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798B1 - 아제티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제티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798B1
KR100592798B1 KR1020040078410A KR20040078410A KR100592798B1 KR 100592798 B1 KR100592798 B1 KR 100592798B1 KR 1020040078410 A KR1020040078410 A KR 1020040078410A KR 20040078410 A KR20040078410 A KR 20040078410A KR 100592798 B1 KR100592798 B1 KR 100592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zetidine
algae
control
carboxylic acid
harm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455A (ko
Inventor
김진석
이병회
김진철
홍경식
조광연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7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79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79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아제티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아제티딘 유도체는 유익한 조류나 수생생물에는 무해하면서 남조류 및 적조류 등의 유해조류에만 선택적으로 우수한 방제효능을 나타내므로, 이를 함유하는 방제 조성물은 환경친화적이면서 효능이 우수한 유해조류 방제제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4044752112-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OOR이고, 이때 R은 수소, 알칼리금속, 암모늄, 알킬암모늄 또는 C1-8 알킬이다.

Description

아제티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 조성물{COMPOSITION FOR CONTROL OF HARMFUL ALGAE AND DUKWEED COMPRISING AZETIDINE DERIVATIVES}
도 1은 실시예 1에서 분리된 아제티딘 2-카복실산의 수소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서 분리된 아제티딘 2-카복실산의 탄소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이다.
본 발명은 아제티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류(algae)는 바닷물 또는 민물에 서식하면서 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주는데, 특히 환경 및 경제활동에 악영향을 미치는 조류를 유해조류(harmful algae)라고 하며, 이러한 유해조류의 대량 증식은 그 발생 양상에 따라 크게 적조현상 및 녹조현상으로 나뉘며 여러 수중환경에 많은 피해를 야기시킨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기후 변화 및 산업화 이후 배출오염원의 증가로 인한 바다, 호수, 연못, 하천 및 양어장 등에서의 조류 대량 발생이 많아져 사회적, 경제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호수나 하천에서도 유해조류 기원의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 독소가 자주 검출되고 있다(Park 등., The Korean J. of Phycol., 11(1), 149-154, 1996).
따라서, 이러한 유해 조류를 방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의 보고된 관련 기술들은 크게 물리적 방제, 생물학적 방제 및 화학적 방제로 구분된다. 화학적 방제는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을 수중에 처리하여 조류 발생을 억제 또는 제거하는 방법을 가리키며, 이러한 화학적 방제는 사용되는 화합물의 특성에 따라 다시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황산동, 염소, 알칼리토금속 과산화물 및 과산화수소 등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속효성이고 처리효과가 뚜렷하지만, 비선택적이며 무기물의 경우 염 축적의 문제점이 있다.
둘째는 씨마진(simazine) 및 디우론(diuron)과 같은 유기합성 제초제를 처리하는 방법이며(Aquaculture 163:85-99, 2004; Aquaculture 233:197-203, 2004), 역시 비선택적이고 인축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비표적 생물에 대한 안전성이 문제된다.
셋째는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자연친화적 기술로서 천연물 또는 그의 유도체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 연구된 천연물로는 칼륨이온(potassium ion, Parker 등, Appl. Envirn. Microbiol. 63:2324-2329, 1997), 라이신 및 그 유도체 (Hehmann 등., J. Appl. Phycol. 14:85-89, 2002), 페루릭산(ferulic acid), 계피산(trans-cinnamic acid), 퀴논 화합물(Schrader 등, Bull Environ. Contam. Toxicol. 60:651-658, 1998), 바실아마이드(bacillamide, Jeong 등, Tetrahedron Lett. 44:8005-8007, 2003), 피세렐린 A 및 B(fischerellin A and B, Hagmann 등, Tetrahedron Lett. 37:6539-6542, 1996; Papke 등, Tetrahedron Lett. 38:379-382, 1997), 산화된 지방산(oxygenated fatty acids) 및 리시놀산칼륨(potassium ricinoleate, Duke 등, Weed Sci. 50:138-151, 2002) 등이 있으며, 식물로는 부숙 보리짚 및 호밀풀(Lolium perenne)이 있다(Duke 등, Weed Sci. 50:138-151, 2002; Schrader, Agric. Res. 51:21, 2003).
