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893B1 -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 Google Patents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893B1
KR100593893B1 KR1020040103007A KR20040103007A KR100593893B1 KR 100593893 B1 KR100593893 B1 KR 100593893B1 KR 1020040103007 A KR1020040103007 A KR 1020040103007A KR 20040103007 A KR20040103007 A KR 20040103007A KR 100593893 B1 KR100593893 B1 KR 100593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phone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member
rot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255A (ko
Inventor
이기영
윤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8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자동 또는 수동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이 제공된다.
상기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은, 휴대폰의 케이스에 내장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의 내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카메라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 상기 개구에 삽입되고,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탄성편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력에 의해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휴대폰의 케이스에 내장된 구동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를 구동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폰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카메라, 휴대폰, 걸림홈, 탄성편, 회전휠

Description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Mobile phone having a rotatable camera}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폴더형 휴대폰이고,
(b)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이다.
도 2는 종래의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회전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의 동력전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탄성편이 판스프링인 경우의 동력전달부재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일체형 탄성편을 구비한 동력전달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을 도시한 정면도로,
(a)는 폴더형 휴대폰이고,
(b)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이다.
도 8은 도 3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카메라 12..... 렌즈
20..... 카메라 하우징 22..... 개구
22a..... 걸림홈 23..... 회전휠
30..... 동력전달부재 30a..... 축결합구
32..... 탄성편 50..... 구동수단
본 발명은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케이스 내에 카메라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인 휴대폰은 최근 그 기능이 점차 다양화 되어감에 따라 휴대폰 본래의 기능인 통화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갖추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의 추가기능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휴대폰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휴대폰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폰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a에는 종래의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폰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형 휴대폰은 LCD등의 디스플레이수단(112)을 구비한 폴더(110)와, 휴대폰의 각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모듈(미도시)이 내장되며 다수개의 조작버튼(132)을 구비하고 있는 본체(13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폴더(110)와 본체(130)는 힌지부(110a,130a)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폴더(110)가 회전함에 따라 본체(13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폴더(110)에 형성된 힌지부(110a)에는 카메라가 내장될 수 있는데, 상기 카메라는 경우에 따라 폴더(110)에 형성된 힌지부(110a)외에 본체(130)에 형성된 힌지부(130a)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술한 폴더형 휴대폰 이외에 도 1b에 도시된 슬라이드형 휴대폰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상기 슬라이드형 휴대폰은 상술한 폴더형 휴대폰의 본체(130)와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조작버튼(132')과 제어모듈(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는 본체부(130')와, 디스플레이수단(112')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130')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상기 본체부(130') 상에 구비된 다수개의 조작버튼(132')을 개폐하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장착된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폴더형과 슬라이드형 휴대폰을 그 예로 들었으나 그 밖의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들에도 점차 카메라의 장착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카메라는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도모하고자 휴대폰 내에서 회전구동되도록 설치되는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회전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에 장착되는 카메라도 동일한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이하에서는 폴더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110)에 형성된 힌지부(110a)에는 카메라 하우징(152)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152)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154)로 구성되는 카메라(150)와, 상기 카메라 하우징(152)에 축(162a)이 고정된 기어드모터(162)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150)는 상기 기어드모터(162)가 구동되어 그 축(162a)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힌지부(110a)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150)는 디스플레이수단(112) 및 상기 본체(130)에 내장된 제어모듈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모듈(미도시)은 상기 기어드모터(162)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기어드모터(162)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기어드모터(162)의 선택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150)와 기어드모터(162)의 작동은 상기 본체(130)에 형성 된 조작버튼(132)들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미도시)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152)이 상기 기어드모터(162)의 축(162a)과 직결되는 구조이므로 카메라(15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어드모터(162)의 구동이 필수적이었다.
