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563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563B1
KR100591563B1 KR1019980046059A KR19980046059A KR100591563B1 KR 100591563 B1 KR100591563 B1 KR 100591563B1 KR 1019980046059 A KR1019980046059 A KR 1019980046059A KR 19980046059 A KR19980046059 A KR 19980046059A KR 100591563 B1 KR100591563 B1 KR 100591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preventing
preventing wall
sheet
diaper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512A (ko
Inventor
세이지 스즈키
히로유키 소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3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배설물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회용 기저귀의 측가장자리의 각각에 기저귀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누설 방지벽(22)과, 누설 방지벽(22)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누설 방지벽(23)이 형성된다. 외측 누설 방지벽(22)은 기저귀의 전후방향에 위치하는 각 끝가장자리가 기저귀의 전후 끝가장자리(18, 19) 각각의 부근에서 전방 포켓(26A)과 후방 포켓(27A)을 형성하고 있는 시이트 조각(26, 27)으로 덮여져 있다. 내측 누설 방지벽(23)의 기저귀 전후방향의 치수는 외측 누설 방지벽(22)의 치수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3-136653호에 개시한 일체적 일회용 기저귀는 그 내면의 양 측가장자리와 양 끝가장자리에 기저귀 내측을 향하여 쓰러뜨리는 누출 방지 시이트를 가지고 있다. 측가장자리의 누설 방지 시이트는 전후 끝가장자리 사이에 연장되는 한편, 끝가장자리의 누설 방지 시이트는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가장자리의 누설 방지 시이트의 전후 끝가장자리를 덮고 있다.
상기 측가장자리의 누설 방지 시이트는 전후방향으로의 신축성을 가지며, 기저귀가 착용되면 내면 시이트로부터 기립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내면 시이트와의 사이에 기저귀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포켓을 형성한다. 그런데, 이 측가장자리의 누설 방지 시이트는 전후 끝가장자리가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설 방지 시이트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에 의해, 기립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배설물이 측방으로부터 새기 쉽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은 기저귀에 있어서, 기저귀 측방향에서의 누설 방지의 향상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투액성 내면 시이트, 불투액성 외면 시이트 및 이들 양 시이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외형 형상이 전후 끝가장자리와 그 끝가장자리 사이에 연장되는 서로 병행인 양 측가장자리에 의해 구획되는 적층체를 구성하며, 상기 적층체 내면의 상기 측가장자리 각각의 부근에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적층체 내측을 향하여 기립할 수 있도록 쓰러뜨리고, 상기 전후방향으로의 신축성을 갖는 한쌍의 측부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며, 상기 전후 끝가장자리 각각의 부근에는 상기 양 측가장자리 사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쌍의 측부 누설 방지벽의 끝가장자리를 덮는 시이트를 부분적으로 상기 내면에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적층체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포켓을 형성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의 상기 측부 누설 방지벽보다도 내측의 부위에 상기 전후방향의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내면에 접합하고, 상기 외측 가장자리에 병행하는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전후방향으로의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적층체 내측을 향하여 기립할 수 있도록 쓰러뜨리는 내측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누설 방지벽은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끝가장자리 사이의 치수를 상기 측부 누설 방지벽의 치수보다도 짧게 형성하여 상기 끝가장자리의 각각을 상기 측부 누설 방지벽의 끝가장자리의 각각보다도 상기 적층체의 내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상기 적층체 내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내측 누설 방지벽의 끝가장자리 각각은 상기 측부 누설 방지벽의 끝가장자리 각각보다도 20 ㎜ 이상 상기 적층체의 내측으로 치우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측가장자리 누설 방지벽, 내측 누설 방지벽 및 상기 포켓을 형성하고 있는 시이트는 액체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시이트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 도 3은 각각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 동 도면의 II-II선 및 III-III선에 의한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일회용 기저귀는 투액성 내면 시이트(2), 불투액성 외면 시이트(3), 이들 양 시이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4)가 적층된 기저귀 본체(5)를 갖는다. 본체(5)는 전후의 길이방향으로 앞 몸통둘레 영역(6), 뒤 몸통둘레 영역(7) 및 이들 양 영역(6, 7)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8)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5)의 외형은 앞·뒤 몸통둘레 영역(6, 7)에 있어서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끝가장자리(11, 12)와, 이들 끝가장자리(11, 12) 사이에 연재(延在)하고 있는 한쌍의 측가장자리(13)에 의해 형성되고, 측가장자리(13)는 가랑이 영역(8)에서 내측으로 만곡하고 있다. 내외면 시이트(2, 3)는 코어(4)의 둘레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서 서로 겹치고, 핫멜트형 접착제(17)를 통해 간헐적으로 접합되며, 전후의 끝가장자리 플랩(18, 19)과, 좌우의 측가장자리 플랩(21)을 형성하고 있다.
