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515B1 -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의 단문메시지를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알림용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의 단문메시지를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알림용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515B1
KR100590515B1 KR1020050007500A KR20050007500A KR100590515B1 KR 100590515 B1 KR100590515 B1 KR 100590515B1 KR 1020050007500 A KR1020050007500 A KR 1020050007500A KR 20050007500 A KR20050007500 A KR 20050007500A KR 100590515 B1 KR100590515 B1 KR 100590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as
information
door lock
lock device
ke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철
정원석
박용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9/00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9/14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in pipes or coils with or without auxiliary means, e.g. digesters, soaking drums, expansion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C10G2300/1007Used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06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오픈키 정보를 제공하여 도어 오픈을 요청하면, 입력된 오픈키 정보를 저장된 오픈키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도어를 오픈시킴과 동시에 상기 입력된 오픈키 정보에 매칭된 별칭을 저장된 별칭 테이블을 통해 찾고, 저장된 문자정보 중에서 도어 오픈에 대응하여 디폴트된 문자 정보를 찾은 후에 이렇게 찾은 별칭과 문자 정보를 조합하여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며 이렇게 작성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특정인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이렇게 전송된 단문 메시지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출입자 정보를 알 수 있게 한다.
디지털도어락장치, 이동통신모뎀, SMS, 비밀번호, 보안

Description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의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Digital door lock device to transmit SMS massage in alias as security alarm messag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he SMS massag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환경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개략적인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저장된 별칭 테이블.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송된 단문메시지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저장된 별칭 테이블의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모듈이 탑재된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lock)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출입 정보 또는/ 및,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유, 무선으로 연결된 감시 센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탑재된 이동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특정인에게 통지하며, 이때 피통지대상을 별칭(Alias)으로 표현하여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로 통지함으로써 출입자의 상세 정보 또는 감지 센서의 위치와 상태를 보다 정확히 특정인에게 알리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 5일 근무제와 웰빙 추구에 따른 레저 인구의 증가와 여성 독신자, 맞벌이 부부, 노인 부부의 증가, 강력범죄 증가 등으로 홈 시큐리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도어락 장치 및 무인경비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도어락 장치는 고전적인 키(key) 방식에서 비밀번호 키 방식으로 전환되기 시작하여, IC 칩, 생체인식, 스마트카드 방식으로 변화하여 왔다. 통상적으로, 고전적인 키 방식의 도어락 장치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키 방식 또는 IC 칩, 생체인식, 스마트카드 방식과 같은 전자 방식의 도어락장치를 디지털 도어락 장치라고 불리우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무인경비시스템이나 홈네트워크 시스 템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에서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상태, 알람, 출입 정보뿐만 아니라, 연동하는 무인경비시스템(또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감지센서들의 상태 정보를 얻고자 하는 요구가 생겼다. 이에 종래에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상태 또는 감지센서들의 상태를 감지하여 인터넷을 통해 특정인에게 전송하는 방식 또는, 인터넷을 통해 특정인에게 SMS로 전송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열림 또는 닫힘 또는 강제열림 등 또는 감지센서에 의한 무단침입을 경고성 메시지만으로 특정인에게 제공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문이 열렸습니다", "문이 닫혔습니다", "감지센서에서 알람이 발생하였습니다 또는, 침입자가 발생하였습니다" 등의 상태알림 메시지만을 제공하였다.
그런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제품 중에 하나 이상의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 제품의 경우에는 허용된 출입자마다 각각의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통신기능을 가진 제품이 연구되고 있는 현실에서 앞으로는 출입자의 이동전화번호를 비밀번호로 사용하게 되리라 예상되는데 이 경우에도 출입자마다 다른 오픈 키 정보(이동전화번호)를 가지게 된다. 상기 오픈 키는 비밀번호, 스마트카드, 이동전화번호, 생체정보와 같이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오픈시킬 수 있는 키 정보를 말한다.
