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480B1 - 반거울 층을 갖는 터치 패널 장치 - Google Patents

반거울 층을 갖는 터치 패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480B1
KR100594480B1 KR1020030018228A KR20030018228A KR100594480B1 KR 100594480 B1 KR100594480 B1 KR 100594480B1 KR 1020030018228 A KR1020030018228 A KR 1020030018228A KR 20030018228 A KR20030018228 A KR 20030018228A KR 100594480 B1 KR100594480 B1 KR 100594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ductive layer
user
touch pane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672A (ko
Inventor
권기덕
Original Assignee
아이티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티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8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480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이 패널 상에 일체화되어 형성된 터치 패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하부 기판;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되는 하부 도전막;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어 하부 기판을 통과한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기판;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접착부; 상부 기판 상에, 하부 도전막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부 기판에 접촉하면 하부 도전막의 일부와 접촉하여 도전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 도전막; 상부 도전막과 하부 도전막의 사이에 배열되어 사용자의 접촉 시에 상부 도전막과 하부 도전막의 접촉이 면의 일부분에서만 일어나도록 제한하는 다수개의 도트 스페이서; 및 하부 기판의 하부 도전막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 또는 상부 기판의 상부 도전막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코팅되며 광의 일부만을 투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 반거울 층, 반투과 거울, 디스플레이, 코팅, 박막

Description

반거울 층을 갖는 터치 패널 장치{TOUCH PANEL APPARATUS HAVING HALF-MIRROR LAYER}
도 1은 종래 기술의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표시 소자 2: 저항막 방식 터치패널 하부기판
3: 접착부 4: 상부 기판
5: 도트 스페이서 6: 하부 도전층
7: 상부 도전층
8, 10, 11, 12: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
9, 13: 보호막
101: 표시 소자 102: 정전 용량 방식 터치패널 기판
103: 도전막 104: 유전체 층
105, 106: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
107: 보호막
본 발명은 터치 패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제품 등의 장치 작동 상태 표시 및 기능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터치 패널에 있어서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터치 패널 상의 각각의 선택 버튼부를 반투명하게 하여 장치의 외관을 보다 단순화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고급화 및 장식적 효과를 제공하며, 기존의 터치 패널 구조를 적절히 활용하여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을 그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터치 패널 상에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기능을 제공함에 따른 추가 자재 및 공정비용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터치 패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 장치는 각종 가전제품,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보안용 기기, 자동차용 기기 등에서 장치의 작동 상태 표시와 사용자에 의한 각종 기능 선택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기능이 점점 다양화 및 복잡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가전제품 등에서는 장치의 외관에 설치된 여러 가지의 복잡한 스위치를 터치 패널 상의 선택 버튼부로 대신함으로써 장치 외관이 보다 단순해지며, 그에 따라 다양한 외관 디자인이 가능해지고, 장치의 조립 공정도 극히 단순해지는 등의 많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고급화된 가전제품에서 그 이용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
도 1에서는 일반적인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은 상부 도전막(7)이 형성된 투명 플라스틱 등의 상부 기판(4)과, 하부 도전막(6)이 형성된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투명 하부 기판(2), 상부 도전막(7)과 하부 도전막(6)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부 기판(4) 및 하부 기판(2)을 접합시키며 양면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접착부(3)를 포함한다.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은 상부 기판(4) 상의 터치에 의하여 상부 도전막(7)의 일부가 하부 도전막(6)의 일부와 접하게 되어 도전 경로가 구성되며, 이때 터치 패널의 외부에 존재하는 구동 회로로부터 터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하여 터치에 의해 선택된 내용을 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터치에 의하여 상부 도전막(7)의 일부가 하부 도전막(6)과 물리적 접촉을 하게 되는 구조이므로 접촉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여 사용자의 선택 내용을 확실히 알기 위해서는 접촉 위치를 제외한 주변부에서 상부 도전막(7)이 하부 도전막(6)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따라서 다수의 도트 스페이서(5)가 하부 기판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일반적으로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투명 기판(102)과, 그 상부에 형성되는 도전막(103)과, 도전막을 덮는 유전체 층(1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상술한 도 1의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에 비해서는 그 구조가 단순한 장점이 있고 도 1의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과는 달리 도전막 간의 물리적 접촉 등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전체 층을 사이에 두고 전극과 인체의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인식한다.
