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464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464B1
KR100594464B1 KR1020040114198A KR20040114198A KR100594464B1 KR 100594464 B1 KR100594464 B1 KR 100594464B1 KR 1020040114198 A KR1020040114198 A KR 1020040114198A KR 20040114198 A KR20040114198 A KR 20040114198A KR 100594464 B1 KR100594464 B1 KR 100594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de
sl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슬롯모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립모드에서 호출채널(페이징신호)를 검출하는 대기모드 상태로 상호 전환되는 경우, 서로 다른 클럭 주파수에 의해서 발생되는 LCD화면의 깜박임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원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립모드 상태로 진입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판단 결과 슬립모드 상태로 진입되는 경우, 슬립클럭소스로 전환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슬립클럭소스로의 전환 이 후에 엘씨디의 백라이트를 켜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 이 후, 슬립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의 판단 결과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클럭소스를 대기모드의 클럭소스로 전환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 이 후 백라이트의 전원을 온 시키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슬롯모드, 슬립모드, 대기모드, 클럭주파수, 엘씨디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LCD clock frequency controll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부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2는 상기 엘씨디부의 구동드라이버 IC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3은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엘씨디부 200 : 엘씨디드라이버IC
101 : 게이트드라이버 102 : 게이트신호라인
104 : 데이터신호라인 105 : TFT
106 : 픽셀 210 : 제어회로
220 : 지램(GRAM : graphic RAM)
230 : 소스드라이버 240 : 클럭제어부
250 : 발진부 300 : 데이터입출력인터페이스
400 : 주저장부 500 : 제어부(MSM)
본원 발명은 슬롯모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립모드에서 호출채널(페이징신호)을 검출하는 대기모드 상태로 상호 전환되는 경우, 서로 다른 클럭 주파수에 의해서 발생되는 LCD화면의 깜박임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대기시에 항상 웨이크업(wake-up) 상태로 동작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배터리 전류가 소모되어 수신대기 시간이 길지 못하였다.
그러나, 코드분할다중화 방식에서는 기지국이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을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내려주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시간이 위성의 시간과 일치하게 된다. 물론 기지국으로부터 전파가 전달되어 오는 시간만큼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이 늦을 수 있으나 상기 시간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따라서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정확한 시간을 유지한다면 서로간에 정해진 시간에만 기지국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기로 약속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정해진 시간 이외에는 시계 기능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드웨어 전원을 오프 하도록 하여 배터리 소모 전력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슬롯 모드라고 한다. 그리고,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정해진 시간 주기는 슬롯 사이클 인덱스로 표현한다.
즉, 디지털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대기시에 전류소모가 많은 웨이크 업상태와 전류소모가 극히 적은 슬립(sleep)상태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슬롯모드(slot mode)로 동작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류소모를 최대한 줄여 수신대기 시간을 대폭 늘릴 수 있었다. 예컨대, 슬롯모드시에 5초동안의 주기마다 300msec를 웨이크업상태로 설정하고 나머지 구간은 배터리 전원의 소모가 적은 슬립상태로 설정하면, 기지국으로부터 5초이상 전송되는 콜(call)신호만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하게 되어 대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장시간 통화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슬롯모드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여러 개의 클럭소스(clock source)를 가지고 있어 슬립모드일 때와 호출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대기모드 상태일 때 각각 서로 다른 클럭소스(clock source)를 사용한다. 일 예로 들면, 호출신호을 검출하기 위한 대기모드 상태일 때는 19.2Mhz의 TCXO 클럭소스를 사용하다가 슬립모드일 동안에는 32Khz의 슬립클럭소스를 사용게 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CPU내부의 클럭을 이용하는 M/N 카운터(M/N counter)를 프로그램하여 백라이트를 켜는 LCD는 슬립 동작시 클럭이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LCD의 밝기가 변화되어 깜박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립모드에서 클럭소스가 변하는 과정에서 LCD의 깜박이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LCD의 백라이트가 켜져 있는 동안에는 슬립모드로 동작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대안 방안은 LCD의 백라이트가 켜져 있는 동 안에는 슬립모드로 동작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립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CPU가 클럭주파수를 변경하기 이전에 변경될 클럭소스에 맞게 M/N 카운터를 프로그램하고, 슬립동작에서 호출신호를 검출하는 대기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에 M/N 카운터를 클럭소스에 맞게 프로그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립모드와 대기모드 사이의 상호 전환시의 엘씨디(LCD)의 깜박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립모드 상태로 진입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판단 결과 슬립모드 상태로 진입되는 경우, 슬립클럭소스로 전환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슬립클럭소스로의 전환 이 후에 엘씨디의 백라이트를 켜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 이 후, 슬립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의 판단 결과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클럭소스를 대기모드의 클럭소스로 전환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 이 후 백라이트의 전원을 온 시키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처리 과정에서 상기 클럭소스의 전환은 M/N 카운터 프로그램에 의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처리과정에서 상기 슬립모드의 클럭소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립모드발진부에서 출력되는 클럭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처리과정에서 상기 대기모드의 클럭소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모드발진부에서 출력되는 클럭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표시장치에서 TFT엘씨디(LCD) 형의 엘씨디부(100)를 나타내며, 도2는 엘씨디표시장치에서 엘씨디부의 영상출력 제어를 위한 엘씨디드라이버IC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엘씨디 표시장치는 도1에 도시된 엘씨디부(100)와 도2에 도시된 엘씨디(LCD)드라이버IC(200)로 구성되며, LCD드라이버IC(200)는 데이터버스(I/O)(30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저장부(400)와 제어부(500)에 연결구성되고, 제어부(500)에는 대기모드 상태에서의 19.2Mhz 동작주파수를 입력받는 TCXO(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로 구성되는 대기모드발진부(510)와 슬립모드 동작을 위한 슬립클럭소스를 제공하는 슬립모드발진부(520)가 연결 구성된다.