따라서 종래의 단순한 상태알림 메시지가 아닌 특정인의 출입을 알리거나, 무인경비시스템(또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동하는 경우에 어떤 감지센서에서 경고가 발생하였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보다 정확한 보안 정보 제공 서비스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각각의 오픈 키 정보 또는/ 및 감지센서마다 별칭(Alias)을 부여하여 관리하면서 침입 발생 또는/ 및 이상상황 발생시 별칭을 포함한 SMS를 특정인에게 제공하여 정확한 상황 정보를 알 수 있게 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부; 독립적인 이동통신용 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이동통신망의 접속규격에 부합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SMS 메시지의 송수신 기능 및 CID(Caller ID) 검출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모듈;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오픈을 위한 오픈 키 정보가 저장된 키정보 저장부; 상기 키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각 오픈 키에 대응하는 별칭 정보가 저장된 별칭 저장부;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오픈시 사용될 문자 정보가 저장된 문자정보 저장부; 상기 키패드부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이동통신모듈의 CID 검출 기능을 통해 이동전화번 호가 검출되면, 상기 키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오픈키 정보와 비교하여 도어 오픈을 결정하며, 사용자가 제공한 오픈키에 매칭된 별칭을 상기 별칭 저장부를 통해 찾고 상기 별칭과 상기 문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정보를 조합하여 단문메시지로 특정인의 이동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도어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이동통신모듈을 탑재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오픈키 정보를 제공하여 도어 오픈을 요청하면, 입력된 오픈키 정보를 저장된 오픈키 정보와 비교하는 제1 단계; 상기 입력된 오픈키 정보와 저장된 오픈키 정보가 일치하면 도어를 오픈시킴과 동시에, 상기 입력된 오픈키 정보에 매칭된 별칭을 저장된 별칭 테이블을 통해 찾는 제2 단계; 저장된 문자정보 중에서 도어 오픈에 대응하여 디폴트된 문자 정보를 찾는 제3 단계; 상기 제2 단계와 제3 단계에서 찾은 별칭과 문자 정보를 조합하여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특정인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환경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특정인(A)의 이동단말기에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SMS 메시지 교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댁내(집, 사무실, 공장, 창고 등과 같이 밀폐된 공간이라 정의함)에 설치된 감시장치를 관리하는 보안관리서버(200)와 유선(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감시장치에는 해당 감시 용도에 부합하는 감지센서(310 내지 360 중 하나)가 내장되어 있다.
감시장치의 감지센서(310 내지 360)는 창문이나 방문의 열림을 감지하거나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가스 또는 화재 상황을 감지하며, 해당 상황이 감지되면 경고 신호를 발생하여 보안관리서버(200)에 알린다. 상기 감지센서로는 적외선, 압력, 진동, 열 센서 등이 사용된다.
보안관리서버(200)는 감시장치의 동작 제어와 함께 감시장치로부터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를 발생한 감지센서의 식별정보와 경고발생 메시지를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에 알린다. 여기서 감지센서의 식별정보는 감지센서의 고유제품코드 또는 설치위치정보 등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RF 모듈(101), 이동통신모뎀(102), SMS 전송부(103), CID(Caller ID) 검출부(104), 키패드부(105), 카드리더부(106), 제어부(107), 별칭 저장부(108), 키정보 저장부(109), 문자정보 저장부(110), 개폐구동부(111), 표시부(112)와, 인터페이스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RF 모듈(101)은 통신기기의 송수신 고주파 회로부를 하나로 집적한 것이다. 모든 무선 통신기기는 음성신호 주파수를 멀리 보낼 수 있도록 고주파화 한 후 이를 안테나로 받아 다시 원래의 주파수로 낮추는 역할을 하는 고주파(RF)부와 고주파 신호를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게 해주는 베이스밴드부, 로직부 등 크게 3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RF모듈(101)은 바로 고주파부, 베이스밴드부와 로직부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상품화한 것이다.
이동통신모뎀(102)은 이동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RF 모듈(101)로부터 수신 및 전송되는 해당 무선통신규격의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며, 발신 이동단말기로부터 호가 착신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의 동작을 이동통신망과 수행한다. 상기에서, 해당 무선통신규격이란 대한민국의 경우 CDMA 또는 WCDMA 무선통신규격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럽의 경우 GSM 또는 cdma2000 무선통신규격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 현재 상용중인 이동통신규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SMS 전송부(103)는 RF 모듈(101)을 통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며, 이때 제어부(107)의 제어에 따라 문자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디폴트된 문자 정보와 별칭 저장부(108)에 저장된 해당 별칭을 조합하여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설정된 특정인에게 전송한다.
CID 검출부(104)는 RF 모듈(101)을 통해 착신 호와 함께 수신되는 발신측 정보로부터 CID 정보를 검출하고 판독하여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를 파악하며, 파악한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제어부(107)에 제공한다.
