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144B1 -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144B1
KR100593144B1 KR1020040085839A KR20040085839A KR100593144B1 KR 100593144 B1 KR100593144 B1 KR 100593144B1 KR 1020040085839 A KR1020040085839 A KR 1020040085839A KR 20040085839 A KR20040085839 A KR 20040085839A KR 100593144 B1 KR100593144 B1 KR 10059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ensor
signal
sensing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736A (ko
Inventor
강용삼
김인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144B1/ko
Priority to US11/257,919 priority patent/US7471967B2/en
Priority to EP05256632A priority patent/EP1653715A3/en
Priority to JP2005311657A priority patent/JP2006129484A/ja
Publication of KR2006003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서브바디의 오픈을 감지함에 따라 스위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고, 서브바디의 닫힘을 감지함에 따라 스위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외부의 자기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자기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자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자기발생수단; 상기 자기발생수단에서 발생시킨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발생수단에서 발생시킨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자기감지센서;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 및 상기 제 2 자기감지센서로부터의 자기 감지결과에 따라 출력수단을 활성화/비활성화시키도록 스위칭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상기 스위칭수단; 및 상기 스위칭수단의 스위칭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상기 출력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제 1 자기감지센서, 제 2 자기감지센서, 감지신호, 미감지신호, 개폐, 활성화, 비활성화, 무선통신 단말기

Description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nsing the opening and shutting of cover using magneto-resistive sensors}
도 1 은 종래의 단일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단일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3 은 종래의 단일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리표,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리표,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자기발생수단 42 : 제 1 자기감지센서
43 : 제 2 자기감지센서 44 : 제어부
45 : 스위치 46 : 디스플레이부
47 : 서브바디 48 : 메인바디
본 발명은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서브바디의 오픈을 감지함에 따라 스위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고, 서브바디의 닫힘을 감지함에 따라 스위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 성,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브바디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메인바디는 배터리가 접속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폴더형 단말기, 슬라이드형 단말기, 스위블형 단말기 등을 포함하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자기감지수단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성에 최대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으로 인하여 무선통신 가입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근래에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일반인에게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이동성의 메리트(merit)는 점점 사라지고, 좀 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무선통신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출시되고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대부분 카메라 기능은 물론,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 음악(일예로, MP3 : MPEG layer 3) 재생 기능, 지압 기능, 혈당량 감지 기능, 초음파 촬영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접이식 서브바디를 구비한 폴더형, 폴더를 오픈한 상태에서 일정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킬 수 있는 스위블형, 미닫이식 서브바디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출시됨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개폐를 감지하는 방식 또한 다양해졌다.
여기서, 도 1 을 참조하여 종래의 단일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일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자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자기발생수단(14), 상기 자기발생수단(14)에서 발생된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자기감지센서(15), 상기 자기감지센서(15)에서 자기를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미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11)로 전원을 전달하고, 상기 자기감지센서(15)에서 자기를 감지함에 따라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11)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1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 상기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로 전원을 전달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16), 및 상기 스위치(16)를 통해 전원을 전달받아 활성화되거나, 전원을 전달받지 못해 비활성화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기감지센서(15)는 자기를 감지하면 감지신호(온신호)를 출력하며,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면 미감지신호(오프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도 2 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7)의 동작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자기발생수단(14)은 서브바디(12)의 일측에 위치하고, 자기감지센서(15)는 메인바디(13)의 일측, 즉 서브바디(12)가 닫혀있을 경우에 상기 자기발생수단(14)으로부터의 자기를 감지할 수 있는 부분에 위치한다.
따라서, 서브바디(12)가 닫혀 있을 경우에 자기감지센서(15)는 자기발생수단(14)으로부터 발생된 자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7)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7)는 서브바디(12)가 닫혀있다고 판단하여 스위치(16)를 오프시켜 디스플레이부(11)를 비활성화시킨다.
또한, 서브바디(12)가 오픈되어 있을 경우에 자기발생수단(14)은 자기감지센서(15)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감지센서(15)는 자기발생수단(14)으로부터 발생된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여 미감지신호를 제어부(17)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17)는 자기감지센서(15)로부터 미감지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서브바디(12)가 오픈되었다고 판단하여 스위치(16)를 온시켜 디스플레이부(11)를 활성화시킨다.