또한, 최근 DVD 플레이어, 오디오 등 전자 제품 중 고급화된 제품들의 표시부의 윈도우(window)에 기능성 박막을 코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 윈도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박막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장식적 효과를 높이면서 그 하부의 LED나 액정 화면 등 발광부에 의한 각종 표시의 인식도를 높이기 위해서 표면에 반경면(半鏡面, 반거울면) 처리를 하거나 특정한 색을 필터링하여 색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박막 코팅 처리를 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 윈도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반거울면 처리된 윈도우는 일부의 빛을 반사하면서 일부의 빛을 투과하기 때문에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는 외부로부터의 빛을 반사하여 마치 거울면이나 금속면처럼 보이게 되며, 장치가 작동할 경우에는 내부의 LED 등 발광 소자에 의한 빛을 외부로 투과시켜 표시하고자 하는 내용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반거울면 처리를 위한 막은 일반적으로 극히 얇게 코팅된 금속(은, 크롬, 알루미늄 등)막이 사용되는데 극히 얇게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의 빛을 투과시키는 성질 을 갖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술한 반거울면 처리된 윈도우와 터치 패널이 각각 별도의 제조 과정을 통해 별개의 제품으로 제조되어 이들이 각각 전자 제품 등 장치의 케이스에 별도로 조립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반거울면 윈도우를 열고 그 내부에 설치된 터치 패널을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반거울면 윈도우가 설치된 창과 터치 패널이 설치된 창의 위치가 별개로 분리된 구성을 갖고 있어 터치 패널이 설치된 창은 반거울 기능을 갖지 못하고 반거울면이 설치된 창은 이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 제품 등의 장치 작동 상태 표시 및 기능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터치 패널에 있어서, 터치 패널 기판의 면들을 그대로 활용하여 반거울 층을 그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터치 패널 상의 각각의 선택 버튼부를 반투명하게 하여 장치의 외관을 보다 단순화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고급화 및 장식적 효과를 제공하며, 기존의 터치 패널 구조를 적절히 활용하여 반거울 층을 그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터치 패널에 반거울 기능을 제공함에 따른 추가 자재 및 공정비용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터치 패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한 터치 패널은,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이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되는 하부 도전막;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하부 기판을 통과한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접착부; 상기 상부 기판 상에, 상기 하부 도전막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상부 기판에 접촉하면 상기 하부 도전막의 일부와 접촉하여 도전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 도전막; 상기 상부 도전막과 상기 하부 도전막의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사용자의 접촉 시에 상기 상부 도전막과 상기 하부 도전막의 접촉이 면의 일부분에서만 일어나도록 제한하는 다수개의 도트 스페이서; 및 상기 하부 기판의 상기 하부 도전막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 또는 상기 상부 기판의 상기 상부 도전막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코팅되며 상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도전성 재료로 된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의한 터치 패널 장치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이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되는 하부 도전막;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하부 기판을 통과한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접착부; 상기 상부 기판 상에, 상기 하부 도전막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상부 기판에 접촉하면 상기 하부 도전막의 일부와 접촉하여 도전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 도전막; 및 상기 상부 도전막과 상기 하부 도전막의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사용자의 접촉 시에 상기 상부 도전막과 상기 하부 도전막의 접촉이 면의 일부분에서만 일어나도록 제한하는 다수개의 도트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전막 또는 하부 도전막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의한 터치 패널 장치는,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이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도전막; 상기 도전막을 덮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접촉에 의해 상기 도전막과 정전 용량 결합되도록 하는 유전체 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막은 상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의한 터치 패널 장치는,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이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도전막; 상기 도전막을 덮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접촉에 의해 상기 도전막과 정전 용량 결합되도록 하는 유전체 층; 및 상기 기판의 상기 도전막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 코팅되며, 상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도전성 재료로 된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은 반투광성의 금속 박막인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이 터치 패널의 외면상에 형성된 경우는 상기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을 덮어 보호하는 보호막을 그 상부에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기본적으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를 갖고 있다. 하부 기판(2)은 그 후면의 표시 장치(1)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져 있다. 후면의 표시 장치(1)는 LED(Light Emitting Diod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 Luminescence) 소자 등 어떠한 종류의 표시 장치라도 무방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기판(2)이 표시 장치(1)의 상판을 겸용하도록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부 기판(2) 상에는 하부 도전막(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기판(4) 및 상부 도전막(7)이 제공된다. 또한, 상부 기판(4)과 하부 기판(2)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접착부(3)와, 상부 도전막(7)과 하부 도전막(6)의 사이에 배열되어 사용자가 상부 기판(4)을 통하여 터치 패널에 접촉할 경우에 상부 도전막(7)과 하부 도전막(6)의 접촉이 전체 면 중의 특정 일부분에서만 일어나도록 구획을 제한하는 다수개의 도트 스페이서(5)를 구비하는 점은 구조적으로 종래 기술의 저항막 방 식 터치 패널과 동일하다.