상기 안테나, RF 모듈(101), 이동통신모뎀(102), SMS 전송부(103), CID 검출부(104)를 이하에서는 이동통신모듈(100a)이라고 칭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모듈(100a)은 통상의 휴대폰에 내장된 이동통신모듈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키패드부(105)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각종 버튼이나 키(key)로 구비되어 있다. 카드리더부(106)는 키오픈 수단으로 사용되는 스마트카드를 읽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제어부(107)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각 구성(100a, 105, 106, 108 내지 113)의 동작을 위한 각종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제어부(107)는 사용자 인증(도어락 장치 오픈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처리부의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 인증 기능시 키정보 저장부(109)에 저장된 오픈 키 정보(즉, 비밀번호, RF 주파수 정보, 이동전화번호 정보 등)를 이용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키정보 저장부(109)의 키정보와 별칭 저장부(108)의 별칭 정보를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별칭 저장부(108)는 키정보 저장부(109)에 저장된 각 키정보와 이에 매칭되는 별칭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별칭 정보는 제품 출하시 디폴트된 별칭으로 지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별칭 저장부(108)에 저장된 키정보별 별칭 정보는 테이블(이하 '별칭 테이블'이라 함)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테이블은 도 6과 같은 형태를 가질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저장된 별칭 테이블의 일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별칭 테이블을 보면, 별칭 테이블은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를 오픈할 수 있는 오픈 키 정보와,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에 연결된 보안관리서버(200)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감지센서들을 관리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대상 각각에 대응하여 부여된 별칭을 관리한다. "대상"에 해당하는 키 정보는 별칭 저장부(108)에 저장된 키 정보와 동일하며, 별칭 저장부(108)의 키 정보 변경시 함께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테이블의 보안센서정보 또한 별도의 메모리(미도시)에서 관리하며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된 보안센서의 정보가 변경되면 테이블의 해당 감지센서의 정보도 변경된다.
여기서 상기 별칭은 사용자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며, 가능한 특정인(A)이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이름이나 애칭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자정보 저장부(110)는 SMS로 전송될 디폴트된 문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저장된 문자정보는 도어락 오픈에 대한 디폴트된 문자정보와, 보안센서정보에 관련된 문자정보로 구분되어 있다.
개폐구동부(111)는 제어부(107)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개폐를 수행한다. 표시부(112)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동작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113)는 보안관리 서버(200)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한편,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키패드부는 0-9까지의 숫자와 "#", "*"의 특수문자에 대응하는 버튼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의 키패드부(105)는 사용자에 의해 별칭이 지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한글/숫자/특수문자를 지원하는 변환키(변환버튼)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키패드부(105)의 각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알파벳/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특수문자를 지원하도록 제작되고, 별도로 마련된 변환키는 언어 모드를 가변시켜 각 버튼에서 하나의 언어가 선택되도록 한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설명한다.
우선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의 출입 정보를 별칭을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로 하여 특정인에게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출입자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를 오픈시키기 위해 키패드부(105)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스마트카드를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에 근접시키거나,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에 부여된 이동전화번호로 전화하여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에 오픈 키 정보를 제공한다(S401).
그러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입력되는 오픈 키 정보를 판독한다(S402).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비밀번호의 경우에 제어부(107)는 키패드부(105)를 통해 입력된 숫자의 조합을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오픈 키 정보로 판독한다. 스마트카드의 경우에 스마트카드의 RF 주파수는 카드리더부(106)에 의해 읽혀지고 제어부(107)가 인식할 수 있는 코드 정보로 제공되므로, 제어부(107)는 이러한 카드리더부(106)에서 제공한 코드 정보를 스마트카드에 해당하는 오픈 키 정보로 판독한다. 이동전화번호의 경우에, 출입자 이동단말기의 CID 정보는 호 착신 요구와 더불어 RF 모듈(101)에 수신되고 CID 검출부(104)에 의해 검출되어 제어부(107)에 제공되므로, 제어부(107)는 CID 검출부(104)에서 제공하는 이동전화번호를 오픈 키 정보로 판독한다.
제어부(107)는 오픈 키 정보를 판독하면, 판독한 오픈 키 정보를 문자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오픈 키 정보와 비교하고(S403), 이 비교를 통해 일치하는 것이 문자정보 저장부(110)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404).
상기 판단(S404)에서 문자정보 저장부(110)의 오픈 키 정보와 일치하면, 제어부(107)는 개폐구동부(111)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도어 오픈을 명령하고, 그에 따라 개폐구동부(111)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를 오픈한다(S405).