본체(5)의 내면에는 양 측가장자리(13) 각각에 병행하여 외측 누설 방지벽(22)과 내측 누설 방지벽(23)이 형성되고, 전후 몸통둘레 영역(6, 7)의 각각에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이트 조각(26, 27)과 내면 시이트(2)로 기저귀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전방 포켓(26A)과 후방 포켓(27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다수의 점으로 표시된 부위는 이들 포켓(26A, 27A)을 형성하고 있는 시이트 조각(26, 27)과 누설 방지벽(22, 23)을 그들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기저귀의 구성 요소와 접합시키기 위한 핫멜트형 접착제를 도포하는 영역이다.
외측 누설 방지벽(22)은 전후 끝가장자리(11, 12) 부근으로까지 연장되는 띠형의 시이트로 액체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시이트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외측 가장자리(22A)와 전후 끝가장자리(22B, 22C)[앞면 끝가장자리(22B)는 도 4 참조]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착제 제1 도포 영역(31)과 앞·뒤 끝가장자리(11, 12) 각각의 부근에 위치하는 제2 도포 영역(32A, 32B)(32B는 도 4참조)에 있어서 내면 시이트(2)에 접합되어 있다. 누설 방지벽(22)의 내측 가장자리(22D)는 외측 가장자리(22A)보다도 본체(5)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 이 가장자리(22D)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탄성 부재(41)가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 누설 방지벽(22)은 기저귀가 착용될 때에 전후 끝가장자리(22B, 22C) 사이에서 내측 가장자리(22D)가 내면 시이트(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내측을 향하여 개구할 수 있는 제1 포켓(25)을 형성하고 있다.
전방과 후방의 포켓(26A, 27A) 각각을 형성하고 있는 시이트 조각(26, 27)은 액체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거의 직사각형의 시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몸통둘레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양측 부분이 외측 누설 방지벽(22)의 전후 끝가장자리(22B, 22C) 각각을 덮고 있다. 시이트 조각(26, 27)은 본체(5)의 전후 끝가장자리(11, 12) 각각을 따라 연장되는 접착제의 제3 도포 영역(33)과, 제4 도포 영역(34)에 있어서 본체(5)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 이외에, 전후 끝가장자리(11, 12) 각각으로부터 본체(5)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5 도포 영역(35)과, 제6 도포 영역(36)에 있어서 본체(5)의 내면에 접합하고 있다. 제5, 제6 도포 영역(35, 36)은 쓰러지는 외측 누설 방지벽(22)의 상면 및/또는 이 누설 방지벽(22)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내면 시이트(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시이트 조각(26, 27) 각각의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연부의 내면에는 제3, 4 탄성 부재(46, 47)가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내측 누설 방지벽(23)은 액체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띠형의 시이트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외측 가장자리(23A)와 전후 끝가장자리(23B, 23C)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착제 제7 도포 영역(37)과 이 도포 영역(37)의 전후 각각의 단부부근에 위치하는 접착제 제 8, 9 도포 영역(38, 39)에 있어서 본체(5)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내측 누설 방지벽(23)의 내측 가장자리(23D)는 외측 가장자리(23A)보다도 본체(5)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 이 중 측가장자리(23D)의 내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탄성 부재(48)가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누설 방지벽(23)은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내측을 향하여 개구할 수 있는 제2 포켓(49)을 형성한다.