그러나, 기존의 천연물을 이용한 유해조류 방제 기술들은 방제효율이 낮고, 비선택적이거나 또는 극히 제한된 종의 조류에서만 효과를 나타내며, 대량생산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제티딘 유도체는 아제티딘 카복실산이 식물로부터 처음 발견된 이래(Fowden L., Biochem J. 64:323-332, 1956), 지금까지 20여종 이상의 식물에서 확인되었다. 아제티딘-2-카복실산의 경우 사람의 피부 섬유아세포(skin fibroblast)의 생장 억제(Tan 등, J. Investigative Dermatology, 80, 261-267, 1983) 및 콜라겐(collagen) 생산에 대한 억제활성을 가짐이 알려져 왔으며(Klohs 등, J. Nat'l Cancer Inst., 75, 353-359, 1985; Alvarez 등, Plast Reconstr Surg., 69, 284-289, 1982), 또한, 병아리에서의 망각 효과(amnestic potency) 및 뇌와 관련한 항 -확산성 억제효능(anti-spreading depression potency)(Cherkin 등, Brain Res., 156, 265-273, 1978), 쥐에서의 비만세포 관련 신생혈관형성(mast-cell-mediated angiogenesis) 억제능 및 스테로이드 성분인 덱사메타존(dexamethasone)과의 혼용처리로 인한 신생혈관형성 촉진작용(Norrby 등, Int. J. Microcirc Clin. Exp., 13, 113-124, 1993),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Saccharomyces cerevisiae) 유래 아미노산 투과효소(amino acid permease)의 활성 억제작용(Iglesias 등, Arch. Microbiol., 155, 320-324, 1991), 및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의 일시적 돌연변이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Minakata 등, Experientia, 41, 1622-1623, 1985)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식물 담배 세포의 생장 억제(Bernstein 등, FEBS Lett., 141, 283-286, 1982), 순무 유묘의 생장 억제(Ikeda 등, Nippon Nogei Kagaku Kaishi, 51, 519-522, 1977), 및 화분관 신장 억제 활성(Singh 등, Indian J. Exp. Biol., 18, 915-916, 1980) 등의 식물 생장 억제능이 확인되었으며, 대사향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의 항진제(agonist) 활성 또한 확인되었다(Manahan-Vaughan 등, Neuroscience, 72, 999-1008, 1996). 따라서, 아제티딘 유도체들은 항종양제, 항돌연변이제, 또는 의약품 전구물질의 개발 등에 이용되거나(Federsel H. J., Chyrality, 15, S128-S142, 2003; 국제출원번호 WO 2003/014081), 식물 꽃가루 임성 억제제로서 제안되기도 하였다(영국출원번호 GB 2140003). 그러나, 아직까지 아제티딘 유도체를 유해조류 방제제(algicide)로 사용한 보고는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유해조류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자연친화적 천연물 방제제 에 대해 예의 연구한 결과, 아제티딘 유도체를 함유하는 방제 조성물이 유익한 조류 및 수생생물은 보호하면서 담수 및 해수의 유해조류만을 효과적으로 방제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조류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자연친화적 천연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아제티딘 유도체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44752112-pat0000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OOR이며, 이때 R은 수소, 알칼리금속, 암모늄, 알킬암모늄 또는 C1-8 알킬이다.