상술한 엘씨디부(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신호라인(102)을 가지는 게이트드라이버(102)와 데이터신호라인(104)을 가지는 소스드라이버(230)와 게이트신호라인(102)을 통해 제공되는 클럭신호 및 데이터신호라인(104)을 통해 소스드라이버(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 신호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다수의 TFT(105) 및 픽셀(PIX)(106)이 구비된 엘씨디(LCD)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1에서 미설명 도면 부호 107은 화소 픽셀의 전위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용량이며, 108은 유지용량(107)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108)이다.
그리고, 엘씨디부(100)의 영상출력을 제어하는 엘씨디드라이버IC(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저장부(400)로부터 1프레임(frame)의 영상데이터를 독출하여 저장하는 지램(GRAM : graphic RAM)(210)과 지램(210)에 저장된 1프레임의 영상데이터를 독출한 후 엘씨디부(100)의 게이트드라이버(101)에서 제공하는 클럭신호에 따라 화소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소스드라이버(230)와 영상데이터신호의 전송을 매개하는 제어회로(230)와 영상데이터 출력을 위한 동기를 제공하는 클럭제어부(240) 및 발진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엘씨디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MSM)(500)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부(MSM)(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슬립모드(sleep mode), 또는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는 대기모드의 상태로 동작된다. 즉, MSM(500)은 슬립모드 상태인 경우에는 슬립모드발진부(520)에서 출력되는 32Khz 주파수를 입력받아 슬립모드에서의 M/N카운터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클럭제어부(240)로 출력하게 되며, 대기모드상태에서는 19.2Mhz를 출력하는 대기모드발진부(510)의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서 M/N카운터프로그램을 수행한 후 클럭제어부(240)로 출력함으로써 슬립모드 및 대기모드 상태에 적절한 엘씨디부의 백라이트 동작 주파수를 제공하게 된다.
일발적으로 슬롯모드로 동작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총 두 개의 기준 발진기가 있으며, 그 하나는 상술한 바와 같이, TCXO로 구성되는 19.2Mhz의 대기모드발 진부(510)이고 다른 하나는 32Khz의 슬립크리스탈 소스인 슬립모드발진부(520)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립모드로 동작시에는 제어부(MSM)가 슬립모드발진부(520)의 32Khz의 클럭주파수를 입력받고, M/N카운터 프로그램을 통해 적당한 주파수를 변경시켜 LCD부로 입력하며, 대기모드시에는 대기모드발진부(510)에서 추력되는 19.2Mhz의 기준주파수를 입력받아서 동작되게 된다. 상술한 M/N카운터는 슬립모드 또는 대기모드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을 변환하여 적정한 주파수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500)는 슬립모드 또는 대기모드에 따라 상술한 대기모드발진부(510)와 슬립모드발진부(520)로부터 선택적으로 주파수를 입력받은 후 M/N카운터프로그램과 PLL을 이용하여 엘씨디부에 인가되는 고정 주파수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M/N카운터는 f0= fi*(M/N)로 표현된다.
제어부(500)가 슬립모드 또는 대기모드에 따라 상술한 대기모드발진부(510)와 슬립모드발진부(520)로부터 선택적으로 주파수 fi를 입력 받은 후 새로운 엘씨디부로 입력되는 고정주파수 f0를 생성하여 엘씨디부로 공급한다. 즉, LCD의 백라이트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fi가 TCXO로 구성되는 대기모드발진부(510)와 슬립모드발진부(520)에 따라 반복적으로 변하게 되므로, 변하는 fi 에 대응하도록 M/N 의 값을 각각의 슬립모드 또는 대기모드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엘씨디부에 적합한 고정된 클럭주파수 f0를 생성하여 엘씨디부에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슬립모드와 대기모드의 상호 변경시에 엘씨디부에 적합한 고정된 주파수를 생성하여 입력함으로써 엘씨디부의 백라이트의 깜박거림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3은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3의 설명에서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에 대기모드 상태에서 슬립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가정하였다.
