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383Y1 -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383Y1
KR200253383Y1 KR2020010025075U KR20010025075U KR200253383Y1 KR 200253383 Y1 KR200253383 Y1 KR 200253383Y1 KR 2020010025075 U KR2020010025075 U KR 2020010025075U KR 20010025075 U KR20010025075 U KR 20010025075U KR 200253383 Y1 KR200253383 Y1 KR 200253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mera
camera body
connection port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수
이석중
최동수
김병수
윤재석
김명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to KR2020010025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3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이동단말기에 마련된 데이터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포트를 구비한 연결부재와; 연결포트에 연결된 이동단말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부재의 일영역에 설치되는 카메라본체와; 연결부재와 카메라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연결부재에 연결된 카메라본체를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에 이동단말기용 카메라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원하는 화상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부의 위치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촬영 위치를 변환하기 위해 이동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 및 이동단말기를 모두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우수한 사용편이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용 카메라{Camera For Mobile Station}
본 고안은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의 데이터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에 연결되며 촬영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그 크기는 점차 소형화 되어 가는 반면 그 기능은 사용자들의 욕구에 따라 점차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되고 사용이 용이하게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문자 및 음성으로 된 모든 정보를 제약 없이 받아 볼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무선TV기능 ·팩스기능 ·화상전화기능 ·원격지감시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에 마련되어 있는 이어폰잭에 연결하여 사용자들에게 화상을 제공하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가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잭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에 있어서는, 이동단말기에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하여 이어폰잭을 개조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에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동단말기 개조를 위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단말기에 마련되어 있는 데이터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에 이동단말기용 카메라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본체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여 이동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 및 이동단말기를 모두 이동시키지 않고 다른 위치를 촬영할 있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의 전면외관사시도 및 후면외관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의 회동수단영역의 부분절취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의 전면외관사시도 및 후면외관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카메라 3 : 이동단말기
5 : 외부연결포트 10, 60 : 연결부재
11, 61 : 연결포트 63 : 본체수용부
65 : 조립결합부 20, 70 : 카메라본체
21, 71 : 렌즈부 23, 73 : 표시부
30, 80 : 회동수단 31 : 회동돌기
33, 83 : 돌기수용홈 35, 85 : 회동위치제한수단
37, 87 : 걸림돌기 39, 89 : 위치제한턱
40, 90 : 커버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단말기에 마련된 데이터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포트를 구비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포트에 연결된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일영역에 설치되는 카메라본체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카메라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상기 카메라본체를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카메라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회동돌기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카메라본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단말기에 마련된 데이터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포트와 상기 외부연결포트가 연결 결합됨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이동단말기로 화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의 설치상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1)는 이동단말기(3)에 마련된 데이터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5)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카메라(1)에서 촬영된 화상을 이동단말기(3)로 전송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의 전면외관사시도 및 후면외관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의 회동수단영역의 부분절취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이동단말기용 카메라(1)는 이동단말기(3)의 데이터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포트(11)를 가지는 연결부재(10)와, 연결부재(10)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이동단말기(3)로 화상을 전송하는 카메라본체(20)와, 연결부재(10)에 연결된 카메라본체(20)를 소정 각도범위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부재(10)의 일단부에는 이동단말기(3)에 마련된 데이터 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5)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포트(11)가 마련되어 있다. 