상기 다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제티딘 유도체들은 유기합성하거나 생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아제티딘 유도체에는 아제티딘(azetidine), 아제티딘 2-카복실산, 아제티딘 3-카복실산, 아제티딘 2,3-다이카복실산, 및 아제티딘 카복실 에스터 메틸, 아제티딘 카복실 암모늄, 소듐 아제티딘 카복실산 및 아제티딘 카복실 에틸 등의 아제티딘 카복실 유도체(azetidine carboxylic derivatives) 등이 포함되며, 아제티딘 2-카복실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제 조성물은 상기 아제티딘 유도체를 물이나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효과의 안정성 및 약물의 표적 생물과의 부착 증진을 위해 트윈 20과 같은 비 이온성 또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제 조성물은 농약분야에서 제제화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및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 조성물은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에 방제효과를 나타내며, 이때 유해조류에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노듈라리아(Nodularia) 및 코클로디늄(Cochlodinium)속의 조류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아제티딘 및 그 유도체를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이 발 생한 지역 또는 발생예상 지역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의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제티딘 유도체를 방제지역에 처리할 경우 처리 지역의 최종 농도를 기준으로 0.4 내지 20 μ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μM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제티딘 2-카복실산의 분리 및 확인
둥굴레(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Owhi) 뿌리 생조직 100 g에 메탄올 400 ㎖을 가하여 마쇄한 후 상온에서 5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를 여과지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였으며, 다시 증류수 1 ℓ를 가한 후 동량의 부탄올로 2회 추출하고 물 층을 감압농축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 14.8 g을 실리카겔 컬럼(5.5 ㎝×60 ㎝; 70-230 메쉬, 400 g)에 가하고, 클로로폼:메탄올:물:아세트산(55:36:8:1, v/v/v/v) 혼합용매로 용출한 후 TLC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 양상에 따라 얻어진 분획들을 크게 F1 내지 F10으로 나누었다. 각 분획 별 좀개구리밥(Lemna paucicostata 381, 일본 이화학연구소 분양)에 대한 방제 활성 분석 결과,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낸 F6(1.70 g)의 시료를 다시 실리카겔 컬럼(3.2 ㎝×45 ㎝; 230-400 메쉬, 100 g)에 가한 후 이를 클로로폼:메탄올:폼산(6:3:1, v/v/v) 혼합용매로 용출하여 다시 TLC 분석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분획들을 다시 TLC에서의 양상에 따라 F61부터 F63으로 나누어 각 분획별 방제활성을 조사하였으며,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낸 F62(377 ㎎) 시료를 다시 실리카겔 컬럼(2.8 cm × 45 cm; 230-400 메쉬, 50 g)에 가한 후 클로로폼:메탄올:폼산(6:3:1, v/v/v)으로 용출하여 활성을 나타내는 299 ㎎의 아제티딘 2-카복실산을 분리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아제티딘 2-카복실산의 구조는 질량분석기(JEOL JMS-DX303; JEOL Ltd., 동경, 일본)를 이용한 고속 원자 충돌법(fast atom bombardment(FAB) mode) 및 전기분무 이온화법(electrospray ionization mode)으로 질량분석을 수행하고, D2O를 용매로 사용하여 1H- 및 13C- 자기공명분석을 수행하여 확인하였으며(도 1 및 도 2), 광학적 성질(optical rotation)을 측정하여 (S)-광학이성질체(stereoisomer)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에서 분리된 활성물질이 (S)-2-아제티딘카복실산(azetidinecarboxylic acid)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 좀개구리밥 방제 효과
아제티딘 유도체의 좀개구리밥 방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동정한 아제티딘 2-카복실산을 0.01중량% 트윈 20에 녹인 후 좀개구리밥 생장배지(허트너의 배지; W.E. Loomis, Growth and Differentiation in Plants, The Iowa State College Press, p417, 1958)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농도(3.9 내지 500 μM)로 희석하여 2 ㎖씩 분주하였으며, 각 농도 당 3회 반복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화합물을 넣지 않은 생장배지를 같은 방법으로 분주하였으며, 상기 각 시험용기에 4 개의 엽상체를 가진 좀개구리밥을 1 개체씩 치상하여 이를 26℃, 14시간 광주기(50 μmolm-2s-1) 하에 7일 동안 배양하였다. 달관조사 결과를 토대로 완전히 고사한 경우의 활성을 100, 대조군에서의 활성을 0으로 하여 각 시험 화합물의 상대적 방제 활성을 결정하였으며, 각 용기의 식물재료를 취하여 엽록소 함량을 정량하여(참고: Hiscox 등, Can. J. Bot., 57, 1332-1334, 1979) 각 처리구의 좀개구리밥 방제정도를 대조구 대비 억제율로 확인하였다.
