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66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669B1
KR100592669B1 KR1020040029723A KR20040029723A KR100592669B1 KR 100592669 B1 KR100592669 B1 KR 100592669B1 KR 1020040029723 A KR1020040029723 A KR 1020040029723A KR 20040029723 A KR20040029723 A KR 20040029723A KR 100592669 B1 KR100592669 B1 KR 100592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old air
compartment
refrigerato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338A (ko
Inventor
박호상
정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669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 D06F57/04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and having radial arms, e.g. collapsi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물통의 배치구조를 개선하여 물통에 저장된 물이 동결되지 않도록 한 냉장고가 개시된다. 냉장실에 배치된 물통의 상부에는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를 물통으로 안내하는 냉기 안내덕트가 배치되고, 물통의 전방에는 물통을 덮는 물통 커버가 배치된다. 물통은 물이 저장되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입구관과 출구관을 구비한다. 냉기 안내덕트의 출구는 몸체부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냉기 안내덕트를 통과한 냉기가 몸체부를 향해 토출되도록 한다. 물통 커버는 냉장실의 후벽에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며, 물통 커버의 상부에는 냉기 안내덕트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냉장실에 물통을 가리기 위한 커버가 설치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버의 내측에 물통과 이 물통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 안내덕트가 설치되는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냉기 안내덕트의 출구가 물통의 중심부에 배치된 것을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 냉장실 9: 물 디스펜서
10: 냉기 분배부재 20: 물통 커버
22: 끼움홈 30: 물통
31: 몸체부 32: 입구관
33: 출구관 41: 냉기 안내덕트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냉동실 도어의 외면에 설치 된 물 디스펜서로 저온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이 고내를 순환하는 냉기에 의해 동결되지 않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과 냉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제품으로서, 냉동실에는 육류와 같이 결빙온도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 식품을 저장하게 되며 냉장실에는 야채와 과일과 같이 결빙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신선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식품을 저장하게 된다.
중간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냉장실과 냉동실에는 가능한 많은 식품을 수납이 편리하게 보관하기 위해 여러 개의 선반들과 저장박스들이 상하로 열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해 냉장실과 냉동실의 전면에는 각각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 도어에는 냉장실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냉장실 내에 저장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물 디스펜서가 배치되어 있으며, 냉장고 내부에는 상기 물 디스펜서로 저온의 물을 보내주기 위한 물통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 디스펜서를 작동시키게 되면 물통에 저장된 저온의 물이 물 디스펜서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물을 마실수 있게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는 물통을 저온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동실의 냉기를 끌어들여서 물통을 냉각시키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물통의 온도가 섭씨 0도 이하로 내려가서 물통에 저장된 물이 동결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물통에 별도의 히터를 설치하여 물이 동결되지 않게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냉장고는 물통을 냉각시키기 위해 물통으로 유입되는 냉기가 비교적 직경이 작은 관으로 만들어진 물통의 입구부나 출구부 쪽으로 유동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물통에 저장된 물이 동결하는 현상이 더욱 촉진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물통에 저장된 물이 동결되지 않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 상기 냉장실에 배치된 물통, 상기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를 상기 물통으로 안내하는 냉기 안내덕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동실의 전면에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 도어의 외면에는 물 디스펜서가 설치된다.
상기 물통은 물이 저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입구관과,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출구관을 구비한다.
상기 냉기 안내덕트의 출구는 상기 몸체부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냉기 안내덕트를 통과한 냉기가 상기 몸체부를 향해 토출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기와의 접촉면적 이 증대되도록 한다.
상기 물통은 상기 냉장실의 후벽에 설치되고, 상기 물통의 전방에는 상기 물통을 덮는 물통 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물통 커버는 상기 냉장실의 후벽에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물통 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냉기 안내덕트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기 안내덕트와 물통 커버의 전방에는 상기 냉장실의 후벽을 따라 유동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의 전방으로 분배되도록 하는 냉기 분배부재가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할 것이다.