카메라본체(20)는 연결포트(11)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단말기(3)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부재(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본체(20)의 일영역에는 화상을 촬상하는 렌즈부(2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본체(20)에는 회동수단(30)에 의해 회동하는 카메라본체(20)의 회동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23)가 마련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부(23)는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지만, 다양한 형태(예컨대, '회전방향'이라는 문자 또는 '☜'기호 등)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제1실시예에서는 카메라본체(20)와 이동단말기(3)를 이동단말기에 마련된 외부연결포트(5)와 연결부재(10)에 마련된 연결포트(11)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이들 연결포트(11)와 외부연결포트(5)와 함께 별도의 조립결합부를 더 설치하여 연결부재(10)와 이동단말기(3)와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동수단(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0)에 마련된 하나의 회동돌기(31)와, 카메라본체(20)에 설치되어 회동돌기(31)를 수용하는 돌기수용홈(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회동수단(30)에는 카메라본체(20)의 회동위치를 제한하는 회동위치제한수단(35)이 더 마련되어 있다. 회동위치제한수단(35)은 회동돌기(31)와 돌기수용홈(33)의 접촉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회동돌기(31)에 걸림돌기(37)가 마련되어 있으며 돌기수용홈(33)에 걸림돌기(37)와 상호 맞물림 결합되어 카메라본체(20)의 위치를제한하는 위치제한턱(39)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걸림돌기(37)와 위치제한턱(39)은 카메라본체(20)에 소정 이상으로 가해지는 회동력에 의해 카메라본체(20)가 180도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90도 간격으로 교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회동위치제한수단(35)을 설치하여 카메라본체(20)의 회동위치 및 회동방향을 제한함으로써, 연결부재(10)와 카메라본체(2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연결부재(10)의 이상동작(예를 들면, 연결부재(10)와 카메라본체(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의 꼬임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1)에는 카메라(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카메라본체(20)가 연결된 연결부재(10)의 일영역에 마련된 연결포트(11)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연결포트(11)를 둘러싸는 별도의 커버부재(40)가 더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1실시예의 이동단말기용 카메라(1)는 카메라본체(20)에 표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면 힘이 가해진 방향을 따라 연결부재(10)에 마련된 회동돌기(31)를 따라 회동한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카메라본체(20)의 렌즈부(21)를 초기의 촬영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전술한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힘이 가해진 방향을 따라 카메라본체(20)가 회동함으로써 렌즈부(21)의 위치를 변환시킬 수 있다. 이처럼, 카메라본체(20)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 회동돌기(31)를 회동축으로 하여 카메라본체(20)를 회동시킬 수 있으며, 회동돌기(31)와 돌기수용홈(33)의 접촉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위치제한수단(35)에 의해 카메라본체(20)에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0)에 회동돌기(31)가 마련되어 있고 카메라본체(20)에 돌기수용홈(33)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카메라본체(20)에 회동돌기(31)를 마련하고 연결부재(10)에 돌기수용홈(33)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돌기(31)에 걸림돌기(37)를 설치하고 돌기수용홈(33)에 위치제한턱(39)을 설치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회동돌기(31)에 위치제한턱(39)을 돌기수용홈(33)에 걸림돌기(37)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37)와 위치제한턱(39)에 의해 카메라본체(20)의 회동위치 및 회동방향을 제한하고 있지만, 카메라본체(20)와 연결부재(10) 사이에 소정의 힘을 가하는 동안만 카메라본체(20)를 회동시킬 수 있는 탄성회동버튼 등 다양한 회동위치제한수단(35)을 설치하여 카메라본체(20)의 회동위치를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의 전면외관사시도 및 후면외관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의 작동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이동단말기용 카메라(1)는 이동단말기(3)의 데이터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포트(61)를 가지는 연결부재(60)와, 연결부재(60)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이동단말기(3)로 화상을 전송하는 카메라본체(70)와, 연결부재(60)에 연결된 카메라본체(70)를 소정 각도범위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본체(70)는 화상을 촬상하는 렌즈부(71)와, 회동수단(80)에 의해 회동하는 카메라본체(70)의 회동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7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부(73)는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지만, 다양한 형태(예컨대, '회전방향'이라는 문자 또는 '☜'기호 등)로 나타낼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이동단말기용 카메라(1)를 구성하는 연결부재(60)는 이동단말기(3)와의 상호 연결을 위한 연결포트(61)와, 카메라본체(7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된 'ㄷ'자 형상의 본체수용부(63)를 갖는다. 본 고안의 이동단말기용 카메라(1)에는 연결부재(60)의 일영역에 마련된 연결포트(61)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연결포트(61)를 둘러싸는 별도의 커버부재(90)가 더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제2실시예에서의 연결부재(60)에는 이동단말기(3)의 외부연결포트(5)에 연결된 카메라본체(70)의 연결강도를 증가시키고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카메라본체(70)가 이동단말기(3)로부터 이탈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단말기(3)의 일영역과 상호 결합되는 조립결합부(65)가 설치되어 있다. 조립결합부(65)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이 마련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결합버튼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단말기(3)와 카메라본체(7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호 맞물림 결합되는 결합버튼을 설치하였지만, 이와 달리 어느 일측에 상대편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결홈을 마련하여 상호 조립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카메라본체(70)는 연결포트(61)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단말기(3)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부재(60)의 본체수용부(63)에 설치되어 있으며, 카메라본체(70)의 일영역에는 화상을 촬영하는 렌즈부(7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회동수단(80)은 연결부재(60)와 카메라본체(70) 사이에 마련되어 연결부재(60)에 연결된 카메라본체(70)를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시킨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카메라본체(70)가 연결부재(60)의 본체수용부(63)에 수용되어 연결부재(60)에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수용부(63)에 수용된 카메라본체(70)에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연결부재(60)의 본체수용부(63)측을 향해 돌출된 도시 생략된 한 쌍의 회동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수용부(63)에는 카메라본체(70)에 마련된 회동돌기를 수용하여 카메라본체(70)를 회동시키는 돌기수용홈(8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수단(80)에는 본체수용부(63)에 마련된 회동돌기와 카메라본체(70)에 형성된 돌기수용홈(83)의 접촉영역에 설치되어 카메라본체(70)의 회동위치를 제한하는 회동위치제한수단(85)이 더 설치되어 있다. 