처리농도(μM) 방제율 (%) 엽록소함량 억제율(%)
3.9 7.8 15.6 31.3 62.5 20 30 95 100 100 20.2±3.9 45.5±2.9 96.0±3.4 100±0.0 100±0.0
그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제티딘 2-카복실산은 20 μM 이상의 농도에서 좀개구리밥을 완전히 방제하였으며, 엽록소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50% 억제농도가 8 내지 10 μM 수준이었다.
시험예 2: 담수 유해조류에 대한 방제 효과
아제티딘 유도체의 담수조류에 대한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동정된 아제티딘 2-카복실산을 사용하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은 유해한 남조류 2종[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Microcystis aeruginosa, UTEX 2388) 및 아나베나 아피니스(Anabaena affinis)]과 유익한 녹조류 2종[클로렐라 불가리스(Chlorella vulgaris) 및 세네데스무스속(Scenedesmus spp.)]에 대한 방제 및 살조효과를 조사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용액 1 ㎖ 당 각 조류의 건조 중량이 동일하게 0.1 mg이 되도록 초기농도를 조정한 후, 50 ㎖ 삼각플라스크에 10 ㎖씩 분주하였으며, 아제티딘-2-카복실산을 생장배지(알렌배지, Allen's medium)에 녹여 0.20 ㎛ 필터(Satorius 제품)를 이용하여 여과시킨 후 이를 상기 플라스크에 각각 하기 표 2에 제시된 농도(0.2 내지 400 μM)로 투여하였다. 이를 25℃, 광주기 14시간 (광도 60 μmolm-2s-1) 및 140 rpm 조건에서, 생육속도가 비교적 빠른 클로렐라, 세네데스무스 및 아나베나는 4일 동안, 생육이 약간 느린 마이크로시스티스는 7일 동안 배양한 후, 각 실험군 별로 0.2 ㎖ 씩을 취하여 미세평판 검출기(microplate reader, 352 type, Labsystems, Finland)로 흡광도(파장 670 nm)를 측정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얻어진 흡광도와 건조 중량 간의 관계식(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는 Y=-0.00837X2 + 0.2524X + 0.00383; 클로렐라 불가리스는 Y=0.4304X + 0.0384; 세네데스무스속은 Y=0.4212X + 0.0649; 그리고 아나베나 아피니스는 Y=0.1734X + 0.0306. 상기 식에서 Y는 흡광도, X는 건물중을 의미한다.)에 상기 측정 결과를 도 입하여 농도별 시험 화합물의 대조군(약제 무처리군) 대비 조류생장 억제율을 계산하였다(표 2).
농도 (μM) 조류 생장의 억제율 (%)
세네데스무스 클로렐라 마이크로시스티스 아나베나
0.2 0.4 0.8 1.6 3.2 6.3 12.5 25 50 100 200 400 - - - - - - 9.5±5.5 16.9±4.1 26.2±1.4 41.7±1.4 49.9±2.3 75.3±1.4 - - - - - - 15.0±2.5 20.4±3.0 44.1±1.7 45.3±1.3 50.0±1.3 72.3±0.8 0.0±1.9 17.4±1.9 35.4±0.6 93.1±0.6 93.8±0.6 95.0±1.3 100±0.0 100±0.0 100±0.0 100±0.0 - - - - 8.2±2.5 0.9±1.8 46.5±2.5 93.2±1.1 94.5±0.7 95.0±0.4 94.9±0.0 95.2±0.4 - -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아제티딘 2-카복실산의 경우 유해 남조류인 아나베나 아피니스 및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에 대해서는 각각 1.6 및 0.2 μM 이상에서부터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92% 방제활성을 가지는 농도가 각각 6.3 및 1.6 μM인 반면에, 유익한 녹조류인 클로렐라 불가리스 및 세네데스무스 속에 대해서는 12.5 μM 농도가 되어서야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제티딘 2-카복실산은 유익한 녹조류에 대한 독성은 적으면서 유해 조류에 선택적으로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해수 유해조류에 대한 방제효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해수 유해조류인 코클로디늄 폴리크리코이데스(Cochlodinium polykrikoides)에 대한 아제티딘 유도체의 방제효과를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국립수산과학원으로부터 분양받은 코클로디늄 폴리크리코이데스를 해수로 조제된 F/2 배지(Guillard와 Ryther, 1962)에서 20℃, 광주기 24시간, 광도 65 μmolm-2s-1의 조건 하에 계대배양시켰다. 