도 1은 냉장실에 물통을 가리기 위한 커버가 설치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이 캐비닛(1)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중간격벽(2)에 의해 각각 좌측과 우측에 마련된 냉동실(3)과 냉장실(4), 냉동실(3)과 냉장실(4)을 개폐하기 위해 각각 냉동실(3)과 냉장실(4)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냉동실 도어(5)와 냉장실 도어(6)를 구비하여 캐비닛(1)의 내부공간이 좌우로 구획되는 병립형 구조를 이룬다. 물론, 중간격벽(2)을 캐비닛(1)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하면 캐비닛(1)의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냉동실(3)과 냉장실(4)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냉동실(3)과 냉장실(4)에는 많은 식품을 편리하게 저장하고 수납하기 위해 복수의 선반(7)과 저장박스(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3)과 냉장실(4)의 후방에는 증발기(미도시)로부터 발생한 냉기를 냉동실(3)과 냉장실(4)의 전체 공간으로 골고루 분배하기 위한 냉기 분배부재(1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3)의 후방에는 물을 동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온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물통(30)(도 2 및 도 3 참조)과, 이 물통(30)을 가리기 위한 물통 커버(20)가 설치되어 있으며, 냉동실 도어(5)의 외면에는 상기 물통(30)과 연결되어 물통(30)에 저장된 물을 냉장고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한 물 디스펜서(9)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물 디스펜서(9)를 조작하게 되면 물통(30)에 저장된 물이 물 디스펜서(9)를 통해 유출되어서 냉장실(4)에 저장된 저온의 물을 냉장실 도어(6)를 개방하지 않은 채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물통(30)이 냉장실(4)에 동결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커버의 내측에 물통과 이 물통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 안내덕트가 설치되는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냉기 안내덕트의 출구가 물통의 중심부에 배치된 것을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4)의 후벽(4a)에는 물통(30)과 이 물통(30)을 덮기 위한 물통 커버(20)가 설치된다. 또한, 냉장실(4)의 후벽(4a)에는 증발기(미도시)를 통과하여 냉각된 냉기를 냉기 분배부재(10)의 후방에서 냉장실(4)의 후벽(4a)을 따라 하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메인 냉기덕트(40)가 설치되어 있으며, 물통(30)의 상부에는 이 메인 냉기덕트(40)의 냉기의 일부가 물통(30) 으로 보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메인 냉기덕트(40)와 연통된 냉기 안내덕트(41)가 설치되어 있다. 냉기 분배부재(10)에는 메인 냉기덕트(40)를 따라 유동하는 냉기가 냉장실(4)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냉기 토출구(10a)가 마련되어 있다.
물통(30)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매우 큰 U형상과 역U형상의 복수의 관이 서로 연결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는 구조를 가진 몸체부(31)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매우 작은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31)의 일측에 연결된 입구관(32)과, 상기 입구관(32)과 마찬가지로 작은 직경의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31)의 타측에 연결된 출구관(3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구관(32)은 외부의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어 몸체부(31)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출구관(33)은 냉동실 도어(5)의 외면에 설치된 물 디스펜서(9)와 연결되어 몸체부(31)에 저장된 물이 물 디스펜서(9)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 커버(2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통(30)을 덮어서 물통(30)이 냉장실(4)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냉기 안내덕트(41)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물통(30)을 통과하도록 냉장실(4)의 후벽(4a)에 복수의 나사(21)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물통 커버(20)의 상단에는 메인 냉기덕트(40)로부터 분기되는 냉기 안내덕트(41)의 출구가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끼움홈(2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끼움홈(22)은 물통 커버(20)가 냉장실(4)의 후벽(4a)에 결합되어 물통(30)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물통(30)의 몸체부(31)의 중심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서 냉기 안내덕트(41)의 출구가 몸체부(31)의 중심부에 놓여지도록 한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의해 냉기 안내덕트(41)를 통과한 냉기는 직경이 작은 물통(30)의 입구관(32)과 출구관(33)으로 분출되지 않고, 직경이 큰 물통(30)의 몸체부(31)로 분출되게 됨으로써 물통(30)의 입구관(32)과 출구관(33)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통(30)과 물통 커버(20), 그리고 냉기 안내덕트(41)가 냉장실(4)에 조립되는 것을 설명하면, 먼저 메인 냉기덕트(40)와 냉기 안내덕트(41)가 냉장실(4)의 후벽(4a)에 배치된 상태에서 물통(30)의 몸체부(31)의 중심부가 냉기 안내덕트(41)의 출구에 위치하도록 물통(30)을 냉기 안내덕트(41)의 하부에 설치한다.