회동위치제한수단(85)은, 회동돌기와 돌기수용홈(83)의 접촉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동돌기에 돌기수용홈(83)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87)와, 걸림돌기(87)와 상호 접촉하도록 돌기수용홈(83)에 설치된 위치제한턱(89)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1실시예의 이동단말기용 카메라(1)는 카메라본체(70)에 어느 일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면 힘이 가해진 방향을 따라 연결부재(60)에 마련된 회동돌기를 축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카메라본체(70)의 렌즈부(71)를 초기의 촬영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전술한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힘이 가해진 방향을 따라 카메라본체(70)가 회동함으로써 렌즈부(71)의 위치를 변환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본체와 연결포트가 설치된 연결부재를 각각 마련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카메라본체 자체에 연결포트를 설치하여 이동단말기의 외부연결포트와 연결하여 이동단말기로 화상을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에 의하면, 데이터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에 이동단말기용 카메라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원하는 화상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상전화기능 ·원격지감시기능 등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이동단말기용 카메라에 의하면, 카메라 렌즈부의 위치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촬영위치를 바꾸기 위해 이동단말기 및 카메라 전체를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사용편이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7)

  1. 이동단말기에 마련된 데이터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포트를 구비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포트에 연결된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일영역에 설치되는 카메라본체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카메라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상기 카메라본체를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카메라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회동돌기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카메라본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회동돌기와 상기 돌기수용홈의 접촉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본체의 회동위치를 제한하는 회동위치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위치제한수단은
    상기 회동돌기와 상기 돌기수용홈 중 어느 하나에 상대편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와 상호 접촉하도록 상기 회동돌기와 상기 돌기수용홈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본체의 회동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영역에는 상기 연결포트에 연결된 상기 이동단말기의 이탈 및 유동방지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이동단말기를 상호 조립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본체에는 상기 회동수단에 의해 회동하는 상기 카메라본체의 회동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7. 이동단말기에 마련된 데이터송수신용 외부연결포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포트와 상기 외부연결포트가 상호 조립 결합됨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이동단말기로 화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KR2020010025075U 2001-08-18 2001-08-18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KR200253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75U KR200253383Y1 (ko) 2001-08-18 2001-08-18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75U KR200253383Y1 (ko) 2001-08-18 2001-08-18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383Y1 true KR200253383Y1 (ko) 2001-11-22

Family

ID=7310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075U KR200253383Y1 (ko) 2001-08-18 2001-08-18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3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139B1 (ko) * 2001-12-29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리셉터클형 카메라 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139B1 (ko) * 2001-12-29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리셉터클형 카메라 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6200B2 (en)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telephone
US6941618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842529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4666954B2 (ja) 携帯用端末機の回転型カメラ
US6788960B2 (en)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7832058B2 (en) Swivel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EP1528759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flip-u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53383Y1 (ko)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KR100557084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5397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4983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531936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40063Y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CN112956174B (zh) 移动终端
KR1009950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동장치
CN112930675B (zh) 终端设备
KR101621887B1 (ko) 카메라 모듈 조립체
KR100593893B1 (ko)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KR1008397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873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20037105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200345710Y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회전모듈
KR100496962B1 (ko) 다방향촬영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
KR10055687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200267869Y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휴대용 디지털 장치를 상호접속하는 커넥터 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