배양된 코클로디늄 폴리크리코이데스를 5.44×103 세포수/㎖ 배지가 되도록 삼각플라스크에 50 ㎖씩 분주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동정된 아제티딘 2-카복실산 및 시그마-알드리히(일본) 시약회사로부터 구입한 아제티딘을 상기 F/2 배지에 녹여 0.20 ㎛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하기 표 3에 제시된 농도로 각 플라스크에 투여하였다. 이를 20℃, 연속 광조건(광도: 65 μmolm-2s-1)에서 4일 동안 배양하면서 매일 5 ㎕씩 취해 광학현미경(150배)으로 개체수 및 운동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조사는 각 처리당 5 회 반복하고, 운동성 저해효과의 경우 0 내지 100 등급표에 준하여 달관조사를 실시한 후 정상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0, 전혀 움직이지 않는 것을 100으로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화합물 농도 μM 세포생장의 억제율(%) 세포운동성 억제율(%)
처리후 1일 처리후 2일 처리후 4일 처리후 1일 처리후 2일 처리후 4일
아제티딘 2-카복실산 1.6 3.2 6.3 12.5 25 50 100 0.0±0.0 0.0±6.1 0.0±5.3 0.0±8.7 0.0±8.7 0.0±9.3 7.6±5.0 0±9.1 9.0±9.3 13.9±5.0 32.0±8.0 47.5±5.3 71.3±7.7 75.4±0.0 22.1±5.8 23.8±7.8 86.9±1.8 100±0.0 100±0.0 100±0.0 100±0.0 0 0 20 60 95 95 98 0 30 70 100 100 100 100 0 30 100 100 100 100 100
아제티딘 3.2 6.3 12.5 25 50 100 0.0±0.0 0.0±0.0 0.0±0.0 0.0±0.0 9.9±5.8 9.9±3.4 0.0±0.0 7.4±8.0 7.4±7.4 0.8±12.1 23.8±8.0 13.1±12.1 0.0±0.0 3.3±8.5 13.9±9.6 32.0±8.5 42.6±5.8 32.8±7.4 0 0 0 0 0 0 0 0 10 30 50 50 0 0 30 50 50 60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제티딘 2-카복실산은 6.3 및 12.5 μM 농도에서 각각 86.9 및 100%의 방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아제티딘은 25 및 50 μM에서 각각 32 및 42.6%의 방제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운동성 억제정도에서의 효력을 보이는 농도 역시 개체수 증식 억제실험에서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제티딘 유도체는 유익한 조류나 수생생물에는 독성이 적으면서 남조류 및 적조류 등의 유해조류만을 선택적으로 유효하게 방제하므로, 이를 함유하는 방제 조성물은 자연친화적이면서 효능이 우수한 유해조류 방제제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아제티딘 유도체(azetidine derivative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4044752112-pat00003
    상기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OOR이며, 이때 R은 수소, 알칼리금속, 암모늄, 알킬암모늄 또는 C1-8 알킬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아제티딘 유도체가 아제티딘, 아제티딘 2-카복실산, 아제티딘 3-카복실산, 아제티딘 2,3-다이카복실산, 아제티딘 카복실 에스터 메틸, 아제티딘 카복실 암모늄, 소듐 아제티딘 카복실산 및 아제티딘 카복실 에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아제티딘 유도체가 아제티딘 2-카복실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유해조류가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노듈라리아(Nodularia) 및 코클로디늄(Cochlodinium) 속의 조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의 아제티딘 유도체를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이 발생한 지역 또는 발생예상 지역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의 방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항의 아제티딘 유도체를 최종농도가 0.4 μM 내지 20 μM이 되도록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방법.