도 4는 도 2의 기저귀를 부분적으로 확대하고 또한 파단한 도면이다. 내측 누설 방지벽(23)은 내면 시이트(2)에 접합하고 있는 전후 끝가장자리(23B, 23C) 사이의 부분(L1)이 내면 시이트(2)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이격되었을 때에는 제2 포켓(49)이 내측을 향하여 개구한다. 전후 끝가장자리(23B, 23C)는 외측 누설 방지벽(22)이 내면 시이트(2)에 접합하고 있는 전후 끝가장자리(22B, 22C)로부터 거리 D1, D2 만큼 이격되어 있다. 거리 D1, D2는 전후의 제2 도포 영역(32A, 32B) 각각으로부터 제8, 9 도포 영역(38, 39)까지, 환언하면 내측 누설 방지벽(23)의 부분(L1)에 이르는 치수이다. 내측 누설 방지벽(23)은 D1, D2가 20 ㎜ 이상이고, 또한, 도시예와 같이, 시이트 조각(26, 27)에 의해 덮여져 있지 않은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누설 방지벽(23)의 개구 가능한 길이 L1와의 비교에 있어서, 외측 누설 방지벽(22)의 개구할 수 있는 길이는 L1과 D1과 D2의 합으로서, L1보다도 길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저귀는 그것이 착용되어 내면 시이트(2)를 내측 전후방향이 만곡하면, 내외의 누설 방지벽(22, 23)은 제1, 2 탄성 부재(41, 48)가 수축하여 내면 시이트(2)의 상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외측 누설 방지벽(22)과, 전방 포켓(26)과, 후방 포켓(27)은 기저귀의 네 둘레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고, 내측 누설 방지벽(23)은 특히 가랑이 영역(8)에 있어서 기저귀 폭방향으로의 배설물의 흐름을 막아 외측 누설 방지벽(22)의 부근에 체류하는 배설물의 양을 적게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내측 누설 방지벽(23)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실질적으로는 L1으로서, L1에 대응하는 외측 누설 방지벽(22)의 실질적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의 폭방향에 있어서 내측 누설 방지벽(23)를 넘어서 외측 누설 방지벽(22)과의 사이에 체류하고 있는 배설물은 그것이 외측 누설 방지벽(22)을 따라서 전후 끝가장자리(11, 12)중 어느 한쪽 부근에까지 흐르면, 거기에는 내측 누설 방지벽(22)이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화살표 X, Y로 나타내는 방향으로(도 4 참조), 기저귀 내측으로 되돌아가도록 흐르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외측 누설 방지벽(22) 부근에 체류하는 배설물의 양을 줄이는 것은 누설 방지벽(22)으로부터 누설될 가능성이 있는 배설물의 감량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기저귀에 있어서, 내외의 누설 방지벽(22, 23)이나 시이트 조각(26, 27)에 사용되는 액체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시이트란, 불투액성 시이트 및 투액성 시이트이더라도 기저귀의 사용상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불투액성 또는 난투액성 시이트라고 간주되는 사물의 총칭이다. 외측 누설 방지벽(22)과 전후의 시이트 조각(26, 27)은 서로 겹치는 부분의 일부에서 접합시켜도 좋고, 거의 전체를 접합시켜도 좋다. 본 발명은 전후의 시이트 조각(26, 27)에 제3, 제4 탄성 부재(46, 47)를 사용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기저귀의 전후 몸통둘레 영역(6, 7)중 적어도 한쪽 끝가장자리 플랩(18, 19)에는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를 신장 상태로 부착해 둘 수도 있다. 도 1의 기저귀는 소위 「개방형」인 것으로, 뒤 몸통둘레 영역(7)의 양 측가장자리에는 앞 몸통둘레 영역(6)의 외면에 고정할 수 있는 테이프 파스너(51)가 부착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팬츠형 기저귀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는 배설물의 측방향으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하기위한 누설 방지벽이 전후방향의 치수에 차가 있는 내외 이중의 누설 방지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긴 외측의 누설 방지벽이 기저귀 끝가장자리에서 포켓을 형성하고 있는 시이트 조각에 저지되어 충분한 높이로까지 기립할 수 없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시이트 조각에 구속되기 어려운 내측 누설 방지벽이 충분한 높이로까지 기립하여 배설물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내측 누설 방지벽을 넘어서 외측 누설 방지벽에까지 도달한 배설물은 외측 누설 방지벽을 따라서 내측 누설 방지벽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전후 끝가장자리의 임의의 한쪽 부근에까지 흐르면, 내측 누설 방지벽에 저지되지 않고 기저귀 내측을 향하여 흐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내측으로의 흐름에 의해, 외측 누설 방지벽 부근에 체류하는 배설물의 양을 줄여 기저귀 측방향으로부터의 누설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의한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의한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기저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파단한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내면 시이트
3: 외면 시이트
4: 코어
22: 측부 누설 방지벽(외측 누설 방지벽)
23: 내측 누설 방지벽
23A: 외측 가장자리
23D: 내측 가장자리
48: 탄성 부재(제2 탄성 부재)

Claims (3)

  1. 투액성 내면 시이트, 불투액성 외면 시이트 및 이들 양 시이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외형 형상이 전후 끝가장자리와 그 끝가장자리 사이에 연장되는 서로 병행인 양 측가장자리에 의해 구획되는 적층체를 구성하며, 상기 적층체 내면의 상기 측가장자리 각각의 부근에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적층체 내측을 향하여 기립할 수 있도록 쓰러뜨리고, 상기 전후방향으로의 신축성을 갖는 한쌍의 측부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며, 상기 전후 끝가장자리 각각의 부근에는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 사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쌍의 측부 누설 방지벽의 끝가장자리를 덮는 시이트를 부분적으로 상기 내면에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적층체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포켓을 형성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의 