이와 동시에, 제어부(107)는 판독한 오픈 키 정보를 별칭 저장부(108)에 저장된 별칭 테이블(도 6 참조)에 대입하여 오픈 키 정보와 매칭되는 별칭을 찾는다(S406).
상기 과정(S406)으로 별칭을 찾으면 제어부(107)는 문자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문자 정보 중에서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의 오픈시 문자 정보로 디폴트된 문자정보를 찾고, 이를 별칭과 특정인의 전화번호와 함께 SMS 전송부(103)에 제공한다. 그러면 SMS 전송부(103)는 수신된 문자정보와 별칭을 조합하여 하나의 단문 메시지를 만들고 이를 특정인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전송한다(S407).
여기서 특정인의 전화번호는 키정보 저장부(109)에 저장되거나 별도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이렇게 전송된 단문메시지의 일 예가 도 7의 (a)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오픈되면"철수님이 문을 열었습니다"라는 SMS 메시지를 특정인(A)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철수"는 오픈키 정보에 매칭된 별칭이고, "님이 문을 열었습니다"는 디폴트된 문자 정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상태를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로 전송하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침입자 또는 이상상황을 감지하거나 동작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감지센서는 감지신호 또는 오류 신호를 전송하고 보안관리서버(200)는 이를 수신한다. 보안관리서버(200)는 이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이상을 감지한 감지센서의 위치정보나 별도의 식별코드정보를 통해 감지센서를 식별한다. 보안관리서버(200)는 이렇게 감지센서를 식별하면 식별한 감지센서의 식별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제 어부(107)에 전달한다(S501).
이때 보안관리서버(200)는 감지센서가 감지한 이상상황의 종류(즉, 침입감시, 배터리 부족, 화재감시, 가스누출 등)를 제어부(107)에 알린다.
제어부(107)는 보안관리서버(200)로부터 이상상황의 정보와 감지센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판독한 후(S502). 판독한 감지센서를 별칭 저장부(108)의 별칭 테이블에 대입하여 해당 감지센서에 매칭된 별칭을 찾는다(S503).
상기 과정(S503)으로 별칭을 찾으면 제어부(107)는 문자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문자 정보 중에서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이상상황의 종류에 해당하는 디폴트된 문자정보를 찾고, 이를 별칭과 특정인의 전화번호와 함께 SMS 전송부(103)에 제공한다. 그러면 SMS 전송부(103)는 수신된 문자정보와 별칭을 조합하여 하나의 단문 메시지를 만들고 이를 특정인에게 전송한다(S504).
상기 S504 과정을 통해 전송되는 단문메시지의 일 예가 도 7의 (b)와 (c)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입자가 발생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베란다 왼쪽 창 감지센서에서 알람이 발생하였습니다"라는 SMS 메시지를 특정인(A)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장치에 오류 특히 배터리 부족 현상이 발생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아버지 방 감지센서의 전원이 부족합니다"라는 SMS 메시지를 특정인(A)에게 전송한다.
상기 도 7의 (b)에서 "베란다 왼쪽 창"은 해당 감지센서의 별칭이고, "감지센서에서 알람이 발생하였습니다"는 침입 발생에 대한 디폴트된 문자이다. 그리고 도 7의 (c)에서 "아버지 방"은 해당 감지센서의 별칭이고 "감지센서의 전원이 부족합니다"는 배터리 부족 상황에 대한 디폴트된 문자이다.
이하에서는 별칭 테이블에 기록된 별칭 정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편집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별칭 테이블의 정보를 편집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3가지 방법이 있는데,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직접 이용하는 방법과 사용자의 이동단말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이동통신모듈(100a), 무선 데이터망과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장치로 별칭 테이블 편집용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우선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직접 이용하는 방법을 도 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저장된 별칭 테이블의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이 경우에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에는 별칭 테이블의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키패드부(105)에 특정 버튼을 눌러 서비스 메뉴를 호출하고, 이에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서비스 메뉴 항목을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메뉴 항목 중 별칭 지정 메뉴를 선택하면(S801),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또는 스마트카드 또는 발신자 CID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 이를 수신한 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802).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별칭 테이블의 대상 정 보 리스트를 표시부(112)에 표시하고(S803), 사용자는 대상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다(S804).