KR1020040078410A 2004-10-01 2004-10-01 아제티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조성물 KR100592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410A KR100592798B1 (ko) 2004-10-01 2004-10-01 아제티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410A KR100592798B1 (ko) 2004-10-01 2004-10-01 아제티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455A KR20060029455A (ko) 2006-04-06
KR100592798B1 true KR100592798B1 (ko) 2006-06-26

Family

ID=3713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410A KR100592798B1 (ko) 2004-10-01 2004-10-01 아제티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38B1 (ko) * 2019-07-05 2020-12-0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Cyclo(Ala-Gly)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적조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3952A (en) * 1979-10-26 1981-05-30 Suntory Ltd Novel mugineic acid compound
JPS5798257A (en) * 1980-12-10 1982-06-18 Sankyo Co Ltd 3,4-disubstituted azetidine-2-one compound and its preparation
US4755210A (en) * 1979-11-16 1988-07-05 Shell Oil Company Method for sterilizing male parts of plants
US4944789A (en) * 1988-07-15 1990-07-31 Basf Aktiengesellschaft Azetidine derivative and their use for regulating plant grow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3952A (en) * 1979-10-26 1981-05-30 Suntory Ltd Novel mugineic acid compound
US4755210A (en) * 1979-11-16 1988-07-05 Shell Oil Company Method for sterilizing male parts of plants
JPS5798257A (en) * 1980-12-10 1982-06-18 Sankyo Co Ltd 3,4-disubstituted azetidine-2-one compound and its preparation
US4944789A (en) * 1988-07-15 1990-07-31 Basf Aktiengesellschaft Azetidine derivative and their use for regulating plant grow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455A (ko)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bel et al. Cyanobacterial toxins: Modes of actions, fate in aquatic and soil ecosystems, phytotoxicity and bioaccumulation in agricultural crops
Cárdenas-Pérez et al. An overview of the emerging trends of the Salicornia L. genus as a sustainable crop
Ghazaleh et al. Anti-ulcerogenic activity of the pomegranate peel (Punica granatum) methanol extract
Sohaib et al. Comparative study among Avicennia marina, Phragmites australis, and Moringa oleifera based ethanolic-extracts for their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Ganiyat et al. Chemical composition, toxicity,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and stem essential oils of Dieffenbachia picta (Araceae)
Sehsah et al. Efficacy of Bacillus subtilis, Moringa oleifera seeds extract and potassium bicarbonate on Cercospora leaf spot on sugar beet
Hegazi In vitro studies on Delonix elata L., an endangered medicinal plant
Zubia et al. Potential of tropical macroalgae from French Polynesia for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KR101143033B1 (ko)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0782500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수생곰팡이 억제제
KR100592798B1 (ko) 아제티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 개구리밥 방제조성물
KR101103345B1 (ko) 세스퀴터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세조류 방제용 조성물
KR102103002B1 (ko) 왕겨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 조류 또는 이끼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해 조류 또는 이끼 방제 방법
CN1244279C (zh) 水葫芦生物抑制剂及其制备方法
Sudirga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leaf extract of Mansoa alliacea against Colletotrichum acutatum the cause of anthracnose disease on chili pepper
KR100911322B1 (ko)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해 조류 방제용조성물
KR101013946B1 (ko) 메나디온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유해조류 방제방법
KR100621917B1 (ko) 둥굴레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개구리밥 방제 조성물
EP387672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ulphated galactose, and implementations thereof
Shao et al. The effects of leaf litter on the filamentous alga Cladophora sp., with an emphasis on photosynthetic physioresponses
Shah Phytochemical review profile of sesquiterpene lactone parthenin
Punchakara et al. Applications of mycosporine-like amino acids beyond photoprotection
Singh et al. Phytochemical properties of guava plants (Psidium guajava): a review.
Tripathi Biology and Control of Oil Seeds Insect-Pests
Narayanan et al. Coastal Sand Dune Plants as a Valuable Resource of Bioactive Metabolites in Pharmaceutical F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