즉, 카메라(150)는 기어드모터(162)에 의해서만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카메라(150)를 피사체에 조준하기 위한 카메라(150)의 회전시마다 기어드모터(162)를 구동시켜야 했다. 따라서, 카메라의 회전에 따른 소비전력이 과다하게 소모되어 휴대폰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과도하게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카메라(150)는 카메라(15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카메라(150)의 수동회전이 불가능하여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를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150)를 수동으로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기어드모터(162)에 직결된 카메라 하우징(152)이 파손될 우려가 있고, 그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며 회전감도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하우징과 기어드모터 사이에 동력전달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여 기어드모터에 의한 카메라의 자동회전 또는 동력전달부재에 대한 카메라 하우징의 수동회전이 가능하도 록 개선한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의 케이스에 내장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의 내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카메라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
상기 개구에 삽입되고,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탄성편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력에 의해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휴대폰의 케이스에 내장된 구동수단;
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하우징이 외력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카메라의 수동 또는 자동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홈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이 동력전달부재에 대해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개구의 내측면에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으로부터 탄 성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일단이 고정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탄성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편은 그 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고리형태로 굴곡져 있는 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고리형태로 굴곡져 있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와는 다르게,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원판형상이며 그 외주상에 탄성편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기어드모터이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기어드모터의 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축결합구가 그 중앙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은 그 외측에 휴대폰의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회전휠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터형 휴대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회전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의 동력전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탄성편이 판스프링인 경우의 동력전달부재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일체형 탄성편을 구비한 동력전달부재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 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을 도시한 정면도로, (a)는 폴더형 휴대폰이고, (b)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이며, 도 8은 도 3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은 카메라, 동력전달부재 및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구조에 대해 폴더형 휴대폰과 슬라이드형 휴대폰을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폰의 폴더(110)와 본체(130)가 힌지고정되는 폴더(110)의 힌지부(110a) 내에는 카메라(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10)의 일측에는 동력전달부재(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재(30)의 일측에는 구동수단(5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10)는 상기 힌지부(110a)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카메라 하우징(20)과 상기 카메라 하우징(20) 내에 설치되는 렌즈(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렌즈(12)는 구현하고자 하는 카메라의 기능 및 성능에 따라 카메라 하우징(20) 내에 하나 또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10)가 폴더(110)에 형성된 힌지부(110a)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본체(130)에 형성된 힌지부(130a)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하우징(20)은 상기 힌지부 내에서 회전되기 위해 원통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측에는 일정깊이의 개구(2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구(22)는 바람직하게 원통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내주면상으로 함몰된 형태의 걸림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홈(22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하우징(20)의 외측에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2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환형의 회전휠(23)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휠(23)은 상기 카메라(10)가 폴더(110)의 힌지부(110a)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힌지부(110a)에 형성된 슬릿(미도시)을 통해 그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도 7a 참조)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재(30)는 상기 개구(22)에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되도록 원판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재(30)에 고정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탄성편(32)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부재(30)가 카메라 하우징(2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22)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편(32)은 탄성변형되며 상기 걸림홈(22a)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편(32)이 걸림홈(22)에 결합되면 걸림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걸림력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재(30)는 카메라 하우징(20)에 일정크기의 회전력을 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력전달부재(30)는 구동수단(50)과 결합되어 구동수단 (5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카메라 하우징(2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50)은 바람직하게 기어드모터일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재(30)는 상기 기어드모터와의 결합을 위해 기어드모터의 축이 삽입될 수 있는 축결합구(30a)가 그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탄성편(32)은 상기 걸림홈(22a)에 결합되거나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바람직하게 고리형태로 굴곡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걸림홈(22a)과 결합되기 위해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단면이 원형인 스프링이나 도 5a에 도시된 단면이 직사각형인 판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탄성편(32)이 동력전달부재(30)에 결합되는 스프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동력전달부재(30)와 탄성편(32)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재(3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상에 탄성편(32)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재(30)와 탄성편(32)은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도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회전구조가 슬라이드형 휴대폰에 적용된 것을 도시한 것인데, 이 경우에는 상술한 폴더형 휴대폰과 카메라(10)의 설치위치만이 상이하고 그 구조는 동일하다.