먼저,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어부(MSM)(500)는 대기모드에서 슬립모드로 변경할지를 판단한다(S1).
S1과정의 판단결과 대기모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MSM(500)은 대기모드발진부(510)에서 출력되는 19.2Mhz의 기준주파수 및 대기모드 상태의 M/N 값을 가지는 M/N카운터에 의하여 엘씨부에 적합한 클럭주파수를 생성하여 엘씨부로 공급한다(S2).
이와 달리, S1과정의 판단결과 슬립모드로 진입되는 경우에는 제어부(MSM)(500)는 슬립모드발진부(520)로부터 입력되는 32Khz의 기준주파수를 입력받은 후 슬립모드에 적합한 M/N 값을 이용하여 M/N카운터를 구동함으로써, 엘씨디부에 적합한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한 후(S3), 이동통신 단말기를 슬립모드 상태로 변환한다(S4).
이 후, 제어부(MSM)(50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는 웨이크업(wake up) 상태인 대기모드 상태로 진입할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
S5과정의 판단 결과, 대기모드로 진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S3 및 S4과정에 의한 결과 상태를 유지한다(S6).
이와 달리 S5과정의 판단 결과,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MSM)(500)는 대기모드로 진입함과 동시에(S7), 대기모드발진부(510)로부터 입력되는 기준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은 후 대기모드 상태에 적합한 M/N 값을 이용하여 M/N 카운터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엘씨디부에 적합한 클럭 주파수를 생성하여 엘씨디부로 공급하게 된다(S8).
상술한 처리과정에 의하여 본원발명은 슬립모드시 또는 대기모드시의 변경에 관계 없이 엘씨디부로 동일한 클럭주파수를 제공함으로써 슬립모드와 대기모드 상호 변환시 엘씨디부의 백라이트의 깜박임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슬립모드로의 변경시 또는 슬립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변경시에 엘씨디부에 적합한 클럭 주파수가 입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엘씨디화면의 깜박거림을 해소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용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원발명은 또한, 백라이트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립모드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립모드 상태로 진입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판단 결과 슬립모드 상태로 진입되는 경우, 슬립클럭소스로 전환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슬립클럭소스로의 전환 이 후에 엘씨디의 백라이트를 켜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 이 후, 슬립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의 판단 결과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클럭소스를 대기모드의 클럭소스로 전환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과 이 후 백라이트의 전원을 온 시키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소스의 변환은 M/N 카운터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클럭소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립모드발진 부에서 출력되는 클럭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 상태의 클럭소스는 대기모드발진부에서 출력되는 클럭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
KR1020040114198A 2004-12-28 2004-12-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 KR100594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198A KR100594464B1 (ko) 2004-12-28 2004-12-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198A KR100594464B1 (ko) 2004-12-28 2004-12-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464B1 true KR100594464B1 (ko) 2006-06-30

Family

ID=3718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198A KR100594464B1 (ko) 2004-12-28 2004-12-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1525B2 (en) 2014-08-01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a data driver operated in a power cut-off mode or a stand-by m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1525B2 (en) 2014-08-01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a data driver operated in a power cut-off mode or a stand-by m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7276B2 (ja) 電子機器及び時刻表示制御方法
KR100479948B1 (ko) 이동무선전화기
CN107481695B (zh) 时序控制器、显示驱动电路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US6119023A (en) Digital portable telephone set having backlighted display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JP2005534047A (ja) ディスプレイのリフレッシュレートを制御するイメージ又はビデオ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方法
CN100479026C (zh) 驱动可显示图像和处理音频信号的装置的方法
US20040100310A1 (en) Clock control system and clock control method
US20030128839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timer
JP2002237886A (ja) 表示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における電力削減装置及びその方法
JP6555379B2 (ja) 電子機器及び時刻表示制御方法
WO2010038341A1 (ja) 画像処理装置
JP2004288087A (ja) 情報処理装置
KR1005944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
JP2004287164A (ja) データドライバ及び電気光学装置
CN101944328B (zh) 背光控制的方法及其装置
US8081152B2 (en) Timing control circuit with power-sav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CN112992032B (zh) 一种控制电路、显示装置及控制方法
JPH04171481A (ja) Lcd駆動装置
JP2006259240A (ja) 液晶表示装置、駆動回路、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7088164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with power control
JP2006314089A (ja) チューナシステム
JP2006287345A (ja) 通信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2004140848A (ja) 携帯電子機器
JPH10319920A (ja) 携帯型電子機器
JPH10207429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