상부 도전막(5) 및 하부 도전막(6)은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ITO(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 도전막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그 이외에도 다소 투광성이 떨어지는 박막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본원 발명의 터치 패널은 빛을 최대한 투과시키려는 것이 아니고 일부 반사하면서 일부를 투과시키도록 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패널 전체적으로 그 광 투과율이 다소 떨어져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주요한 특징으로는 하부 기판(2)의 하부 도전막(6)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8)이 코팅되어 있다는 점이다.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8)은 예를 들어 크롬, 알루미늄 또는 은 등의 얇은 금속 박막이 사용될 수 있으며, 광의 일부만을 투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킴으로써 주변부가 밝은 경우에는 반사광에 의해 금속성의 광택을 내게 되어 그 표면이 거울면과 같이 보이게 되고, 또한 내부의 표시 소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통과시키게 됨에 따라 그로부터 표시되는 장치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금속막 이외에도 반사 방지층(ARC)이나 필터층 등의 색보정용 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필터층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투과 파장 대역이 정해져 있으므로 특정 대역의 파장을 가진 빛만을 통과시키고 다른 파장 대역의 빛을 반사시키게 됨에 따라 터치 패널은 반거울 층이 형성된 경우와 같은 반투광성의 특성을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터치 패널의 외부에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8) 이 노출되게 되는 경우에는 이를 덮는 보호막(9)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8)은 그 두께가 매우 얇으므로 기계적 강도가 취약하고 쉽게 벗겨지거나 손상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10)이 도 1의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하부 도전막(6)을 겸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가 되므로 그 상부에 보호막 등은 필요하지 않게 되며, 종래에 투명 하부 도전막(6)이 하였던 기능을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10)이 하도록 하여 구성이 단순하여 질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성을 얻기 위한 제조 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판에 양질의 ITO 막을 얻는 것은 난이도가 높은 제조 공정이나 얇은 금속막을 코팅하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은 공정이므로 보다 쉽게 터치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도 3의 실시예와는 달리 종래 기술의 상부 투명 도전막(7)을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11)이 겸하도록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2 및 제3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의 상부 및 하부의 투명 도전막을 모두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으로 대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실시예와는 달리 상부 기판(2)의 외측 면에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12)을 형성한 것이며, 그 위에 보호막(13)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105)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도전막(103)의 기능을 겸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전체 층(104)이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105)에 대한 보호막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와는 달리 하부 기판(102)의 외측 면에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106)을 형성한 것이며, 그 위에 보호막(107)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각 실시예의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은 필요에 따라 소정 패턴을 가지도록 코팅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기판 전면에 균일하게 형성된 것일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은 다양한 코팅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중 특히 진공 증착 방법은 막 두께의 제어가 용이하고 형성된 막의 질이 양호하므로 매우 얇은 박막을 균일하게 형성하여야 하는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는 진공 증착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아크 증착법, 스퍼터링 법 등의 다양한 진공 증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막은 투명 도료막, 석영(SiO2) 코팅막, 다이아몬드성 탄소막(DLC: Diamond-like-Carbo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적절한 투광성 및 경도를 제공할 수 있는 박막이면 충분하다. 그중, 투명 도료막으로는 열경 화성 도료, UV 도료, 우레탄 도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도료를 사용하여 반투광성 막의 상층에서 보호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빛의 흡수 등에 의하여 투광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막의 두께가 극히 얇아야 하고(20um 이내) 표면의 얼룩짐이 없어야 하며 전 표면에 걸쳐 균일하고도 높은 투광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그 두께가 극히 균일하여야 한다.
이러한 소량의 액상 도료를 플라스틱 재료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해서는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방식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방식은 아크릴 시트나 플라스틱 재료를 자동화된 생산라인에서 대량으로 처리하기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스프레이 코팅 장치 내로 처리하고자 하는 기판이나 재료가 도입되면 장치 내부에 장착된 스프레이 건(spray gun)을 사용하여 액상의 도료를 표면에 골고루 분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전기적 작동은 근본적으로 종래 기술의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이나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 기술의 터치 패널에서는 불가능하였던 반거울 특성 및 색보정 특성을 제공하면서, 터치 패널과 이를 일체로 형성하여 전자 제품 등의 표시부 및 작동부에 적용하여 높은 장식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반거울 윈도우를 제공하면서도 그와 일체로 터치 패널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장치의 외관이 보다 단순해지고, 복잡한 작동 버튼을 일체로 형성시켜 장치의 케이스 등의 설계에 있어서 좀 더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고 부품과 케이스의 조립도 보다 단순하여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과 반거울 윈도우 등을 별개로 제작하였던 종래 기술의 경우와는 달리 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부품의 수와 필요한 가공 공정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대폭적인 단가의 저감이 가능하다. 특히, 반투광성을 얻기 위한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이 단일한 코팅으로 종래 기술의 투명 도전막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이러한 효과는 더욱 현저하게 된다.