즉,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110') 상단에 카메라(10)가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카메라(10)의 일측에 구동수단(50)인 기어드모터가 설치되 며, 상기 카메라(10)와 구동수단(50) 사이에 동력전달부재(30)가 상술한 바와 동일한 구조로 개재된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110') 상단에는 카메라 하우징(20)에 형성된 회전휠(23)이 그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카메라(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의 작용효과에 대해 도 3과 도 8을 통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10)와 동력전달부재(30)는 렌즈(12)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2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22)내에 동력전달부재(30)가 삽입됨으로써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재(30)의 외주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탄성편(32)이 탄성변형되며 상기 개구(22)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22a)에 결합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구동수단(50)인 기어드모터가 구동되어 그 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재(30)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회전력은 탄성편(32)과 걸림홈(22a)에 의해 발생되는 걸림력에 의해 상기 카메라 하우징(20)으로 전달되어 카메라(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휴대폰의 사용자는 구동수단(50)에 의해 자동으로 카메라의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어드모터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수동으로 상기 카메라(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회전휠(23)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카메라(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재(30)는 상기 기어드모터의 축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으나, 상기 동력전달부재(30)의 탄성편(32)이 탄성변형되며 상기 개구(22)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22a)을 이탈함으로써 카메라(10)는 수동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탄성편(32)과 상기 걸림홈(22a)의 걸림력보다 큰 외력을 상기 회전휠(23)에 부여하게 되면 상기 카메라(10)는 동력전달부재(30)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10)를 회전시킴에 따라 탄성편(32)과 걸림홈(22a)이 결합 및 이탈을 반복하며 카메라(10)는 일정각도씩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걸림홈(22a)들의 간격에 따라 상기 카메라(10)는 일정한 각도로 수동회전된다.
즉, 상기 걸림홈(22a)과 걸림부재(36)의 걸림력보다 큰 외력이 상기 회전휠(23)에 가해지면 상기 카메라(10)는 상기 동력전달부재(30)에 대해 일정각도씩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카메라(10)의 수동회전이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은 상기 카메라(10)를 구동수단에 의한 자동회전과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서도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10)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카메라(10)의 회전에 필요한 전력을 절약하여 휴대폰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를 구동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폰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카메라의 자동회전에 의한 휴대폰의 과다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여 휴대폰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휴대폰의 케이스에 내장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의 내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카메라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
    상기 개구에 삽입되고,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탄성편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력에 의해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휴대폰의 케이스에 내장된 구동수단;
    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하우징이 외력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카메라의 수동 또는 자동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이 동력전달부재에 대해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개구의 내측면에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일단이 고정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탄성편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그 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고리형태로 굴곡져 있는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5.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고리형태로 굴곡져 있는 판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원판형상이며 그 외주상에 탄성편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기어드모터이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기어드모터의 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축결합구가 그 중앙에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은 그 외측에 휴대폰의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회전휠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카 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KR1020040103007A 2004-12-08 2004-12-08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KR100593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007A KR100593893B1 (ko) 2004-12-08 2004-12-08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007A KR100593893B1 (ko) 2004-12-08 2004-12-08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255A KR20060064255A (ko) 2006-06-13
KR100593893B1 true KR100593893B1 (ko) 2006-06-28

Family

ID=3715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007A KR100593893B1 (ko) 2004-12-08 2004-12-08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763B1 (ko) * 2020-12-04 2022-10-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255A (ko) 200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078B1 (ko)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449451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KR100724862B1 (ko)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11258934B2 (en) Image captur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100459543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JP4666954B2 (ja) 携帯用端末機の回転型カメラ
KR2005004164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493102B1 (ko)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3828643B2 (ja) ヒンジ装置
US20040121826A1 (en) Rotating shaft of a rotary-Wing typ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method of mounting the same
KR100593893B1 (ko)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KR100649582B1 (ko)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KR1005940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EP1511312B1 (en) Camera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s
KR1005318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CN110233910B (zh) 壳体、摄像组件及电子装置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KR20060030167A (ko)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KR200345710Y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회전모듈
KR100531936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983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200253383Y1 (ko)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KR100600702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회전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