다음에는 물통 커버(20)의 끼움홈(22)에 냉기 안내덕트(41)의 출구가 끼워지게 한 후에 물통 커버(20)의 상부와 하부에 나사(21)를 체결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 커버(20)가 물통(30)을 덮은 상태에서 물통 커버(20)의 상부에 냉기 분배부재(10)가 끼워지게 되어서 간편하게 조립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냉장고가 작동되면 입구관(32)을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물통(30)의 몸체부(31)에 채워지게 되고,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메인 냉기덕트(40)를 따라 유동하면서 냉기의 일부가 냉기 안내덕트(41)를 통해 물통(30)의 몸체부(31)를 통과하게 되면서 물통(30)에 저장된 물이 동결되지 않은 상태로 저온으로 냉각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동실 도어(5)의 외면에 설치된 물 디스펜서(9)를 조작하게 되면 몸체부(31)에 저장된 저온의 물이 출구관(33)을 통해 물 디스펜서(9)로 공급되어 냉장실 도어(6)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통(30)에 저장된 물을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의 냉기를 물통으로 안내하여 물통을 냉각시키는 냉기 안내덕트를 구비하여 별도의 팬을 사용하지 않고도 물통으로 냉장실 냉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냉기 안내덕트의 출구가 물통의 몸체부를 향해 배치되도록 하여서 물통의 양측에 배치된 물 입구관과 출구관이 냉기 안내덕트를 통과한 냉기에 의해 동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통에 저장된 물이 동결되지 않은 상태로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성능이 향상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냉장실과 냉동실; 상기 냉장실의 후벽에 설치된 물통; 상기 물통의 전방에 상기 물통을 덮도록 마련된 물통 커버; 상기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를 상기 물통으로 안내하는 냉기 안내덕트; 및 상기 냉기 안내덕트와 상기 물통 커버의 전방에 상기 냉장실의 후벽을 따라 유동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의 전방으로 분배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 냉기 분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의 전면에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 도어의 외면에는 물 디스펜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물이 저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입구관과,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출구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안내덕트의 출구는 상기 몸체부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냉기 안내덕트를 통과한 냉기가 상기 몸체부를 향해 토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기와의 접 촉면적이 증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삭제
  7. 냉장실과 냉동실, 상기 냉장실에 배치된 물통, 상기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를 상기 물통으로 안내하는 냉기 안내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냉장실의 후벽에 설치되고 상기 물통의 전방에는 상기 물통을 덮는 물통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물통 커버는 상기 냉장실의 후벽에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물통 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냉기 안내덕트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삭제
KR1020040029723A 2004-04-28 2004-04-28 냉장고 KR100592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723A KR100592669B1 (ko) 2004-04-28 2004-04-2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723A KR100592669B1 (ko) 2004-04-28 2004-04-2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338A KR20050105338A (ko) 2005-11-04
KR100592669B1 true KR100592669B1 (ko) 2006-06-26

Family

ID=3728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723A KR100592669B1 (ko) 2004-04-28 2004-04-2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2616A1 (en) * 2022-09-29 2024-04-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interior layo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2616A1 (en) * 2022-09-29 2024-04-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interior lay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338A (ko) 200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055B2 (en) Refrigerator
US8429927B2 (en) Refrigerator
KR101519134B1 (ko) 냉장고
KR100809749B1 (ko) 냉장고의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
KR20120080722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11402146B2 (en) Refrigerator
US20100139307A1 (en) Refrigerator with an improved air handler for quickly chilling a bin
JP2007187362A (ja) 冷蔵庫
KR100592669B1 (ko) 냉장고
JP4864830B2 (ja) 冷蔵庫
KR101085654B1 (ko) 냉장고
KR101132481B1 (ko)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스장치
JP2006138608A (ja) 冷蔵庫
KR100547325B1 (ko) 냉장실의 냉기 유로 구조
KR20040058886A (ko) 냉장고의 급수장치
KR100704662B1 (ko) 냉장고
KR200155506Y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1085599B1 (ko) 냉장고
KR20110085109A (ko) 냉장고
KR20060056185A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물공급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