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JP3947312B2 (ja) データ通信処理装置
KR20050069003A (ko) VoIP 기능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EP3076644B1 (en) Base for cordless digital telephone set and corresponding voice data transmission method
KR20040080633A (ko) 개인 휴대 단말기와 4세대 무선 통신모듈의 인터페이스를위한계층구조
KR1003832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듀얼 밴드 제어장치
KR100632666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 헤드셋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