상기 측부 누설 방지벽보다도 내측의 부위에 상기 전후방향의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내면에 접합하고,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병행하는 내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전후방향으로의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적층체 내측을 향하여 기립할 수 있도록 쓰러뜨리는 내측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누설 방지벽은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끝가장자리부 사이의 치수를 상기 측부 누설 방지벽의 치수보다도 짧게 형성하여 상기 끝가장자리부 각각을 상기 측부 누설 방지벽의 끝가장자리부 각각보다도 상기 적층체의 내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상기 적층체 내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누설 방지벽의 끝가장자리부 각각은 상기 측부 누설 방지벽의 끝가장자리 각각보다도 20 ㎜ 내지 내측 누설 방지벽이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의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거리를 갖는 길이 만큼 상기 적층체의 내측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누설 방지벽, 내측 누설 방지벽 및 상기 포켓을 형성하고 있는 시이트는 액체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시이트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KR1019980046059A 1997-10-31 1998-10-30 일회용 기저귀 KR100591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00856 1997-10-31
JP30085697A JP3366846B2 (ja) 1997-10-31 1997-10-31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512A KR19990037512A (ko) 1999-05-25
KR100591563B1 true KR100591563B1 (ko) 2007-12-04

Family

ID=1788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059A KR100591563B1 (ko) 1997-10-31 1998-10-30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890327B2 (ko)
EP (1) EP0913137B1 (ko)
JP (1) JP3366846B2 (ko)
KR (1) KR100591563B1 (ko)
CN (1) CN1221227C (ko)
AU (1) AU746592B2 (ko)
BR (1) BR9805097A (ko)
CA (1) CA2252303C (ko)
DE (1) DE69821187T2 (ko)
ID (1) ID21197A (ko)
MY (1) MY119811A (ko)
SG (1) SG74092A1 (ko)
TW (1) TW42330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6846B2 (ja) * 1997-10-31 2003-0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S2201931B1 (es) * 2001-10-31 2005-03-01 Grupo P.I. Mabe, S.A. De C.V. Articulo absorbente desechable con doble barrera antiescurrimientos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US8043275B2 (en) * 2001-12-19 2011-10-25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with dual containment flaps
EP1518527B1 (en) * 2002-06-05 2009-08-05 Livedo Corporation Absorbing article
JP4342337B2 (ja) * 2004-02-17 2009-10-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511250B2 (ja) * 2004-06-03 2010-07-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8002760B2 (en) 2005-08-02 2011-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arrier cuff for a unitar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intermediate bond for sustained fit
US7785309B2 (en) * 2005-08-31 2010-08-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 with biaxially stretchable inner layer
US7918839B2 (en) * 2005-10-14 2011-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including barrier leg cuff structure and an elastically stretchable side panel
JP4801421B2 (ja) * 2005-11-07 2011-10-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756588B2 (ja) * 2005-11-25 2011-08-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58457B2 (ja) * 2006-03-16 2012-06-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09532170A (ja) 2006-04-05 2009-09-10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漏出バリアを備えた吸収用品
US20080147025A1 (en) * 2006-12-13 2008-06-19 Van Gompel Paul T Pleated disposable garment
US20080141839A1 (en) * 2006-12-13 2008-06-19 Van Gompel Paul T Method of manufacturing pleated disposable garment
US8282615B2 (en) 2007-04-11 2012-10-0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leak barriers
JP2010527687A (ja) 2007-05-21 2010-08-19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改善されたフィット性を備える吸収用品
JP5130095B2 (ja) * 2008-03-31 2013-01-3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2421402B (zh) 2009-05-12 2014-09-03 Sca卫生用品公司 具有经连接构件连接至侧部的阻挡件的一次性吸收性物品
JP5457822B2 (ja) * 2009-12-22 2014-04-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9339420B2 (en) 2011-06-23 2016-05-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ide lying leakage improvement
