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0167A -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0167A
KR20060030167A KR1020040078949A KR20040078949A KR20060030167A KR 20060030167 A KR20060030167 A KR 20060030167A KR 1020040078949 A KR1020040078949 A KR 1020040078949A KR 20040078949 A KR20040078949 A KR 20040078949A KR 20060030167 A KR20060030167 A KR 20060030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ntact
camera housing
drive motor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0167A/ko
Publication of KR20060030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마찰력과 미끄럼에 의해 자수동 회전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이 제공된다.
상기 폴더형 휴대폰은, 폴더와 본체가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된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여 카메라를 구성하며 상기 힌지부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카메라 하우징; 상기 카메라 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힌지부내에 설치된 구동모터;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되어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전달하는 제 1,2접촉부재를 구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한 카메라 하우징만의 수동회전과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자동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에 의한 카메라의 자동회전과 사용자에 의한 카메라의 수동회전이 가능하고, 카메라의 수동회전시 그 회전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카메라, 폴더, 본체, 휴대폰, 마찰력, 접촉부재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Mobile phone having a camera}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폰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전체 사시도이고,
(b)는 (a)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장착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구동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전체 분해 사시도이고,
(b)는 동력전달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구동구조를 도시한 결답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동력전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동력전달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카메라 12..... 카메라 하우징
12a..... 결합개구 12b..... 회전휠
14..... 렌즈 30..... 구동모터
32..... 축 42..... 스프링
44..... 마찰재 50,70..... 제 1,2접촉부재
52,72..... 접촉바디 54,74..... 결합돌기
58..... 수용개구 78..... 돌출부
90..... 동력전달수단 92,94..... 원통부재
110..... 폴더 130..... 본체
110a,130a..... 힌지부
본 발명은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더와 본체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힌지부내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를 마찰력을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서 마찰력과 미끄럼에 의해 자수동 회전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인 휴대폰은 최근 그 기능이 점차 다양화 되어감에 따라 휴대폰 본래의 기능인 통화기능 이외에 카메라를 구비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휴대폰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폰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a에는 종래의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폰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형 휴대폰은 디스플레이수단(112)이 설치된 폴더(110)와, 휴대폰의 각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모듈(미도시)이 내장되고 다수개의 조작버튼(132)을 구비하고 있는 본체(13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폴더(110)와 본체(130)는 힌지부를 통해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폴더(110)가 회전함에 따라 본체(13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부에는 카메라가 내장되는데, 상기 카메라는 경우에 따라 폴더에 형성된 힌지부 또는 본체에 형성된 힌지부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힌지부인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도로서, 폴더 에 형성된 힌지부(110a) 내에 카메라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10a)에는 카메라 하우징(152)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152)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154)로 구성되는 카메라(150)와, 상기 카메라 하우징(152)에 축(162a)이 고정된 기어드모터(162)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150)는 상기 기어드모터(162)가 구동되어 그 축(162a)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힌지부(110a)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150)는 디스플레이부(112) 및 상기 본체(130)에 내장된 제어모듈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모듈(미도시)은 상기 기어드모터(162)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기어드모터(162)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서 기어드모터(162)의 선택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150)와 기어드모터(162)의 작동은 상기 본체(130)에 형성된 조작버튼(132)들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폰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152)이 상기 기어드모터(162)의 축(162)과 직결되는 구조이므로 카메라(15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어드모터(162)의 구동이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카메라(150)가 상기 기어드모터(162)에 의해서만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력이 과다하게 소모되어 휴대폰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과다하게 단축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카메라(150)는 카메라(15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카메라(150)의 수동회전이 불가능하여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를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150)를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기어드모터(162)에 직결된 카메라 하우징(152)이 파손될 우려가 있고, 그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며 회전감도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하우징과 구동모터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구비한 동력전달수단을 설치하여 구동모터에 의한 카메라의 자동회전과 동력전달수단에 대한 카메라 하우징의 수동회전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더와 본체가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된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여 카메라를 구성하며 상기 힌지부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카메라 하우징; 상기 카메라 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힌지부내에 설치된 구동모터;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되어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전달하는 제 1,2접촉부재를 구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한 카메라 하우징만의 수동회전과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자동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2접촉부재는 서로 접촉하는 원판형의 접촉바디와 상기 접촉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상기 카메라 하우징은 그 일측에 결합개구가 형성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 1접촉부재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제 