하나의 대상이 선택되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입력, 수정, 삭제 항목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편집 항목을 요구하고, 이에 사용자가 하나의 편집 항목을 선택하면(S805), 입력 또는 수정의 경우에 선택한 대상에 매칭할 별칭 입력을 요구하여 수신한다(S806). 사용자가 별칭을 입력한 후 키패드부(105)에 마련된 종료키 버튼을 누르면(S807),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입력된 별칭을 별칭 테이블의 해당 대상에 매칭시켜 기록한 후 편집 프로그램은 동작을 종료한다(S809).
그리고 삭제의 경우에 표시부(112)에 삭제할 대상의 항목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종료키를 선택하면(S808) 별칭 테이블의 해당 대상에 매칭된 별칭이 삭제된다(S809). 이때 삭제 편집 동작을 취소하는 버튼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의 이동단말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이동통신모듈(100a), 무선 데이터망과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사용자 인증을 받은 후,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항목 입력, 수정, 삭제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고 별칭 테이블에 편집될 대상의 정보 또는/ 및 새로운 별칭을 제공한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와 무선 데이터 통로를 설정한 후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패킷 데이터로 하여 이동통신모뎀을 통해 제어부(107)에 제공한다.
결구, 제어부(107)는 이동통신모뎀에 의해 디코딩된 패킷 데이터에 따라 별칭 테이블을 편집한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 장치로 별칭 테이블 편집용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에 부여된 이동전화번호로 편집 정보가 포함된 SMS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수신된 SMS 메시지를 분석하여 별칭 테이블을 편집하는 방법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댁내로 출입하는 대상자에 대한 출입 정보 또는/및 댁내의 보안 경고를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통해 SMS 메시지로 알리면서 특히, 정상 출입자의 식별과 무단 침입 감시 장치의 식별을 별칭을 통해 알림으로써,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출입자가 누구인지 침입 또는 경고상황이 발생한 장소가 어디인지를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칭을 자신만의 독특한 것으로 사용하여 오락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Claims (8)

  1.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부;
    독립적인 이동통신용 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이동통신망의 접속규격에 부합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SMS 메시지의 송수신 기능 및 CID(Caller ID) 검출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모듈;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오픈을 위한 오픈 키 정보가 저장된 키정보 저장부;
    상기 키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각 오픈 키에 대응하는 별칭 정보가 저장된 별칭 저장부;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오픈시 사용될 문자 정보가 저장된 문자정보 저장부;
    상기 키패드부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이동통신모듈의 CID 검출 기능을 통해 이동전화번호가 검출되면, 상기 키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오픈키 정보와 비교하여 도어 오픈을 결정하며, 사용자가 제공한 오픈키에 매칭된 별칭을 상기 별칭 저장부를 통해 찾고 상기 별칭과 상기 문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정보를 조합하여 단문메시지로 특정인의 이동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도어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카드의 RF를 판독하고 판독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카드리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감지장치를 관리하는 보안관리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복수의 감지장치와 이 복수의 감지장치에 매칭된 별칭 정보가 상기 별칭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별칭 저장부에 저장된 오픈키별 별칭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 수정, 삭제할 수 있게 하는 별칭 편집부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부로부터 사용자의 별칭 편집 요구가 입력되거나 상기 이동통신모듈로부터 별칭 편집 요구 내용을 포함한 SMS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외부의 서비스 서버에서 전송한 별칭 편집 요구 내용을 포함된 패킷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대응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별칭 편집 요구 내용에 따라 상기 별칭 편집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5. 이동통신모듈을 탑재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오픈키 정보를 제공하여 도어 오픈을 요청하면, 입력된 오픈키 정보를 저장된 오픈키 정보와 비교하는 제1 단계;
    상기 입력된 오픈키 정보와 저장된 오픈키 정보가 일치하면 도어를 오픈시킴과 동시에, 상기 입력된 오픈키 정보에 매칭된 별칭을 저장된 별칭 테이블을 통해 찾는 제2 단계;
    저장된 문자정보 중에서 도어 오픈에 대응하여 디폴트된 문자 정보를 찾는 제3 단계;
    상기 제2 단계와 제3 단계에서 찾은 별칭과 문자 정보를 조합하여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특정인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댁내의 보안관리서버가 연결되고, 상기 보안관리서버는 방이나 창문에 설치된 침입감지장치와 화재나 가스 유출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장치의 동작 제어 및 해당 감지장치로부터 이상상황 경고 신호를 수신하고 알 리는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보안관리서버로부터 이상상황 경고가 발생된 감지장치의 식별정보와 이상상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장치의 식별정보에 매칭된 별칭을 상기 별칭 테이블을 이용하여 찾는 단계와, 저장된 문자정보 중에서 해당 감지장치에 대응하여 디폴트된 문자 정보를 찾아 상기 제4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별칭 편집 요구에 따라 상기 별칭 테이블의 내용을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별칭 테이블의 내용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장치의 키패드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별칭 편집 요구에 따라 상기 별칭 테이블의 내용을 편집하는 방법, 상기 이동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SMS 메시지의 별칭 편집 내용에 따라 상기 별칭 테이블의 내용을 편집하는 방법, 외부의 서비스 서버에서 전송한 패킷 데이터의 별치 편집 내용에 따라 상기 별칭 테이블의 내용을 편집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알림용 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8.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서,