JP5902900B2 (ja) * 2011-08-31 2016-04-1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41042B2 (ja) * 2013-02-15 2017-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褥瘡予防機能付き使い捨て尿取りパッド
US10709618B2 (en) 2015-03-31 2020-07-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ompressible waist containment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430702B1 (ko) 2015-03-31 2022-08-0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허리 샘방지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612522B2 (en) 2015-03-31 2023-03-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electively positioned waist containment member
RU2653484C1 (ru) 2015-06-29 2018-05-08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частично охатывающим герметизи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для тали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WO2017039599A1 (en) 2015-08-31 2017-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 including the same
KR101927036B1 (ko) 2015-08-31 2018-12-0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허리 샘방지 부재의 샘방지 포켓에 대한 개선된 접근성을 제공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 용품
RU2661845C1 (ru) 2015-09-29 2018-07-19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выборочно расположенным герметизи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для талии, имеющим улучшенное уплотнение для тали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3646A (en) * 1984-06-04 1988-06-28 Kimberly-Clark Corporation Diaper with waist flaps
US4695278A (en) * 1985-10-11 1987-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cuffs
CA1290502C (en) 1988-12-21 1991-10-15 Anthony John Robertson Absorbent article having unitary waistcap and waistband
US5026364A (en) * 1988-12-21 1991-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unitary waistcap and waistband
JPH02174845A (ja) * 1988-12-27 1990-07-06 Daio Paper Corp 紙おむつ
JP2892843B2 (ja) * 1990-12-18 1999-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FR2707482B1 (fr) * 1993-07-12 1995-09-29 Peaudouce Article d'hygiène absorbant jetable à double barrière d'étanchéit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US5593401A (en) * 1994-08-03 1997-01-14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bridge flap
US5575785A (en) * 1995-06-07 1996-1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liquid containment beams and leakage barriers
JP3366846B2 (ja) * 1997-10-31 2003-0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1197A (id) 1999-05-06
EP0913137A2 (en) 1999-05-06
CN1221227C (zh) 2005-10-05
EP0913137B1 (en) 2004-01-21
JPH11128268A (ja) 1999-05-18
MY119811A (en) 2005-07-29
KR19990037512A (ko) 1999-05-25
CN1216697A (zh) 1999-05-19
DE69821187D1 (de) 2004-02-26
AU8956198A (en) 1999-05-20
US20010018580A1 (en) 2001-08-30
TW423305U (en) 2001-02-21
SG74092A1 (en) 2000-07-18
EP0913137A3 (en) 2000-09-13
DE69821187T2 (de) 2004-07-01
CA2252303A1 (en) 1999-04-30
US6890327B2 (en) 2005-05-10
JP3366846B2 (ja) 2003-01-14
BR9805097A (pt) 1999-11-16
AU746592B2 (en) 2002-05-02
CA2252303C (en) 200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563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602459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572836B1 (ko) 일회용 기저귀
JP5185665B2 (ja) 吸収性物品
US5387210A (en) Sanitary napkin
US5584828A (en) Disposable diaper
KR100596079B1 (ko)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
KR100669128B1 (ko) 일회용 체액 처리 용품
KR19990063404A (ko) 일회용 기저귀
JP3130438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H11276520A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09087823A1 (ja) 吸収性物品
KR100656764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110021992A (ko) 흡수성 물품
KR101330420B1 (ko) 흡수성 물품
KR20090110358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00105658A (ko) 흡수성 물품
JPH0551328U (ja) 生理用ナプキン
KR930702931A (ko) 생리용 냅킨
KR20100085937A (ko) 흡수성 물품
JP2577976Y2 (ja) 生理用ナプキン
JP3648182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00085936A (ko) 흡수성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