2접촉부재에 형성된 결합돌기에는 축결합구가 형성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축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 2접촉부재를 상기 제 1접촉부재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힌지부내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 하우징은 그 외측에 상기 힌지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회전휠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2접촉부재는 마찰재를 매개로 접촉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재는 제 1,2접촉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재의 접촉바디에는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접촉부재는 그 접촉바디의 타측 중앙에 원통형의 돌출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접촉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수용개구를 그 접촉바디의 타측 중앙에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모터는 기어드모터(geared motor)일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 1,2접촉부재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장착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구동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전체 분해 사시도이고, (b)는 동력전달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구동구조를 도시한 결답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동력전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의 동력전달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은 카메라 하우징, 구동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구조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폰은 폴더(110)와 본체(130)가 회전가 능하도록 힌지고정되어 있다. 상기 폴더(110)와 본체(130)에는 각각 힌지부(110a,130a)가 형성되어 이들 힌지부(110a,130a)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서 상기 폴더(110)는 다수개의 조작버튼(132)이 형성된 본체(130)의 일측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부(110a,130a)들 중 하나의 힌지부 내에는 카메라(1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10)가 폴더(110)에 형성된 힌지부(110a)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할 것이며 그 이외에 필요에 따라 상기 카메라(10)가 본체(130)에 형성된 힌지부(130a) 내에 장착되는 변형구조도 가능하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10)는 상기 힌지부(110a)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 하우징(12)과 상기 카메라 하우징(12) 내에 설치되는 렌즈(14)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12)은 상기 힌지부(110a) 내에서 회전되기 위해 원통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측에는 결합개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렌즈(12)는 필요로 하는 카메라(10)의 해상도나 기능에 따라 카메라 하우징(12) 내에 하나 또는 다수개가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힌지부(110a) 내에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하우징(12)과 상기 구동모터(30)의 사이에는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카메라 하우징(12)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90)이 설치된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수단(90)은 서로 접촉하는 제 1,2접촉부재(50,70)를 구비하여 이들 사이에서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카메라 하우징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2접촉부재(50,70)는 각각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원판형의 접촉바디(52,72)와 상기 접촉바디(52,72)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54,74)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때,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접촉부재(50)의 결합돌기(54)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2)의 결합개구(12a)에 삽입되는데, 상기 제 1접촉부재(50)의 결합돌기(54)는 결합개구(12a)에 삽입된 후 회전하지 않도록 그 일부에 단턱(56)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 하우징(12)과 제 1접촉부재(50)는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2접촉부재(70)의 결합돌기(74)에는 축결합구(76)가 형성되어 구동모터(30)의 축(32)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0)의 축(32)도 상기 제 1접촉부재(50)의 결합돌기(54)와 마찬가지로 그 일부에 단턱(32a)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축결합구(76)에 삽입되면 구동모터(30)의 축(3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2접촉부재(7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 힌지부(110a) 내에 설치된 스프링(42)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0)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카메라 하우징(12) 쪽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2접촉부재(70)의 접촉바디(72)는 상기 1접촉부재(50)의 접촉바디(52)에 일정 압력을 이루며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2접촉부재(50,70)가 접촉되기 위해서는 구동모터(30)가 상기 힌지부(110a) 내에서 회전하지 않으며 스프링(42)에 의해 카메라 하우징(12) 쪽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0)는 그 외측으로 돌출된 안내돌기(30a)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110a)내에는 상기 안내돌기(30a)가 삽입되어 상기 구동모터(30)가 회전하지 않으며 힌지부(110a)의 축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홈(미도시)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30)는 바람직하게 모터와 감속기가 조합된 형태의 기어드모터(geared motor)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하우징(12)은 그 외측에 회전휠(12b)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휠(12b)은 상기 힌지부(110a)에 형성된 슬릿(미도시)을 통해 상기 힌지부(110a)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카메라 하우징(12)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수단(90)은 상기 제 1,2접촉부재(50,70)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는 두개의 원통부재(92,94)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암나사부(92a)와 숫나사부(94a)를 구비하여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는 제 1,2접촉부재(50,70)를 그 내부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동력전달수단(9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 1,2접촉부재(50,7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여 모듈화함으로서 상기 힌지부(110a)내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은 동력전달수단(90)에 의해 카메라(10)의 자동회전과 수동회전이 가능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수단(90)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12)의 일측에 결합된 제 1접촉부재(50)와, 상기 제 1접촉부재(50)와 접촉하며 구동모터(30)의 축(32)과 결합되는 제 2접촉부재(70)를 구비하여 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구동모터(30)가 구동되어 그 축(3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축(32)과 결합되어 있는 제 2접촉부재(7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50)는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접촉부재(70)를 상기 제 1접촉부재(50)에 접촉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제 1,2접촉부재(50,70)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제 1,2접촉부재(50,70)는 원판형의 접촉바디(52,72)를 통해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이 상기 카메라 하우징(12)에 전달되어 카메라 하우징(12)이 회전하게 됨으로서 카메라(10)의 자동회전이 가능해 진다.