이 때, 제어부(17)는 디스플레이부(11)를 활성화시킬 때, 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서브바디(12)가 오픈된 경우에 통화로를 연결하는 기능(키패드 활성화 및 음성출력부 활성화 포함), 전화를 걸기 위해 서브바디(12)가 오픈된 경우에 대기 기능(키패드 활성화 및 음성출력부 활성화 포함) 등을 함께 수행하고, 디스플레이부(11)를 비활성화시킬 때, 호를 종료하기 위해 서브바디(12)를 닫은 경우에 통화로 를 차단하는 기능(키패드 비활성화 및 음성출력부 비활성화 포함) 등을 함께 수행한다.
한편, 서브바디(12)의 오픈 및 닫힘과 관련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서브바디(12)가 닫힌 상태에서 자기감지센서(15)가 자기를 감지하면, 스위치(16)가 오프되어 디스플레이부(11)가 비활성화된다.
반면, 서브바디(12)가 오픈된 상태에서 자기감지센서(15)가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면, 스위치(16)가 온되어 디스플레이부(11)가 활성화된다.
이러한, 종래의 단일 자기감지센서(15)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단일 자기감지센서(15)를 통해 서브바디(12)의 개폐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1)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차량용 무선통신 단말기의 거치대 등에 내장된 자기발생수단(일예로 자석)으로부터의 자기로 인해 자기감지센서(15)가 서브바디(12)의 개폐를 잘못 감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를 오작동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서브바디(12)가 오픈되어 있는 상태에서 거치대 등에 거치될 경우, 자기감지센서(15)가 거치대에 내장되어 있는 자석에서 발생된 자기를 감지하게 되어, 제어부(17)는 현재 서브바디(12)가 오픈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브바디(12)가 닫혀 있다고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11)를 비활성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서브바디의 오픈을 감지함에 따라 스위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고, 서브바디의 닫힘을 감지함에 따라 스위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외부의 자기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자기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자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자기발생수단; 상기 자기발생수단에서 발생시킨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발생수단에서 발생시킨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자기감지센서;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 및 상기 제 2 자기감지센서로부터의 자기 감지결과에 따라 출력수단을 활성화/비활성화시키도록 스위칭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상기 스위칭수단; 및 상기 스위칭수단의 스위칭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상기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방법에 있어서, 제 1 자기감지센서 및 제 2 자기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전달받은 신호가 하나는 감지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미감지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전달받은 각 신호가 하나는 감지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미감지신호인 경우가 아니면 스위칭수단 및 출력수단의 상태를 현재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 유지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전달받은 각 신호가 하나는 감지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미감지신호이면 상기 전달받은 감지신호가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 2 자기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신호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았으면 상기 스위칭수단을 오프시켜 상기 출력수단을 비활성화시키는 비활성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 2 자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았으면 상기 스위칭수단을 온시켜 상기 출력수단을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 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자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자기발생수단(41), 상기 자기발생수단(41)에서 발생된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자기감지센서(42), 상기 자기발생수단(41)에서 발생된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자기감지센서(43),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42) 및 상기 제 2 자기감지센서(43)로부터의 자기 감지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6)를 활성화/비활성화시키도록 스위치(4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4), 상기 제어부(4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치(45), 및 상기 스위치(45)의 스위칭 결과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기감지센서는 자기를 감지하면 감지신호(온신호)를 출력하고,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면 미감지신호(오프신호)를 출력하며, 일예로 홀 IC(Hall Integrated Circuit) 및 MR sensor(Magneto-Resistive sensor) 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 5 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44)의 동작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자기발생수단(41)은 서브바디(47)의 일측에 위치하고, 이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자기감지센서(42)는 메인바디(48)의 하단 일측, 즉 서브바디(47)가 닫혀있을 경우에 상기 자기발생수단(41) 으로부터의 자기를 감지할 수 있는 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자기감지센서(43)는 메인바디(48)의 상단 일측, 즉 서브바디(47)가 오픈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자기발생수단(41)으로부터의 자기를 감지할 수 있는 부분에 위치한다.