나아가서, 도전성의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에 의하여 표시 장치와 터치 패널 간 또는 외부 장치와 터치 패널 간의 전기적 신호 잡음을 차폐 및 제거하여 터치 패널 장치가 보다 정확히 작동하도록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에 있어서,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되는 하부 도전막;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하부 기판을 통과한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접착부;
    상기 상부 기판 상에, 상기 하부 도전막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상부 기판에 접촉하면 상기 하부 도전막의 일부와 접촉하여 도전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 도전막;
    상기 상부 도전막과 상기 하부 도전막의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사용자의 접촉 시에 상기 상부 도전막과 상기 하부 도전막의 접촉이 면의 일부분에서만 일어나도록 제한하는 다수개의 도트 스페이서; 및
    상기 하부 기판의 상기 하부 도전막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 또는 상기 상부 기판의 상기 상부 도전막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코팅되며 상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투광성의 도전성 박막으로 된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장치.
  2.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에 있어서,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되는 하부 도전막;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하부 기판을 통과한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접착부;
    상기 상부 기판 상에, 상기 하부 도전막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상부 기판에 접촉하면 상기 하부 도전막의 일부와 접촉하여 도전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 도전막; 및
    상기 상부 도전막과 상기 하부 도전막의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사용자의 접촉 시에 상기 상부 도전막과 상기 하부 도전막의 접촉이 면의 일부분에서만 일어나도록 제한하는 다수개의 도트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전막 또는 하부 도전막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투광성 박막으로 된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장치.
  3.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있어서,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도전막;
    상기 도전막을 덮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접촉에 의해 상기 도전막과 정전 용량 결합되도록 하는 유전체 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막은 상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투광성 박막으로 된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장치.
  4.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있어서,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도전막;
    상기 도전막을 덮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접촉에 의해 상기 도전막과 정전 용량 결합되도록 하는 유전체 층; 및
    상기 기판의 상기 도전막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 코팅되며, 상기 후면의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투광성 도전성 박막으로 된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장치.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반거울 및/또는 색보정 층을 보호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장치.
KR1020030018228A 2003-03-24 2003-03-24 반거울 층을 갖는 터치 패널 장치 KR10059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228A KR100594480B1 (ko) 2003-03-24 2003-03-24 반거울 층을 갖는 터치 패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228A KR100594480B1 (ko) 2003-03-24 2003-03-24 반거울 층을 갖는 터치 패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672A KR20040083672A (ko) 2004-10-06
KR100594480B1 true KR100594480B1 (ko) 2006-07-03

Family

ID=3736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228A KR100594480B1 (ko) 2003-03-24 2003-03-24 반거울 층을 갖는 터치 패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648B1 (ko) * 2007-03-12 2014-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패널 및 이를 갖춘 세탁기
JP5012340B2 (ja) * 2007-09-07 2012-08-29 Tdk株式会社 タッチスイッチ用中間体製造方法
KR101219840B1 (ko) * 2009-03-18 2013-0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입력장치
KR101311404B1 (ko) * 2009-08-11 2013-09-25 박준영 터치패널
KR102288820B1 (ko) * 2015-01-16 2021-08-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CN112035012B (zh) * 2020-08-31 2024-02-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672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0708B2 (en) Patterned glass layers in electronic devices
JP6106204B2 (ja) ウィンドウパネル一体型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ー及び製造方法
US4786767A (en) Transparent touch panel switch
KR100942763B1 (ko)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 센서 및 제조 방법
US20130059117A1 (en) Display Screen Protecting Film with Reflective Graphical Elements
EP2677513B1 (en) Decoration film having mirror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512185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패널
KR20150014208A (ko) 터치센서
CN104094200B (zh) 形成有白色涂层的触摸屏面板及触摸屏面板的白色涂膜真空涂覆方法
KR100594480B1 (ko) 반거울 층을 갖는 터치 패널 장치
KR101233656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의 백색코팅막 진공코팅 방법
KR101504840B1 (ko) 전도성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3154B1 (ko) 증착기법을 이용한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CN102591503A (zh) 触控面板
KR20110136050A (ko) 터치스크린 패널
KR101206341B1 (ko) 백색코팅층이 형성된 터치스크린 패널
KR20100057402A (ko) 투명 터치 패널
KR20160097461A (ko) 전자 기기 카바의 금속 데코레이션
KR20040031826A (ko) 미러층을 구비한 터치패널
WO2015034509A1 (en) Display screen protecting film with reflective graphical elements
KR20120136500A (ko) 전도 막
WO2019035031A1 (en) TRANSPARENT CONDUCTOR COATING FOR CAPACITIVE TOUCH PANEL
US20130029109A1 (en) Conductive film
EP2551756A1 (en) Conductive film
US20130022801A1 (en) Conductive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