반면에, 상기 구동모터(3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휴대폰 사용자가 상기 힌지부(110a)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휠(12b)에 힘을 가함으로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 (12)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하우징(12)의 일측에 결합된 제 1접촉부재(5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축(32)에 결합된 제 2접촉부재(70)는 서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카메라 하우징(12)은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 휴대폰 사용자가 회전휠(12b)을 통해 카메라 하우징(12)에 회전력을 가하면 이는 제 1회전부재(5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력이 상기 제 1,2접촉부재(50,70)의 접촉바디(52,72)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12)은 회전하지 않지만,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력이 마찰력보다 크다면 상기 접촉바디(52,72) 사이에서는 미끄럼이 발생하여 상기 카메라 하우징(12)이 회전하게 됨으로서 카메라(10)의 수동회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2접촉부재(50,70)의 접촉바디(52,72)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 또는 미끄럼에 의해 상기 카메라(10)의 자동회전 또는 수동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때, 카메라(10)의 수동회전 각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로 조정이 가능하므로 카메라의 사용상의 편의성이 형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수단(90)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접촉부재(50,70)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마찰재(44)를 매개로 접촉함으로서 상기 접촉바디(52,72)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계수를 크게 하여 마찰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찰재(44)는 상기 제 1,2접촉부재(50,70)의 접촉바디(52,72) 중 하나 또는 모두 양쪽 모두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카메라 하우징(12)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회전력의 크기에 따라 알맞게 적용가능하다.
이와는 반대로, 카메라(10)의 수동회전시 카메라 하우징(12)을 보다 적은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2접촉부재(50,70)의 접촉바디(52,72)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42)의 탄성력을 감소시키거나 접촉바디(52,72) 사이의 마찰계수를 줄일수 있는 윤활부재(미도시) 또는 그리스 등의 윤활유를 상기 접촉바디(52,72)의 사이에 개재시키거나 도포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재(50,70)의 형상을 변형시킨 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 제 2접촉부재(70)는 그 접촉바디(72)의 타측 중앙에 원통형의 돌출부(78)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제 1접촉부재(70)는 상기 돌출부(78)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수용개구(58)를 그 접촉바디(52)의 타측 중앙에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78)가 상기 수용개구(58)내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제 1,2접촉부재(50,70)의 접촉 및 상태적인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제 1접촉부재(50)가 수용개구(58)을 구비하고 제 2접촉부재(70)가 돌출부(78)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 1접촉부재가 돌출부을 구비하고 제 2접촉부재가 수용개구를 구비하는 구조도 적용될수 있다.
상술한 변형 실시예들은 각기 단독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요구되는 마찰력을 얻도록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은 구동모터에 의한 카메라의 자동회전과 사용자에 의한 카메라의 수동회전이 가능하고, 카메라의 수동회전시 그 회전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카메라의 자동회전에 의한 휴대폰의 과다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여 휴대폰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에 의한 카메라의 자동회전과 사용자에 의한 카메라의 수동회전이 가능하고, 카메라의 수동회전시 그 회전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카메라의 자동회전에 의한 휴대폰의 과다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여 휴대폰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폴더와 본체가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된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여 카메라를 구성하며 상기 힌지부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카메라 하우징;
    상기 카메라 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힌지부내에 설치된 구동모터;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되어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전달하는 제 1,2접촉부재를 구비한 동력전달수단;
    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한 카메라 하우징만의 수동회전과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자동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접촉부재는 서로 접촉하는 원판형의 접촉바디와 상기 접촉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를 각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은 그 일측에 결합개구가 형성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 1접촉부재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제 2접촉부재에 형성된 결합돌기에는 축결합구가 형성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축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 2접촉부재를 상기 제 1접촉부재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힌지부내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은 그 외측에 상기 힌지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회전휠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접촉부재는 마찰재를 매개로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7.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는 제 1,2접촉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재의 접촉바디에는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촉부재는 그 접촉바디의 타측 중앙에 원통형의 돌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2접촉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수용개구를 그 접촉바디의 타측 중앙에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기어드모터(geared motor)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 1,2접촉부재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KR1020040078949A 2004-10-05 2004-10-05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KR20060030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949A KR20060030167A (ko) 2004-10-05 2004-10-05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949A KR20060030167A (ko) 2004-10-05 2004-10-05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167A true KR20060030167A (ko) 2006-04-10

Family

ID=3714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949A KR20060030167A (ko) 2004-10-05 2004-10-05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01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527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EP1484920B1 (en) Pora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84231A (ko)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KR100524747B1 (ko)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조립체 구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828643B2 (ja) ヒンジ装置
KR20050002460A (ko)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WO2002082674A1 (en)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KR20060030167A (ko)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649582B1 (ko)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KR100674828B1 (ko)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KR100593893B1 (ko)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KR100483608B1 (ko)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KR100474633B1 (ko) 휴대폰의 개폐장치
KR100616627B1 (ko)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KR100465226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465518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JP2001223479A (ja) ヒンジユニット
KR10061981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선회 장치
KR10058573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372517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고정장치
KR20040050414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485346B1 (ko) 오토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556887B1 (ko) 카메라 위치 고정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733206B1 (ko) 이중 탄성부재를 이용한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