따라서, 서브바디(47)가 닫혀 있을 경우에 제 1 자기감지센서(42)는 자기발생수단(41)으로부터 발생된 자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44)로 전달하고, 제 2 자기감지센서(43)는 자기발생수단(41)으로부터 발생된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미감지신호를 제어부(44)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44)는 제 1 자기감지센서(42)로부터 감지신호를, 제 2 자기감지센서(43)로부터 미감지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서브바디(47)가 닫혀있다고 판단하여, 스위치(45)를 오프시켜 디스플레이부(46)를 비활성화시킨다.
또한, 서브바디(47)가 오픈되어 있을 경우에 제 1 자기감지센서(42)는 자기발생수단(41)으로부터 발생된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미감지신호를 제어부(44)로 전달하고, 제 2 자기감지센서(43)는 자기발생수단(41)으로부터 발생된 자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44)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44)는 제 1 자기감지센서(42)로부터 미감지신호를, 제 2 자기감지센서(43)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서브바디(47)가 오픈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스위치(45)를 온시켜 디스플레이부(46)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제어부(44)가 디스플레이부(46)를 활성화시킬 때, 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서브바디(47)가 오픈된 경우에 통화로를 연결하는 기능(키패드 활성화 및 음 성출력부 활성화 포함), 전화를 걸기 위해 서브바디(47)가 오픈된 경우에 대기 기능(키패드 활성화 및 음성출력부 활성화 포함) 등을 함께 수행하고, 디스플레이부(46)를 비활성화시킬 때, 호를 종료하기 위해 서브바디(47)를 닫은 경우에 통화로를 차단하는 기능(키패드 비활성화 및 음성출력부 비활성화 포함) 등을 함께 수행한다.
한편, 서브바디(47)의 오픈 및 닫힘과 관련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무선통신 단말기의 정상적인 동작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서브바디(47)가 닫힌 상태에서 제 1 자기감지센서(42)가 자기를 감지하고 제 2 자기감지센서(43)가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면, 스위치(45)가 오프되어 디스플레이부(46)가 비활성화되는 동작과, 서브바디(47)가 오픈된 상태에서 제 1 자기감지센서(42)가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고 제 2 자기감지센서(43)가 자기를 감지하면, 스위치(45)가 온되어 디스플레이부(46)가 활성화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이 때, 서브바디(47)가 오픈 또는 닫혀 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자기발생수단으로 인해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42)도 자기를 감지하고 제 2 자기감지센서(43)도 자기를 감지하는 경우, 또는 서브바디(47)에 위치한 자기발생수단(41)으로부터의 자기와 외부의 자기발생수단으로부터의 자기가 서로 상쇄되어 제 1 자기감지센서(42)도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고 제 2 자기감지센서(43)도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제어부(44)는 스위치(45) 및 디스플레이부(46)의 이전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서브바디(47)가 닫혀 있어 제 1 자기감지센서(42)가 자기를 감지하고 제 2 자기감지센서(43)가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여 스위치(45)가 오프되고, 디스플레이부(46)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자기로 인해 제 2 자기감지센서(43)가 자기를 감지하는 경우에 제어부(44)는 현 상태, 즉 스위치(45)의 오프, 디스플레이부(46)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서브바디(47)가 오픈되어 있어 제 1 자기감지센서(42)가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고 제 2 자기감지센서(43)가 자기를 감지하여 스위치(45)가 온되고, 디스플레이부(46)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2 자기감지센서(43)가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제어부(44)는 현 상태, 즉 스위치(45)의 온, 디스플레이부(46)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자기발생수단(41)을 메인바디(48)에 위치시키고, 제 1 자기감지센서(42) 및 제 2 자기감지센서(43)를 서브바디(48)에 위치시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제 1 자기감지센서(42) 및 제 2 자기감지센서(43)로부터 각각 신호를 전달받는다(701).
이후, 상기 전달받은 신호가 하나는 감지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미감지신호인지를 확인한다(702).
상기 확인 결과(702), 전달받은 각 신호가 하나는 감지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미감지신호인 경우가 아니면, 즉 전달받은 신호가 모두 감지신호거나 모두 미감지신호이면 스위치(45) 및 디스플레이부(46)의 상태를 현재 상태로 유지한다(703).
반면, 상기 확인 결과(702), 전달받은 각 신호가 하나는 감지신호 및 다른 하나는 미감지신호이면, 상기 전달받은 감지신호가 제 1 자기감지센서(42) 또는 제 2 자기감지센서(43)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704).