    사용자가 오픈키 정보를 제공하여 도어 오픈을 요청하면, 입력된 오픈키 정보를 저장된 오픈키 정보와 비교하는 제1 단계;
    상기 입력된 오픈키 정보와 저장된 오픈키 정보가 일치하면 도어를 오픈시킴과 동시에, 상기 입력된 오픈키 정보에 매칭된 별칭을 저장된 별칭 테이블을 통해 찾는 제2 단계;
    저장된 문자정보 중에서 도어 오픈에 대응하여 디폴트된 문자 정보를 찾는 제3 단계;
    상기 제2 단계와 제3 단계에서 찾은 별칭과 문자 정보를 조합하여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특정인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07500A 2005-01-27 2005-01-27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의 단문메시지를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알림용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KR100590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500A KR100590515B1 (ko) 2005-01-27 2005-01-27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의 단문메시지를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알림용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500A KR100590515B1 (ko) 2005-01-27 2005-01-27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의 단문메시지를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알림용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0515B1 true KR100590515B1 (ko) 2006-06-19

Family

ID=3718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500A KR100590515B1 (ko) 2005-01-27 2005-01-27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의 단문메시지를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알림용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5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185U (ko) 2016-07-07 2018-01-17 안혜영 영상 촬영 및 전송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한 잠금상태감시장치
KR101833228B1 (ko) 2016-11-08 2018-04-13 오성환 보안강화 현관문
KR20200004636A (ko) *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코맥스 사용자 단말 장치와 디지털 도어록을 이용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911A (ko) * 2002-10-17 2002-11-23 이운영 콜러아이디를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18737B1 (ko) 2004-05-12 2005-10-04 이노에이스(주)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KR20050121086A (ko) * 2004-06-21 2005-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씨아이디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개폐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911A (ko) * 2002-10-17 2002-11-23 이운영 콜러아이디를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18737B1 (ko) 2004-05-12 2005-10-04 이노에이스(주)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KR20050121086A (ko) * 2004-06-21 2005-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씨아이디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개폐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185U (ko) 2016-07-07 2018-01-17 안혜영 영상 촬영 및 전송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한 잠금상태감시장치
KR101833228B1 (ko) 2016-11-08 2018-04-13 오성환 보안강화 현관문
KR20200004636A (ko) *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코맥스 사용자 단말 장치와 디지털 도어록을 이용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74676B1 (ko) * 2018-07-04 2020-02-07 주식회사 코맥스 사용자 단말 장치와 디지털 도어록을 이용하는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78961A1 (en) Securit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ing additional code
CN105592146A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7395880B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KR101910105B1 (ko) 도어락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15705A (ja) 情報通信装置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CN106060789B (zh) 短消息识别方法及装置
KR101211661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감시장치 및 그 방법
CN105072079A (zh) 账号登录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0590515B1 (ko)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의 단문메시지를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알림용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KR100795587B1 (ko) 전자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기 및그의 기록 매체
CN105430639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6791171B (zh) 一种移动终端的锁卡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6874795B (zh) 一种移动终端的防拆机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070014859A (ko) 전파식별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잠금 방법 및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140141819A1 (en) Mobile phone with inbuilt protection for user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JP4736924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8326269B1 (en) Wireless unlocking system
CN104243476A (zh) 账号保护方法及装置
KR101907108B1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4557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멀티 전자키를 구비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10086318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90992A (ko) 부가 코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100518737B1 (ko)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KR100638025B1 (ko) 잠금 해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