상기 확인 결과(704), 제 1 자기감지센서(42)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았으면, 즉 제 2 자기감지센서(43)로부터 미감지신호를 전달받았으면, 스위치(45)를 오프시켜 디스플레이부(46)를 비활성화시킨다(705).
상기 확인 결과(704), 제 1 자기감지센서(42)로부터 미감지신호를 전달받았으면, 즉 제 2 자기감지센서(43)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았으면, 스위치(45)를 온시켜 디스플레이부(46)를 활성화시킨다(706).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서브바디의 오픈을 감지함에 따라 스위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고, 서브바디의 닫힘을 감지함에 따라 스위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외부의 자기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자기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자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자기발생수단;
    상기 자기발생수단에서 발생시킨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자기감지센서;
    상기 자기발생수단에서 발생시킨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자기감지센서;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 및 상기 제 2 자기감지센서로부터의 자기 감지결과에 따라 출력수단을 활성화/비활성화시키도록 스위칭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상기 스위칭수단; 및
    상기 스위칭수단의 스위칭 결과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상기 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발생수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서브바디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는,
    상기 서브바디가 닫혀있을 경우에 상기 자기발생수단으로부터의 자기를 감지할 수 있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인바디 하단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자기감지센서는,
    상기 서브바디가 오픈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자기발생수단으로부터의 자기를 감지할 수 있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인바디 상단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 2 자기감지센서로부터 미감지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서브바디가 닫혀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을 오프시켜 상기 출력수단을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로부터 미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제 2 자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서브바디가 오픈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을 온시켜 상기 출력수단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4.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방법에 있어서,
    제 1 자기감지센서 및 제 2 자기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전달받은 신호가 하나는 감지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미감지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전달받은 각 신호가 하나는 감지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미감지신호인 경우가 아니면 스위칭수단 및 출력수단의 상태를 현재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 유지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전달받은 각 신호가 하나는 감지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미감지신호이면 상기 전달받은 감지신호가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 2 자기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신호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았으면 상기 스위칭수단을 오프시켜 상기 출력수단을 비활성화시키는 비활성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 2 자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았으면 상기 스위칭수단을 온시켜 상기 출력수단을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방법.
KR1020040085839A 2004-10-26 2004-10-26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9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839A KR100593144B1 (ko) 2004-10-26 2004-10-26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11/257,919 US7471967B2 (en) 2004-10-26 2005-10-25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 opening/closing sensing function using a plurality of magnetic pole sensors and method therefor
EP05256632A EP1653715A3 (en) 2004-10-26 2005-10-26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 opening /closing sensing function using a plurality of magnetic pole sensors and method therefor
JP2005311657A JP2006129484A (ja) 2004-10-26 2005-10-26 磁気センサによる開閉検知機能を有する無線通信端末機及びその開閉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839A KR100593144B1 (ko) 2004-10-26 2004-10-26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736A KR20060036736A (ko) 2006-05-02
KR100593144B1 true KR100593144B1 (ko) 2006-06-22

Family

ID=3714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839A KR100593144B1 (ko) 2004-10-26 2004-10-26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1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736A (ko) 200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196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 opening/closing sensing function using a plurality of magnetic pole sensors and method therefor
JP2833964B2 (ja) 折畳型携帯電話機
US6615059B1 (en) Mobile terminal interface
JP2006109460A (ja) 環境光センサを有する電子機器
US20070149262A1 (en) Two step activation of phone
US2010005266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hall sensor
US7398112B2 (en) Folding cell phone and other folding mobile terminal
JP2003169115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6094485A (ja) 起動センサを持つ携帯用電子装置
KR100593144B1 (ko)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88207B1 (ko) 다수의 자극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36737A (ko) 다수의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36703A (ko) 다수의 자극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36735A (ko) 자기력 감지센서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82385B1 (ko) 통화종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5358957B2 (ja) 電子機器
EP1742447B1 (en) Foldable or slidabl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housing parts movable in a closed and several open positions and comprising output devices selectivly active according to said positions.
KR20060071924A (ko)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64697B1 (ko) 케이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타입 변환 방법
US75904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dual voice of mobile terminal
JP4304886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及びその開閉検出方法
JP2011151455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JP2007201653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185605A (ja) 携帯電話のバッテリーパック
KR20060054876A (ko) 광 감지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